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227B1 -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227B1
KR102536227B1 KR1020220167524A KR20220167524A KR102536227B1 KR 102536227 B1 KR102536227 B1 KR 102536227B1 KR 1020220167524 A KR1020220167524 A KR 1020220167524A KR 20220167524 A KR20220167524 A KR 20220167524A KR 102536227 B1 KR102536227 B1 KR 102536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contact
entry
wireless ai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혜진
Original Assignee
(주)동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이엔지 filed Critical (주)동화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167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B64C2201/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시스템은, 합성수지재질의 긴 판체로 일측에는 일방향걸림턱부를 갖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정부의 일방향걸림턱부가 진입되어 걸림고정되는 걸림돌출부를 갖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을 포함하되, 좌우측으로 양분되어 옥내 변전소 철골조(50)의 외주연을 감싸는 고무재질의 기립된 관체로 외주연에는 다 수개의 수평돌출바(11)가 형성된 좌우측밀착절연내관(10,10a)를 더 포함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

Description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Cable fixing system of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and its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철골조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케이블의 흔들림을 막고, 케이블 계통의 보수를 위한 케이블의 분리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을 포함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과 이러한 시스템의 주변에 배최되며 주변상황읠 촬영하여 모니터링하고 진입을 통제를 함께 수행하도록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변전소의 지중 송전 케이블은 지중에서 지상으로 인출되어 전주에 고정되고, 이러한 지중 송전케이블 또는 케이블 내의 3상케이블은 수용측 3상 수변전 케이블과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은 지중으로부터 인출되어 대개 전주의 둘레부에 그 둘레면이 맞닿도록 배치된 후 전주와 함께 고무재나 철재 등의 스트립 밴드를 통해 묶임으로써 전주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지중케이블이 지중으로부터 인출되어 최종적인 수용가인 가정으로 유입되는 케이블 또한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고무재나 철재 등의 스트립밴드를 통해 고정되면서 설치되는바, 케이블이 밴드 내부에서 흔들리게 되어 단선의 우려가 있고, 케이블 계통의 보수시 밴드 전체를 풀거나 끊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중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을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케이블의 흔들림을 막고, 케이블 계통의 보수를 위한 케이블의 분리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시스템의 시공을 수행함에 있어 혹은 시공 이후에 있어 주변의 상황을 촬영 모니터하고, 허가되지 않은 자와 차량 등의 진입과 차단을 복합적으로 관리와 감시 수행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 관리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에 있어서;
좌우측으로 양분되어 옥내 변전소 철골조의 외주연을 감싸는 고무재질의 기립된 관체로 외주연에는 다 수개의수평돌출바가 형성된 좌우측밀착절연내관과; 좌우로 양분되어 상기 좌우측밀착절연내관을 외측에서 감싸는 관체로 절단된 선단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돌부와 요부가 맞춰져 한 몸을 이루되 내주연에는 상기 수평돌출바가 삽입되는 바홀이 형성되고, 일측외주연에는 외주연을 따라 광폭요부가 형성되되 광폭요부 전방측에는 광폭요부를 수직으로 체결핀이 가로지르는 핀공이 형성되며, 타측외주연에는 외주연을 따라 협폭요부가 형성되되 협폭요부를 감싸면서 내측면에서 협폭요부측으로 걸림돌출턱이 돌출되는 우측스토퍼가 형성되는 좌우측고정외관과; 합성수지재질의 판체로 일측은 상기 좌우측고정외관의 광폭요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접된 케이블을 8 자방식으로 감싸는 지지판부가 형성되되 지지판부 선단부에는 상기 핀공 연장선상에 상기 체결핀이 관통하는 핀삽입공을 갖고 지지판부 중심측에는 길게 관통장공을 갖으며 지지판부 좌측선단부에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ㄷ 자형상으로 돌출되어 내측면에 걸림돌출턱이 돌출되는 좌측스토퍼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판부 타측선단 중심에서 길게 연장되어 케이블을 감싼 다음 상기 관통장공을 관통하여 8자방식으로 상기 좌우측고정외관의 협폭요부를 통해서 우측스토퍼와 상기 지지판부의 좌측스토퍼를 관통하되 좌측면에는 상기 우측스토퍼의 걸림돌출부와 상기 좌측스토퍼의 걸림돌출부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일방향걸림턱부를 갖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케이블밴드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을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케이블의 흔들림을 막고, 케이블 계통의 보수를 위한 케이블의 분리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을 위한 인련의 작업에서 초기 시공, 사후 관리 보수 통제 등의 상황에서 촬영을 기반으로하는 다양한 모니터링 관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을 위한 인련의 작업에서 초기 시공, 사후 관리 보수 통제 등의 상황에서 시공 현장 혹은 그 주변에 대해 사람과 차량 등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을 위한 상황을 통제합에 있어 전술한 모니터링과 전술한 진입통제를 복합적으로 상호 연계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내용을 통해 시공현장의 주변에서 안전관리, 보안관리 등을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해당 현장의 실시간 사고발생을 관리하고, 해당장현의 대상물의 간섭, 도난 등을 철저히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설치현장의 통제가 필요한 영역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설정공간으로의 진입제한 통재를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통제관리 수단이 단수로 혹은 복수로 구비되어 최소화된 수량으로서 해당 장현에 대한 통제 관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시공현장을 동서남북 중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이러한 통제관리 수단들이 좌우 방향으로 상호간의 가변유동을 통해 보다 유연한 진입통제를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해 촬영 기반 내부 혹은 외부 모니터링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 예인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 예인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 예인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의 모습을 보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 예인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5 내지 도 11은 도 1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 예인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 예인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 예인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의 모습을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 예인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는, 옥내 변전소 철골조(50)에 설치되는 밴드로, 옥내 변전소 철골조(50)를 감싸는 좌우측밀착절연내관(10,10a)과, 좌우측밀착절연내관(10,10a)을 외측에서 밀착되어 감싸는 좌우측고정외관(20,20a)과, 일단은 좌우측고정외관(20,20a)에 고정되고 인접된 케이블(40)을 8자방식으로 감아 다시 좌우측고정외관(20,20a)에 감김고정되는 케이블밴드(30)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밀착절연내관(10,10a)은 좌우측으로 양분되어 옥내 변전소 철골조(50)의 외주연을 감싸는 고무재질의 기립된 관체로 외주연에는 다 수개의 수평돌출바(11)가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고정외관(20,20a)은 좌우로 양분되어 상기 좌우측밀착절연내관(10,10a)을 외측에서 감싸는 관체로 절단된 선단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돌부(21)와 요부(21a)가 맞춰져 한 몸을 이루되 내주연에는 상기 수평돌출바(11)가 삽입되는 바홀(22)이 형성되고, 일측외주연에는 외주연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광폭요부(23)가 형성되되 광폭요부(23) 전방측에는 광폭요부(23)를 수직으로 체결핀(24b)이 가로지르는 핀공(24,24a)이 형성되며, 타측외주연에는 외주연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협폭요부(26)가 형성되되 협폭요부(26)를 감싸면서 내측면에서 협폭요부(26) 내측으로 걸림돌출턱(27a)이 돌출되는 우측스토퍼(27)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밴드(30)는 합성수지재질의 판체로 일측은 상기 좌우측고정외관(20,20a)의 광폭요부(23)에 삽입된상태에서 인접된 케이블(40)을 8자방식으로 감싸는 지지판부(31)가 형성되되 지지판부(31) 전방측 선단부에는 상기 핀공(24,24a) 연장선상에 상기 체결핀(24b)이 관통하는 핀삽입공(32)을 갖고 지지판부(31) 중심측에는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통장공(33)을 갖으며 지지판부(31) 좌측면 전방측선단부에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ㄷ자형상으로 돌출되어 내측면에 걸림돌출턱(34a)이 돌출되는 좌측스토퍼(34)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판부(31) 타측선단 중심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케이블(40)을 감싼 다음 상기 관통장공(33)을 관통하여 8자방식으로 상기 좌우측고정외관(20,20a)의 협폭요부(26)를 통해서 우측스토퍼(27)와 상기 지지판부(31)의 좌측스토퍼(34)를 관통하되 좌측면에는 상기 우측스토퍼(27)의 걸림돌출부(27a)와 상기 좌측스토퍼(34)의 걸림돌출부(34a)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일방향걸림턱부(36)를 갖는 고정부(35)가 형성된다. 이때 케이블밴드(30)는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나, 이중 일방향걸림턱부(36)와 좌측스토퍼(34) 및 걸림돌출부(34a)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시켜 걸림고정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이다.
전술한 내용에 기반하여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은 상기 고정시스템이 합성수지재질의 긴 판체로 일측에는 일방향걸림턱부를 갖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정부의 일방향걸림턱부가 진입되어 걸림고정되는 걸림돌출부를 갖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을 포함한다.
아울러 좌우측으로 양분되어 옥내 변전소 철골조(50)의 외주연을 감싸는 고무재질의 기립된 관체로 외주연에는 다 수개의 수평돌출바(11)가 형성된 좌우측밀착절연내관(10,10a)를 더 포함한다.
한편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 관리방법은 상기 고정시스템이 시공현장에 배치되고, 시공현장에서 시공이 수행되며, 상기 고정시스템은, 합성수지재질의 긴 판체로 일측에는 일방향걸림턱부를 갖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정부의 일방향걸림턱부가 진입되어 걸림고정되는 걸림돌출부를 갖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좌우측으로 양분되어 옥내 변전소 철골조(50)의 외주연을 감싸는 고무재질의 기립된 관체로 외주연에는 다 수개의 수평돌출바(11)가 형성된 좌우측밀착절연내관(10,10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시공현장(P1, P2)(즉, 시공현장 중심부(P1'), 시공현장 주변부(P2'))에는 상기 시공현장(P1, P2)으로의 진입을 제한하고 상기 시공현장(P1, P2)의 실시간 상황을 감시관리 하기위한 진입관리유닛(100')이 구비되며,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 위치에 배치되며 진입제한을 위한 가벽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위치의 지면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몸통파츠와, 상기 구동몸통파츠의 상부에 설정높이로 위치되어 진입을 제한하되,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에서 다수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왕복유동 가능도록 구비되는 진입제한파츠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진입제한 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기 구동력을 기반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유동되는 위치변경모듈(112')과,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에서 설정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무선비행체를 운용하기 위한 운용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운용모듈(120')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체(121')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로 상기 연장체(121')에 의하여 지지되며 회동을 위한 회동구동력을 제공하는 지지몸체(12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1가변지지체(131')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2가변지지체(13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3가변지지체(133')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4가변지지체(134')를 포함하는 가변지지체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1운용체와,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2운용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3운용체와,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학 위한 제4운용체를 포함하는 운용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3운용체(143')는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4운용체(144')는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1운용체(141')와 상기 제3운용체(143') 사이에 발생되는 제1간극공간을 일부 메우기 위한 제1간극메움파츠와,
상기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2운용체(142')와 상기 제4운용체(144') 사이에 발생되는 제2간극공간을 일부 메우기 위한 제2간극메움파츠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에 접하는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1접촉부(141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14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부(1411')는, 상기 제1수용부(1412')로 제1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수용부(1412')는 상기 제1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1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에 접하는 제2접촉부(1421')와, 상기 제2접촉부(14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14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1421')는, 상기 제2수용부(1422')로 제2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수용부(1422')는 상기 제2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2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3운용체(143')는,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에 접하는 제3접촉부(1431')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3수용부(1432')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촉부(1431')는, 상기 제3수용부(1432')로 제3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3수용부(1432')는 상기 제3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3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4운용체(144')는,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에 접하는 제4접촉부와, 상기 제4접촉부(144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4수용부(1442')를 포함하고, 상기 제4접촉부(1441')는, 상기 제4수용부(1442')로 제4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4수용부(1442')는 상기 제4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4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간극메움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와, 상기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에 의하여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로 지지되는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와, 상기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에서 제2방향(Y)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와, 상기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상기 제1접촉부(1411')로 장착되는 제1장착체(156')가 돌출되며, 하부로 상기 제3접촉부(1431')로 장착되는 제3장착체(155')가 돌출되는 제1보조간극메움구동부(154')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보조간극메움구동부(154')는, 상기 제1장착체(156')가 상기 제1접촉부(1411')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1412')에 상기 제1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3장착체(155')가 상기 제3접촉부(1431')를 통해 상기 제3수용부(1432')에 상기 제3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제1장착체(156')와 상기 제3장착체(155')가 상기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3접촉부(1431') 상호간을 밀어내는 이격힘을 가하여, 상기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3접촉부(1431')로부터 지지력이 보강되도록 한다.
상기 제2간극메움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타측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제2-1일측지지구조체(161')와, 상기 제2-1일측지지구조체(161')에 의하여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로 지지되는 제2간극메움구동부(162')와, 상기 제2간극메움구동부(162')에서 제1방향(X)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2측지지구조체(163')와, 상기 제2-2측지지구조체(163')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상기 제2접촉부(1421')로 장착되는 제2장착체(166')가 돌출되며, 하부로 상기 제4접촉부(1441')로 장착되는 제4장착체(165')가 돌출되는 제2보조간극메움구동부(164')를 포함한다.
상기 제2보조간극메움구동부(164')는, 상기 제2장착체(166')가 상기 제2접촉부(1421')를 통해 상기 제2접촉부(1421')에 상기 제2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4장착체(165')가 상기 제4접촉부(1441')를 통해 상기 제4수용부(1442')에 상기 제4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제2장착체(166')와 상기 제4장착체(165')가 상기 제2접촉부(1421')와 상기 제4접촉부(1441') 상호간을 밀어내는 이격힘을 가하여, 상기 제2접촉부(1421')가 상기 제4접촉부(1441')로부터 지지 보강되도록 한다.
상기 제1접촉부(1411')는, 외관상에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1-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1-1출력부(1411a')와, 상기 제1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1-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1-2출력부(1411b')를 포함한다.
상기 제2접촉부(1421')는, 외관상에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2-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2-1출력부(1422a')와, 상기 제2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2-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2-2출력부(1422b')를 포함한다.
상기 제3접촉부(1431')는, 외관상에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3-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3-1출력부(1431a')와, 상기 제3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3-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3-2출력부(1432b')를 포함한다.
상기 제4접촉부(1441')는, 외관상에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4-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4-1출력부(1441a')와, 상기 제4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4-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4-2출력부(1442b')를 포함한다.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가변식 제1완충파츠와, 상기 제4접촉부(144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가변식 제2완충파츠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변식 제1완충파츠는,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에 설치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제1하부범퍼구동체(171')와, 상기 제1하부범퍼구동체(17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팽창되어,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1하부범퍼접촉체(172')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하부범퍼접촉체(172')는, 상기 제3접촉부(1431')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3접촉부(1431')가 상기 제1접촉부(1411')를 지함에 있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변식 제2완충파츠는,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에 설치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제2하부범퍼구동체(181')와, 상기 제2하부범퍼구동체(18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팽창되어, 상기 제4접촉부(144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2하부범퍼접촉체(182')를 포함하되, 상기 제2하부범퍼접촉체(182')는, 상기 제4접촉부(1441')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4접촉부(1441')가 상기 제2접촉부(1421')를 지함에 있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며 상기 가변식 제1완충파츠에서 제1방향(X)측에 이웃하도록 구비되는 가변식 제1보조완충파츠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며 상기 가변식 제1완충파츠에서 상기 제1방향(X)측과 반대인 제2방향(Y)측에 이웃하도록 구비되는 가변식 제2보조완충파츠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보조완충파츠는,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유체를 제공하는 제1보조구동체(211')와 상기 제1보조구동체(211')에서 제공되는 유체를 기반으로 상부로 팽창되어,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1하부보조범퍼첩촉체(212')를 포함하되, 상기 제2보조완충파츠는,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유체를 제공하는 제2보조구동체(221')와 상기 제2보조구동체(221')에서 제공되는 유체를 기반으로 상부로 팽창되어,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2하부보조범퍼접촉체(2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보조범퍼접촉체와 상기 제2하부보조범퍼접촉체(222')는 상기 제1하부범퍼접촉체(172')가 팽창된 이후에 2차적으로 팽창되어, 상기 제1하부범퍼접촉체(172')의 상기 제3접촉부(1431')에 대한 지지력을 보조하는 것이다.
상기 가변식 제1완충파츠는, 상기 제1하부범퍼접촉체(172')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하부범퍼구동체(171')에서 상부로 출몰되며, 상기 제1하부멉퍼접촉체의 내부에서 상기 제3접촉체를 지지하도록 하는 내부지지보강체(173')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지지보강체(173')는 상기 제1보조범퍼접촉체와 상기 제2하부보조범퍼접촉체(222')가 팽창된 이후에 3차적으로 동작된다.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전면부 혹은 후면부에 설치되는 진입제한 보강유닛에 의하여 진입제한이 보강되며, 상기 진입제한 보강유닛(300')은,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파지유닛(310')과,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2파지유닛(320')과, 상기 제1파지유닛(310')과 상기 제2파지유닛(320')에 사이에 파지되어 구비되고, 상기 진입관리유닛(100') 전면부 또는 후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되는 마감패널유닛(330')을 포함한다. 상기 마감패널유닛(330')은,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의 전면과 후면간의 진입공간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1a : 요부 22 : 바홈
23 : 광폭요부 24,24a : 핀공
24b : 체결핀 26 : 협폭요부

Claims (2)

  1.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이 시공현장에 배치되고, 상기 시공현장에서 시공이 수행되며,
    상기 고정밴드 시스템은,
    합성수지재질의 긴 판체로 일측에는 일방향걸림턱부를 갖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정부의 일방향걸림턱부가 진입되어 걸림고정되는 걸림돌출부를 갖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을 포함하되,
    좌우측으로 양분되어 옥내 변전소 철골조(50)의 외주연을 감싸는 고무재질의 기립된 관체로 외주연에는 다 수개의 수평돌출바(11)가 형성된 좌우측밀착절연내관(10,10a)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공현장에는 상기 시공현장으로의 진입을 제한하고 상기 시공현장의 실시간 상황을 감시관리 하기위한 진입관리유닛(100')이 구비되고,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 위치에 배치되며 진입제한을 위한 가벽을 이루도록 구비되되,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위치의 지면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몸통파츠(111')와,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에 설정높이로 위치되어 진입을 제한하되,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에서 다수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왕복유동 가능도록 구비되는 진입제한파츠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입제한 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기 구동력을 기반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유동되는 위치변경모듈(112')과,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에서 설정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무선비행체를 운용하기 위한 운용모듈(1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운용모듈(120')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체(121')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로 상기 연장체(121')에 의하여 지지되며 회동을 위한 회동구동력을 제공하는 지지몸체(12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1가변지지체(131')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2가변지지체(13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3가변지지체(133')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4가변지지체(134')를 포함하는 가변지지체와,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1운용체(141')와,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2운용체(142')와,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3운용체(143')와,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학 위한 제4운용체(144')를 포함하는 운용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는
    상기 제3운용체(143')는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4운용체(144')는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고,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1운용체(141')와 상기 제3운용체(143') 사이에 발생되는 제1간극공간을 일부 메우기 위한 제1간극메움파츠와,
    상기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2운용체(142')와 상기 제4운용체(144') 사이에 발생되는 제2간극공간을 일부 메우기 위한 제2간극메움파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1운용체(141')와 상기 제3운용체(143') 사이에 발생되는 제1간극공간을 일부 메우기 위한 제1간극메움파츠와,
    상기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2운용체(142')와 상기 제4운용체(144') 사이에 발생되는 제2간극공간을 일부 메우기 위한 제2간극메움파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에 접하는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1접촉부(141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14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부(1411')는, 상기 제1수용부(1412')로 제1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수용부(1412')는 상기 제1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1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에 접하는 제2접촉부(1421')와, 상기 제2접촉부(14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14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1421')는, 상기 제2수용부(1422')로 제2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수용부(1422')는 상기 제2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2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3운용체(143')는,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에 접하는 제3접촉부(1431')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3수용부(1432')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촉부(1431')는, 상기 제3수용부(1432')로 제3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3수용부(1432')는 상기 제3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3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4운용체(144')는,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에 접하는 제4접촉부(1441')와, 상기 제4접촉부(144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4수용부(1442')를 포함하고, 상기 제4접촉부(1441')는, 상기 제4수용부(1442')로 제4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4수용부(1442')는 상기 제4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4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1간극메움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와, 상기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에 의하여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로 지지되는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와, 상기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에서 제2방향(Y)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와, 상기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상기 제1접촉부(1411')로 장착되는 제1장착체(156')가 돌출되며, 하부로 상기 제3접촉부(1431')로 장착되는 제3장착체(155')가 돌출되는 제1보조간극메움구동부(15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장착체(156')가 상기 제1접촉부(1411')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1412')에 상기 제1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3장착체(155')가 상기 제3접촉부(1431')를 통해 상기 제3수용부(1432')에 상기 제3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장착체(156')와 상기 제3장착체(155')가 상기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3접촉부(1431') 상호간을 밀어내는 이격힘을 가하여, 상기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3접촉부(1431')로부터 지지력이 보강되도록 하는,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 관리방법.
    .
  2. 삭제
KR1020220167524A 2022-12-05 2022-12-05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2536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524A KR102536227B1 (ko) 2022-12-05 2022-12-05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524A KR102536227B1 (ko) 2022-12-05 2022-12-05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227B1 true KR102536227B1 (ko) 2023-05-26

Family

ID=86536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524A KR102536227B1 (ko) 2022-12-05 2022-12-05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8929B1 (ko) * 2023-12-05 2024-06-26 이승대 지중 배전선로 케이블 보호장치 구축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684B1 (ko) * 2009-08-21 2009-11-11 (주)용광기술단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설치되는 저압케이블 고정밴드
KR102419889B1 (ko) * 2022-01-11 2022-07-13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지중 송전케이블 선로 누전감시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684B1 (ko) * 2009-08-21 2009-11-11 (주)용광기술단 옥내 변전소 철골조에 설치되는 저압케이블 고정밴드
KR102419889B1 (ko) * 2022-01-11 2022-07-13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지중 송전케이블 선로 누전감시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8929B1 (ko) * 2023-12-05 2024-06-26 이승대 지중 배전선로 케이블 보호장치 구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357B2 (en) Retractable wide-span vehicle barrier system
US7111997B2 (en) Temporary surveillance system
US9822501B2 (en) Dual arm fortified barrier assembly
KR102487854B1 (ko) 도심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설비 관리방법
US7213872B2 (en) Fire engine
EP3350374A1 (en) Mobile access control system
US7828486B1 (en) Surveillance system with wind vibration isolating enclosure
KR102536227B1 (ko)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2245778B1 (ko) 스마트 터널진입 차단장치
IL267162A (en) Portable multi-functional system and method for its implementation
KR102076741B1 (ko) 공기주입식 지붕형 안전구조물
US8640409B2 (en) Secureable concrete storage facility
RU131741U1 (ru) Противотаранный барьер
KR101147724B1 (ko) 지능형 교통제어함체
KR102531408B1 (ko)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매설표시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2535186B1 (ko)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
CN116141995A (zh) 升高的车辆充电电缆系统
KR102542828B1 (ko) 배전선로의 화재예방 시스템 제공방법
KR102545692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관리 시스템
KR102542829B1 (ko) 도심 가공 배전선로 절연시스템 안정화 관리설비
KR970002906Y1 (ko) 크레인을 겸한 절연 고소작업차
KR102551101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 및 그 감시방법
KR102561703B1 (ko) 공동주택 전기배관 배선연결 시스템 및 그 모니터관리 방법
US5257484A (en) Shelters for automatic snow-covering installations
KR102093323B1 (ko) 지상기기 기초대 및, 지상기기 기초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