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338B1 -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338B1
KR102187338B1 KR1020200071729A KR20200071729A KR102187338B1 KR 102187338 B1 KR102187338 B1 KR 102187338B1 KR 1020200071729 A KR1020200071729 A KR 1020200071729A KR 20200071729 A KR20200071729 A KR 20200071729A KR 102187338 B1 KR102187338 B1 KR 102187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shaft
base member
cable
driven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효원
Original Assignee
허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효원 filed Critical 허효원
Priority to KR1020200071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상으로 송출되는 전력용 케이블을 송출시키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레일상에 설치되어 케이블 포설 장비인 캐터필러로부터 인출되는 전력용 케이블을 구동회전체와 종동회전체 사이로 개재시켜 상기 구동회전체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전력용 케이블을 송출가능하도록 구성된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의 종동회전체를 리모트컨트롤로 원격제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레일 위로 올라가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종동회전체를 구동회전체에 대하여 원근되게 제어가능하므로 작업의 신속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Power cable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으로 송출되는 전력용 케이블을 송출시키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레일상에 설치되어 케이블 포설 장비인 캐터필러로부터 인출되는 전력용 케이블을 구동회전체와 종동회전체 사이로 개재시켜 상기 구동회전체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전력용 케이블을 송출가능하도록 구성된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의 종동회전체를 리모트컨트롤로 원격제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레일 위로 올라가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종동회전체를 제어가능하므로 작업의 신속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가능하도록 한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 배전용으로 사용되는 각종 전력 케이블은 지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철탑을 세우거나 지중에 관로 또는 공동구(전력구)를 설치하여 시공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전력 케이블이 산이나 들판 등을 지나게 될 경우에는 지상에 철탑을 세워 시공하는 방법이나 지중에 관로 또는 공동구(전력구)를 설치하여 시공하는 방법 중 어떠한 방법을 이용하여 시공을 하여도 문제가 되지 않으나, 상기 전력 케이블이 강이나 하천 또는 바다를 지나가게 될 경우에는 철탑을 세우거나 지중으로 공동구(전력구)를 설치할 수가 없으므로 시공 상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상기 전력 케이블을 폭이 넓은 강이나 하천 또는 바다를 가로질러 시공할 경우에는 상기 전력 케이블은 강이나 하천 또는 바다를 가로지르는 교량에 포설된다.
한편, 일반적인 전력케이블의 포설방법으로는 상기 전력 케이블을 교량에 포설하기 위해서는 지상에 위치한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교량 하단에 형성된 포설 공간부까지 전력 케이블을 인출하여 올리기 위해 지상으로부터 교량 하단까지 이르는 높이의 가설물인 포설 비계를 지상에 설치하고, 상기 포설 비계(飛階)와 교량 하부에 형성된 포설 공간부에 상기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캐터필러를 소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하며, 상기 복수개의 캐터필러 사이에는 상기 전력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롤러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포설 비계와 캐터필러 및 롤러의 설치를 완료한 후 상기 복수개의 캐터필러를 작동시키게 되면 케이블 드럼에 권취되어 있는 전력 케이블이 상기 복수개의 캐터필러에 의해 상기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인출되어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포설된다.
여기서, 상기 캐터필러는 상기 전력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교량의 끝단부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전력 케이블을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포설하는 것으로서, 상기 캐터필러를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20m 내지 30m의 간격으로 설치해야만 상기 전력 케이블을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무리 없이 포설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캐터필러는 수백 킬로그램 내지 1톤 정도 되는 중량물이므로 복수개의 캐터필러를 지상으로부터 포설 공간부로 이동시켜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교량에 형성된 포설 공간부에는 통상적으로 20m 내외의 간격으로 횡보나 주교 등과 같은 구조물이 존재하여 수 백 킬로그램 내지 1톤 정도 되는 중량물인 캐터필러를 작업자가 지나다니기에도 협소한 140cm 내외의 높이와 통로가 협소하게 형성된 포설 공간부 내에서 리프팅시켜 이동시켜야 되는 구간이 수십 회 이상 존재됨으로써 캐터필러와 롤러, 전원선 등의 설치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어려움으로써 과도한 작업인원과 장비의 투입은 물론 시공 시간이 오래 걸리며, 작업 안전성도 확보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5-0124841호에 케이블 포설용 가이드 장치가 게시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케이블 포설용 가이드 장치는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캐터필러에 의해 인출됨과 동시에 윈치에 의해 견인되어 교량의 길이를 따라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포스트 유닛과, 상기 한 쌍의 포스트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캐터필러에 의해 인출됨과 동시에 윈치에 의해 견인되어 교량의 길이를 따라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을 지지하며, 외주면이 양측 끝단부에서 중앙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캐터필러 및 윈치에 의해 교량의 길이에 따라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롤러 및 상기 포스트 유닛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포스트 유닛을 포설 공간부에 일정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교량 구조물에 탈착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클램핑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포스트 유닛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에 부착되는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지지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교량 구조물에 탈착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브래킷은 상기 클램핑 수단이 교량 구조물에 고정될 시 상기 교량 구조물에 지지되는 지지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케이블 포설용 가이드 장치는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원거리로 케이블을 이동시킬 때에는 작업자가 케이블을 파지하여 잡아당겨야 하므로 케이블 포설에 따른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아울러 무거운 케이블로 인해 작업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5-0124841호, 출원일; 2015년09월03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상으로 송출되는 전력용 케이블을 송출시키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레일상에 설치되어 케이블 포설 장비인 캐터필러로부터 인출되는 전력용 케이블을 구동회전체와 종동회전체 사이로 개재시켜 상기 구동회전체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전력용 케이블을 송출가능하도록 구성된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의 종동회전체를 리모트컨트롤로 원격제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레일 위로 올라가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종동회전체를 구동회전체에 대하여 원근되게 제어가능하므로 작업의 신속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가능하도록 한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는, 지상에 전력용 케이블 송출을 위해 설치되는 안내레일 상에 고정 설치되어 케이블 포설 장비인 캐터필러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을 송출시킬 수 있도록 판 상으로 형성되되, 판 상에는 서로에 이격되게 구동용 홀과 타원 형상의 종동용 홀이 형성되고, 저면 전,후단에는 상기 안내레일에 가압부재를 매개로 가압고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저면 일측에 구동축이 상기 구동용 홀을 관통되게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축용 구동부와, 상기 구동축용 구동부의 구동축에 중앙부가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종동용 홀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종동축의 일단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저면 전,후단에 고정된 가압부재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축의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켜 상기 종동축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종동축 이동수단과,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의 일측에 위치되면서 일단이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과 연결되게 상기 베이스부재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대응되게 구동하여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가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에 대하여 원근가능하게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종동축 작동수단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원거리에서 리모트컨트롤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구동축용 구동부와 종동축 작동수단을 제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케이블 송출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재는, 베이스부재의 저면 전,후단에 각각 고정되되, 중앙부에는 가압용 베어링을 개재시켜 각각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용 제1고정부와, 상기 가압용 제1고정부의 각 전단부에 고정 설치되되, 일면에는 관통홀이 각각 천공되고, 저면에는 안내레일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압용 레일삽입부와, 상기 가압용 레일삽입부의 각 전방에 고정 설치되어 중앙부에는 베어링을 개재시켜 구비되는 가압용 제2고정부와, 상기 가압용 제1고정부에 구비된 가압용 베어링과 상기 가압용 레일삽입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가압용 제2고정부에 구비된 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용 제1고정부의 외측으로 핸들이 갖추어진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가압용 나사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압용 회전바와, 상기 가압용 회전바 상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용 레일삽입부와 가압용 제2고정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가압용 회전바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용 회전바를 따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여 안내레일을 가압가능하도록 중앙부에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에 따르면,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의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를 리모트컨트롤로 원격제어하는 것에 의해 작업자가 직접 레일 위로 올라가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를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에 대하여 원근되게 제어가능하므로 작업의 신속성과 작업자의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를 일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를 타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를 저면 일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를 저면 타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는, 리모트컨트롤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종동회전체를 구동회전체에 대하여 원근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지상에 설치된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까지 올라가서 종동회전체를 제어하지 않아도 되므로 종동회전체 제어를 위한 작업의 신속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100)는 지상에 전력용 케이블 송출을 위해 설치되는 안내레일(10) 상에 고정 설치되어 케이블 포설 장비인 캐터필러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을 송출시킬 수 있도록 판 상으로 형성되되, 판 상에는 서로에 이격되게 구동용 홀과 타원 형상의 종동용 홀(120a)이 형성되고, 저면 전,후단에는 상기 안내레일에 가압부재(110)를 매개로 가압고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부재(120)와,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저면 일측에 구동축(131)이 상기 구동용 홀을 관통되게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축용 구동부(130)와, 상기 구동축용 구동부(130)의 구동축(131)에 중앙부가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와, 상기 베이스부재(120)에 형성된 종동용 홀(120a)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종동축(151)의 일단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의 일측에 구비되는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150)와,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저면 전,후단에 고정된 가압부재(110)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120)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축(151)의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켜 상기 종동축(151)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종동축 이동수단(160)과,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160)의 일측에 위치되면서 일단이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160)과 연결되게 상기 베이스부재(120)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대응되게 구동하여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160)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150)가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에 대하여 원근가능하게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종동축 작동수단(170)과,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원거리에서 리모트컨트롤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구동축용 구동부와 종동축 작동수단을 제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케이블 송출용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와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150)는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통타이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150)의 직경은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의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의 직경보다 1/2 ~ 1/3의 직경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의 베이스부재(120)는 지상에 전력용 케이블 송출을 위해 설치되는 안내레일(10) 상에 서로 이격된 가압부재(110)를 통하여 고정 설치되어 저면에 구동축용 구동부(130)와, 종동축 이동수단(160)과, 종동축 작동수단(170) 그리고 케이블 송출용 제어부(180)를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베이스부재(120)의 판상에는 구동축(131)과 종동축(151)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구동용 홀과 타원형의 종동용 홀(120a)이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겨 형성되되, 상기한 종동용 홀(120a)은 종동축 작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150)가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에 대하여 원근가능하게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가압부재(110)는 베이스부재(120)의 저면 전,후단에 각각 고정되되, 중앙부에는 가압용 베어링을 개재시켜 각각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용 제1고정부(111)와, 상기 가압용 제1고정부(111)의 각 전단부에 고정 설치되되, 일면에는 관통홀이 각각 천공되고, 저면에는 안내레일(10)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삽입홈(112a)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압용 레일삽입부(112)와, 상기 가압용 레일삽입부(112)의 각 전방에 고정 설치되어 중앙부에는 베어링을 개재시켜 구비되는 가압용 제2고정부(113)와, 상기 가압용 제1고정부(111)에 구비된 가압용 베어링과 상기 가압용 레일삽입부(112)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가압용 제2고정부(113)에 구비된 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용 제1고정부(111)의 외측으로 핸들(114a)이 갖추어진 돌출된 돌출부(114b)가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가압용 나사부(114c)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압용 회전바(114)와, 상기 가압용 회전바(114) 상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용 레일삽입부(112)와 가압용 제2고정부(11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가압용 회전바(114)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용 회전바(114)를 따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여 안내레일(10)을 가압가능하도록 중앙부에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압부(115)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동축용 구동부(130)는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저면 일측에 구동축(131)이 상기 구동용 홀을 관통되게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구동축용 구동부(130)는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저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리모트컨트롤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가능하게 회전력출력부를 갖추어 구비되는 구동축용 구동모터(132)와, 상기 구동축용 구동모터(132)의 회전출력부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해 감속출력부를 갖추어 구비되는 구동축용 감속기(133)와, 상기 구동축용 감속기(122)의 감속출력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부재(129)의 구동용 홀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구동축(131)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는 구동축용 구동부(130)의 구동축(131)에 중앙부가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는 상기 구동축용 구동부(130)의 구동축(131) 타단을 중앙부로 관통시켜 복수의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되는 구동회전체용 고정휠(141)과, 상기 구동회전체용 고정휠(141)을 중앙부로 수용하여 상기 구동회전체용 고정휠(141) 외주면을 감싸 고정되는 케이블 송출용 구동타이어(142)로 구성된다.
상기한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150)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종동용 홀(110a)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종동축(141)의 일단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한 구동회전체(140)와 동일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종동축 이동수단(160)은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저면 전,후단에 고정된 가압부재(110)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120)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축(151)의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켜 상기 종동축(151)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종동축 이동수단(160)은 가압부재(110)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저면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고정 구비되는 종동축 이동용 고정부재(161)와, 상기 종동축 이동용 고정부재(161)의 각 내측면 일단과 타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종동축 이동용 고정부재(161)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종동축 이동용 안내부재(162)와, 상기 종동축 이동용 안내부재(162)를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종동축 이동용 안내부재(162)를 따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중앙부에는 베어링을 개재시켜 상기 종동축(151)의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홀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종동축 작동수단(170)과 연결되도록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관통된 연결홀이 형성된 연결부(163a)가 돌출 형성되어 구비되는 종동축 이동용 이동부재(163)로 구성된다.
상기한 종동축 작동수단(170)은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160)의 일측에 종동축 이동용 이동부재(163)의 연결부(163a)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20)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대응되게 구동하여 상기 종동축 이동용 이동부재(163)를 한 쌍의 종동축 이동용 안내부재(162)를 따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150)가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에 대하여 원근가능하게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종동축 작동수단(170)은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160)의 일측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120) 저면에 고정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160)의 연결홀에 압축스프링(171)을 삽입시켜 고정스크류를 매개로 연결부에 고정 연결되는 종동축 작동용 피스톤(172a)을 갖추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축 작동용 전동실린더(172)와, 상기 종동축 작동용 전동실린더(172)의 종동축 작동용 피스톤(172a) 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연결부의 후측면에 위치되게 구비되는 터치편(173)과, 상기 종동축 작동용 전동실린더(172)의 종동축 작동용 피스톤(172a)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터치편(173)이 터치하는 것에 의해 동작되고, 동작상태를 케이블 송출용 제어부(180)측으로 인가함에 따른 케이블 송출용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종동축 작동수단(17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종동축 이동용 이동부재(163)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미도시함)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지상에서 송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고정부재(110)를 이용하여 베이스부재(120)를 안내레일(10)에 고정시킨다.
즉, 가압부재(110)의 가압용 레일삽입부(112)에 형성된 삽입홈(112a)측으로 안내레일(10)을 삽입시킨다.
상기 안내레일(10)이 삽입홈(112a)측으로 삽입되면, 핸들(114a)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핸들(114a)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압용 회전바(114)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용 회전바(114)상에 설치된 가압부(115)가 이동하여 안내레일(10)을 가압하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베이스부재(120)가 안내레일(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부재(120)가 안내레일(10)에 고정 설치되면, 케이블을 상기 베이스부재(120) 상면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설치된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와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150) 사이로 삽입시킨다.
이후, 리모트컨트롤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케이블 송출용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구동축용 구동부(130)가 구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축용 구동부(130)의 구동으로 구동축(131)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20) 상면에 위치한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가 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케이블의 인출과 함께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150)도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축용 구동부(130)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와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150)를 통하여 케이블을 이송시키게 되므로 케이블 이송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이송된 케이블보다 직경이 작은 케이블을 송출시키고자 할 경우, 리모트컨트롤을 조작하여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150)를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측으로 근접시키는 것에 의해 직경이 작은 케이블도 송출(이때, 작은 직경의 케이블을 송출시키기 전에 큰 직경의 케이블 끝단에 작은 직경의 케이블을 서로 고정 연결시킨다)이 가능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안내레일(10) 상에 설치된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100)측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원거리에서 리모트컨트롤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종동축 작동수단(170)의 종동축 작동용 전동실린더(172)가 구동하게 되고, 상기 종동축 작동용 전동실린더(172)의 작동으로 종동축 이동수단(160)의 종동축 이동용 이동부재(163)가 한 쌍의 종동축 이동용 안내부재(16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종동축 이동용 이동부재(163)의 이동으로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150)가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측으로 근접된다.
이때, 터치편(173)이 리미트스위치를 터치하는 것에 의해 케이블 송출용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종동축 작동수단(170)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에 의해 작은 직경의 케이블로 송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의 직경 변화에 대응되게 리모트컨트롤로 원거리에서 종동축 작동수단(170)을 제어할 수 있어서, 작업을 신속하게 그리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안내레일 100 ;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
110 ; 가압부재 120 ; 베이스부재
130 ; 구동축용 구동부 140 ;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
150 ;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 160 ; 종동축 이동수단
170 ; 종동축 작동수단 180 ; 케이블 송출용 제어부

Claims (4)

  1.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는,
    지상에 전력용 케이블 송출을 위해 설치되는 안내레일(10) 상에 고정 설치되어 케이블 포설 장비인 캐터필러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을 송출시킬 수 있도록 판 상으로 형성되되, 판 상에는 서로에 이격되게 구동용 홀과 타원 형상의 종동용 홀(120a)이 형성되고, 저면 전,후단에는 상기 안내레일(10)에 가압부재(110)를 매개로 가압고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부재(120)와;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저면 일측에 구동축(131)이 상기 구동용 홀을 관통되게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축용 구동부(130)와;
    상기 구동축용 구동부(130)의 구동축(131)에 중앙부가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와;
    상기 베이스부재(120)에 형성된 종동용 홀(120a)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종동축(151)의 일단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의 일측에 구비되는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150)와;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저면 전,후단에 고정된 가압부재(110)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120)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축(151)의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켜 상기 종동축(151)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종동축 이동수단(160)과;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160)의 일측에 위치되면서 일단이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160)과 연결되게 상기 베이스부재(120)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대응되게 구동하여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160)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150)가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에 대하여 원근가능하게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종동축 작동수단(170)과;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원거리에서 리모트컨트롤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구동축용 구동부와 종동축 작동수단을 제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케이블 송출용 제어부(180)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재(110)는, 베이스부재(120)의 저면 전,후단에 각각 고정되되, 중앙부에는 가압용 베어링을 개재시켜 각각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용 제1고정부(111)와, 상기 가압용 제1고정부(111)의 각 전단부에 고정 설치되되, 일면에는 관통홀이 각각 천공되고, 저면에는 안내레일(10)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삽입홈(112a)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압용 레일삽입부(112)와, 상기 가압용 레일삽입부(112)의 각 전방에 고정 설치되어 중앙부에는 베어링을 개재시켜 구비되는 가압용 제2고정부(113)와, 상기 가압용 제1고정부(111)에 구비된 가압용 베어링과 상기 가압용 레일삽입부(112)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가압용 제2고정부(113)에 구비된 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용 제1고정부(111)의 외측으로 핸들(114a)이 갖추어진 돌출된 돌출부(114b)가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가압용 나사부(114c)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압용 회전바(114)와, 상기 가압용 회전바(114) 상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용 레일삽입부(112)와 가압용 제2고정부(11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가압용 회전바(114)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용 회전바(114)를 따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여 안내레일(10)을 가압가능하도록 중앙부에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압부(1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
  2. 삭제
  3.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는,
    지상에 전력용 케이블 송출을 위해 설치되는 안내레일(10) 상에 고정 설치되어 케이블 포설 장비인 캐터필러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을 송출시킬 수 있도록 판 상으로 형성되되, 판 상에는 서로에 이격되게 구동용 홀과 타원 형상의 종동용 홀(120a)이 형성되고, 저면 전,후단에는 상기 안내레일(10)에 가압부재(110)를 매개로 가압고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부재(120)와;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저면 일측에 구동축(131)이 상기 구동용 홀을 관통되게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축용 구동부(130)와;
    상기 구동축용 구동부(130)의 구동축(131)에 중앙부가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와;
    상기 베이스부재(120)에 형성된 종동용 홀(120a)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종동축(151)의 일단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의 일측에 구비되는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150)와;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저면 전,후단에 고정된 가압부재(110)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120)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축(151)의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켜 상기 종동축(151)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종동축 이동수단(160)과;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160)의 일측에 위치되면서 일단이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160)과 연결되게 상기 베이스부재(120)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대응되게 구동하여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160)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150)가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에 대하여 원근가능하게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종동축 작동수단(170)과;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원거리에서 리모트컨트롤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구동축용 구동부와 종동축 작동수단을 제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케이블 송출용 제어부(180)를 포함하되,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160)은, 가압부재(110)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저면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고정 구비되는 종동축 이동용 고정부재(161)와, 상기 종동축 이동용 고정부재(161)의 각 내측면 일단과 타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종동축 이동용 고정부재(161)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종동축 이동용 안내부재(162)와, 상기 종동축 이동용 안내부재(162)를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종동축 이동용 안내부재(162)를 따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중앙부에는 베어링을 개재시켜 상기 종동축(151)의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홀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종동축 작동수단(170)과 연결되도록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관통된 연결홀이 형성된 연결부(163a)가 돌출 형성되어 구비되는 종동축 이동용 이동부재(16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
  4.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는,
    지상에 전력용 케이블 송출을 위해 설치되는 안내레일(10) 상에 고정 설치되어 케이블 포설 장비인 캐터필러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을 송출시킬 수 있도록 판 상으로 형성되되, 판 상에는 서로에 이격되게 구동용 홀과 타원 형상의 종동용 홀(120a)이 형성되고, 저면 전,후단에는 상기 안내레일(10)에 가압부재(110)를 매개로 가압고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부재(120)와;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저면 일측에 구동축(131)이 상기 구동용 홀을 관통되게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축용 구동부(130)와;
    상기 구동축용 구동부(130)의 구동축(131)에 중앙부가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와;
    상기 베이스부재(120)에 형성된 종동용 홀(120a)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종동축(151)의 일단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의 일측에 구비되는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150)와;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저면 전,후단에 고정된 가압부재(110)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120)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축(151)의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켜 상기 종동축(151)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종동축 이동수단(160)과;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160)의 일측에 위치되면서 일단이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160)과 연결되게 상기 베이스부재(120)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대응되게 구동하여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160)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케이블 송출용 종동회전체(150)가 케이블 송출용 구동회전체(140)에 대하여 원근가능하게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종동축 작동수단(170)과;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원거리에서 리모트컨트롤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구동축용 구동부와 종동축 작동수단을 제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케이블 송출용 제어부(180)를 포함하되,
    상기 종동축 작동수단(170)은,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160)의 일측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120) 저면에 고정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종동축 이동수단(160)의 연결홀에 압축스프링(171)을 삽입시켜 고정스크류를 매개로 연결부에 고정 연결되는 종동축 작동용 피스톤(172a)을 갖추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축 작동용 전동실린더(172)와, 상기 종동축 작동용 전동실린더(172)의 종동축 작동용 피스톤(172a) 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연결부의 후측면에 위치되게 구비되는 터치편(173)과, 상기 종동축 작동용 전동실린더(172)의 종동축 작동용 피스톤(172a)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터치편(173)이 터치하는 것에 의해 동작되고, 동작상태를 케이블 송출용 제어부(180)측으로 인가함에 따른 케이블 송출용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종동축 작동수단(17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종동축 이동용 이동부재(163)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
KR1020200071729A 2020-06-12 2020-06-12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 KR102187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729A KR102187338B1 (ko) 2020-06-12 2020-06-12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729A KR102187338B1 (ko) 2020-06-12 2020-06-12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338B1 true KR102187338B1 (ko) 2020-12-04

Family

ID=7377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729A KR102187338B1 (ko) 2020-06-12 2020-06-12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3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358B1 (ko) * 2021-09-14 2022-03-15 정석만 케이블포설장치
KR102473373B1 (ko) * 2022-08-18 2022-12-06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케이블 송출장치
KR102622479B1 (ko) * 2023-07-10 2024-01-10 주식회사 엔지티 케이블 송출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시공 현장의 제어 시스템
KR102622475B1 (ko) * 2023-05-19 2024-01-10 주식회사 엔지티 케이블 송출 장치
KR200498045Y1 (ko) * 2023-08-25 2024-06-03 주식회사 금아이앤씨 케이블 포설용 견인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765U (ko) * 2008-02-27 2009-09-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휴대용 케이블 피더 장치
KR20150124841A (ko) 2014-04-29 2015-11-06 (주)탑나노시스 탄소나노튜브 보온 기능성 조성물과, 탄소나노튜브 보온 기능성 제품과, 상기 탄소나노튜브 보온 기능성 제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의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765U (ko) * 2008-02-27 2009-09-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휴대용 케이블 피더 장치
KR20150124841A (ko) 2014-04-29 2015-11-06 (주)탑나노시스 탄소나노튜브 보온 기능성 조성물과, 탄소나노튜브 보온 기능성 제품과, 상기 탄소나노튜브 보온 기능성 제품을 이용하여 제조된 의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358B1 (ko) * 2021-09-14 2022-03-15 정석만 케이블포설장치
KR102473373B1 (ko) * 2022-08-18 2022-12-06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케이블 송출장치
KR102622475B1 (ko) * 2023-05-19 2024-01-10 주식회사 엔지티 케이블 송출 장치
KR102622479B1 (ko) * 2023-07-10 2024-01-10 주식회사 엔지티 케이블 송출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시공 현장의 제어 시스템
KR200498045Y1 (ko) * 2023-08-25 2024-06-03 주식회사 금아이앤씨 케이블 포설용 견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338B1 (ko)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
KR102149670B1 (ko) 송전용 지중케이블 와인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케이블 설치시스템
KR102473373B1 (ko) 케이블 송출장치
US20140248089A1 (en) Wire Rope Payout Upon Tensile Demand
KR20150087785A (ko)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CN203879423U (zh) 一种带远控装置的连续油管倒管装置
KR101964633B1 (ko) 레일을 이용한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 장치
KR102138456B1 (ko) 전력 케이블 연속 철거 및 신설이 가능한 일체형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
KR102396099B1 (ko) 전력 케이블용 송출장치
KR20090124184A (ko) 케이블 3드럼 선출장치
KR200450631Y1 (ko) 케이블 포설기
CN114320201B (zh) 水力切割设备
KR102223387B1 (ko)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케이블 포설공법
IT201800001088A1 (it) Assieme per la movimentazione di una attrezzatura di scavo o perforazione del terreno e metodo di attuazione.
EP2984717B1 (en) Method for stretching cables
KR101076306B1 (ko) 전선드럼용 긴장기
KR102234797B1 (ko) 자주식 유압 릴 풀러
CN112938657A (zh) 铺设电缆装置和电缆卷放车
CN112794169A (zh) 电缆收放装置
WO2020197919A1 (en) Internal pipe lining system having self-propelled, self-powered propulsion devices
KR102590667B1 (ko)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EP2878569A1 (en) A winch with a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cable thereof
CN117096785B (zh) 一种用于地铁区间的自动放缆装置及方法
KR102220515B1 (ko) 케이블 설치 및 철거장치
KR102220512B1 (ko) 케이블 설치 및 철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