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358B1 - 케이블포설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포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358B1
KR102374358B1 KR1020210122114A KR20210122114A KR102374358B1 KR 102374358 B1 KR102374358 B1 KR 102374358B1 KR 1020210122114 A KR1020210122114 A KR 1020210122114A KR 20210122114 A KR20210122114 A KR 20210122114A KR 102374358 B1 KR102374358 B1 KR 102374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oller
buffer
groove
devi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만
Original Assignee
정석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만 filed Critical 정석만
Priority to KR1020210122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65H51/08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 B65H51/10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with opposed coacting surfaces, e.g. providing n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을 당겨 케이블이 포설될 수 있도록 하며,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덕트와 케이블이 매립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포설장치{Cable laying equipment}
본 발명은 케이블포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당겨 케이블이 포설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 배전용으로 사용되는 각종 전력 케이블은 지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철탑을 세우거나 지중에 관로 또는 공동구(전력구)를 설치하여 시공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전력 케이블이 산이나 들판 등을 지나게 될 경우에는 지상에 철탑을 세워 시공하는 방법이나 지중에 관로 또는 공동구(전력구)를 설치하여 시공하는 방법 중 어떠한 방법을 이용하여 시공을 하여도 문제가 되지 않으나, 상기 전력 케이블이 강이나 하천 또는 바다를 지나가게 될 경우에는 철탑을 세우거나 지중으로 공동구(전력구)를 설치할 수가 없으므로 시공 상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상기 전력 케이블을 폭이 넓은 강이나 하천 또는 바다를 가로질러 시공할 경우에는 상기 전력 케이블은 강이나 하천 또는 바다를 가로지르는 교량에 포설된다.
한편, 일반적인 전력케이블의 포설방법으로는 상기 전력 케이블을 교량에 포설하기 위해서는 지상에 위치한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교량 하단에 형성된 포설 공간부까지 전력 케이블을 인출하여 올리기 위해 지상으로부터 교량 하단까지 이르는 높이의 가설물인 포설 비계를 지상에 설치하고, 상기 포설 비계(飛階)와 교량 하부에 형성된 포설 공간부에 상기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캐터필러를 소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하며, 상기 복수개의 캐터필러 사이에는 상기 전력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롤러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포설 비계와 캐터필러 및 롤러의 설치를 완료한 후 상기 복수개의 캐터필러를 작동시키게 되면 케이블 드럼에 권취되어 있는 전력 케이블이 상기 복수개의 캐터필러에 의해 상기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인출되어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포설된다.
여기서, 상기 캐터필러는 상기 전력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교량의 끝단부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전력 케이블을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포설하는 것으로서, 상기 캐터필러를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20m 내지 30m의 간격으로 설치해야만 상기 전력 케이블을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무리 없이 포설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캐터필러는 수백 킬로그램 내지 1톤 정도 되는 중량물이므로 복수개의 캐터필러를 지상으로부터 포설 공간부로 이동시켜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교량에 형성된 포설 공간부에는 통상적으로 20m 내외의 간격으로 횡보나 주교 등과 같은 구조물이 존재하여 수 백 킬로그램 내지 1톤 정도 되는 중량물인 캐터필러를 작업자가 지나다니기에도 협소한 140cm 내외의 높이와 통로가 협소하게 형성된 포설 공간부 내에서 리프팅시켜 이동시켜야 되는 구간이 수십 회 이상 존재됨으로써 캐터필러와 롤러, 전원선 등의 설치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어려움으로써 과도한 작업인원과 장비의 투입은 물론 시공 시간이 오래 걸리며, 작업 안전성도 확보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20-0463628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1-0045722호
본 발명은 작업자가 케이블이 설치될 레일 위로 올라가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케이블을 이동시킴으로 작업의 신속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을 당겨 포설시키기 위한 케이블포설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포설장치는, 케이블이 상면으로 지나도록 구동함체 상부로 안착 형성되는 장치플레이트와, 고정파워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내장되도록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는 구동함체와, 장치플레이트 상에 진입되는 케이블의 외주면이 장치플레이트와 마찰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구동함체 전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롤러고정부재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전면가이드롤러와, 장치플레이트 상면을 지나 타측으로 이동되는 케이블이 장치플레이트와 마찰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구동함체 후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롤러고정부재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후면가이드롤러와, 전면가이드롤러를 구동함체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동함체 전면 양측과 후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롤러고정부재와, 투입되는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간격조절파워볼을 고정파워볼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함체 상면에 형성되는 간격조절홈과, 케이블과 접촉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장치플레이트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파워볼과,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고정파워볼 측으로 케이블을 밀착시키기 위해 간격조정홈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간격조절파워볼과,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간격조절파워볼을 고정파워볼 측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구동함체 일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간격조절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포설장치는, 포설되는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포설장치 상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완충부재를 지지하도록 구동함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고정대와, 고정롤러와 완충롤러가 결합 될 수 있도록 고정대 상부로 형성되는 완충부재와, 완충스프링이 내장되며, 완충롤러의 양측 끝단이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완충부재 상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완충홈과, 케이블 직경에 따라 완충롤러가 상측으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수직완충홈 상에 형성되는 완충스프링과, 조절핸들의 회전시 완충스프링을 압축시켜 완충롤러의 텐션이 조절되도록 완충스프링 상부로 조절핸들과 연결 형성되는 조절부재와, 조절부재를 완충롤러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완충부재 상부로 형성되는 조절핸들과,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상측으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에 형성된 수직완충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완충롤러와, 진입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며, 완충롤러의 완충작용시 케이블이 눌려지는 힘을 지지하도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에 결합 형성되는 고정롤러와, 케이블의 좌우 흔들림을 잡아주기 위해 형성되는 수평가이드롤러의 롤러축이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치플레이트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평완충홈과, 수평가이드롤러가 수평방향으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수평완충홈 상에 형성되는 수평스프링과, 수평가이드롤러를 지지하도록 일측이 수평가이드롤러에 결합되고, 타측이 수평완충홈에 삽입 형성되는 롤러축과, 이동되는 케이블의 좌우측으로 흔들림을 잡아주도록 롤러축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평가이드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조물에 케이블을 시공하거나, 건물 내부 천장에 케이블을 매립하기 위한 전기공사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공사장치는, 구조물에 케이블을 시공하기 위한 덕트공사수단; 또는 건물 천장에 케이블을 매립 시공하기 위한 매립공사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선택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덕트공사수단은, 구조물에 케이블을 안착될 수 있도록 양측의 틀로 형성되는 케이블트레이와, 케이블트레이를 지지하도록 구조물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트레이지지대와, 케이블트레이 상에 복수개의 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케이블트레이를 상호 연결하며,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지지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립공사수단은,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어 천장에 매립 형성되는 케이블매립함과, 케이블매립함을 천장 내부로 형성되는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일측이 벽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케이블매립함 상면에 연결 형성되는 함지지대와, 케이블관통구를 관통하여 케이블매립함 내부로 진입하는 케이블을 케이블매립함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케이블매립함 내부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케이블고정대와, 케이블매립함 내부로 케이블이 진입하거나, 타측으로 진출될 수 있도록 케이블매립함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케이블관통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공사장치는, 시공되는 복수의 케이블 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히기 위해 케이블트레이 상에 형성되는 케이스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슬라이드부는, 제1구동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해 케이블트레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스크류모터와, 제1구동스크류를 케이블트레이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양측으로 형성되는 케이블트레이 내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스크류고정부재와, 제1스크류모터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양측의 케이블트레이 내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스크류고정부재에 결합 형성되는 제1구동스크류와, 복수의 케이블 중 어느 하나의 케이블이 안착되도록 제1구동스크류에 결합 형성되는 제1안착부재와, 슬라이드감지센서가 감지할 수 있도록 제1안착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감지부재와, 제2구동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해 케이블트레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스크류모터와, 제2구동스크류를 케이블트레이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양측으로 형성되는 케이블트레이 내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스크류고정부재와, 제2스크류모터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양측의 케이블트레이 내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스크류고정부재에 결합 형성되는 제2구동스크류와, 복수의 케이블 중 어느 하나의 케이블이 안착되도록 제2구동스크류에 결합 형성되는 제2안착부재와, 슬라이드감지부재를 감지하기 위해 제2안착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을 높은 위치와 원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의 신속성과 안전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덕트에 설치하고 천장에 매립함으로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케이블을 쉽게 정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케이블포설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케이블포설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이탈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케이블포설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케이블자동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케이블포설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케이블변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케이블포설장치(1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포설장치(100)는 케이블을 당겨 일측에서 타측으로 낮은곳에서 높은곳으로 포설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포설장치(100)는 장치플레이트(110), 구동함체(111), 전면가이드롤러(112), 후면가이드롤러(113), 롤러고정부재(114), 간격조절홈(115), 고정파워볼(116), 간격조절파워볼(117), 간격조절바(1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치플레이트(110)는 케이블이 상면으로 지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치플레이트(110)는 구동함체(111) 상부로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함체(111)는 고정파워볼(116)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함체(111)는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가이드롤러(112)는 장치플레이트(110) 상에 진입되는 케이블의 외주면이 장치플레이트(110)와 마찰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가이드롤러(112)는 구동함체(111) 전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롤러고정부재(114)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가이드롤러(113)는 장치플레이트(110) 상면을 지나 타측으로 이동되는 케이블이 장치플레이트(110)와 마찰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후면가이드롤러(113)는 구동함체(111) 후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롤러고정부재(114)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고정부재(114)는 전면가이드롤러(112)를 구동함체(111)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고정부재(114)는 구동함체(111) 전면 양측과 후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홈(115)은 투입되는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간격조절파워볼(117)을 고정파워볼(116)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간격조절홈(115)은 구동함체(111)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파워볼(116)은 케이블과 접촉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파워볼(116)은 장치플레이트(110)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파워볼(117)은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고정파워볼(116) 측으로 케이블을 밀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간격조절파워볼(117)은 간격조정홈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바(118)는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간격조절파워볼(117)을 고정파워볼(116) 측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간격조절바(118)는 구동함체(111) 일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케이블포설장치(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이탈방지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부(200)는 케이블포설장치(100)에 더 포함되는 구성으로, 상기 이탈방지부(200)는 포설되는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포설장치(10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부(200)는 고정대(210), 완충부재(211), 수직완충홈(212), 완충스프링(213), 조절부재(214), 조절핸들(215), 완충롤러(216), 고정롤러(217), 수평완충홈(218), 수평스프링(219), 롤러축(220), 수평가이드롤러(221)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대(210)는 완충부재(211)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대(210)는 구동함체(111)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211)는 고정롤러(217)와 완충롤러가 결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부재(211)는 고정대(2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완충홈(212)은 완충스프링(213)이 내장되며, 완충롤러(216)의 양측 끝단이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완충홈(212)은 완충부재(211) 상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스프링(213)은 케이블 직경에 따라 완충롤러(216)가 상측으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스프링(213)은 수직완충홈(212)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재(214)는 조절핸들(215)의 회전시 완충스프링(213)을 압축시켜 완충롤러(216)의 텐션이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부재(214)는 완충스프링(213) 상부로 조절핸들(215)과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핸들(215)은 조절부재(214)를 완충롤러(216)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핸들(215)은 완충부재(211)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롤러(216)는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상측으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롤러(216)는 양측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211)에 형성된 수직완충홈(212)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롤러(217)는 진입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며, 완충롤러(216)의 완충작용시 케이블이 눌려지는 힘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롤러(217)는 양측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211)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완충홈(218)은 케이블의 좌우 흔들림을 잡아주기 위해 형성되는 수평가이드롤러(221)의 롤러축(220)이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완충홈(218)은 장치플레이트(1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스프링(219)은 수평가이드롤러(221)가 수평방향으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스프링(219)은 수평완충홈(218)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축(220)은 수평가이드롤러(221)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축(220)은 일측이 수평가이드롤러(221)에 결합되고, 타측이 수평완충홈(218)에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가이드롤러(221)는 이동되는 케이블의 좌우측으로 흔들림을 잡아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가이드롤러(221)는 롤러축(220)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케이블포설장치(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케이블자동감지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자동감지부(300)는 케이블포설장치(100)에 더 포함되는 구성으로, 상기 케이블자동감지부(300)는 진입되는 케이블의 직경을 감지하여 간격조절파워볼(117)을 고정파워볼(116)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장치플레이트(11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자동감지부(300)는 간격감지부재(310), 간격감지센서(311), 조절스크류(312), 스크류모터(313), 스크류부재(314), 속도감지센서(315)로 이루어진다.
상기 간격감지부재(310)는 케이블의 직경감지시 간격감지센서(311)에서 센싱되는 간격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간격감지부재(310)는 장치플레이트(110)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감지센서(311)는 케이블의 직경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간격감지센서(311)는 장치플레이트(110)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스크류(312)는 감지되는 케이블의 직경에 맞게 간격조절파워볼(117)을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스크류(312)는 간격조절홈(115)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모터(313)는 조절스크류(31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모터(313)는 구동함체(1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부재(314)는 조절스크류(312)의 회전시 간격조절파워볼(117)이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부재(314)는 일측이 간격조절파워볼(117)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조절스크류(312)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도감지센서(315)는 고정파워볼(116)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구동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속도감지센서(315)는 장치플레이트(110)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케이블포설장치(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케이블변환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변환부(400)는 케이블포설장치(100)에 더 포함되는 구성으로, 상기 케이블변환부(400)는 진입되는 케이블의 방향을 변환시켜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 측으로 케이블이 꺽여 진행되도록 장치플레이트(110)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변환부(400)는 밀착홈(410), 고정롤러(411), 밀착바(412), 밀착핸들(413), 제1전환홈(414), 제1전환실린더(415), 제1전환롤러(416), 제1전환램프(417), 제2전환홈(418), 제2전환실린더(419), 제2전환롤러(420), 제2전환램프(421), 방향전환버튼(4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홈(410)은 밀착스프링이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홈(410)은 장치플레이트(110) 상면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롤러(411)는 밀착홈(410)을 따라 케이블의 진입과 케이블의 방향전환시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롤러(411)는 밀착홈(410)에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바(412)는 밀착스프링을 고정롤러(411) 측으로 이동되어 밀착스프링의 완충력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바(412)는 밀착홈(410)과 밀착스프링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핸들(413)은 밀착바(412)를 고정롤러(411)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핸들(413)은 구동함체(111) 일측으로 밀착바(412)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전환홈(414)은 제1전환롤러(416)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전환홈(414)은 장치플레이트(110)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전환실린더(415)는 제1전환롤러(416)를 제1전환홈(414)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전환실린더(415)는 구동함체(1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전환롤러(416)는 이동되는 케이블의 방향을 일측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전환롤러(416)는 제1전환실린더(415)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전환램프(417)는 제1전환롤러(416)가 제2전환롤러(420) 측으로 이동시 제1전환롤러(416) 측으로의 방향 전환을 알리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전환램프(417)는 장치플레이트(110)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전환홈(418)은 제2전환롤러(42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전환홈(418)은 장치플레이트(110)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전환실린더(419)는 제2전환롤러(420)를 제2전환홈(418)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전환실린더(419)는 구동함체(111)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전환롤러(420)는 이동되는 케이블의 방향을 타측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전환롤러(420)는 제2전환실린더(419)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전환램프(421)는 제2전환롤러(420)가 제1전환롤러(416) 측으로 이동시 제2전환롤러(420) 측으로의 방향 전환을 알리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전환램프(421)는 장치플레이트(110)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향전환버튼(422)은 제1전환실린더(415)와 제2전환실린더(419)를 각각 작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방향전환버튼(422)은 장치플레이트(110)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이탈방지부(200)와 케이블자동감지부(300)와 케이블변환부(40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케이블포설장치
110 : 장치플레이트 111 : 구동함체
112 : 전면가이드롤러 113 : 후면가이드롤러
114 : 롤러고정부재 115 : 간격조절홈
116 : 고정파워볼 117 : 간격조절파워볼
118 : 간격조절바
200 : 이탈방지부
210 : 고정대 211 : 완충부재
212 : 수직완충홈 213 : 완충스프링
214 : 조절부재 215 : 조절핸들
216 : 완충롤러 217 : 고정롤러
218 : 수평완충홈 219 : 수평스프링
220 : 롤러축 221 : 수평가이드롤러
300 : 케이블자동감지부
310 : 간격감지부재 311 : 간격감지센서
312 : 조절스크류 313 : 스크류모터
314 : 스크류부재 315 : 속도감지센서
400 : 케이블변환부
410 : 밀착홈 411 : 고정롤러
412 : 밀착바 413 : 밀착핸들
414 : 제1전환홈 415 : 제1전환실린더
416 : 제1전환롤러 417 : 제1전환램프
418 : 제2전환홈 419 : 제2전환실린더
420 : 제2전환롤러 421 : 제2전환램프
422 : 방향전환버튼
500 : 전기공사장치
510 : 덕트공사수단 511 : 케이블트레이
512 : 트레이지지대 513 : 케이블지지구
530 : 매립공사수단 531 : 케이블매립함
532 : 함지지대 533 : 케이블고정대
534 : 케이블관통구
600 : 케이스슬라이드부
610 : 제1스크류모터 611 : 제1스크류고정부재
612 : 제1구동스크류 613 : 제1안착부재
614 : 슬라이드감지부재 615 : 제2스크류모터
616 : 제2스크류고정부재 617 : 제2구동스크류
618 : 제2안착부재 619 : 슬라이드감지센서
700 : 고정승하강부
710 : 승하강실린더 711 : 승하강패널
712 : 승하강가이드바 713 : 가이드바롤러
714 : 회전탄성핀 715 : 회전탄성힌지
800 : 각도변환부
810 : 제1핀홈 811 : 제1롤러핀
812 : 제1전환롤러 813 : 제1전환실린더
814 : 제2핀홈 815 : 제2롤러핀
816 : 제2전환롤러 817 : 제2전환실린더
818 : 위치감지센서 819 : 레일고정대
820 : 전환레일 821 : 전환배출구

Claims (3)

  1.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고정파워볼과 고정파워볼 측으로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간격조절파워볼의 사이에에서 진입하는 케이블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낮은곳에서 높은곳으로 당겨 포설시키기 위한 케이블포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포설장치는,
    케이블이 상면으로 지나도록 구동함체 상부로 안착 형성되는 장치플레이트와,
    고정파워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내장되도록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는 구동함체와,
    장치플레이트 상에 진입되는 케이블의 외주면이 장치플레이트와 마찰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구동함체 전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롤러고정부재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전면가이드롤러와,
    장치플레이트 상면을 지나 타측으로 이동되는 케이블이 장치플레이트와 마찰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구동함체 후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롤러고정부재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후면가이드롤러와,
    전면가이드롤러를 구동함체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동함체 전면 양측과 후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롤러고정부재와,
    투입되는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간격조절파워볼을 고정파워볼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함체 상면에 형성되는 간격조절홈과,
    케이블과 접촉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장치플레이트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파워볼과,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고정파워볼 측으로 케이블을 밀착시키기 위해 간격조정홈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간격조절파워볼과,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간격조절파워볼을 고정파워볼 측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구동함체 일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간격조절바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블포설장치는,
    포설되는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포설장치 상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완충부재를 지지하도록 구동함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고정대와,
    고정롤러와 완충롤러가 결합 될 수 있도록 고정대 상부로 형성되는 완충부재와,
    완충스프링이 내장되며, 완충롤러의 양측 끝단이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완충부재 상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완충홈과,
    케이블 직경에 따라 완충롤러가 상측으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수직완충홈 상에 형성되는 완충스프링과,
    조절핸들의 회전시 완충스프링을 압축시켜 완충롤러의 텐션이 조절되도록 완충스프링 상부로 조절핸들과 연결 형성되는 조절부재와,
    조절부재를 완충롤러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완충부재 상부로 형성되는 조절핸들과,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상측으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에 형성된 수직완충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완충롤러와,
    진입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며, 완충롤러의 완충작용시 케이블이 눌려지는 힘을 지지하도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에 결합 형성되는 고정롤러와,
    케이블의 좌우 흔들림을 잡아주기 위해 형성되는 수평가이드롤러의 롤러축이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치플레이트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평완충홈과,
    수평가이드롤러가 수평방향으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수평완충홈 상에 형성되는 수평스프링과,
    수평가이드롤러를 지지하도록 일측이 수평가이드롤러에 결합되고, 타측이 수평완충홈에 삽입 형성되는 롤러축과,
    이동되는 케이블의 좌우측으로 흔들림을 잡아주도록 롤러축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평가이드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포설장치는,
    진입되는 케이블의 직경을 감지하여 간격조절파워볼을 고정파워볼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장치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케이블자동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자동감지부는,
    케이블의 직경감지시 간격감지센서에서 센싱되는 간격을 감지하도록 장치플레이트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감격감지부재와,
    케이블의 직경을 감지하도록 장치플레이트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감격감지센서와,
    감지되는 케이블의 직경에 맞게 간격조절파워볼을 이동시키기 위해 간격조절홈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조절스크류와,
    조절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도록 구동함체 일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모터와,
    조절스크류의 회전시 간격조절파워볼이 이동되도록 일측이 간격조절파워볼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조절스크류에 결합 형성되는 스크류부재와,
    고정파워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구동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장치플레이트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속도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포설장치는,
    진입되는 케이블의 방향을 변환시켜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 측으로 케이블이 꺽여 진행되도록 장치플레이트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케이블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변환부는,
    밀착스프링이 내장되도록 장치플레이트 상면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밀착홈과,
    밀착홈을 따라 케이블의 진입과 케이블의 방향전환시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밀착홈에 삽입 형성되는 고정롤러와,
    밀착스프링을 고정롤러 측으로 이동되어 밀착스프링의 완충력을 조절하도록 밀착홈과 밀착스프링 사이에 형성되는 밀착바와,
    밀착바를 고정롤러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함체 일측으로 밀착바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밀착핸들과,
    제1전환롤러가 이동될 수 있도록 장치플레이트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전환홈과,
    제1전환롤러를 제1전환홈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함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전환실린더와,
    이동되는 케이블의 방향을 일측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제1전환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제1전환롤러와,
    제1전환롤러가 제2전환롤러 측으로 이동시 제1전환롤러 측으로의 방향 전환을 알리기 위해 장치플레이트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전환램프와,
    제2전환롤러가 이동될 수 있도록 장치플레이트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전환홈과,
    제2전환롤러를 제2전환홈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함체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전환실린더와,
    이동되는 케이블의 방향을 타측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제2전환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제2전환롤러와,
    제2전환롤러가 제1전환롤러 측으로 이동시 제2전환롤러 측으로의 방향 전환을 알리기 위해 장치플레이트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전환램프와,
    제1전환실린더와 제2전환실린더를 각각 작동시키기 위해 장치플레이트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방향전환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포설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122114A 2021-09-14 2021-09-14 케이블포설장치 KR102374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114A KR102374358B1 (ko) 2021-09-14 2021-09-14 케이블포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114A KR102374358B1 (ko) 2021-09-14 2021-09-14 케이블포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358B1 true KR102374358B1 (ko) 2022-03-15

Family

ID=80816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114A KR102374358B1 (ko) 2021-09-14 2021-09-14 케이블포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35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4057A (zh) * 2022-03-29 2022-06-17 国网河南省电力公司栾川县供电公司 一种电力输电线路铺设用辅助装置
CN114852783A (zh) * 2022-05-12 2022-08-05 浙江海岩电子电缆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阻燃电缆及其收卷装置
CN115009924A (zh) * 2022-07-19 2022-09-06 无锡市锡山江海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高效的双工位自动收线机组
CN115128755A (zh) * 2022-07-25 2022-09-30 上海天华云应用技术有限公司 一种光缆生产用牵引机构
CN115140604A (zh) * 2022-06-28 2022-10-04 国网河南省电力公司新乡县供电公司 一种线缆沟线缆敷设系统
KR102473373B1 (ko) * 2022-08-18 2022-12-06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케이블 송출장치
CN116470440A (zh) * 2023-05-17 2023-07-21 嘉兴市恒光电力建设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电缆施工用铺设机构
CN117394204A (zh) * 2023-12-08 2024-01-12 松原市诚大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架设牵引装置
CN117410887A (zh) * 2023-12-11 2024-01-16 长缆电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缆敷设系统、速度控制方法及使用方法
KR102663348B1 (ko) * 2023-09-11 2024-05-14 한화오션 주식회사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628Y1 (ko) 2011-08-16 2012-11-14 허광학 케이블 포설기
KR20170075104A (ko) * 2015-12-22 2017-07-03 주식회사 포스코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케이블 이동대차
KR20200129019A (ko) * 2019-05-07 2020-11-17 이상우 전력 케이블 풀러
KR102187338B1 (ko) * 2020-06-12 2020-12-04 허효원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
KR20210045722A (ko) 2019-10-17 2021-04-27 조성준 아파트 전기설비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628Y1 (ko) 2011-08-16 2012-11-14 허광학 케이블 포설기
KR20170075104A (ko) * 2015-12-22 2017-07-03 주식회사 포스코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케이블 이동대차
KR20200129019A (ko) * 2019-05-07 2020-11-17 이상우 전력 케이블 풀러
KR20210045722A (ko) 2019-10-17 2021-04-27 조성준 아파트 전기설비 시공방법
KR102187338B1 (ko) * 2020-06-12 2020-12-04 허효원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4057B (zh) * 2022-03-29 2023-07-04 国网河南省电力公司栾川县供电公司 一种电力输电线路铺设用辅助装置
CN114634057A (zh) * 2022-03-29 2022-06-17 国网河南省电力公司栾川县供电公司 一种电力输电线路铺设用辅助装置
CN114852783A (zh) * 2022-05-12 2022-08-05 浙江海岩电子电缆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阻燃电缆及其收卷装置
CN114852783B (zh) * 2022-05-12 2024-02-20 浙江海岩电子电缆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阻燃电缆及其收卷装置
CN115140604B (zh) * 2022-06-28 2024-01-09 国网河南省电力公司新乡县供电公司 一种线缆沟线缆敷设系统
CN115140604A (zh) * 2022-06-28 2022-10-04 国网河南省电力公司新乡县供电公司 一种线缆沟线缆敷设系统
CN115009924B (zh) * 2022-07-19 2024-01-09 无锡市锡山江海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高效的双工位自动收线机组
CN115009924A (zh) * 2022-07-19 2022-09-06 无锡市锡山江海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高效的双工位自动收线机组
CN115128755A (zh) * 2022-07-25 2022-09-30 上海天华云应用技术有限公司 一种光缆生产用牵引机构
KR102473373B1 (ko) * 2022-08-18 2022-12-06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케이블 송출장치
CN116470440A (zh) * 2023-05-17 2023-07-21 嘉兴市恒光电力建设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电缆施工用铺设机构
KR102663348B1 (ko) * 2023-09-11 2024-05-14 한화오션 주식회사 Lng 저장탱크용 발판 대빗 장치
CN117394204A (zh) * 2023-12-08 2024-01-12 松原市诚大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架设牵引装置
CN117394204B (zh) * 2023-12-08 2024-02-13 松原市诚大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架设牵引装置
CN117410887A (zh) * 2023-12-11 2024-01-16 长缆电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缆敷设系统、速度控制方法及使用方法
CN117410887B (zh) * 2023-12-11 2024-04-02 长缆电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缆敷设系统、速度控制方法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358B1 (ko) 케이블포설장치
CN106064775B (zh) 用于测量安装平台在电梯井中的位置的装置和方法
KR102005696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399045B1 (ko)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보호패널
CN110774289B (zh) 一种风井巡检机器人
KR101438491B1 (ko)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261458B1 (ko)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KR102337852B1 (ko) 지중배전선의 코너 배치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0923920B1 (ko) 케이블 포설용 써포트 로울러
KR102155894B1 (ko)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901823B1 (ko) 막구조 장력조절장치
KR20170005297A (ko) 전차선 자동장력조정장치 장력추 상하부 위치감지시스템
KR101848089B1 (ko)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보호패널
KR102374360B1 (ko) 전기공사장치
KR101081367B1 (ko) 통신 케이블용 조가선의 간격 조정 및 유지 지그
KR101418768B1 (ko)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KR101307450B1 (ko) 기울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광케이블 견인장치
EP3702314A1 (en) Elevating device for high-elevation installation equipment
KR100929659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204406B1 (ko)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
KR102000206B1 (ko) 센서 위치조정 장치
KR101678551B1 (ko) 상부설비 인양용 윈치 웨이트 무대구동장치
US10511747B2 (en) Suspension system for supporting and moving equipment
CN213479851U (zh) 检测设备
KR200370951Y1 (ko) 와이어 권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