KR101932960B1 -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960B1
KR101932960B1 KR1020180090437A KR20180090437A KR101932960B1 KR 101932960 B1 KR101932960 B1 KR 101932960B1 KR 1020180090437 A KR1020180090437 A KR 1020180090437A KR 20180090437 A KR20180090437 A KR 20180090437A KR 101932960 B1 KR101932960 B1 KR 101932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unit
transparent protective
failure
protectiv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윤
Original Assignee
(주)윤앤영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윤앤영이앤씨 filed Critical (주)윤앤영이앤씨
Priority to KR102018009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2Composite shades, i.e. shades being made of distinc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 Y04S10/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전선로 상에 설치되어 배전선로의 고장여부를 외부로 표시하는 한편, 고장이 발생된 배전선로의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보호장치를 구비하여 램프부를 풍우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보호장치를 개폐하여 발열에 의한 램프부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양수단을 구비하여 램프부의 점등시 시인성을 높일 수 있고, 민원신고수단을 구비하여 민원인들이 고장신고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Apparatus for watching fault of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분야 기술 중에서,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배전선로 상에 설치되어 배전선로의 고장여부를 외부로 표시하는 한편, 고장이 발생된 배전선로의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램프부를 풍우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발열에 의한 램프부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램프부의 점등시 시인성을 높일 수 있고, 민원인들이 고장신고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지상에 설치되는 전주와, 전주에 설치되는 완철과, 전주와 전주 사이에 가설되며 애자를 통해 완철에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배전선과, 전주의 양측에 가설된 배전선을 연결하는 점프선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전선로는 풍우와 햇빛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고장이 자주 발생하게 되며, 고장 난 배전선로를 찾기 위해서는 도로와 골목을 따라 이동하면서 일일이 선로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특히, 가로수, 건물 등 장애물로 가려지거나 미세한 흠집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배전선로의 고장구간을 탐지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2669호(2015.01.08. 등록)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이하 '선행기술 1')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고장을 표시하는 램프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풍우 등으로부터 램프부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선행기술 1의 문제점을 개선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5065호(2017.07.31. 등록)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시스템"(이하 '선행기술 2')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램프부를 투명한 보호벽으로 덧씌워서 램프부를 풍우로부터 보호하고, 상부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확산판과, 확산판 사이에 연결되는 주름판에 의하여 햇빛을 차단하여 램프부의 고장표시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2는 램프부에 씌워지는 보호벽의 하단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풍우가 램프부로 침입하여 램프부를 구성하는 전구 또는 엘이디모듈을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호부의 확장판이 복수의 연결줄과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나, 연결줄과 스프링이 확장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시 풍우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쉽게 부식되어 기능을 상실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배전선로 상에 설치되어 배전선로의 고장여부를 외부로 표시하는 한편, 고장이 발생된 배전선로의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램프부를 풍우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발열에 의한 램프부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민원인들이 고장신고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고, 풍우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2669호(2015.01.08. 등록)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5065호(2017.07.31. 등록)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선로 상에 설치되어 배전선로의 고장여부를 외부로 표시하는 한편, 고장이 발생된 배전선로의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램프부를 풍우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발열에 의한 램프부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램프부의 점등시 시인성을 높일 수 있고, 민원인들이 고장신고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배전선로 상에 설치되며, 제어부; 상기 배전선로 상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데이터를 출력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선로 상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고장판단부; 상기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턴 온되는 램프부; 상기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전선로의 고장여부, 고장정도 및 고장위치를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 배전센터로부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통신부의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 수신에 따라 상기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램프부 및 상기 제1통신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램프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장치는 상기 램프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상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램프부의 상반부 이상을 감싸는 상부투명보호원통과;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향오목거울과; 상기 램프부의 하반부 이하를 감싸며 하단에 상향오목부를 가지는 하부투명보호원통과;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씌워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부투명보호원통을 승강시켜 상기 상부투명보호원통의 하단부와 하부투명보호원통의 상단부 사이를 개폐하는 승강기구와; 상기 승강기구를 제어하는 승강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램프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중앙부에 형성되는 원형공과, 상기 원형공의 내주부에 형성되어 상하로 관통되는 보스공을 가지는 복수개의 보스부와, 상기 원형공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투명보호원통은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내측플랜지부와, 상단 중앙부에 위치하는 원판부와, 상기 내측플랜지부의 내주부와 상기 원판부의 외주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스포크부 및, 상기 내측플랜지부와 원판부 및 스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투광공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투명보호원통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투명보호원통의 상단부를 씌워지는 확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지지대에 상단이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안내봉과, 상기 상부투명보호원통의 내주면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봉이 관통되는 안내공이 천공된 복수개의 안내보스와, 상기 하부투명보호원통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봉에 안내되는 안내공을 가지는 복수개의 안내보스와, 상기 하우징의 상판 저면에 장착되며 모터축이 하향 돌출되는 승강모터와, 상기 모터축에 결합되는 승강스크루와, 상기 하부투명보호원통의 상향오목부의 상면 중앙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기 승강스크루에 맞물리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승강나사관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봉의 하단에는 상기 안내보스가 안내봉의 하단을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나사관은 하단에 플랜지부를 형성하여 하부투명보호원통의 상향오목부의 중앙부에 위치시키고, 상향오목부를 관통하는 스크루를 플랜지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하부투명보호원통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제어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우수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우수감지기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온도감지기와; 상기 우수감지기에 우수가 감지되고 온도감지기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승강기구에 대한 하강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우수감지기에 우수가 감지되거나, 상기 우수감지기에 우수가 감지되지 않음과 동시에 온도감지기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보타 낮거나 같으면 상기 승강기구에 대한 상승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승강제어부 및, 상기 승강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승강기구에 대한 승강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햇빛을 차단하여 램프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한 차양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양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돌출부의 상단 가장자리에 힌지연결되는 복수개의 차양판과, 상기 복수개의 차양판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가요성 차양시트와, 상기 복수개의 차양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의 돌출부의 수직면에 고정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하향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차양판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배전선로 주변의 민원인이 램프부가 점등되거나 화재 발생, 스파크 발생, 연기 냄새 발생, 전선 절단 추락을 포함하는 고장상황을 보고 사고신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민원신고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민원신고수단은 배전선로의 전주에 부착된 전주번호찰에 인쇄된 QR 코드와; 상기 QR 코드를 스캐닝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과 스캐닝된 QR 코드로부터 관리정보를 추출하는 관리정보추출모듈과, 상기 QR 코드를 스캐닝에 의하여 추출된 관리정보와 민원정보를 생성하는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활성화 모듈과, 상기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활성화 모듈과, 상기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민원정보를 무선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배전센터의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민원인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에 의하면 배전선로 상에 설치되어 배전선로의 고장여부를 외부로 표시하는 한편, 고장이 발생된 배전선로의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보호장치를 구비하여 램프부를 풍우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보호장치를 개폐하여 발열에 의한 램프부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양수단을 구비하여 램프부의 점등시 시인성을 높일 수 있고, 민원신고수단을 구비하여 민원인들이 고장신고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의 개념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의 정면도,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열에 의한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램프부와 보호수단 및 차양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하부투명보호원통이 상승하여 상부투명보호원통과의 사이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하부투명보호원통이 하강하여 상부투명보호원통과의 사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9는 승강제어수단의 기능블록도,
도 10은 전주번호찰의 예시도,
도 11은 민원신고 양식이 표시된 상태를 보인 민원인 단말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주와 이에 가설되는 배전선을 포함하는 배전선로에 설치된다.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100)는 상기 배전선로 상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감지부(110),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선로 상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고장판단부(120), 상기 고장판단부(120)가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130),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턴 온되는 램프부(140),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고장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150), 배전센터(200)로부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160), 배전선로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기울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울기센서(170), 배전선로의 장력을 감지하여 장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력센서(180) 및 램프부(140)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빛차단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는 전류감지센서, 전압감지센서 및 온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는 배전선로 상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고장판단부(120)는 감지 데이터에 포함된 전류, 전압 및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기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배전선로 상의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고장판단부(120)는 감지 데이터의 수치가 전류, 전압 및 온도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고장판단부(120)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단계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적으로 설정된 각각의 데이터수치를 감지 데이터와 비교하여 단계적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고장판단부(120)는 예를 들어, 전류 데이터의 기설정 데이터가 각각 1A, 2A, 3A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감지 데이터의 전류값이 1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고 단계로, 2A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의 단계로, 3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위험 단계로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적 고장여부 판단은 설정에 따라 전류, 전압 및 온도 데이터의 수치를 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장판단부(12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램프부(140)는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턴 온 되어 동작한다.
상기 램프부(140)는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 여부 및 색상, 조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150)는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고장정보를 외부 순찰자, 순찰차량(400)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150)는 RF, 지그비 통신방식 등을 이용하여 고장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고장정보는 배전선로의 고장여부, 고장정도에 대한 정보와 함께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의 위치, 제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통신부(150)는 외부로부터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에 대응하여 고장정보를 회신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150)는 RFID 태그 방식을 이용하여 순찰자나 순찰차량 등이 접근시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고장정보를 회신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부(160)는 배전센터(200)로부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부(160)는 CDMA, WiBro 통신방식 등을 이용하여 배전센터(200)로부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감지부(110), 상기 고장판단부(120), 상기 램프부(140) 및 상기 제1통신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램프부(140)의 색상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2통신부(160)에서 수신한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램프부(140) 및 상기 제1통신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변압기, 개폐기 등에 설치되는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0)(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는 배전기기 고장정보, 고장방향 등의 각종 상태정보를 배전센터(200)에 전송하며, 배전센터(200)는 이로부터 넓은 범위의 고장 발생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배전센터(200)는 고장 발생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상기 제2통신부(16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고장 발생 지역에 해당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지장치(100)가 설치된 지역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램프부(140) 및 상기 제1통신부(1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지장치(100)는 1차적으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0)를 통해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램프부(140)와 상기 제1통신부(1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고장 여부 판단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고장판단부(120)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램프부(14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고장판단부(120)에서 단계적으로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램프부(140)의 색상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예를 들면, 단계적 고장여부가 경고, 주의, 위험 단계로 구분되는 경우 경고, 주의, 위험 단계 순으로 조도가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30)는 경고, 주의, 위험 단계 순으로 황색 계열 색상에서 적색 계열 색상으로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경고, 주의, 위험 단계 순으로 조도는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색상은 황색 계열 색상에서 적색 계열 색상으로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센서(170)는 배전선로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기울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센서(170)는 전주의 기울어짐에 의해 배전선로의 기울기가 변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기울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고장판단부(120)는 기울기 데이터를 기설정된 데이터 값과 비교하여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는 배전선로의 단로, 결로 등을 의미하거나 또는 배전선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예비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장력센서(180)는 배전선로의 장력을 감지하여 장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장력센서(180)는 착빙과 풍압 등에 의하여 배전선로에 장력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장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고장판단부(120)는 장력 데이터를 기설정된 데이터 값과 비교하여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는 배전선로의 단로, 결로 등을 의미하거나 또는 배전선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예비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순찰자 또는 순찰차량(400)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배전선로의 주변에 도착한 후 상기 램프부(140)에서 나오는 빛을 확인하여 용이하게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순찰자 또는 순찰차량은 상기 제1통신부(150)에서 전송하는 고장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램프부(140)에서 나오는 빛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용이하게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램프부(140)의 상부에 외부에서 입사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빛차단부(190)를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상기 램프부(140)에서 나오는 빛을 좀 더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는 상기 램프부(140)를 보호하는 보호장치(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호장치(500)는 상기 램프부(140)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대(510)와; 상기 지지대(510)에 상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램프부(140)의 상반부 이상을 감싸는 상부투명보호원통(520)과; 상기 지지대(510)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향오목거울(530)과; 상기 램프부(140)의 하반부 이하를 감싸며 하단에 상향오목부(541)를 가지는 하부투명보호원통(540)과; 상기 지지대(510)의 상부에 씌워지는 하우징(550)과; 상기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을 승강시켜 상기 상부투명보호원통(520)의 하단부와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의 상단부 사이를 개폐하는 승강기구(560)와; 상기 승강기구(560)를 제어하는 승강제어수단(5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510)는 상기 램프부(140)의 상부에 배치되며, 중앙부에 형성되는 원형공(511)과, 상기 원형공(511)의 내주부에 형성되어 상하로 관통되는 보스공(513)을 가지는 복수개의 보스부(512)와, 상기 원형공(51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514)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투명보호원통(520)은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부(521)와, 상기 원통부(521)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510)의 암나사부(514)에 체결되는 수나사부(522)와, 상기 원통부(521)의 상단에 형성되는 내측플랜지부(523)와, 상단 중앙부에 위치하는 원판부(524)와, 상기 내측플랜지부(523)의 내주부와 상기 원판부(524)의 외주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스포크부(525) 및, 상기 내측플랜지부(523)와 원판부(524) 및 스포크부(525)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투광공(526)을 포함한다.
상기 투광공(526)의 면적은 스포크부(525)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하여 램프부(140)의 빛의 투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투명보호원통(520)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의 상단부를 씌워지는 확장부(527)를 구비하여 상부투명보호원통(520)의 하단부와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의 상단부가 폐쇄되는 경우 우수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램프부(140)는 상기 상부투명보호원통(520)의 원판부(524)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관(141)과, 상기 고정관(14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금속기판(142)과, 상기 복수개의 금속기판(142)의 표면에 실장되는 복수개의 엘이디칩(14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엘이디칩(143)이 실장된 4개의 금속기판(142)을 사방으로 설치한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상기 엘이디칩(143)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장치 및 인버터는 상기 하우징(55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관(141)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41a)를 상부투명보호원통(520)의 원판부(524) 하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플랜지부(141a)와 원판부(524)를 관통하는 볼트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대(510)는 금속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투명보호원통(520)과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은 투명성과 내한성, 전기절연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550)은 상기 지지대(510)의 상면에 결합되며 하단이 개방된 돔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 내주부에 내측플랜지부(551)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550)은 지지대(510)의 상면을 관통하는 스크루(도시생략)를 내측플랜지부(551)에 형성된 나사공(도시생략)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지지대(510)의 상면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5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차양수단(600)을 설치하기 위한 돌출부(552)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기구(560)는 상기 지지대(510)에 상단이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안내봉(561)과, 상기 상부투명보호원통(520)의 내주면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봉(561)이 관통되는 안내공(562a)이 천공된 복수개의 안내보스(562)와, 상기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봉(561)에 안내되는 안내공(563a)을 가지는 복수개의 안내보스(563)와, 상기 하우징(550)의 상판 저면에 장착되며 모터축(565)이 하향 돌출되는 승강모터(564)와, 상기 모터축(565)에 결합되는 승강스크루(566)와, 상기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의 상향오목부(541)의 상면 중앙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기 승강스크루(566)에 맞물리는 암나사부(568)를 가지는 승강나사관(567)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봉(561)은 상단에 형성된 수나사부(561a)를 상기 지지대(510)의 보스공(513)에 관통시키고, 상기 수나사부(561a)에 지지대(510)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너트(561b, 561c)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지지대(5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안내봉(561)의 하단에는 상기 안내보스(562)가 안내봉(561)의 하단을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561d)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561e)는 상기 안내봉(561)의 하단에 일체로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로 구성하거나 도시예와 같이 안내봉(561)의 하단에 형성되는 수나사부(561e)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승강모터(564)는 통상적인 모터 장착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축(565)과 승강스크루(566)는 통상적인 샤프트 직결 방식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스크루(555)는 상기 하향오목거울(530)의 중앙에 형성된 안내공(531)을 통과하며, 상기 램프부(140)의 고정관(141)을 통과한다.
상기 승강나사관(567)은 하단에 플랜지부(567a)를 형성하여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의 상향오목부(541)의 중앙부에 위치시키고, 상향오목부(541)를 관통하는 스크루를 플랜지부(567a)에 형성된 나사공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하부투명보호원통(54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승강제어수단(570)은 상기 하우징(5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우수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우수감지기(571)와; 상기 하우징(5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온도감지기(572)와; 상기 우수감지기(571)에 우수가 감지되고 온도감지기(572)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승강기구(560)에 대한 하강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우수감지기(571)에 우수가 감지되거나, 상기 우수감지기(571)에 우수가 감지되지 않음과 동시에 온도감지기(572)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보타 낮거나 같으면 상기 승강기구(560)에 대한 상승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승강제어부(573) 및, 상기 승강제어부(573)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승강기구(560)에 대한 승강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승강구동부(574)를 포함한다.
상기 우수감지기(571)는 기존의 시판중인 우수감지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온도감지기(571)는 상기 하우징(550)의 상판부 저면에 장착할 수 있으며, 기존에 시판중인 온도감지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제어부(573)와 승강구동부(574)는 모듈 형태 또는 컨트록박스에 설치된 상태로 하우징(55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보호장치(5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수감지기(571)가 우수를 감지하여 우수감지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온도감지기(572)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감지신호를 전송하면, 승강제어부(573)가 승강기구(560)에 대한 하강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이에 따라 승강구동부(574)가 승강기구(560)에 대한 하강구동신호를 송출하며, 이에 따라 승강기구(560)의 승강모터(564)가 하강방향으로 가동되고 모터축(565)과 이에 결합된 승강스크루(566)가 하강방향으로 회전하며, 승강스크루(566)에 나사물림되어 있는 승강나사관(567)이 하강하게 되고, 승강나사관(567)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이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이 하한위치까지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우수감지기(571)가 우수를 감지하여 우수감지신호를 전송하더라도 온도감지기(572)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감지신호를 전송하면, 승강제어부(574)가 승강기구(560)에 대한 하강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이에 따라 승강구동부(574)가 승강기구(560)에 대한 하강구동신호를 송출하며, 이에 따라 승강기구(560)의 승강모터(564)가 하강방향으로 가동되고 모터축(565)과 이에 결합된 승강스크루(566)가 하강방향으로 회전하며, 승강스크루(566)에 나사물림되어 있는 승강나사관(567)이 하강하게 되고, 승강나사관(567)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이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이 후술하는 차양수단(600)에 의하여 우수가 차단되어 상부투명보호원통(520)과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의 내부로 우수가 침입하지 못할 만큼만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부투명보호원통(520)이 하강하게 되면, 상부투명보호원통(520)의 상단부와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의 상단부 사이가 개방되어 그 개방부를 통해 램프부(140)가 대기에 노출되므로 램프부(14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램프부(140)를 구성하는 엘이디칩(143)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엘이디칩(143)을 포함하는 램프부(140)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램프부(140)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부투명보호원통(520)과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을 통해 투사되어 순찰자와 배전선로 주변의 민원인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상부투명보호원통(520)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향오목거울(530)은 램프부(140)에서 상향 조사된 빛을 하방으로 반사시키게 되므로 램프부(140)에서 조사되는 빛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된다.
반대로 우수감지기(571)가 우수를 감지하여 우수감지신호를 전송하면, 승강제어부(573)가 승강기구(560)에 대한 상승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이에 따라 승강구동부(574)가 승강기구(560)에 대한 상승구동신호를 송출하며, 이에 따라 승강기구(560)의 승강모터(564)가 상승방향으로 가동되고 모터축(565)과 이에 결합된 승강스크루(566)가 상승방향으로 회전하며, 승강스크루(566)에 나사물림되어 있는 승강나사관(567)이 상승하게 되고, 승강나사관(567)의 하단에 결합된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투명보호원통(520)의 하단부와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의 상단부 사이가 폐쇄되어 그 내부로 우수가 침입하지 않게 되어 램프부(140)를 보호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램프부(140)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부투명보호원통(520)과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을 통해 투사되어 순찰자와 배전선로 주변의 민원인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부투명보호원통(520)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향오목거울(530)은 램프부(140)에서 상향 조사된 빛을 하방으로 반사시키게 되므로 램프부(140)에서 조사되는 빛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는 햇빛을 차단하여 램프부(140)에서 조사되는 빛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한 차양수단(6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차양수단(600)은 상기 하우징(550)의 돌출부(552)의 상단 가장자리에 힌지연결되는 복수개의 차양판(610)과, 상기 복수개의 차양판(610)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가요성 차양시트(620)와, 상기 복수개의 차양판(61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스프링(630)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522)와 차양판(610)에는 힌지핀(613)에 의해 연결되는 힌지편(611, 612)이 구비된다.
상기 복수개의 차양판(610)은 금속 또는 경질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가요성 차양시트(620)는 가요성과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합성수지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630)은 상기 하우징(550)의 돌출부(552)의 수직면에 고정되는 수직부(631)와, 상기 수직부(631)의 상단에서 하향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차양판(610)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는 연장부(632)를 포함한다.
상기 차양수단(600)은 상부에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하여 순찰자와 베전선로 주변의 민원인들에 의한 램프부(140)에서 조사되는 빛의 시인성이 높게 된다.
상기 차양수단(600)은 태풍 등에 의해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 판스프링(630)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차양판(610)과 차양시트(620)가 탄성적으로 상하로 회동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차양수단(600)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차양수단(600)은 차양판(610)을 탄력지지하는 판스프링(630)이 하우징(550)의 돌출부(552)의 수직면과 차양판(610)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풍우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여 판스프링(630)의 탄성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양판(610)과 돌출부(552)의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바, 이 부분에는 폴리에틸렌 시트(도시생략)를 부착하거나 캡(도시생략)을 씌워 우수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부(140)와 보호수단(500)과 차양수단(600)은 상기 돌출부(552)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우수감지기(571)를 관통하는 설치봉(도시생략)을 이용하여 배전선로의 완철 등 적당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배전선로는 전국적으로 넓게 가설되어 있어 순찰자가 모든 배전선로를 순찰하지 못하고 놓지는 선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는 배전선로 주변의 민원인이 램프부(140)가 점등되거나 화재 발생, 스파크 발생, 연기 냄새 발생, 전선 절단 추락을 포함하는 고장상황을 보고 사고신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민원신고수단(7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민원신고수단(700)은 배전선로의 전주에 부착된 전주번호찰(710)에 인쇄된 QR 코드(720)와; 상기 QR 코드(720)를 스캐닝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과 스캐닝된 QR 코드(720)로부터 관리정보를 추출하는 관리정보추출모듈과, 상기 QR 코드(720)를 스캐닝에 의하여 추출된 관리정보와 민원정보를 생성하는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활성화 모듈과, 상기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활성화 모듈과, 상기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민원정보를 무선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배전센터(200)의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민원인 단말(730);을 포함한다.
상기 전주번호찰(710)은 상단에 인쇄된 경고문(711)과, 상기 경고문(711)의 하부에 인쇄된 위, 경도 표시문(712)과, 상기 위, 경도 표시문(712)에 이어서 인쇄된 세부위치 표시문(713)과, 상기 위, 경도 표시문(712)과 세부위치 표시문(713)의 하부 좌측에 인쇄되는 선로명 표시문(714)과, 상기 선로명 표시문(714)의 우측에 인쇄된 선로상 순번 표시문(715)을 포함한다.
상기 경고문(711)은 "위험"이라고 인쇄된다. 상기 위, 경도 표시문(712)은 예컨대 경도 03, 위도 10임을 나타내는 "0310"과 같이 숫자로 인쇄된다.
상기 세부위치 표시문(713)은 예컨대 "H241"과 같은 영문자 1자와 숫자 3자로 인쇄된다.
상기 선로명 표시문(714)은 예컨대 "강남선"이라는 문자로 인쇄된다.
상기 선로상 순번 표시문(715)은 예컨대 강남선에서 167번째임을 나타내는 "167"과 같은 숫자와, 예컨대 오른쪽으로 8번째임을 나타내는 "R8"과 같은 영문자와 숫자와, 예컨대 왼쪽에서 6번째 다시 가지 쳐서 오른쪽으로 2번째임을 나타내는 "L6R2"와 같은 영문자와 숫자로 인쇄된다.
또한 상기 전주번호찰(710)에는 상기 선로명 표시문(713)과 선로상 순번 표시문(715)의 하부에 예컨대 2014년08월에 설치되었음을 나타내는 "1408"과 같은 숫자 4자로 인쇄되는 설치 년월 표시문(716)과, 상기 설치 년월 표시문(716)의 하부에 16미터임을 나타내는 "16M"과 같은 숫자와 영문자로 인쇄되는 전주높이표시문(717)과, 상기 전주높이표시문(717)의 우측에 인쇄되는 전력회사로고(718)와, 상기 전주높이표시문(717)의 하부에 인쇄되는 QR 코드(720)를 포함한다.
상기 QR 코드(720)에는 상기 위, 경도 표시문(712), 세부위치 표시문(713), 선로명 표시문(714), 선로상 순번 표시문(715)과 관련된 정보와, 상기 민원인 단말(730)이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URL에 접속되고, 만원인 단말(730)에 내장된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활성화 모듈에 의하여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됨과 아울러 설치된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주번호찰(710)에는 고장신로 전화번호 "123"이 인쇄된다.
통상적인 전주번호찰은 가로세로 130mm ㅧ 240mm 크기로 제작하여 상단이 지상에서
Figure 112018076684015-pat00001
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부착되어 전주번호찰의 하단은 지면에서 176cm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주번호찰(710)은 하단을 4cm정도 연장하여 그 부분에 상기 QR 코드(720)를 인쇄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의한 전주번호찰(710)의 하단은 지면으로부터 172cm의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QR 코드(720)는 지상에서 172cm~176cm 사이에 위치하므로 웬만한 성인이 스마트폰을 쥐고 팔을 뻗으면 QR 코드(720)를 스캐닝할 수 있다,
상기 민원인 단말(730)에 상기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민원인 단말(730)의 화면에는 민원신고 양식(731)이 표시된다.
상기 민원신고 양식(731)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에 표시되는 "신고사항"이라는 문구와, 체크박스와 함께 표시되는 "램프 점등", "화재 발생", "스파크 발생", "연기 냄새 발생", "전선 절단 추락"이라는 문구가 체크박스와 함께 표시되고, 하단에는 체크박스와 함께 "기타" 사항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이 표시된다.
민원인은 체크박스에 체크하고 기타란에 입력하여 신고사항을 입력하고, 하단에 표시된 "신고접수"란을 터치하면 작성된 신고사항이 민원인 단말(730)의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배전센터(200)에 구비된 관리서버(210)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민원신고 양식(731)에는 민원인의 전화번호가 자동으로 표시되거나 입력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210)는 민원신고 사항을 저장하고, 순찰자 또는 순찰차량(4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210)에서는 민원인에게 SMS로 신고접수통지를 회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인한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를 위한 순찰자의 인력부족으로 인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
110 : 감지부 120 : 고장판단부
130 : 제어부 140 : 램프부
150 : 제1 통신부 160 : 제2 통신부
170 : 기울기센서 180 : 장력센서
200 : 배전센터 300 :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
400 : 순찰차량 500 : 보호장치
600 : 차양수단 700 : 민원신고수단

Claims (1)

  1. 배전선로 상에 설치되며, 제어부(130); 상기 배전선로 상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데이터를 출력하는 감지부(110); 상기 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선로 상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고장판단부(120); 상기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턴 온되는 램프부(140); 상기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배전선로의 고장여부, 고장정도 및 고장위치를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150); 배전센터(200)로부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2통신부(160)의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 수신에 따라 상기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램프부(140) 및 상기 제1통신부(1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램프부(14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장치(500)는 상기 램프부(140)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대(510)와; 상기 지지대(510)에 상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램프부(140)의 상반부 이상을 감싸는 상부투명보호원통(520)과; 상기 지지대(510)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향오목거울(530)과; 상기 램프부(140)의 하반부 이하를 감싸며 하단에 상향오목부(541)를 가지는 하부투명보호원통(540)과; 상기 지지대(510)의 상부에 씌워지는 하우징(550)과; 상기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을 승강시켜 상기 상부투명보호원통(520)의 하단부와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의 상단부 사이를 개폐하는 승강기구(560)와; 상기 승강기구(560)를 제어하는 승강제어수단(5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510)는 상기 램프부(140)의 상부에 배치되며, 중앙부에 형성되는 원형공(511)과, 상기 원형공(511)의 내주부에 형성되어 상하로 관통되는 보스공(513)을 가지는 복수개의 보스부(512)와, 상기 원형공(51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514)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투명보호원통(520)은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부(521)와, 상기 원통부(521)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510)의 암나사부(514)에 체결되는 수나사부(522)와, 상기 원통부(521)의 상단에 형성되는 내측플랜지부(523)와, 상단 중앙부에 위치하는 원판부(524)와, 상기 내측플랜지부(523)의 내주부와 상기 원판부(524)의 외주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스포크부(525) 및, 상기 내측플랜지부(523)와 원판부(524) 및 스포크부(525)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투광공(526)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투명보호원통(520)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의 상단부를 씌워지는 확장부(527)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기구(560)는 상기 지지대(510)에 상단이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안내봉(561)과, 상기 상부투명보호원통(520)의 내주면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봉(561)이 관통되는 안내공(562a)이 천공된 복수개의 안내보스(562)와, 상기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봉(561)에 안내되는 안내공(563a)을 가지는 복수개의 안내보스(563)와, 상기 하우징(550)의 상판 저면에 장착되며 모터축(565)이 하향 돌출되는 승강모터(564)와, 상기 모터축(565)에 결합되는 승강스크루(566)와, 상기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의 상향오목부(541)의 상면 중앙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기 승강스크루(566)에 맞물리는 암나사부(568)를 가지는 승강나사관(567)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봉(561)의 하단에는 상기 안내보스(562)가 안내봉(561)의 하단을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561d)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나사관(567)은 하단에 플랜지부(567a)를 형성하여 하부투명보호원통(540)의 상향오목부(541)의 중앙부에 위치시키고, 상향오목부(541)를 관통하는 스크루를 플랜지부(567a)에 형성된 나사공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하부투명보호원통(540)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제어수단(570)은 상기 하우징(5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우수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우수감지기(571)와; 상기 하우징(5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온도감지기(572)와; 상기 우수감지기(571)에 우수가 감지되고 온도감지기(572)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승강기구(560)에 대한 하강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우수감지기(571)에 우수가 감지되거나, 상기 우수감지기(571)에 우수가 감지되지 않음과 동시에 온도감지기(572)의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보타 낮거나 같으면 상기 승강기구(560)에 대한 상승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승강제어부(573) 및, 상기 승강제어부(573)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승강기구(560)에 대한 승강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승강구동부(574)를 포함하고,
    햇빛을 차단하여 램프부(140)에서 조사되는 빛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한 차양수단(6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양수단(600)은 상기 하우징(550)의 돌출부(552)의 상단 가장자리에 힌지연결되는 복수개의 차양판(610)과, 상기 복수개의 차양판(610)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가요성 차양시트(620)와, 상기 복수개의 차양판(61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스프링(630)을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630)은 상기 하우징(550)의 돌출부(552)의 수직면에 고정되는 수직부(631)와, 상기 수직부(631)의 상단에서 하향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차양판(610)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는 연장부(632)를 포함하며,
    배전선로 주변의 민원인이 램프부(140)가 점등되거나 화재 발생, 스파크 발생, 연기 냄새 발생, 전선 절단 추락을 포함하는 고장상황을 보고 사고신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민원신고수단(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민원신고수단(700)은 배전선로의 전주에 부착된 전주번호찰(710)에 인쇄된 QR 코드(720)와; 상기 QR 코드(720)를 스캐닝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과 스캐닝된 QR 코드(720)로부터 관리정보를 추출하는 관리정보추출모듈과, 상기 QR 코드(720)를 스캐닝에 의하여 추출된 관리정보와 민원정보를 생성하는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활성화 모듈과, 상기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활성화 모듈과, 상기 민원신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민원정보를 무선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배전센터(200)의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민원인 단말(7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
KR1020180090437A 2018-08-02 2018-08-02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 KR101932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437A KR101932960B1 (ko) 2018-08-02 2018-08-02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437A KR101932960B1 (ko) 2018-08-02 2018-08-02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960B1 true KR101932960B1 (ko) 2018-12-27

Family

ID=6495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437A KR101932960B1 (ko) 2018-08-02 2018-08-02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96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882B1 (ko) 2019-08-30 2019-12-02 주식회사 거창 가공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감시 장치
KR102084137B1 (ko) * 2019-09-23 2020-03-04 주식회사 신광기술사 가공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검출시스템
KR102102793B1 (ko) 2020-02-27 2020-05-29 이원석 가공배전선로의 이상구간 검출 시스템
KR102129419B1 (ko) 2020-04-02 2020-07-08 (주)이산기술단 배전선로 자동 감지장치
KR102293381B1 (ko) 2021-03-02 2021-08-26 이은영 도시 가공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감시시스템
KR102299878B1 (ko) * 2021-03-03 2021-09-08 홍현자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
KR102392016B1 (ko) * 2021-12-24 2022-04-29 양응초 인공지능을 이용한 가공배전선로 이상유무 감시 관리 시스템 운용방법
CN116743946A (zh) * 2023-08-03 2023-09-12 南京弘竹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室外设置的视频信号接收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669B1 (ko) 2013-07-08 2015-01-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669B1 (ko) 2013-07-08 2015-01-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882B1 (ko) 2019-08-30 2019-12-02 주식회사 거창 가공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감시 장치
KR102084137B1 (ko) * 2019-09-23 2020-03-04 주식회사 신광기술사 가공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검출시스템
KR102102793B1 (ko) 2020-02-27 2020-05-29 이원석 가공배전선로의 이상구간 검출 시스템
KR102129419B1 (ko) 2020-04-02 2020-07-08 (주)이산기술단 배전선로 자동 감지장치
KR102293381B1 (ko) 2021-03-02 2021-08-26 이은영 도시 가공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감시시스템
KR102299878B1 (ko) * 2021-03-03 2021-09-08 홍현자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
KR102392016B1 (ko) * 2021-12-24 2022-04-29 양응초 인공지능을 이용한 가공배전선로 이상유무 감시 관리 시스템 운용방법
CN116743946A (zh) * 2023-08-03 2023-09-12 南京弘竹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室外设置的视频信号接收器
CN116743946B (zh) * 2023-08-03 2024-01-26 南京弘竹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室外设置的视频信号接收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960B1 (ko)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
KR102043882B1 (ko) 가공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감시 장치
KR102392016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가공배전선로 이상유무 감시 관리 시스템 운용방법
US8614745B1 (en) Fire hydrant monitoring system
KR102290963B1 (ko) 스마트 안전관리 지주 장치
US20100289650A1 (en) Fire alarm
KR101337522B1 (ko) 센서연동형 다단계 피뢰침
US6087938A (en) Outdoor intrusion detector
KR102060812B1 (ko) 무선 점멸기 및 고장 감시기가 내장된 스마트 led 등기구
KR102028515B1 (ko) 머신러닝 기반의 울타리 침입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106448009A (zh) 一种周界入侵探测系统及方法
CN110706442B (zh) 一种电容感应式探测系统
CN102637033B (zh) 一种用于车底安全检查的控制系统
CN202632095U (zh) 一种用于车底安全检查的控制系统
US20140292527A1 (en) Remote lighting and security system
KR102293381B1 (ko) 도시 가공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감시시스템
KR102102793B1 (ko) 가공배전선로의 이상구간 검출 시스템
CN211824278U (zh) 一种基于光纤光栅技术的裂缝宽度监测装置
KR20220076615A (ko) 원격 감시기능을 구비한 항공장애 표시등
KR102206909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장치
CN218546880U (zh) 一种新支撑结构雷电预警装置
CN202631757U (zh) 一种用于多车道车底安全检查的控制系统
KR102656949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CN213716030U (zh) 智能化门禁感应装置
CN210348722U (zh) 一种电容感应式探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