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140B1 -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4140B1 KR102464140B1 KR1020220011521A KR20220011521A KR102464140B1 KR 102464140 B1 KR102464140 B1 KR 102464140B1 KR 1020220011521 A KR1020220011521 A KR 1020220011521A KR 20220011521 A KR20220011521 A KR 20220011521A KR 102464140 B1 KR102464140 B1 KR 1024641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terminal box
- electrical terminal
- plate panel
- flan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3—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 H02G3/125—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with supporting bar extending between two separate studs of a wall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단자함 시스템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이 검사되는 단계;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이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현장에서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 또는 상기 현장에서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과 및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 이외의 다른 대상물의 시공과정이 모니터링설비에 의하여 모니터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은, 전기단자함(10)의 박스체(11)가 가로철근(2)과 세로철근(3)이 서로 엇갈리게 배근되어 있는 천장슬래브에 매설되며, 서로 구면결합되어 있는 볼스터드(23)와 볼소켓(21)으로 이루어진 유동고정구(20)가 전기단자함(10)의 박스체(11) 상면에 다수개 설치되는 것인, M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슬래브에 내장되는 가로철근과 세로철근에 전기단자함을 고정하여 전등 무게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로철근과 세로철근이 정확한 위치에 있지 않는 공차를 흡수하면서 전기단자함을 고정시키는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단자함의 외벽이 콘크리트에 접하여 고정되지만, 시간이 많이 흐르면 그 고정되는 힘이 약화될 뿐만 아니라 하중이 무거운 전등의 경우 아래로 힘을 더욱 많이 작용시키게 되므로 시간이 지나면 천장슬래브에서 빠져 전등이 아래로 떨어질 우려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전기단자함이 시공에 있어서 복수의 위치에 동시적으로 설치되는 과정을 검증관리되도록 하여 정상적인 방법과 인원에 의하여 정상적인 규격품으로 설치가 일우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해당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다른 부품과 시공의 과정을 복합적으로 관리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천장슬래브에 내장되는 가로철근과 세로철근에 전기단자함을 고정하여 단자함이 전등의 무게에 의해 아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로철근과 세로철근에 고정할때 정확한 위치에 있지 않는 가로철근과 세로철근의 공차를 흡수하면서 전기단자함을 고정시키는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전기단자함의 시공에 있어서 복수의 위치에 동시 설치되는 과정을 검증 관리되도록 하여 정상적인 방법과 인원에 의하여 정상적인 규격품으로 설치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뿐만 아니라 해당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다른 부품과 시공의 과정을 복합적으로 관리 가능하도록 하는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한 관리수단이 최소한도로 구비되어 다수의 대상물 혹은 대상부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모니터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의 동작 전환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부하와 딜레이를 억제하고 외부 환경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통해 설치 운용상태를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관리수단의 회전구동식 모니터링에 의하여 다수의 현장 작업자와 시공대상물 및 다양한 주변환경을 연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모니터하는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회전방식을 통해 부피, 규격 및 수량 등이 최소화된 관리수단으로도 필요한 상황을 담아내어 모니터링이 수행되도록 하는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단자함 시스템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이 검사되는 단계;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이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현장에서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 또는 상기 현장에서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과 및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 이외의 다른 대상물의 시공과정이 모니터링설비에 의하여 모니터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은, 전기단자함(10)의 박스체(11)가 가로철근(2)과 세로철근(3)이 서로 엇갈리게 배근되어 있는 천장슬래브에 매설되며, 서로 구면결합되어 있는 볼스터드(23)와 볼소켓(21)으로 이루어진 유동고정구(20)가 전기단자함(10)의 박스체(11) 상면에 다수개 설치되는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보 발명은 천장슬래브에 내장되는 가로철근과 세로철근에 전기단자함을 고정하여 단자함이 전등의 무게에 의해 아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가로철근과 세로철근에 고정할때 정확한 위치에 있지 않는 가로철근과 세로철근의 위치에 맞추어 공차를 흡수하면서 전기단자함을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전기단자함이 시공에 있어서 복수의 위치에 동시적으로 설치되는 과정을 검증관리되도록 하여 정상적인 방법과 인원에 의하여 정상적인 규격품으로 설치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뿐만 아니라 해당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다른 부품과 시공의 과정을 복합적으로 관리 가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위한 관리수단이 최소한도로 구비되어 다수의 대상물 혹은 대상부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모니터 관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의 동작 전환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부하와 딜레이를 억제하고 외부 환경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통해 설치 운용상태를 최적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천장슬래브(1)에 배근된 가로철근(2)과 세로철근(3)에 전기단자함(10)이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전기단자함(10)의 상면에 유동고정구(20)를 고정하여 하부철근고정판(30)에 고정되게 하며, 하부철근고정판(30)의 위로 가로철근(2)과 세로철근(3)이 위치하게 되며, 그 위로 상부고정구(40)가 가로철근(2)과 세로철근(3)을 압박하면서 하부철근고정판(30)에 고정되게 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천장슬래브(1)에는 가로철근(2)과 세로철근(3)이 서로 엇갈리게 배근되어 있다. 원래 거푸집을 만들때 전기단자함(10)을 놓고 그 위에 철근을 배근하는데, 이때 전기단자함(10)을 가로철근(2)과 세로철근(3)에 고정시킨다.
전기단자함(10)은 하부가 개방된 박스체(11)의 상면에 다수개의 유동고정구(20)가 고정되고, 박스체(11)의 개방구가 노출되도록 천장의 벽면에 매설되어 고정된다. 박스체(11)의 하단에는 고정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전등 등을 고정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박스체(11)의 측벽면에는 전선을 배관에서 유입시키기 위한 전선유입홀(12)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유동고정구(20)는 전기단자함(10) 박스체(11)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박스체(11)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22)가 하부에 형성되어 볼트로 박스체(11)에 고정된다. 유동고정구(20)는 플랜지(22) 위에 볼소켓(21)이 형성되고, 볼소켓(21)은 상부가 개방되어 그 내부에 볼스터드(23)가 들어가 내부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볼스터드(23)는 볼소켓(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은 가능하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형성된 것이다.
구형상으로 이루어진 볼스터드(23)의 상측에 수나사부(24)가 형성되고, 수나사부(24)의 하부에 육각머리부(25)가 형성되어 볼스터드(23)에 고정된다. 육각머리부(25)를 돌리면 수나사부(24)가 회전하여 하부철근고정판(30)의 나사구멍(36) 하부에 고정된다.
하부철근고정판(30)은 사각의 판체(31) 상면의 중앙을 가로질러 가로철근홈(32)이 형성되어 가로철근(2)이 안착되고, 가로철근홈(32)을 사이에 두고 판체(31) 양측 단부에 수직으로 철근지지부(33)가 형성된다. 철근지지부(33)의 상단에 세로철근홈(34)이 형성되어 세로철근(3)이 안착되고, 판체(31) 상면에 다수개의 보스(35)가 돌출 형성된다.
보스(35)는 내부를 관통하여 판체(31)의 상하가 통하게 되는 나사구멍(36)이 형성되고, 나사구멍(36)의 하부에는 유동고정구(20)의 수나사부(24) 상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나사구멍(36)의 상부에는 상부고정구(40)를 고정하는 장볼트(50)가 고정된다.
상부고정구(40)는 가로철근(2)과 세로철근(3)을 위에서 누르면서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상부철근고정판(41)과 스프링(49)과 탄성압착판(45)으로 이루어진다.
상부고정구(40)는 상부철근고정판(41)과 상부철근고정판(41)의 하부에 탄성압착판(45)이 스프링(49)으로 탄력지지되고, 탄성압착판(45)의 양단은 하부로 돌출되어 철근고정돌기(46)가 형성된다. 철근고정돌기(46)의 하단에 세로철근홈(47)이 형성되어 하부철근고정판(30)의 세로철근홈(34)과 함께 세로철근(3)을 고정하고, 상부철근고정판(41)의 양단에 철근압박부(42)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철근압박부(42)의 하단에 가로철근홈(43)이 형성되어 가로철근(2)을 상면에서 잡아준다.
스프링(49)의 일단은 상부철근고정판(41)의 전면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돌기(48-1)에 고정되고, 타단은 탄성압착판(45)의 상면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돌기(48)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부철근고정판(41)의 양측에 수평으로 볼트고정부(44)가 돌출 형성되어 장볼트(50)에 의하여 하부철근고정판(30)에 고정된다.
하부철근고정판(30)과 상부철근고정판(41)으로 가로철근(2)을 고정하되, 장볼트(50)를 조여 압착시켜 고정한다. 이때 세로철근(3)은 하부철근고정판(30)의 철근지지부(33)에 형성된 세로철근홈(34)에 하부가 안착되고, 상부는 스프링(49)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탄성압착판(45)이 위에서 눌러 고정한다.
이때 가로철근(2)이 일단 고정되면, 세로철근(3)은 스프링(49)의 탄력에 의해 사이 간격에 차이가 있더라도 흡수하여 고정하여 준다.
유동고정구(20)에 의해 가로철근(2)의 수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하부철근고정판(30)의 가로철근홈(32)에 밀착되도록 유동된다. 그리고 육각머리부(25)를 돌리면 볼스터드(23)가 볼소켓(21)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하부철근고정판(30)을 아래로 또는 위로 이동시키므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에 기반하여 도 5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전기 단자함 시스템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이 검사되는 단계;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이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현장에서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 또는 상기 현장에서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과 및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 이외의 다른 대상물의 시공과정이 모니터링설비에 의하여 모니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은 전기단자함(10)의 박스체(11)가 가로철근(2)과 세로철근(3)이 서로 엇갈리게 배근되어 있는 천장슬래브에 매설되며, 서로 구면결합되어 있는 볼스터드(23)와 볼소켓(21)으로 이루어진 유동고정구(20)가 전기단자함(10)의 박스체(11) 상면에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모니터링설비는 현장에 위치되는 하방몸체유닛(1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방식으로 주변을 촬영하는 중앙감시유닛(2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일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1사이드감시유닛(30'); 및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타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감시유닛(2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설치되는 구동모듈(21')과, 상기 구동모듈(21')의 상부로 설치되는 연결봉모듈(22')과, 상기 연결봉모듈(22')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패널모듈(23')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촬영모듈(24')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기 촬영모듈(24')들 사이에 배치되어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모듈(25')을 포함한다.
상기 촬영모듈(25')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상기 구동모듈(21')이 제공하는 구동력을 상기 연결봉모듈(22')을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되는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한다.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일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타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킨다.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 상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2플랜지모듈(33')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 사이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촬영모듈(34’)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 상부에 구비되는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4플랜지모듈(43')과, 상기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4플랜지모듈(43') 사이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촬영모듈(4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의 상기 제1플랜지모듈(32')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1연결모듈(71')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2연결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의 상기 제2플랜지모듈(33')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3연결모듈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4연결모듈이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모듈(71')은 제1상방연결대와, 상기 제1상방연결대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1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모듈은 제2하방연결대와, 상기 제2하방연결대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2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3연결모듈은 제3상방연결대와, 상기 제3상방연결대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3자력고정체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4연결모듈은 제4하방연결대와, 상기 제4하방연결대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4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자력고정체 내지 상기 제4자력고정체는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의 회전상태 혹은 무회전상태에서 자력흡착방식으로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1차 고정시킨다.
상기 제1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1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2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2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3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3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4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4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1연동체 내지 상기 제4연동체는 각기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내부로 삽입장착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2차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은,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제1간격유지모듈과,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제2간격유지모듈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1간격유지모듈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 상부로 설치되는 제1상방몸체(81')와, 상기 제1상방몸체(81') 상부로 설치되는 제1상방구동체(82')와, 제1상방구동체(82')의 일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에 접하는 제1접촉체(83')와, 제1상방구동체(82')의 타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구동모듈(21')에 접하는 제2접촉체(84')를 포함한다.
상기 제2간격유지모듈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 상부로 설치되는 제2상방몸체(91')와, 상기 제2상방몸체(91') 상부로 설치되는 제2상방구동(92')체와, 제2상방구동(92')체의 일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에 접하는 제3접촉체(94')와, 제2상방구동(92')체의 타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구동모듈(21')에 접하는 제4접촉체(9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접촉체(83') 내지 상기 제2접촉체(84')는,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이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되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이 상기 구동모듈(21')에 각각 접하여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의 완충을 수행하되, 상기 제1접촉체(83') 내지 상기 제2접촉체(84')는, 충격의 완충을 위하여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의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1상방구동체(82') 내부로 일정범위 유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3접촉체(94') 내지 상기 제4접촉체(95')는,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이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되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이 상기 구동모듈(21')에 각각 접하여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의 완충을 수행하되, 상기 제3접촉체(94') 내지 상기 제4접촉체(95')는, 충격의 완충을 위하여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의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2상방구동(92')체 내부로 일정범위 유동된다.
아울러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은, 상기 구동모듈(21')로부터 외측으로 이격을 위한 위치이동이 되는 경우, 상기 제1상방구동체(82')와 상기 제2상방구동(92')체의 회전을 통하여 외측으로 이격을 위한 위치이동이 가속되도록 보조한다.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은,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 외측으로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의 고정, 온도조절을 포함하는 취급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취급유닛(50')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 외측으로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의 고정, 온도조절을 포함하는 취급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취급유닛(6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1취급유닛(5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상에서 상부로 설치되는 제1패널부(51')와, 상기 제1패널부(51')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제1배터리모듈(53')이 구비되는 제1가동몸체(52')와, 상기 제1가동몸체(5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에 접촉하며 상기 제1배터리모듈(53')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로 공급하는 제1상부접속체(54')와, 상기 제1가동몸체(5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에 접촉하며 상기 제1배터리모듈(53')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로 공급하는 제1하부접속체(55')가 구비된다.
상기 제2취급유닛(6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상에서 상부로 설치되는 제2패널부(61')와, 상기 제2패널부(61')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제2배터리모듈이 구비되는 제2가동몸체(62')와, 상기 제2가동몸체(6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에 접촉하며 상기 제2배터리모듈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로 공급하는 제2상부접속체(64’)와, 상기 제2가동몸체(6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에 접촉하며 상기 제2배터리모듈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로 공급하는 제2하부접속체(65’)가 구비된다.
상기 제1취급유닛(50')은 상기 제1가동몸체(52')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측을 향하여 히팅 혹은 냉각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1유체취급부(5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취급유닛(60')의 상기 제2가동몸체(62')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측을 향하여 히팅 혹은 냉각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2유체취급부(6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유체취급부(56')와 상기 제2유체취급부(66')는 각기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과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측에 접하여 흡기모드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과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을 고정시키며, 상기 제1상부접속체(54')와 상기 제1하부접속체(55')는 상호 이격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을 눌러 고정시킨다.
상기 제2상부접속체(64’)와 상기 제2하부접속체(65’)는 상호 이격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4플랜지모듈(43')을 눌러 고정시킨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천장슬래브 2 : 가로철근
3 : 세로철근 11 : 박스체
3 : 세로철근 11 : 박스체
Claims (2)
- 전기 단자함 시스템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이 검사되는 단계;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이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현장에서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 또는 상기 현장에서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과 및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 이외의 다른 대상물의 시공과정이 모니터링설비에 의하여 모니터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단자함 시스템은,
전기단자함(10)의 박스체(11)가 가로철근(2)과 세로철근(3)이 서로 엇갈리게 배근되어 있는 천장슬래브에 매설되며, 서로 구면결합되어 있는 볼스터드(23)와 볼소켓(21)으로 이루어진 유동고정구(20)가 전기단자함(10)의 박스체(11) 상면에 다수개 설치되되,
상기 모니터링설비는,
현장에 위치되는 하방몸체유닛(1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방식으로 주변을 촬영하는 중앙감시유닛(2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일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1사이드감시유닛(30'); 및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타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감시유닛(2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설치되는 구동모듈(21')과, 상기 구동모듈(21')의 상부로 설치되는 연결봉모듈(22')과, 상기 연결봉모듈(22')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패널모듈(23')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촬영모듈(24')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기 촬영모듈(24')들 사이에 배치되어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모듈(25')을 포함하되,
상기 촬영모듈(24')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상기 구동모듈(21')이 제공하는 구동력을 상기 연결봉모듈(22')을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되는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일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키며,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타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 상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2플랜지모듈(33')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 사이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촬영모듈(34’)을 포함하고,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 상부에 구비되는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4플랜지모듈(43')과, 상기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4플랜지모듈(43') 사이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촬영모듈(44’)을 포함하며,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의 상기 제1플랜지모듈(32')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1연결모듈(71')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2연결모듈(72')이 구비되며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의 상기 제2플랜지모듈(33')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3연결모듈(73')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4연결모듈(74')이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모듈(71')은 제1상방연결대(711')와, 상기 제1상방연결대(711')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1자력고정체(71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모듈(72')은 제2하방연결대(721')와, 상기 제2하방연결대(721')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2자력고정체(722')가 구비되며,
상기 제3연결모듈(73')은 제3상방연결대(731')와, 상기 제3상방연결대(731')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3자력고정체(732')가 구비되고,
상기 제4연결모듈(74')은 제4하방연결대(741')와, 상기 제4하방연결대(741')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4자력고정체(742')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자력고정체(712') 내지 상기 제4자력고정체(742')는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의 회전상태 혹은 무회전상태에서 자력흡착방식으로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1차 고정시키며,
상기 제1자력고정체(712')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1연동체(713')가 출몰되며, 상기 제2자력고정체(722')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2연동체(723')가 출몰되며,
상기 제3자력고정체(732')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3연동체(733')가 출몰되며, 상기 제4자력고정체(742')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4연동체(743')가 출몰되며,
상기 제1연동체(713') 내지 상기 제4연동체(743')는 각기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내부로 삽입장착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2차고정시키고,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은,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제1간격유지모듈과,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제2간격유지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간격유지모듈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 상부로 설치되는 제1상방몸체(81')와, 상기 제1상방몸체(81') 상부로 설치되는 제1상방구동체(82')와, 제1상방구동체(82')의 일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에 접하는 제1접촉체(83')와, 제1상방구동체(82')의 타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구동모듈(21')에 접하는 제2접촉체(84')를 포함하는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1521A KR102464140B1 (ko) | 2022-01-26 | 2022-01-26 |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1521A KR102464140B1 (ko) | 2022-01-26 | 2022-01-26 |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64140B1 true KR102464140B1 (ko) | 2022-11-09 |
Family
ID=84040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1521A KR102464140B1 (ko) | 2022-01-26 | 2022-01-26 |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414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2252B1 (ko) * | 2006-10-16 | 2007-04-03 | (주)기하동문기술사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 단자함 |
KR20210116215A (ko) * | 2020-03-13 | 2021-09-27 | 황희석 |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 |
KR102355069B1 (ko) * | 2021-09-24 | 2022-02-08 | 노영철 |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
KR102354812B1 (ko) * | 2021-10-14 | 2022-02-08 | (주)대광기술단 | 변압기가 연결된 지중배전선로의 누전 감시 시스템 제공방법 |
-
2022
- 2022-01-26 KR KR1020220011521A patent/KR10246414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2252B1 (ko) * | 2006-10-16 | 2007-04-03 | (주)기하동문기술사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 단자함 |
KR20210116215A (ko) * | 2020-03-13 | 2021-09-27 | 황희석 | 3차원 건설공사 작업용 관리시스템 |
KR102355069B1 (ko) * | 2021-09-24 | 2022-02-08 | 노영철 |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
KR102354812B1 (ko) * | 2021-10-14 | 2022-02-08 | (주)대광기술단 | 변압기가 연결된 지중배전선로의 누전 감시 시스템 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06550B2 (en) | In-grade lighting system | |
US20210371127A1 (en) | Aerial drone operations support base | |
EP2191197B1 (en) | Led based hazardous location light with versatile mounting configurations | |
CA3006818C (en) | Connector for precast concrete structures | |
JP5971008B2 (ja) | 冷媒回路ユニット | |
TW201913609A (zh) | 平鋪式顯示器、將該平鋪式顯示器緊固到支承結構中使用的支承子結構、操縱顯示器小塊及支承子結構的方法 | |
US20170219188A1 (en) | Light fixture with removable light cartridge | |
US20110170945A1 (en) | Link member for motion-enabled movie theatre chair | |
KR102464140B1 (ko) |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 | |
KR102418407B1 (ko) |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감시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
CA2950554C (en) | Exterior lamp mounting adaptor | |
KR102413369B1 (ko) | 매설형 지중 배전선로의 접지선 연결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
KR102516383B1 (ko) | 섀시 어셈블리 및 차량 | |
KR102559331B1 (ko) |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합 관리 시스템 구현방법 | |
TWI472398B (zh) | 自校準之設施自動耦接器 | |
KR102391265B1 (ko) | 변전장치에 연결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위치 확인 시스템 구축방법 | |
KR102682068B1 (ko) | 배전선로 산화방지 관리시스템 제공방법 | |
KR102539391B1 (ko) | 내진 설계가 보강된 공동주택의 전기 공급시스템 제공방법 | |
KR102644680B1 (ko) | 변압기가 구비된 배전선로의 절연애자 시스템 안전관리방법 | |
KR102481174B1 (ko) |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 | |
CN108828532A (zh) | 一种雷达舱单元及雷达舱 | |
US20140196963A1 (en) | Device for attaching a power plant to a chassis of a motor vehicle | |
WO2022054234A1 (ja) | 空気調和機の室外機 | |
WO2022054233A1 (ja) | 空気調和機の室外機 | |
KR102551101B1 (ko) |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 및 그 감시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