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186B1 -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186B1
KR102535186B1 KR1020220151565A KR20220151565A KR102535186B1 KR 102535186 B1 KR102535186 B1 KR 102535186B1 KR 1020220151565 A KR1020220151565 A KR 1020220151565A KR 20220151565 A KR20220151565 A KR 20220151565A KR 102535186 B1 KR102535186 B1 KR 102535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power
entry
unit
wireles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춘상
Original Assignee
유춘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춘상 filed Critical 유춘상
Priority to KR1020220151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64C2201/12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에 있어,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가 설치현장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는, 전신주(1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한 쌍의 결합홈(111')이 형성되는 고정 단위완철(110), 상기 결합홈(111')에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포스트(120), 상기 가이드 포스트(120)가 관통되는 가이드홀(131)이 형성되고 일면에현수애자(140)가 결합되는 가동 단위완철(130), 상기 가이드 포스트(120)의 길이 방향 타단에 결합되는 스토퍼부재(150)를 포함하는 제1 완철(100)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현장에는 상기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의 사전 셋업과정과 사후에 관리과정에 있어서 상기 설치현장으로의 인원, 물자, 차량 진입을 제한하고 상기 설치현장(P1, P2)의 실시간 상황을 감시관리 하기위한 진입관리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Providing method of a system for fixing distribution lines on utility poles}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신주를 따라 가설되는 배전선로의 배전케이블 장력 변화에 따라 해당 현수애자의 위치 조정이 이루어지는 완철 구조를 제공하되, 이에 대한 초기설치에 그리고 사후과정에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발생된 대전력은 전력선로를 통해 각 변전소로 보내진 다음. 변전소에서 여러 단계의 변압 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로 배전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신주와 전주는 같은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그리고 배전은 전신주 또는 전주에 지지되는 가공배전선 또는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을 통해 이루어진다. 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현장의 진입통제 인명통제 도난방지 안전관리 등을 포함하는 관리 전반을 효과적인 수행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신주를 따라 가설되는 배전선로의 배전케이블 장력 변화에 따라 해당 현수애자의 위치조정이 이루어지는 완철 구조를 제공하여 배전케이블의 장력 변화에 따른 해당 배전케이블 및 그 현수애자 간연결 부위의 이상 발생 그리고 현수애자를 중심으로 한 배전케이블 및 점퍼선 간 연결 부위의 이상 발생이 보다 잘 억제될 수 있도록 하는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설비을 제공함에 있어 초기 제공을 위한 준비시점에서 부터 설치 운용 전반에 이르는 부분에서 설비의 검증과 관리가 효과적으로 가능한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설비의 설치와 운용 등의 전반에 있어 모니터링 관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설비가 운용되는 실내와 실외 주변현장에서 안전관리, 보안관리 등을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설비가 위치되는 해당 현장의 실시간 사고발생을 관리하고, 해당장현의 대상물의 간섭, 도난 등을 철저히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설치현장의 통제가 필요한 영역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설정공간으로의 인원, 물자, 차량 등의 진입제한 통재를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통제관리 수단이 단수로 혹은 복수로 구비되어 최소화된 수량으로서 해당 장현에 대한 통제 관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에 있어,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가 설치현장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는, 전신주(1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한 쌍의 결합홈(111')이 형성되는 고정 단위완철(110), 상기 결합홈(111')에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포스트(120), 상기 가이드 포스트(120)가 관통되는 가이드홀(131)이 형성되고 일면에현수애자(140)가 결합되는 가동 단위완철(130), 상기 가이드 포스트(120)의 길이 방향 타단에 결합되는 스토퍼부재(150)를 포함하는 제1 완철(100)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현장에는 상기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의 사전 셋업과정과 사후에 관리과정에 있어서 상기 설치현장으로의 인원, 물자, 차량 진입을 제한하고 상기 설치현장(P1, P2)의 실시간 상황을 감시관리 하기위한 진입관리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신주를 따라 가설되는 배전선로의 배전케이블 장력 변화에 따라 해당 현수애자의 위치조정이 이루어지는 완철 구조를 제공하여 배전케이블의 장력 변화에 따른 해당 배전케이블 및 그 현수애자 간연결 부위의 이상 발생 그리고 현수애자를 중심으로 한 배전케이블 및 점퍼선 간 연결 부위의 이상 발생이 보다 잘 억제될 수 있도록 하는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설비을 제공함에 있어 초기 제공을 위한 준비시점에서 부터 설치 운용 전반에 이르는 부분에서 설비의 검증과 관리가 효과적으로 가능한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설비의 설치와 운용 등의 전반에 있어 모니터링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설비가 운용되는 실내와 실외 주변현장에서 안전관리, 보안관리 등을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설비가 위치되는 해당 현장의 실시간 사고발생을 관리하고, 해당장현의 대상물의 간섭, 도난 등을 철저히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설치현장의 통제가 필요한 영역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설정공간으로의 인원, 물자, 차량 등의 진입제한 통재를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통제관리 수단이 단수로 혹은 복수로 구비되어 최소화된 수량으로서 해당 장현에 대한 통제 관리가 수행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을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을 예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을 예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구성도.
도 5 내지 도 11은 도 1에 „œ련된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을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을 예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주의 배전선로고정 설비 관리방법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은 제1 완철(100), 제2 완철(200),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300),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00), 제1 장력감지부(510), 제2 장력감지부(520), 점퍼선 지지부(600), 제1 거리감지센서(710), 제2 거리감지센서(720), 제어부(800), 무선통신부(810)및 전원공급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완철(100)은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10)에 고정되며, 이러한 제1 완철(100)은 고정 단위완철(110), 가이드포스트(120), 가동 단위완철(130), 현수애자(140) 및 스토퍼 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단위완철(110)은 전신주(1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한 쌍의 결합홈(111')이 각각 형성된다. 가이드 포스트(120)는 고정 단위완철(110)의 결합홈(111')에 길이 방향의 일단이 삽입 및 고정되며, 가이드 포스트(120)의 결합홈(111')별로 설치되는 복수의 구성이다.
가동 단위완철(130)은 가이드 포스트(120)들의 길이 방향 타단이 각각 관통되는 복수의 가이드홀(131)이 형성되어 가이드 포스트(12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고정 단위완철(110)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일면에 현수애자(140)가 결합된다. 스토퍼 부재(150)는 가이드 포스트(120)로부터 가동 단위완철(13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가이드 포스트(120)의 길이 방향 타단에 결합된다. 제2 완철(200)은 전신주(10)를 중심으로 제1 완철(100)과 대칭되는 구조로써 전신주(10)에 설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도면 부호 210, 220, 230, 231, 240 및 250은 순차적으로 제2 완철(200)의 고정 단위완철, 가이드 포스트, 가동 단위완철, 가이드홈, 현수애자 및 스토퍼 부재를 예시한 것이다.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300)는 제1 완철(100)의 고정 단위완철(110)에 설치되며, 이때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300)는 그 작동로드(310)가 제1 완철(100)의 가동 단위완철(130) 방향으로 전진되도록 제1 완철(100)의 고정 단위완철(110)에 설치된다. 또한,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300)의 작동로드(310) 선단은 제1 완철(100)의 가동 단위완철(130)에 고정된다.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00)는 제2 완철(200)의 고정 단위완철(210)에 설치되며, 이때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00)는 그 작동로드(410)가 제2 완철(200)의 가동 단위완철(230) 방향으로 전진되도록 제2 완철(200)의 고정 단위완철(210)에 설치된다. 또한,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00)의 작동로드(410) 선단은 제2 완철(200)의 가동 단위완철(230)에 고정된다.
제1 장력감지부(510)는 제1 완철(100)의 가동 단위완철(130)에 설치된 현수애자(140)에 연결되는 배전케이블(21)의 장력을 측정한다. 제2 장력감지부(520)는 제2 완철(200)의 가동 단위완철(230)에 설치된 현수애자(240)에 연결되는 배전케이블(22)의 장력을 측정한다. 그리고 제1 장력감지부(510) 및 제2 장력감지부(520)는 각각 한국 등록특허 제10-1416926호, 한국 등록특허 제10-0958945호 내지 기타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였다. 점퍼선 지지부(600)는 지지플레이트(610), 라인포스트애자(620), 제1 가동포스트(630), 제1 고정포스트(640),제2 가동포스트(650), 제2 고정포스트(6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플레이트(610)는 제1 완철(100)의 고정 단위완철(110)에 길이 방향의 일단이 배전케이블(21,22)들의 가설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이하 “가설 방향”이라 함)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제2 완철(200)의 고정 단위완철(210)에 길이 방향의 타단이 상기 가설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결합된다. 여기서 제1 완철(100)의 고정 단위완철(110) 및 제2 완철(200)의 고정 단위완철(210)에 대한 지지플레이트(610)의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은 공지된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라인포스트애자(620)는 가설 방향을 기준으로 지지플레이트(610)의 중앙에 설치된다. 제1 고정포스트(640)은 제1 완철(100)의 가동 단위완철(130)에 고정 결합되고, 제2 고정포스트(660)는 제2 완철(200)의 가동 단위완철(230)에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의 점퍼선 지지부(600)는 배전케이블(21,22)들을 연결하는 점퍼선(30)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두부분을 제1 고정포스트(640) 및 제2 고정포스트(660)에 고정하는 동시에 제1 고정포스트(640) 및 제2 고정포스트(660)의 사이 구간에서는 라인포스트애자(620)에 지지된다. 제1 거리감지센서(710)는 제1 완철(100)의 고정 단위완철(110) 및 가동 단위완철(130) 간 거리를 감지하고, 제2거리감지센서(720)는 제2 완철(200)의 고정 단위완철(210) 및 가동 단위완철(230) 간 거리를 감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거리감지센서(710) 및 제2 거리감지센서(720)는 공지된 다양한 센서 기술을 통해 다양한 형태 및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제어부(800)는 제1 장력감지부(510)의 장력 감지 신호에 따라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3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제2 장력감지부(520)의 장력 감지 신호에 따라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0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800)는 제1 완철(100)의 현수애자(140)에 연결되는 배전케이블(21)의 사전에 정해진 장력 크기별가동 단위완철(130)의 슬라이딩 거리들이 제1 데이터로써 사전에 저장되고, 제2 완철(200)의 현수애자(240)에 연결되는 배전케이블(22)의 사전에 정해진 장력 크기별 가동 단위완철(130)의 슬라이딩 거리들이 제2 데이터로써 사전에 저장된다.
이를 기반으로 제어부(800)는 제1 장력감지부(510)의 장력 감지 신호에 따른 제1 데이터의 거리 값 및 제1 거리감지센서(710)의 거리 감지 신호를 비교 후 그 차이가 사전에 설정된 제1 임계범위을 벗어나는 수준일 경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300)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제1 이상신호를 출력하고, 제2장력감지부(520)의 장력 감지 신호에 따른 제2 데이터의 거리 값 및 제2 거리감지센서(720)의 거리 감지신호를 비교 후 그 차이가 사전에 설정된 제2 임계범위을 벗어나는 수준일 경우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00)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제2 이상신호를 출력한다.
무선통신부(810)는 제어부(80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이상신호 및 제2 이상신호를 원거리의 통합관리서버(1000)에 전송한다. 전원공급부(900)는 태양전지패널(910) 및 충전지(9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써, 태양전지패널(910)은 점퍼선 지지부(600)의 지지플레이트(610) 상면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하며, 충전지(920)는 태양전지패널(910)을 통해 발전된 전기를 충전한다. 그리고 전원공급부(900)는 충전지(920)의 전원을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300),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00), 제1 장력감지부(510), 제2 장력감지부(520), 제1 거리감지센서(710), 제2 거리감지센서(720), 제어부(800) 및 무선통신부(810)에 공급한다.
전신주를 중심으로 연결되는 배전케이블별 장력 변화 및 이로 인해 해당 배전케이블과 그 현수애자 간 연결 부위에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가 제1 완철(100) 및 제2 완철(20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의 가동 단위완철(130,230) 이동을 통해 감소되며, 이때 배전케이블의 장력 변화 크기를 기반으로 제어부(800)가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300,400)의 작동로드(310,410) 작동 길이를 조정하므로, 배전케이블의 장력 변화로 인한 해당 배전케이블 및 그 현수애자 간 연결 부위의 이상 발생 그리고 현수애자를 중심으로한 배전케이블 및 점퍼선 간 연결 부위의 이상 발생이 보다 잘 억제될 수 있는 동시에 배전케이블의 장력 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기존의 난점들이 방지되거나 현저히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전케이블의 장력 변화 크기에 맞춰 제1 및 제2 완철(100,200)의 가동 단위완철(130,230)들을 이동시키는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300)와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00)의 정상적인 작용 여부가 자체적인 점검기능을 통해 실시간 점검되는 동시에 이상 발생 시 해당 신호가 원거리의 통합관리서버(1000)에 자동 전송되는 것이므로, 배전케이블의 장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 구성의 유지/관리가 안정적인 동시에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으로서,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에 있어,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가 설치현장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는, 전신주(1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한 쌍의 결합홈(111')이 형성되는 고정 단위완철(110), 상기 결합홈(111')에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포스트(120), 상기 가이드 포스트(120)가 관통되는 가이드홀(131)이 형성되고 일면에현수애자(140)가 결합되는 가동 단위완철(130), 상기 가이드 포스트(120)의 길이 방향 타단에 결합되는 스토퍼부재(150)를 포함하는 제1 완철(100)을 포함한다.
상기 설치현장에는 상기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의 사전 셋업과정과 사후에 관리과정에 있어서 상기 설치현장으로의 인원, 물자, 차량 진입을 제한하고 상기 설치현장(P1, P2)의 실시간 상황을 감시관리 하기위한 진입관리유닛이 구비된다.
상기 진입관리유닛은, 상기 설치현장(P1, P2)으로의 인력과 기기의 진입을 제한하고 상기 설치현장(P1, P2)의 실시간 상황을 감시관리 하기위한 진입관리유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 위치에 배치되며 진입제한을 위한 가벽을 이루도록 구비되되, 상기 진입관리유닛는, 설치위치의 지면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몸통파츠(111')와,
구동몸통파츠의 상부에 설정높이로 위치되어 진입을 제한하되, 구동몸통파츠(111')에서 다수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왕복유동 가능도록 구비되는 진입제한파츠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진입제한파츠는, 구동몸통파츠(111')의 구동력을 기반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유동되는 위치변경모듈(112')과,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에서 설정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무선비행체를 운용하기 위한 운용모듈(12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몸통파츠(111')의 슬라이딩을 위한 범위는 도면에는 일정하게 제한된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딩을 위한 좌우 이동범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운용모듈(120')은, 위치변경모듈(11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체(121')와,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로 연장체(121')에 의하여 지지되며 회동을 위한 회동구동력을 제공하는 지지몸체(122')와, 지지몸체(122')의 상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1가변지지체(131')와, 지지몸체(122')의 상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2가변지지체(132')와, 지지몸체(122')의 하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3가변지지체(133')와, 지지몸체(122')의 하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4가변지지체(134')를 포함하는 가변지지체를 포함한다.
제1가변지지체(131')의 단부에 설치되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1운용체와, 제2가변지지체(132')의 단부에 설치되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2운용체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3가변지지체(133')의 단부에 설치되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3운용체(143')와, 제4가변지지체(134')의 단부에 설치되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학 위한 제4운용체를 포함하는 운용체를 포함한다.
제1운용체(141')는 제1가변지지체(131')를 매개로,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2운용체(142')는 제2가변지지체(132')를 매개로,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진다.
제3운용체(143')는 제3가변지지체(133')를 매개로,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4운용체(144')는 제4가변지지체(134')를 매개로,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진입관리유닛(100')은,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에 따라 제1운용체(141')와 제3운용체(143') 사이에 발생되는 제1간극공간을 일부 메우기 위한 제1간극메움파츠와,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에 따라 제2운용체(142')와 제4운용체(144') 사이에 발생되는 제2간극공간을 일부 메우기 위한 제2간극메움파츠를 더 포함한다.
제1운용체(141')는, 제1가변지지체(131')에 접하는 제1접촉부(1411')와, 제1접촉부(1411')의 상부에 위치되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1412')를 포함한다.
제1접촉부(1411')는, 제1수용부(1412')로 제1전력을 제공하며, 제1수용부(1412')는 제1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제1전력을 제공한다.
제2운용체(142')는, 제2가변지지체(132')에 접하는 제2접촉부(1421')와, 제2접촉부(14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14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접촉부(1421')는, 제2수용부(1422')로 제2전력을 제공하며, 제2수용부(1422')는 제2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제2전력을 제공한다.
제3운용체(143')는, 제3가변지지체(133')에 접하는 제3접촉부(1431')와, 제3접촉부(1431')의 상부에 위치되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3수용부(1432')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3접촉부(1431')는, 제3수용부(1432')로 제3전력을 제공하며, 제3수용부(1432')는 제3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제3전력을 제공한다.
제4운용체(144')는, 제4가변지지체(134')에 접하는 제4접촉부(1441')와, 제4접촉부(1441')의 상부에 위치되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4수용부(144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4접촉부(1441')는, 제4수용부(1442')로 제4전력을 제공하며, 제4수용부(1442')는 제4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제4전력을 제공한다.
제1간극메움파츠는, 구동몸통파츠(111')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와,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에 의하여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로 지지되는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와,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에서 제2방향(Y')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와,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제1접촉부(1411')로 장착되는 제1장착체(156')가 돌출되며, 하부로 제3접촉부(1431')로 장착되는 제3장착체(155')가 돌출되는 제1보조간극메움구동부(154')를 포함한다.
한편 제1보조간극메움구동부(154')는, 제1장착체(156')가 제1접촉부(1411')를 통해 제1수용부(1412')에 제1전력을 공급하고, 제3장착체(155')가 제3접촉부(1431')를 통해 제3수용부(1432')에 제3전력을 공급한다.s
여기서 제1장착체(156')와 제3장착체(155')가 제1접촉부(1411')와 제3접촉부(1431') 상호간을 밀어내는 이격힘을 가하여, 제1접촉부(1411')와 제3접촉부(1431')로부터 지지력이 보강되도록 한다.
제2간극메움파츠는, 구동몸통파츠(111')의 타측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제2-1일측지지구조체(161')와, 제2-1일측지지구조체(161')에 의하여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로 지지되는 제2간극메움구동부(162')와, 제2간극메움구동부(162')에서 제1방향(X')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2측지지구조체(163')와, 제2-2측지지구조체(163')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제2접촉부(1421')로 장착되는 제2장착체(166')가 돌출되며, 하부로 제4접촉부(1441')로 장착되는 제4장착체(165')가 돌출되는 제2보조간극메움구동부(164')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2보조간극메움구동부(164')는, 제2장착체(166')가 제2접촉부(1421')를 통해 제2접촉부(1421')에 제2전력을 공급하고, 제4장착체(165')가 제4접촉부(1441')를 통해 제4수용부(1442')에 제4전력을 공급하되, 제2장착체(166')와 제4장착체(165')가 제2접촉부(1421')와 제4접촉부(1441') 상호간을 밀어내는 이격힘을 가하여, 제2접촉부(1421')가 제4접촉부(1441')로부터 지지 보강되도록 한다.
제1접촉부(1411')는, 외관상에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1-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1-1출력부(1411a')와, 제1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1-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1-2출력부(1411b')를 포함한다.
제2접촉부(1421')는, 외관상에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2-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2-1출력부(1422a')와, 제2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2-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2-2출력부(1422b')를 포함한다.
제3접촉부(1431')는, 외관상에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3-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3-1출력부(1431a')와, 제3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3-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3-2출력부(1432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4접촉부(1441')는, 외관상에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4-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4-1출력부(1441a')와, 제4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4-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4-2출력부(1442b')를 포함한다.
진입관리유닛(100')은, 제3접촉부(14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가변식 제1완충파츠와, 제4접촉부(144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가변식 제2완충파츠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가변식 제1완충파츠는, 위치변경모듈(112')에 설치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제1하부범퍼구동체(171')와, 제1하부범퍼구동체(17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팽창되어, 제3접촉부(143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1하부범퍼접촉체(172')를 포함한다.
제1하부범퍼접촉체(172')는, 제3접촉부(1431')가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3접촉부(1431')가 제1접촉부(1411')를 지함에 있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가변식 제2완충파츠는, 위치변경모듈(112')에 설치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제2하부범퍼구동체(181')와, 제2하부범퍼구동체(18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팽창되어, 제4접촉부(144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2하부범퍼접촉체(182')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2하부범퍼접촉체(182')는, 제4접촉부(1441')가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4접촉부(1441')가 제2접촉부(1421')를 지함에 있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진입관리유닛(100')은, 제3접촉부(14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며 가변식 제1완충파츠에서 제1방향(X')측에 이웃하도록 구비되는 가변식 제1보조완충파츠와, 제3접촉부(14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며 가변식 제1완충파츠에서 제1방향(X')측과 반대인 제2방향(Y')측에 이웃하도록 구비되는 가변식 제2보조완충파츠를 더 포함한다.
제1보조완충파츠는,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유체를 제공하는 제1보조구동체(211')와 제1보조구동체(211')에서 제공되는 유체를 기반으로 상부로 팽창되어, 제3접촉부(143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1하부보조범퍼첩촉체(212')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2보조완충파츠는,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유체를 제공하는 제2보조구동체(221')와, 제2보조구동체(221')에서 제공되는 유체를 기반으로 상부로 팽창되어, 제3접촉부(143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2하부보조범퍼접촉체(222')를 포함한다.
제1보조범퍼접촉체와 제2하부보조범퍼접촉체(222')는 제1하부범퍼접촉체(172')가 팽창된 이후에 2차적으로 팽창되어, 제1하부범퍼접촉체(172')의 제3접촉부(1431')에 대한 지지력을 보조하는 것이다.
한편 가변식 제1완충파츠는, 제1하부범퍼접촉체(172') 내부에 위치되도록 제1하부범퍼구동체(171')에서 상부로 출몰되며, 제1하부멉퍼접촉체의 내부에서 제3접촉체를 지지하도록 하는 내부지지보강체(173')를 더 포함한다.
내부지지보강체(173')는 제1보조범퍼접촉체와 제2하부보조범퍼접촉체(222')가 팽창된 이후에 3차적으로 동작되는 것이다. 진입관리유닛(100')은 전면부 혹은 후면부에 설치되는 진입제한 보강유닛에 의하여 진입제한이 보강된다.
진입제한 보강유닛(300')은, 구동몸통파츠(1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파지유닛(310')과, 구동몸통파츠(111')의 타측에 구비되며 진입관리유닛(10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2파지유닛(320')과, 제1파지유닛(310')과 제2파지유닛(320')에 사이에 파지되어 구비되고, 진입관리유닛(100') 전면부 또는 후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되는 마감패널유닛(330')을 포함한다. 마감패널유닛(330')은 진입관리유닛(100')의 전면과 후면간의 진입공간을 차단하도록 설치된다.
도 11를 참조하면 설치현장은 관리 보수 등이 이루어지는 제1설치현장(P1)과 제1설치현장(P1) 주변의 제2설치현장(P2)을 포함한다. 제1설치현장(P1)에는 직접적 관리 보수 등이 이루어지고, 제2설치현장(P2)에는 관리 보수 등을 위한 각종 대상물이 적재되어 보관된다.
여기서 제2설치현장(P2)을 둘러싸는 제1진입제한영역(L1) 내지 제4진입제한영역(L4)이 구비된다. 진입관리유닛(100')은 제1진입제한영역(L1) 내지 제4진입제한영역(L4)등 으로 설치 가능하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전신주 21,22 : 배전케이블
30 : 점퍼선 100 : 제1 완철

Claims (2)

  1.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가 설치현장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는,
    전신주(1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한 쌍의 결합홈(111')이 형성되는 고정 단위완철(110), 상기 결합홈(111')에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포스트(120), 상기 가이드 포스트(120)가 관통되는 가이드홀(131)이 형성되고 일면에현수애자(140)가 결합되는 가동 단위완철(130), 상기 가이드 포스트(120)의 길이 방향 타단에 결합되는 스토퍼부재(150)를 포함하는 제1 완철(100)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현장에는 상기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의 사전 셋업과정과 사후에 관리과정에 있어서 상기 설치현장으로의 인원, 물자, 차량 진입을 제한하고 상기 설치현장의 실시간 상황을 감시관리 하기위한 진입관리유닛(100')이 구비되고,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설치현장으로의 인력과 기기의 진입을 제한하고 상기 설치현장의 실시간 상황을 감시관리 하기위한 것으로서,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 위치에 배치되며 진입제한을 위한 가벽을 이루도록 구비되되,
    상기 진입관리유닛(100')는,
    설치위치의 지면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몸통파츠(111')와,
    상기 구동몸통파츠의 상부에 설정높이로 위치되어 진입을 제한하되,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에서 다수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왕복유동 가능도록 구비되는 진입제한파츠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진입제한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기 구동력을 기반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유동되는 위치변경모듈(112')과,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에서 설정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무선비행체를 운용하기 위한 운용모듈(1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운용모듈(120')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체(121')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로 상기 연장체(121')에 의하여 지지되며 회동을 위한 회동구동력을 제공하는 지지몸체(12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1가변지지체(131')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2가변지지체(13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3가변지지체(133')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4가변지지체(134')를 포함하는 가변지지체와,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1운용체(141')와,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2운용체(142')와,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3운용체(143')와,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학 위한 제4운용체(144')를 포함하는 운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3운용체(143')는,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4운용체(144')는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고,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1운용체(141')와 상기 제3운용체(143') 사이에 발생되는 제1간극공간을 메우기 위한 제1간극메움파츠와,
    상기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2운용체(142')와 상기 제4운용체(144') 사이에 발생되는 제2간극공간을 메우기 위한 제2간극메움파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에 접하는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1접촉부(141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14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부(1411')는,
    상기 제1수용부(1412')로 제1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수용부(1412')는 상기 제1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1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에 접하는 제2접촉부(1421')와, 상기 제2접촉부(14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14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1421')는, 상기 제2수용부(1422')로 제2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수용부(1422')는 상기 제2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2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3운용체(143')는,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에 접하는 제3접촉부(1431')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3수용부(1432')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촉부(1431')는, 상기 제3수용부(1432')로 제3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3수용부(1432')는 상기 제3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3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4운용체(144')는,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에 접하는 제4접촉부(1441')와, 상기 제4접촉부(144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4수용부(1442')를 포함하고, 상기 제4접촉부(1441')는, 상기 제4수용부(1442')로 제4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4수용부(1442')는 상기 제4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4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1간극메움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와, 상기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에 의하여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로 지지되는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와, 상기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에서 제2방향(Y)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와, 상기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상기 제1접촉부(1411')로 장착되는 제1장착체(156')가 돌출되며, 하부로 상기 제3접촉부(1431')로 장착되는 제3장착체(155')가 돌출되는 제1보조간극메움구동부(15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장착체(156')가 상기 제1접촉부(1411')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1412')에 상기 제1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3장착체(155')가 상기 제3접촉부(1431')를 통해 상기 제3수용부(1432')에 상기 제3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장착체(156')와 상기 제3장착체(155')가 상기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3접촉부(1431') 상호간을 밀어내는 이격힘을 가하여, 상기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3접촉부(1431')로부터 지지력이 보강되도록 하는,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
  2. 삭제
KR1020220151565A 2022-11-14 2022-11-14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 KR102535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565A KR102535186B1 (ko) 2022-11-14 2022-11-14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565A KR102535186B1 (ko) 2022-11-14 2022-11-14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186B1 true KR102535186B1 (ko) 2023-05-26

Family

ID=86536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565A KR102535186B1 (ko) 2022-11-14 2022-11-14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1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999B1 (ko) * 2020-03-16 2020-09-29 이원석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 시스템
KR102419889B1 (ko) * 2022-01-11 2022-07-13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지중 송전케이블 선로 누전감시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999B1 (ko) * 2020-03-16 2020-09-29 이원석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 시스템
KR102419889B1 (ko) * 2022-01-11 2022-07-13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지중 송전케이블 선로 누전감시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999B1 (ko)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 시스템
KR101158558B1 (ko) 송?배전 케이블용 앵커연결체
KR102147092B1 (ko)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
KR102167952B1 (ko) 송전용 철탑에 설치된 가공송전선로 간격유지용 스페이서
KR102606515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케이블 이상유무 감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535186B1 (ko) 전신주의 배전케이블 고정 설비 관리방법
KR20170005297A (ko) 전차선 자동장력조정장치 장력추 상하부 위치감지시스템
CN103174103B (zh) 一种远程匝道控制系统
WO2009014304A1 (en) An external trespass sensing system
KR101284270B1 (ko) 내진성능과 방진성능을 갖춘 다중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중바닥 구조물
KR102027222B1 (ko) 전신주와 배전선로의 애자 연결장치
CN107764498B (zh) 一种核电站乏燃料贮运容器高空坠落试验系统
KR102029360B1 (ko)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
US20230187913A1 (en) System for Temporarily Mounting Overhead Equipment on a Utility Pole Without Damaging the Pole and Assembly for Use Therein
KR102561703B1 (ko) 공동주택 전기배관 배선연결 시스템 및 그 모니터관리 방법
KR102536227B1 (ko)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밴드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2542829B1 (ko) 도심 가공 배전선로 절연시스템 안정화 관리설비
CN112895982A (zh) 一种铁路接触网杆加固结构及其形态控制方法
CN103628918B (zh) 公路隧道照明工程施工方法
KR102375840B1 (ko) 변전기와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안전장치 설치방법
CN204464856U (zh) 一种施工现场临电电缆架设装置
KR102551101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고정설비 및 그 감시방법
KR102334002B1 (ko) 배전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CN111026006A (zh) 一种便于观察的地铁可视化接地管理装置及安装工法
KR102052538B1 (ko) 장력 유지가 가능한 송전선로의 철탑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