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092B1 -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 - Google Patents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092B1
KR102147092B1 KR1020200055518A KR20200055518A KR102147092B1 KR 102147092 B1 KR102147092 B1 KR 102147092B1 KR 1020200055518 A KR1020200055518 A KR 1020200055518A KR 20200055518 A KR20200055518 A KR 20200055518A KR 102147092 B1 KR102147092 B1 KR 102147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panel
communication lines
communication
pair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석열
Original Assignee
(주)신화에프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에프이원 filed Critical (주)신화에프이원
Priority to KR1020200055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을 제공하며, 이는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 공간에 통신 선로들이 배치되는 보호 패널부; 상기 보호 패널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들이 배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들을 이동시키는 선로 이동부; 상기 통신 선로들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들 각각의 위치정보들을 측정하는 위치 센서들; 상기 보호 패널부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 센서들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위치 정보들을 외부 서버의 수신기로 전송하는 송신기; 및, 상기 보호 패널부의 둘레를 따라 다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 위치에서의 충격력들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충격력들 중 최하를 이루는 충격력을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충격력을 이루는 위치로, 상기 선로 이동부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선로들을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PROTECTION PANEL OF DATA COMMUNICATION LINE}
본 발명은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통신 케이블들이 지중에 매설되며, 통신 케이블들을 수용하는 보호 패널을 지중에서 항상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해당 통신 케이블의 자세 정보를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여, 지중에 배치되는 통신 케이블들의 자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산업화 및 정보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정보 통신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통신 신호 전송을 위한 시설은 더욱 확충될 필요가 있으면서도 안전한 설치상태를 더욱 요구하고 있다.
대체로 정보통신에 이용되는 선로는 피복의 케이블로 이루어진다. 특히 이러한 선로들은 도시 미관 등 여러 가지 이유를 고려하여 지중에 공동구를 형성하여 배선하거나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도 한다.
그리하여 일단 지중에 매설된 통신 선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장기간 동안 지중에 매설된 상태로 유지되지만, 선로의 보수 및 증선의 작업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득이하게 통신 선로가 있는 지중을 재굴착하지 않을 수 없다. 이때 부주의한 굴착으로 지중의 통신선로가 손상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케이블 보호판을 매설된 케이블의 상부에 덮어서 설치하기도 한다.
종래의 지중케이블 보호판은, 특허등록번호 제10-0473328호나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1161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호판의 경우, 지중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굴착시 굴삭기 등의 굴착장비들로부터 지중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하여 판재에 다수의 보강리브를 형성시키고, 지중과의 견고한 밀착을 위하여 다수의 돌기를 형성시켜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굴삭기의 버킷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버킷이 보호판에 충돌하여 보호판 자체가 파손되고 나아가 보호판의 하부에 위치된 통신 케이블이 손상되어 통신 이상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굴삭기를 통해 통신 케이블이 매설된 위치까지 굴착을 하는 도중에 통신 케이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도를 참조로 하여 통신 케이블과 충돌되지 않는 위치까지 굴착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러나 설계도가 정확하지 않거나 지중에서 통신 케이블의 매설 위치 또는 자세가 변경된 경우에는 이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케이블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들을 지중에 매설할 때, 통신 케이블들을 수용하는 보호 패널을 지중에서 항상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해당 통신 케이블의 자세 정보를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여, 지중에 배치되는 통신 케이블들의 자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에 대한 유지 보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지상에서 굴삭기의 버킷이 보호 패널로 근접되면, 통신 케이블들을 보호 패널의 내부 공간에서 최하부 영역으로 이송시켜 외부 충격으로부터 통신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에서 서술되는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은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을 제공하며, 이는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 공간에 통신 선로들이 배치되는 보호 패널부; 상기 보호 패널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들이 배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들을 이동시키는 선로 이동부; 상기 통신 선로들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들 각각의 위치정보들을 측정하는 위치 센서들; 상기 보호 패널부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 센서들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위치 정보들을 외부 서버의 수신기로 전송하는 송신기; 및, 상기 보호 패널부의 둘레를 따라 다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 위치에서의 충격력들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충격력들 중 최하를 이루는 충격력을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충격력을 이루는 위치로, 상기 선로 이동부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선로들을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로 이동부는,
상기 보호 패널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원형관과,
상기 원형관의 다수 위치에 회전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들 각각을 그립하는 그립 부재들과,
상기 원형관의 내부에 배치되면, 상기 그립 부재들 각각을 회전시키는 회전기들과,
상기 원형관의 전단 및 후단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 로드와,
상기 한 쌍의 지지 로드 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 블록과,
상기 한 쌍의 지지 블록을 XY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한 쌍의 이동기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기들과, 상기 한 쌍의 이동기들은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보호 패널부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어 상기 충격력들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들과,
상기 충격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상기 충격력들 중 최하를 이루는 충격력을 선정하고, 상기 회전기들 및 상기 한 쌍의 이동기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들의 위치를 선정된 상기 충격력을 이루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상기 제어기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에는 지중을 굴착하는 경우 발생되는 기준 충격력이 미리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되는 충격력이 상기 기준 충격력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통신 케이블들의 위치를 선정된 상기 충격력을 이루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원형관의 외주 다수 위치는,
상기 보호 패널부의 내부 공간의 내벽 다수 위치와 탄성 스프링들을 통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보호 패널부에는,
절연성 폼재를 공급하는 공급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감지되는 상기 충격력들의 평균값이, 기설정되는 위험 충격력 이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보호 패널부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절연성 폼재를 공급하여 충진시킨다.
특히 상기 보호 패널부는,
외부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틀의 내주 다수 위치에는, 신축되는 축을 갖는 실린더들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들 각각의 상기 축의 단부에는 롤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보호 패널부의 외주 다수 위치에는, 각각의 상기 롤러가 구를 수 있도록 지지되는 일정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 홈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곽틀의 상단에는 광을 감시하는 광센서가 설치되고,
지상에는, 와이어가 권취된 권취기들이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권취기들의 상기 와이어 각각의 단부는, 상기 외곽틀의 상단 사방 모서리부에 연결되고,
상기 광센서를 통해 상기 지상에서의 광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권취기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상기 와이어를 감아 상기 외곽틀을 부상시킨다.
상기 외곽틀의 상단에는,
일정 면적을 갖는 전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전자석은 전류를 제공받아 자화되되,
상기 외곽틀의 상단에는 버킷을 포함하는 금속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외부 신호 발생기를 통해 유지 보수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금속이 감지되면,
상기 전류 제공기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석을 상기 금속과 일정의 척력이 발생되도록 자화시킨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들이 지중에 매설되며, 통신 케이블들을 수용하는 보호 패널을 지중에서 항상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해당 통신 케이블의 자세 정보를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여, 지중에 배치되는 통신 케이블들의 자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에 대한 유지 보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지상에서 굴삭기의 버킷이 보호 패널로 근접되면, 통신 케이블들을 보호 패널의 내부 공간에서 최하부 영역으로 이송시켜 외부 충격으로부터 통신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선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로 이동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기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수평이 유지되는 보호 패널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외부틀이 상승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 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관한 도면들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의 구성 및 작용을 서술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선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로 이동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기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수평이 유지되는 보호 패널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외부틀이 상승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은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 공간에 통신 선로들(10)이 배치되는 보호 패널부(100)와, 상기 보호 패널부(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들(10)이 배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들(10)을 이동시키는 선로 이동부(200)와, 상기 통신 선로들(10)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들(10) 각각의 위치정보들을 측정하는 위치 센서들(300)과, 상기 보호 패널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 센서들(300)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위치 정보들을 외부 서버(600)의 수신기(610)로 전송하는 송신기(400)과, 상기 보호 패널부(100)의 둘레를 따라 다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 위치에서의 충격력들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충격력들 중 최하를 이루는 충격력을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충격력을 이루는 위치로, 상기 선로 이동부(200)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선로들(10)을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최하를 이루는 충격력은 상기 충격력들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이들 중 가장 낮은 값으로 선정된다. 즉, 제어기(520)은 선정된 충격력들에서 최저치와 최고치를 이루는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범위 내에서 가장 낮은 값을 상기 최하를 이루는 충격력으로 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520)에는 지중을 굴착하는 경우 발생되는 기준 충격력이 미리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520)는 상기 감지되는 충격력이 상기 기준 충격력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통신 케이블들(10)의 위치를 선정된 상기 충격력을 이루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선로 이동부(200)는, 상기 보호 패널부(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원형관(210)과, 상기 원형관(210)의 다수 위치에 회전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들(10) 각각을 그립하는 그립 부재들(220)과, 상기 원형관(210)의 내부에 배치되면, 상기 그립 부재들(220) 각각을 회전시키는 회전기들(230)과, 상기 원형관(210)의 전단 및 후단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 로드(240)와, 상기 한 쌍의 지지 로드(240) 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 블록(250)과, 상기 한 쌍의 지지 블록(250)을 XY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한 쌍의 이동기(260)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이동기(260) 각각은, X, Y방향을 따르는 한 쌍의 스크루(261)와, 한 쌍의 스크루 각각을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제 1모터(262)를 갖는다. 한 쌍의 스크루(261)의 일단은 보호 패널부(100)의 내벽에 회전 지지되고, 타단은 제 1모터(262)와 각각 연결되어 보호 패널부(100)의 내벽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 블록(250)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스크루(261)가 관통되어 스크루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에 제 1모터(262)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스크루(26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 블록(250)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회전기들(230)과, 상기 한 쌍의 이동기들(260)은 상기 제어 모듈(500)의 제어기(52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된다.
상기 회전기들(230) 각각은 기어축(232)을 갖는 기어(231)와 모터(233)를 갖는다. 모터(233)는 제어기(52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원형관(210)의 다수 위치에는 간격을 이루는 원형의 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그립 부재들(220) 각각은 상기 원형의 홈(211)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끝단에 형성되어 통신 선로(10)가 관통되어 지지되는 지지 부재를 갖는다. 상기 회전 부재의 내주는 상기 기어(231)와 치합된다. 상기 모터(233)는 원형관(210)의 내주에 지지대를 통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500)은, 상기 보호 패널부(10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어 상기 충격력들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들(510)과, 상기 충격 센서들(510)로부터 감지된 상기 충격력들 중 최하를 이루는 충격력을 선정하고, 상기 회전기들(230) 및 상기 한 쌍의 이동기(260)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들(10)의 위치를 선정된 상기 충격력을 이루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상기 제어기(52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원형관(210)의 외주 다수 위치는, 상기 보호 패널부(100)의 내부 공간의 내벽 다수 위치와 탄성 스프링들(미도시)을 통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보호 패널부(100)에는, 절연성 폼재를 공급하는 공급기(70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520)는, 감지되는 상기 충격력들의 평균값이, 기설정되는 위험 충격력 이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공급기(700)를 사용하여 상기 보호 패널부(100)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절연성 폼재를 공급하여 충진시킨다.
특히 상기 보호 패널부(100)는, 외부틀(8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외부틀(800)의 내주 다수 위치에는, 신축되는 축(811)을 갖는 실린더들(810)이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들(810) 각각의 상기 축의 단부에는 롤러(812)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보호 패널부(100)의 외주 다수 위치에는, 각각의 상기 롤러(812)가 구를 수 있도록 지지되는 일정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 홈들(1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 패널부(100)에 수평 센서(미도시)가 설치되는 경우, 제어기(520)는 수평 센서로부터 수평을 이루는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실린더들(810)의 축(811)을 신축시켜, 보호 패널부(100) 자체의 수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진이 발생되더라도 그 충격에 의해 보호 패널부(100)의 수평이 틀어지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통신 선로들(10)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곽틀(800)의 상단에는 광을 감시하는 광센서(820)가 설치된다.
지상에는, 와이어(831)가 권취된 권취기들(830)이 배치된다.
상기 권취기들(830) 각각의 상기 와이어(831) 각각의 단부는, 상기 외곽틀(800)의 상단 사방 모서리부에 연결된다.
상기 광센서(820)를 통해 상기 지상에서의 광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기(520)는, 상기 권취기들(830)을 사용하여 각각의 상기 와이어(831)를 감아 상기 외곽틀을 부상시킨다.
상기 외곽틀(800)의 상단에는, 일정 면적을 갖는 전자석(840)이 배치된다.
상기 전자석(840)은 전류 제공기(850)로부터 전류를 제공받아 자화된다.
상기 외곽틀(800)의 상단에는 버킷을 포함하는 금속을 감지하는 센서(86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520)는, 외부 신호 발생기(미도시)를 통해 유지 보수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센서(860)를 통해 상기 금속이 감지되면, 상기 전류 제공기(850)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석(840)을 상기 금속과 일정의 척력이 발생되도록 자화시킨다.
이를 통해 유지 보수 기간이 아닌 경우 굴삭기의 버킷이 근접되면 척력을 사용하여 버킷이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외부틀 및 보호 패널부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들을 지중에 매설되며, 통신 케이블들을 수용하는 보호 패널을 지중에서 항상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해당 통신 케이블의 자세 정보를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여, 지중에 배치되는 통신 케이블들의 자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에 대한 유지 보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지상에서 굴삭기의 버킷이 보호 패널로 근접되면, 통신 케이블들을 보호 패널의 내부 공간에서 최하부 영역을 이송시켜 외부 충격으로부터 통신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보호 패널부
200 : 선로 이동부
300 : 위치 센서들
400 : 송신기
500 : 제어 모듈

Claims (4)

  1.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 공간에 통신 선로들이 배치되는 보호 패널부;
    상기 보호 패널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들이 배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들을 이동시키는 선로 이동부;
    상기 통신 선로들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들 각각의 위치정보들을 측정하는 위치 센서들;
    상기 보호 패널부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 센서들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위치 정보들을 외부 서버의 수신기로 전송하는 송신기; 및,
    상기 보호 패널부의 둘레를 따라 다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 위치에서의 충격력들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충격력들 중 최하를 이루는 충격력을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충격력을 이루는 위치로, 상기 선로 이동부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선로들을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선로 이동부는,
    상기 보호 패널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원형관과,
    상기 원형관의 다수 위치에 회전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들 각각을 그립하는 그립 부재들과,
    상기 원형관의 내부에 배치되면, 상기 그립 부재들 각각을 회전시키는 회전기들과,
    상기 원형관의 전단 및 후단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 로드와,
    상기 한 쌍의 지지 로드 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 블록과,
    상기 한 쌍의 지지 블록을 XY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한 쌍의 이동기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기들과, 상기 한 쌍의 이동기들은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보호 패널부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어 상기 충격력들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들과,
    상기 충격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상기 충격력들 중 최하를 이루는 충격력을 선정하고, 상기 회전기들 및 상기 한 쌍의 이동기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들의 위치를 선정된 상기 충격력을 이루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상기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관의 외주 다수 위치는,
    상기 보호 패널부의 내부 공간의 내벽 다수 위치와 탄성 스프링들을 통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보호 패널부에는,
    절연성 폼재를 공급하는 공급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감지되는 상기 충격력들의 평균값이, 기설정되는 위험 충격력 이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보호 패널부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절연성 폼재를 공급하여 충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
KR1020200055518A 2020-05-09 2020-05-09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 KR102147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518A KR102147092B1 (ko) 2020-05-09 2020-05-09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518A KR102147092B1 (ko) 2020-05-09 2020-05-09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092B1 true KR102147092B1 (ko) 2020-08-24

Family

ID=7223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518A KR102147092B1 (ko) 2020-05-09 2020-05-09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0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326B1 (ko) * 2020-12-02 2021-07-23 (주)경문기술단 단지내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
KR102422360B1 (ko) * 2021-04-02 2022-07-19 (주)케이제이종합감리 공동주택용 지중 배전선로 보호장치
KR102495501B1 (ko) * 2022-09-08 2023-02-06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단지 내 지중 전력케이블 접속 브래킷 설비
KR102640612B1 (ko) * 2023-10-11 2024-02-27 주식회사 행복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포함되는 전선 위치 감시 및 유지보수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건축물에 포함되는 전선 위치 감시 및 유지보수방법
KR102642706B1 (ko) 2023-05-18 2024-03-04 (주)조이엔지니어링 아두이노 수평유지장치를 이용한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패널
KR102668984B1 (ko) 2023-12-18 2024-05-24 주식회사 아키덤엔지니어링 단지내 지중 전력선로 보호관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447B1 (ko) * 2014-12-29 2015-03-09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송배전용 진동방지장치
KR102074622B1 (ko) * 2019-09-27 2020-02-06 김지원 송배전용 지중 전력 케이블 방호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447B1 (ko) * 2014-12-29 2015-03-09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송배전용 진동방지장치
KR102074622B1 (ko) * 2019-09-27 2020-02-06 김지원 송배전용 지중 전력 케이블 방호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326B1 (ko) * 2020-12-02 2021-07-23 (주)경문기술단 단지내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
KR102422360B1 (ko) * 2021-04-02 2022-07-19 (주)케이제이종합감리 공동주택용 지중 배전선로 보호장치
KR102495501B1 (ko) * 2022-09-08 2023-02-06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단지 내 지중 전력케이블 접속 브래킷 설비
KR102642706B1 (ko) 2023-05-18 2024-03-04 (주)조이엔지니어링 아두이노 수평유지장치를 이용한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패널
KR102640612B1 (ko) * 2023-10-11 2024-02-27 주식회사 행복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포함되는 전선 위치 감시 및 유지보수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건축물에 포함되는 전선 위치 감시 및 유지보수방법
KR102668984B1 (ko) 2023-12-18 2024-05-24 주식회사 아키덤엔지니어링 단지내 지중 전력선로 보호관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092B1 (ko)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 패널
KR102374358B1 (ko) 케이블포설장치
US7496459B2 (en) Intelligent, self-propelled automatic grid crawler high impedance fault detector and high impedance fault detecting system
KR102062819B1 (ko) 단지 내 통신 케이블 고장 진단 시스템
KR101039358B1 (ko)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2147981B1 (ko) 배전선로 고장구간 자동 검출 개폐설비
KR100908687B1 (ko) 합선방지용 배전선 인입대
KR101038748B1 (ko)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CN110006383B (zh) 一种适用于滑坡深部大位移的监测装置
KR102186779B1 (ko) 지중배전선로의 실시간 감시 시스템
KR101995483B1 (ko) 지중 전선 보호관 구조물
KR102199752B1 (ko) 이동 센싱을 통한 지중 배전선로 구간별 고장 검출 및 자동 복구 장치
KR101035693B1 (ko) 지중배전선의 배전반 접속전용 커넥터
KR102167874B1 (ko) 내진성능을 갖는 배전용 지중 전력케이블 구조
KR102084137B1 (ko) 가공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검출시스템
KR102606515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케이블 이상유무 감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160999B1 (ko)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 시스템
JP4636217B2 (ja) 地滑り検出システム
KR100906790B1 (ko) 배전선 격리형 절연패널
KR102147972B1 (ko) 단지내 지중통신 케이블 이음설비
KR102132287B1 (ko) 공동주택의 전기 케이블 배선 지지구
KR101418768B1 (ko)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US20210262337A1 (en) Track synchronization moving apparatus of wellbore insp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86067B1 (ko) 단지내 전력 지중케이블 방호구조
CN104112337A (zh) 输电线路通道保护报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