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101B1 -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 및 그 감시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 및 그 감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101B1
KR102551101B1 KR1020220167526A KR20220167526A KR102551101B1 KR 102551101 B1 KR102551101 B1 KR 102551101B1 KR 1020220167526 A KR1020220167526 A KR 1020220167526A KR 20220167526 A KR20220167526 A KR 20220167526A KR 102551101 B1 KR102551101 B1 KR 102551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ntry
accommodating
group
wireles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은호
Original Assignee
(주)한길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길이앤씨 filed Critical (주)한길이앤씨
Priority to KR1020220167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B64C2201/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로서, 시공건물에 설치되는 전기 배선 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시공건물의 벽면(10)을 따라 설치되는 전기 배선 관로의 고정을 위해 해당 벽면(10)에 고정되며, 상기 시공건물의 일면에는 원통형 물체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삽입홈(110)이 함몰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재(100)를 포함하며, 상기 시공건물이 위치되는 시공현장에는 상기 건물의 시공과정, 상기 건물의 자재 도난방지를 위한 감시가 수행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 및 그 감시방법{Wiring fixing equipment for electricity in apartment houses and its monitoring method}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 및 그 감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전기의 전기 배선 관련 장치를 설치하되, 전기 배선관 내 전선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후 필요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시공과정에 시공건물과 전기배선 고정장치에 관련된 주요자재들의 도난방지 및 안전관리를 위한 감시와 제한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을 제공하는 것이다.
주택건물의 시공과 이러한 주택건물의 전기 배선 장치를 설치하는 모든 과정에 있어서, 모니터링 모듈이 전기 배선관의 외면에 위치되는 시온안료 도포면의 색상 변화를 주기적으로 감시하면서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온안료에 변색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단위 원형관의 시온안료가 도포된 제2 단위 배선관의 외면 영상을 관리자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내지 관리실의 관리용 PC로 자동 전송하고, 이에 따라 관리자가 이를 확인 후 해당 전기 배선관으로 이동하여 상술한 방식을 통해 전기 배선관 내 전선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후 필요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주택건물의 시공과 이러한 주택건물의 전기 배선 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도난방지 등을 위한 원격감시와, 진입제한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기술은 부재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 공급용 전선들이 단위 원형관들의 연속적인 결합 구성인 전기 배선관 내측에 안정적인 고정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전선 이상에 따른 과열 시 단위 원형관의 제2 단위 배선관에 도포된 시온안료가 변색됨에 따라, 이를 육안으로 확인한 사용자 내지 관리자가 해당 단위 원형관을 제자리 회전시켜 투명한 제1 단위 배선관이 공동주택의 실내 벽면으로부터 앞쪽을 향하도록 한 후 전선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시공건물의 시공과정에 시공건물은 물론 시공건물에 대한 전기배선 고정장치에 관련된 주요자재들의 도난방지 및 안전관리를 위해, 감시와 제한을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을 위한 인련의 작업에서 초기 시공, 사후 관리 보수 통제 등의 상황에서 시공 현장 혹은 그 주변에 대해 사람과 차량 등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을 위한 상황을 통제합에 있어 전술한 실시간 모니터링(예: CCTV방식, 기타 원격감시 방식 등)과 전술한 진입통제를 복합적으로 상호 연계하여 수행할 수 이TEk.
또한 전술한 내용을 통해 시공현장의 주변에서 안전관리, 보안관리 등을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해당 현장의 실시간 사고발생을 관리하고, 해당장현의 대상물의 간섭, 도난 등을 철저히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설치현장의 통제가 필요한 영역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설정공간으로의 진입제한 통재를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통제관리 수단이 단수로 혹은 복수로 구비되어 최소화된 수량으로서 해당 장현에 대한 통제 관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시공현장을 동서남북 중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이러한 통제관리 수단들이 좌우 방향으로 상호간의 가변유동을 통해 보다 유연한 진입통제를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해 촬영 기반 내부 혹은 외부 모니터링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로서, 시공건물에 설치되는 전기 배선 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시공건물의 벽면(10)을 따라 설치되는 전기 배선 관로의 고정을 위해 해당 벽면(10)에 고정되며, 상기 시공건물의 일면에는 원통형 물체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삽입홈(110)이 함몰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100)를 포함하며, 상기 시공건물이 위치되는 시공현장에는 상기 건물의 시공과정, 상기 건물의 자재 도난방지를 위한 감시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로 감시방법으로서, 건물에 전기 배선 고정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배선 고정장치 건물의 벽면(10)을 따라 설치되는 전기 배선 관로의 고정을 위해 해당 벽면(10)에 고정되며, 상기 공 동주택의 일면에는 원통형 물체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삽입홈(110)이 함몰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100)를 포함하며, 상기 건물이 시공되는 시공현장(P1, P2')에는 상기 건물의 시공, 상기 건물의 시공자재의 도난방지를 위한 감시를 수행과 진입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진입관리유닛(100')이 구비되며,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 위치에 배치되며 진입제한을 위한 가벽을 이루도록 구비되되,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위치의 지면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몸통파츠와, 상기 구동몸통파츠의 상부에 설정높이로 위치되어 진입을 제한하되,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에서 다수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왕복유동 가능도록 구비되는 진입제한파츠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입제한 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기 구동력을 기반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유동되는 위치변경모듈(112')과,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에서 설정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무선비행체를 운용하기 위한 운용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운용모듈(120')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체(121')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로 상기 연장체(121')에 의하여 지지되며 회동을 위한 회동구동력을 제공하는 지지몸체(12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1가변지지체(131')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2가변지지체(13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3가변지지체(133')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4가변지지체(134')를 포함하는 가변지지체와,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1운용체와,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2운용체와,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3운용체와,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학 위한 제4운용체를 포함하는 운용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 공급용 전선들이 단위 원형관들의 연속적인 결합 구성인 전기 배선관 내측에 안정적인 고정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전선 이상에 따른 과열 시 단위 원형관의 제2 단위 배선관에 도포된 시온안료가 변색됨에 따라, 이를 육안으로 확인한 사용자 내지 관리자가 해당 단위 원형관을 제자리 회전시켜 투명한 제1 단위 배선관이 공동주택의 실내 벽면으로부터 앞쪽을 향하도록 한 후 전선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공건물의 시공과정에 시공건물은 물론 시공건물에 대한 전기배선 고정장치에 관련된 주요자재들의 도난방지 및 안전관리를 위해, 감시와 제한을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을 위한 인련의 작업에서 초기 시공, 사후 관리 보수 통제 등의 상황에서 시공 현장 혹은 그 주변에 대해 사람과 차량 등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을 위한 상황을 통제합에 있어 전술한 실시간 모니터링(예: CCTV방식, 기타 원격감시 방식 등)과 전술한 진입통제를 복합적으로 상호 연계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내용을 통해 시공현장의 주변에서 안전관리, 보안관리 등을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해당 현장의 실시간 사고발생을 관리하고, 해당장현의 대상물의 간섭, 도난 등을 철저히 관리되도록 한다.
아울러 설치현장의 통제가 필요한 영역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설정공간으로의 진입제한 통재를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통제관리 수단이 단수로 혹은 복수로 구비되어 최소화된 수량으로서 해당 장현에 대한 통제 관리가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해당 시공현장을 동서남북 중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이러한 통제관리 수단들이 좌우 방향으로 상호간의 가변유동을 통해 보다 유연한 진입통제를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해 촬영 기반 내부 혹은 외부 모니터링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배선 고정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배선 고정장치에서 배선관 모듈을 분해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배선 고정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배선 고정장치의 공동주택의 실내 벽면에 대한 설치및 작동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5 내지 도 11은 도 1에 따른 주요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배선 고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배선 고정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배선 고정장치에서 배선관 모듈을 분해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배선 고정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배선 고정장치의 공동주택의 실내 벽면에 대한 설치 및 작동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배선 고정장치는 베이스 부재(100), 배선관 모듈(200) 및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부재(100)는 공동주택의 실내 벽면(10)을 따라 설치되는 전기 배선 관로의 고정을 위해 해당 벽면(10)에 고정되며, 공동주택의 실내 쪽을 향한 일면에는 횡방향으로 절단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130°∼ 140°의 구간은 개방되어 원통형 물체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삽입홈(110)이 함몰형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베이스 부재(100)의 삽입홈(110)에는 후술되는 전기 배선관(300)이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배선관 모듈(200)은 제1 단위 배선관(210), 제2 단위 배선관(220) 및 연결링(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단위 배선관(210)은 횡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반원형의 관 형태이며, 길이방향의 양단에는 제1 회전안내돌기(211)가 각각 형성되고, 지름 방향의 양단에는 결합돌기(212)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단위 배선관(210)은 투명하게 형성된다.
제2 단위 배선관(220)은 제1 단위 배선관(210)과 대칭형인 반원형의 관 형태이며, 길이방향의 양단에는 제2 회전안내돌기(221)가 각각 형성되고, 지름 방향의 양단에는 제1 단위 배선관(210)의 결합돌기(212)와 대응되는 결합홈(222)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단위 배선관(220)은 결합홈(222)에 대한 결합돌기(212)의 끼움 결합을 통해 제1 단위 배선관(21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러한 제1 단위 배선관(210)과의 결합을 통해 원형관(이하 “단위 원형관(230)”이라 함)을 형성한 상태를 기준으로 바깥쪽 일면에 온도에 따라 색상 변화가 이루어지는 시온안료(223)가 도포된다.
연결링(240)은 단위 원형관(230)의 내부를 통해 배선되는 전선(20)의 통과를 위한 관통홀(241)이 형성되고, 제1단위 배선관(210) 및 제2 단위 배선관(220)의 제1 및 제2 회전안내돌기(211,221)가 각각 끼워져 회전 안내되는 원형의 회전 안내홈(242)이 상하 양면에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링(240)은 상하측의 단위 원형관(230)들을 단위 원형관(230) 각각의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시킨다. 또한, 연결링은 단위 원형관(230)과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배선관 모듈(200)에 의해서, 단위 원형관(230)들이 연결링(240)을 매개로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연결되어 전기 배선관(300)을 형성하며, 이러한 전기 배선관(300)은 베이스 부재(100)의 삽입홈(110)에 시온안료(223)가 도포된 제2 단위 배선관(200)의 외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전기 배선관(300)의 각 단위 원형관(230)은 베이스 부재(100)의 삽입홈(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개별적인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2 단위 배선관(220)의 시온안료(223)의 색상 변화 시 전기 배선관(300) 내 전선(20)의 육안 확인을 위해 시온안료(223)의 색상 변화가 있는 단위 원형관(230)을 제자리 회전시켜 투명한 제1 단위 배선관(210)이 공동주택의 실내 벽면(10)으로부터 앞쪽을 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모니터링 모듈(400)은 설치 베이스 플레이트(410),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20), 카메라 설치블록(430), 팬틸트형 카메라모듈(440), 제어부(450) 및 통신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베이스 부재(100)의 측면 상단에 고정된다.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20)는 전기 배선관(3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로드(421)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설치된다. 카메라 설치블록(430)은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20)의 로드(421) 선단에 결합되어 로드(421)의 작동 시 동일방향으로 연동된다.
팬틸트형 카메라모듈(440)은 카메라 설치블록(430)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전기 배선관(300)의 시온안료(223)가 도포된 제2 단위 배선관(220)들의 외면을 촬영 후 촬영된 영상을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한다. 다시 말해 팬틸트형 카메라모듈(440)은 제어부(4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전기배선관(300)의 시온안료(223)가 도포된 제2 단위 배선관(220)들의 외면을 촬영 후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450)에 전송한다.
제어부(450)는 설치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설치되며, 이러한 제어부(450)는 팬틸트형 카메라모듈(440)의 작동주기가 사전에 설정되는 동시에 팬틸트형 카메라모듈(440)로부터 전송되는 시온안료(223)가 도포된 제2 단위 배선관(220)들의 외면 영상에 대한 색상 분석 프로그램(451)이 탑재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450)는 팬틸트형 카메라모듈(440)을 기설정된 상기 작동 주기에 따라 작동시키고, 매 작동주기마다 팬틸트형 카메라모듈(44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상기 색상 분석 프로그램(451)을 통해 분석하여 이상 여부 판별 후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별시 이상신호를 생성하여 외부의 수신 대상인 통신부(460)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450)의 상기 색상 분석 프로그램(451)은 공지된 기술들을 통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부(460)는 설치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설치되며, 제어부(45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이상신호를 수신하여관리자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0) 및 관리실의 관리용 PC(20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실내 벽면(10)을 따라 배선되는 전기 공급용 전선(10)들이 단위원형관(230)들의 연속적인 결합 구성인 전기 배선관(300) 내측에 안정적인 고정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전선이상에 따른 과열 시 단위 원형관(230)의 제2 단위 배선관(220)에 도포된 시온안료(223)가 변색됨에 따라, 이를육안으로 확인한 사용자 내지 관리자가 해당 단위 원형관(230)을 제자리 회전시켜 투명한 제1 단위 배선관(210)이 공동주택의 실내 벽면(10)으로부터 앞쪽을 향하도록 한 후 전선(10)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모듈(400)이 전기 배선관(300)의 외면에 위치되는 시온안료(223) 도포면의 색상 변화를 주기적으로 감시하면서 시온안료(223)의 변색이 발생한 경우 해당 단위 원형관(230)의 시온안료(223)가 도포된 제2 단위 배선관(220)의 외면 영상을 관리자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0) 내지 관리실의 관리용 PC(2000)로 자동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가 이를 확인 후 해당 전기 배선관(300)으로 이동하여 상술한 방식을 통해 전기배선관(300) 내 전선(20)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후 필요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는 공동주택의 실내 벽면(10) 중 외진 곳에 설치되어 사람의 발길이 잘 닿지 않는 전기 배선관(300)을 대상으로 보다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될 것이다.
전술한 내용을 토대로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는 시공건물에 설치되는 전기 배선 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시공건물의 벽면(10)을 따라 설치되는 전기 배선 관로의 고정을 위해 해당 벽면(10)에 고정되며, 상기 시공건물의 일면에는 원통형 물체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삽입홈(110)이 함몰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100)를 포함한다. 상기 시공건물이 위치되는 시공현장에는 상기 건물의 시공과정, 상기 건물의 자재 도난방지를 위한 감시가 수행된다.
아울러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로 감시방법은 건물에 전기 배선 고정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배선 고정장치 건물의 벽면(10)을 따라 설치되는 전기 배선 관로의 고정을 위해 해당 벽면(10)에 고정되며, 상기 공 동주택의 일면에는 원통형 물체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삽입홈(110)이 함몰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100)를 포함한다.
상기 건물이 시공되는 시공현장(P1, P2')에는 상기 건물의 시공, 상기 건물의 시공자재의 도난방지를 위한 감시를 수행과 진입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진입관리유닛(100')이 구비된다.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 위치에 배치되며 진입제한을 위한 가벽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위치의 지면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몸통파츠와, 상기 구동몸통파츠의 상부에 설정높이로 위치되어 진입을 제한하되,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에서 다수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왕복유동 가능도록 구비되는 진입제한파츠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진입제한 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기 구동력을 기반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유동되는 위치변경모듈(112')과,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에서 설정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무선비행체를 운용하기 위한 운용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운용모듈(120')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체(121')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로 상기 연장체(121')에 의하여 지지되며 회동을 위한 회동구동력을 제공하는 지지몸체(12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1가변지지체(131')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2가변지지체(13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3가변지지체(133')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4가변지지체(134')를 포함하는 가변지지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1운용체와,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2운용체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3운용체와,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학 위한 제4운용체를 포함하는 운용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3운용체(143')는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4운용체(144')는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1하부높이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1운용체(141')와 상기 제3운용체(143') 사이에 발생되는 제1간극공간을 일부 메우기 위한 제1간극메움파츠와,
상기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2하부높이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2운용체(142')와 상기 제4운용체(144') 사이에 발생되는 제2간극공간을 일부 메우기 위한 제2간극메움파츠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에 접하는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1접촉부(141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14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부(1411')는, 상기 제1수용부(1412')로 제1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수용부(1412')는 상기 제1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1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에 접하는 제2접촉부(1421')와, 상기 제2접촉부(14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14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1421')는, 상기 제2수용부(1422')로 제2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수용부(1422')는 상기 제2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2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3운용체(143')는,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에 접하는 제3접촉부(1431')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3수용부(1432')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촉부(1431')는, 상기 제3수용부(1432')로 제3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3수용부(1432')는 상기 제3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3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4운용체(144')는,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에 접하는 제4접촉부와, 상기 제4접촉부(144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4수용부(1442')를 포함하고, 상기 제4접촉부(1441')는, 상기 제4수용부(1442')로 제4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4수용부(1442')는 상기 제4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4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간극메움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와, 상기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에 의하여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로 지지되는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와, 상기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에서 제2방향(Y)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와, 상기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상기 제1접촉부(1411')로 장착되는 제1장착체(156')가 돌출되며, 하부로 상기 제3접촉부(1431')로 장착되는 제3장착체(155')가 돌출되는 제1보조간극메움구동부(154')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보조간극메움구동부(154')는, 상기 제1장착체(156')가 상기 제1접촉부(1411')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1412')에 상기 제1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3장착체(155')가 상기 제3접촉부(1431')를 통해 상기 제3수용부(1432')에 상기 제3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제1장착체(156')와 상기 제3장착체(155')가 상기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3접촉부(1431') 상호간을 밀어내는 이격힘을 가하여, 상기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3접촉부(1431')로부터 지지력이 보강되도록 한다.
상기 제2간극메움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타측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제2-1일측지지구조체(161')와, 상기 제2-1일측지지구조체(161')에 의하여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로 지지되는 제2간극메움구동부(162')와, 상기 제2간극메움구동부(162')에서 제1방향(X)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2측지지구조체(163')와, 상기 제2-2측지지구조체(163')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상기 제2접촉부(1421')로 장착되는 제2장착체(166')가 돌출되며, 하부로 상기 제4접촉부(1441')로 장착되는 제4장착체(165')가 돌출되는 제2보조간극메움구동부(164')를 포함한다.
상기 제2보조간극메움구동부(164')는, 상기 제2장착체(166')가 상기 제2접촉부(1421')를 통해 상기 제2접촉부(1421')에 상기 제2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4장착체(165')가 상기 제4접촉부(1441')를 통해 상기 제4수용부(1442')에 상기 제4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제2장착체(166')와 상기 제4장착체(165')가 상기 제2접촉부(1421')와 상기 제4접촉부(1441') 상호간을 밀어내는 이격힘을 가하여, 상기 제2접촉부(1421')가 상기 제4접촉부(1441')로부터 지지 보강되도록 한다.
상기 제1접촉부(1411')는, 외관상에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1-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1-1출력부(1411a')와, 상기 제1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1-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1-2출력부(1411b')를 포함한다.
상기 제2접촉부(1421')는, 외관상에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2-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2-1출력부(1422a')와, 상기 제2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2-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2-2출력부(1422b')를 포함한다.
상기 제3접촉부(1431')는, 외관상에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3-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3-1출력부(1431a')와, 상기 제3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3-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3-2출력부(1432b')를 포함한다.
상기 제4접촉부(1441')는, 외관상에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4-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4-1출력부(1441a')와, 상기 제4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4-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4-2출력부(1442b')를 포함한다.,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가변식 제1완충파츠와, 상기 제4접촉부(144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가변식 제2완충파츠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변식 제1완충파츠는,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에 설치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제1하부범퍼구동체(171')와, 상기 제1하부범퍼구동체(17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팽창되어,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1하부범퍼접촉체(172')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하부범퍼접촉체(172')는, 상기 제3접촉부(1431')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3접촉부(1431')가 상기 제1접촉부(1411')를 지함에 있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변식 제2완충파츠는,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에 설치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제2하부범퍼구동체(181')와, 상기 제2하부범퍼구동체(18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팽창되어, 상기 제4접촉부(144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2하부범퍼접촉체(182')를 포함하되, 상기 제2하부범퍼접촉체(182')는, 상기 제4접촉부(1441')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4접촉부(1441')가 상기 제2접촉부(1421')를 지함에 있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며 상기 가변식 제1완충파츠에서 제1방향(X)측에 이웃하도록 구비되는 가변식 제1보조완충파츠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며 상기 가변식 제1완충파츠에서 상기 제1방향(X)측과 반대인 제2방향(Y)측에 이웃하도록 구비되는 가변식 제2보조완충파츠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보조완충파츠는,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유체를 제공하는 제1보조구동체(211')와 상기 제1보조구동체(211')에서 제공되는 유체를 기반으로 상부로 팽창되어,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1하부보조범퍼첩촉체(212')를 포함하되, 상기 제2보조완충파츠는,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유체를 제공하는 제2보조구동체(221')와 상기 제2보조구동체(221')에서 제공되는 유체를 기반으로 상부로 팽창되어,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2하부보조범퍼접촉체(2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보조범퍼접촉체와 상기 제2하부보조범퍼접촉체(222')는 상기 제1하부범퍼접촉체(172')가 팽창된 이후에 2차적으로 팽창되어, 상기 제1하부범퍼접촉체(172')의 상기 제3접촉부(1431')에 대한 지지력을 보조하는 것이다.
상기 가변식 제1완충파츠는, 상기 제1하부범퍼접촉체(172')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하부범퍼구동체(171')에서 상부로 출몰되며, 상기 제1하부멉퍼접촉체의 내부에서 상기 제3접촉체를 지지하도록 하는 내부지지보강체(173')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지지보강체(173')는 상기 제1보조범퍼접촉체와 상기 제2하부보조범퍼접촉체(222')가 팽창된 이후에 3차적으로 동작된다.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전면부 혹은 후면부에 설치되는 진입제한 보강유닛에 의하여 진입제한이 보강되며, 상기 진입제한 보강유닛(300')은,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파지유닛(310')과,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2파지유닛(320')과, 상기 제1파지유닛(310')과 상기 제2파지유닛(320')에 사이에 파지되어 구비되고, 상기 진입관리유닛(100') 전면부 또는 후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되는 마감패널유닛(330')을 포함한다. 상기 마감패널유닛(330')은,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의 전면과 후면간의 진입공간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벽면 20 : 전선
100 : 베이스 부재 110 : 삽입홈
200 : 배선관 모듈 210 : 제1 단위 배선관

Claims (2)

  1.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 감시방법으로서,
    배선 고정장치 건물의 벽면(10)을 따라 설치되는 전기 배선 관로의 고정을 위해 해당 벽면(10)에 고정되며, 상기 공 동주택의 일면에는 원통형 물체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삽입홈(110)이 함몰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100)를 포함하며,
    상기 건물이 시공되는 시공현장(P1, P2')에는 상기 건물의 시공, 상기 건물의 시공자재의 도난방지를 위한 감시를 수행과 진입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진입관리유닛(100')이 구비되며,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 위치에 배치되며 진입제한을 위한 가벽을 이루도록 구비되되,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위치의 지면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몸통파츠(111')와, 상기 구동몸통파츠의 상부에 설정높이로 위치되어 진입을 제한하되,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에서 다수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왕복유동 가능도록 구비되는 진입제한파츠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입제한 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기 구동력을 기반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유동되는 위치변경모듈(112')과,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에서 설정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무선비행체를 운용하기 위한 운용모듈(1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운용모듈(120')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체(121')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로 상기 연장체(121')에 의하여 지지되며 회동을 위한 회동구동력을 제공하는 지지몸체(12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1가변지지체(131'),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2가변지지체(132'),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3가변지지체(133'),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4가변지지체(134')를 포함하는 가변지지체와,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1운용체와,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2운용체(142')와,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3운용체와,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학 위한 제4운용체를 포함하는 운용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되,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3운용체(143')는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4운용체(144')는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1하부높이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1운용체(141')와 상기 제3운용체(143') 사이에 발생되는 제1간극공간을 메우기 위한 제1간극메움파츠와, 상기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2하부높이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2운용체(142')와 상기 제4운용체(144') 사이에 발생되는 제2간극공간을 메우기 위한 제2간극메움파츠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에 접하는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1접촉부(141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14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부(1411')는, 상기 제1수용부(1412')로 제1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수용부(1412')는 상기 제1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1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에 접하는 제2접촉부(1421'')와, 상기 제2접촉부(14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14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1421'')는, 상기 제2수용부(1422'')로 제2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수용부(1422'')는 상기 제2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2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3운용체(143'')는,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에 접하는 제3접촉부(1431'')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3수용부(1432'')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촉부(1431'')는,
    상기 제3수용부(1432'')로 제3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3수용부(1432'')는 상기 제3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3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4운용체(144'')는,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에 접하는 제4접촉부와, 상기 제4접촉부(144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4수용부(1442'')를 포함하고,
    상기 제4접촉부(1441'')는,
    상기 제4수용부(1442'')로 제4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4수용부(1442'')는 상기 제4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4전력을 제공하되,
    상기 제1간극메움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와, 상기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에 의하여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로 지지되는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와, 상기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에서 제2방향(Y)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와, 상기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상기 제1접촉부(1411'')로 장착되는 제1장착체(156'')가 돌출되며, 하부로 상기 제3접촉부(1431'')로 장착되는 제3장착체(155'')가 돌출되는 제1보조간극메움구동부(154'')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조간극메움구동부(154')는, 상기 제1장착체(156')가 상기 제1접촉부(1411')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1412')에 상기 제1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3장착체(155')가 상기 제3접촉부(1431')를 통해 상기 제3수용부(1432')에 상기 제3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장착체(156')와 상기 제3장착체(155')가 상기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3접촉부(1431') 상호간을 밀어내는 이격힘을 가하여, 상기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3접촉부(1431')로부터 지지력이 보강되도록 하고,
    상기 제2간극메움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타측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제2-1일측지지구조체(161')와, 상기 제2-1일측지지구조체(161')에 의하여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로 지지되는 제2간극메움구동부(162')와, 상기 제2간극메움구동부(162')에서 제1방향(X)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2측지지구조체(163')와, 상기 제2-2측지지구조체(163')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상기 제2접촉부(1421')로 장착되는 제2장착체(166')가 돌출되며, 하부로 상기 제4접촉부(1441')로 장착되는 제4장착체(165')가 돌출되는 제2보조간극메움구동부(164')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간극메움구동부(164')는, 상기 제2장착체(166')가 상기 제2접촉부(1421')를 통해 상기 제2접촉부(1421')에 상기 제2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4장착체(165')가 상기 제4접촉부(1441')를 통해 상기 제4수용부(1442')에 상기 제4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장착체(166')와 상기 제4장착체(165')가 상기 제2접촉부(1421')와 상기 제4접촉부(1441') 상호간을 밀어내는 이격힘을 가하여, 상기 제2접촉부(1421')가 상기 제4접촉부(1441')로부터 지지 보강되도록 하고,
    상기 제1접촉부(1411')는, 외관상에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1-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1-1출력부(1411a')와, 상기 제1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1-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1-2출력부(1411b')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1421')는, 외관상에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2-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2-1출력부(1422a')와, 상기 제2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2-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2-2출력부(1422b')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촉부(1431')는, 외관상에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3-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3-1출력부(1431a')와, 상기 제3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3-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3-2출력부(1432b')를 포함하고,
    상기 제4접촉부(1441')는, 외관상에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4-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4-1출력부(1441a')와, 상기 제4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4-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4-2출력부(1442b')를 포함하고,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가변식 제1완충파츠와, 상기 제4접촉부(144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가변식 제2완충파츠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식 제1완충파츠는,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에 설치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제1하부범퍼구동체(171')와, 상기 제1하부범퍼구동체(17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팽창되어,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1하부범퍼접촉체(172')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하부범퍼접촉체(172')는, 상기 제3접촉부(1431')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3접촉부(1431')가 상기 제1접촉부(1411')를 지함에 있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 감시방법.
  2. 삭제
KR1020220167526A 2022-12-05 2022-12-05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 및 그 감시방법 KR102551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526A KR102551101B1 (ko) 2022-12-05 2022-12-05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 및 그 감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526A KR102551101B1 (ko) 2022-12-05 2022-12-05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 및 그 감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101B1 true KR102551101B1 (ko) 2023-07-05

Family

ID=8715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526A KR102551101B1 (ko) 2022-12-05 2022-12-05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 및 그 감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1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370A (ko) * 2004-06-14 2005-12-19 정택수 레일 이동형 무인카메라
KR102099782B1 (ko) * 2019-10-16 2020-04-10 주식회사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배선 고정장치
KR102419889B1 (ko) * 2022-01-11 2022-07-13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지중 송전케이블 선로 누전감시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370A (ko) * 2004-06-14 2005-12-19 정택수 레일 이동형 무인카메라
KR102099782B1 (ko) * 2019-10-16 2020-04-10 주식회사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배선 고정장치
KR102419889B1 (ko) * 2022-01-11 2022-07-13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지중 송전케이블 선로 누전감시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4040B2 (en) Surveillance unit with removable modules
US6430471B1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mobile robot via communications line
JP4129442B2 (ja) 移動装置システム
KR101691031B1 (ko) 소화기 탑재 로봇을 활용한 화재진화시스템
CN109911735A (zh) 电梯检查和维护系统
BR112018072320B1 (pt) Método de inspeção e monitoramento de uma instalação do elevador
KR102551101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 및 그 감시방법
KR102606515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케이블 이상유무 감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190057876A (ko) 다축 회동 구조를 갖는 불꽃감지기
JP2021047558A (ja) 巡視点検システム
KR102413369B1 (ko) 매설형 지중 배전선로의 접지선 연결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0047945A (ja) 駐車スペース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130131917A (ko) 이동형 관리 장치
JP2021138204A (ja) 建造物内の調査装置と調査方法
KR102529827B1 (ko) 절연 구간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KR102356744B1 (ko) 배전선로의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102584931B1 (ko) 구조물 유지 보수용 드론
KR102272997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설치작업 관리 시스템
CN114233997A (zh) 一种智慧工地用安全管理装置及其管理系统
KR102535186B1 (ko)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
KR102536227B1 (ko)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2451209B1 (ko) 배전전신주의 원격위치감시장치와 전자파차단장치가 구비되는 전신주시스템
CN115771577B (zh) 一种磁吸附巡检机器人及其控制方法
KR20180003552U (ko) 지중전력설비 동적 감시 장치
KR102451211B1 (ko) 변압기와 가공 배전선로가 설치된 전신주의 이상유무 진단 시스템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