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8045Y1 - 케이블 포설용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포설용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8045Y1
KR200498045Y1 KR2020230001795U KR20230001795U KR200498045Y1 KR 200498045 Y1 KR200498045 Y1 KR 200498045Y1 KR 2020230001795 U KR2020230001795 U KR 2020230001795U KR 20230001795 U KR20230001795 U KR 20230001795U KR 200498045 Y1 KR200498045 Y1 KR 200498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ction
main body
pair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1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예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아이앤씨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아이앤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8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80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65H51/08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 B65H51/10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with opposed coacting surfaces, e.g. providing n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32Supporting or driving arrangements for forwar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26Supports fo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고소 위치에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견인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케이블 포설용 견인장치에 있어서, 케이블이 진입하는 진입단과 진출하는 진출단의 상단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안내면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진입단으로 진입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진출단으로 견인하도록 상기 수평안내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견인롤러; 상기 한 쌍의 견인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모터; 및 상기 모터로 회전하는 한 쌍의 견인롤러에 의해 견인되는 상기 케이블을 직경에 맞춰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진입단과 진출단에 각각 설치되는 서포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모터의 동력으로 한 쌍의 견인롤러를 회전시켜서 케이블을 자동으로 끌어서 당기며 견인을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포트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직경이 상이한 케이블의 견인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포설용 견인장치{CABLE TOWING APPARATUS}
본 고안은 케이블 포설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고소 위치에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견인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건물의 고소 위치 또는 지하 관로 내에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견인한다.
이러한 케이블 견인장치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0689호(등록일자 2013년12월27일) ‘케이블용 견인 가이드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4714호(등록일자 2005년09월07일)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롤러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견인을 안내하는 기술적인 특징으로 갖는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동력에 의해 당겨지는 케이블의 견인을 안내할 뿐 케이블을 동력에 의해 견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 견인장치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8061호(등록일자 2012년07월17일) ‘지중 전력구 3상 동시 케이블 견인 포설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0323호(등록일자 2013년12월03일) ‘케이블 견인 롤러 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앞선 문제점에 더하여 케이블의 견인을 안내하는 롤러가 케이블의 사방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케이블을 롤러 사이로 진입시키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술한 종래기술들은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견인을 안내하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0689호(등록일자 2013년12월27일)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4714호(등록일자 2005년09월07일)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8061호(등록일자 2012년07월17일) (000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0323호(등록일자 2013년12월03일)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동력을 이용하여 케이블을 자동으로 끌어서 당기며 견인을 안내하는 동시에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용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케이블 포설용 견인장치에 있어서, 케이블이 진입하는 진입단과 진출하는 진출단의 상단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안내면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진입단으로 진입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진출단으로 견인하도록 상기 수평안내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견인롤러; 상기 한 쌍의 견인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모터; 및 상기 모터로 회전하는 한 쌍의 견인롤러에 의해 견인되는 상기 케이블을 직경에 맞춰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진입단과 진출단에 각각 설치되는 서포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부재는, 상기 본체의 진입단과 진출단에 고정되는 고정 서포트롤러, 및 상기 고정서포트롤러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을 직경에 맞춰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서포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를 설치하도록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에는 상기 한 쌍의 견인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조절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어느 한 견인롤러를 좌우로 이송시키도록 연결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좌우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를 좌우로 이송시키도록 연결된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슬라이더를 좌우로 이송시키도록 회전하는 볼스크루, 및 상기 볼스크루를 회전시키도록 기어박스로 연결된 조절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고안에 따르면, 모터의 동력으로 한 쌍의 견인롤러를 회전시켜서 케이블을 자동으로 끌어서 당기며 견인을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포트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직경이 상이한 케이블의 견인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고안에 따르면, 조절부재에 의해 한 쌍의 견인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견인하 ㄹ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포설용 견인장치는, 케이블(10)이 진입하는 진입단(121)과 진출하는 진출단(122)의 상단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안내면(123)을 갖는 본체(100), 본체(100)의 진입단(121)으로 진입한 케이블(10)을 진출단(122)으로 견인하도록 수평안내면(123)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견인롤러(200), 한 쌍의 견인롤러(200)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모터(300), 모터(300)로 회전하는 한 쌍의 견인롤러(200)에 의해 견인되는 케이블(10)을 직경에 맞춰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본체(100)의 진입단(121)과 진출단(122)에 각각 설치되는 서포트부재(4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본 발명의 골조를 이룬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설치공간(130)을 형성하는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케이블(10)을 견인하기 위한 장소의 바닥에 볼트 따위로 고정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복수의 방열공(111)이 형성되어 설치공간(130)에서 발생한 열을 본체(100)의 외부로 방산한다. 방열공(111)은 하우징(120)의 양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전면, 후면, 양 측면 및 상면을 포함하여 내부에 설치공간(130)을 형성하는 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20)의 전면은 진입단(121)을 이루고, 후면은 진출단(122)을 이루며, 상면은 진입단(121)과 진출단(122)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안내면(123)을 이룬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20)의 수평안내면(123)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슬롯(124)이 형성되어, 어느 한 견인롤러(200)의 폭 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20)의 설치공간(130)에는 두 개의 모터(300)가 설치되어 한 쌍의 견인롤러(20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연결된다.
또한, 하우징(120)의 설치공간(130)에는 한 쌍의 견인롤러(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재(140)가 설치된다.
조절부재(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견인롤러(200)를 좌우로 이송시키도록 연결된 슬라이더(141), 슬라이더(141)의 좌우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42), 가이드레일(142)을 따라 슬라이더(141)를 좌우로 이송시키도록 연결된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슬라이더(141)는 우측 견인롤러(200)의 회전축(210)에 연결되어 우측 모터(300)와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이송된다.
가이드레일(142)은 설치공간(130) 내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더(141)의 좌우 이송을 안내한다. 가이드레일(142)은 슬라이더(141)의 좌우 이송 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전후 두 개로 이루어진다.
이송수단은 슬라이더(141)를 좌우로 이송시키도록 회전하는 볼스크루(143), 볼스크루(143)를 회전시키도록 기어박스(144)로 연결된 조절노브(145)를 포함한다.
슬라이더(141)에는 볼스크루(143)에 결합되도록 나사체(도시생략)가 구비된다. 슬라이더(141)는 나사체에 결합되는 볼스크루(143)의 회전으로 가이드레일(14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송된다.
기어박스(144)는 볼스크루(143)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베벨기어(도시생략)를 포함하고, 베벨기어에는 조절노브(145)가 연결된다.
이러한 조절노브(145)는 볼스크루(143)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는 기어박스(144)에 각각 연결된다.
요컨대, 이송수단은 조절노브(145)를 회전시키면 기어박스(144)를 통해 볼스크루(143)가 회전되어 슬라이더(141)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좌우 한 쌍의 견인롤러(20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진입단(121)으로 진입한 케이블(10)을 진출단(122)으로 견인하는 기능을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좌측과 우측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견인롤러(200)는 본체(100)의 수평안내면(123)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우측 견인롤러(200)는 가이드슬롯(124)으로 안내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수평안내면(123)에 설치된다.
이러한 견인롤러(200)의 외면에는 룰렛(roulette)이 구비되어 케이블(10)의 견인 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서포트부재(400)는 본체(100)의 진입단(121)과 진출단(122)에 각각 설치되어 견인되는 케이블(10)이 수평안내면(123)에 마찰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과 견인장치를 들고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의 기능을 겸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서포트부재(400)는 본체(100)의 진입단(121)과 진출단(122)에 고정되는 고정 서포트롤러(420), 고정서포트롤러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케이블(10)을 직경에 맞춰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서포트롤러(440)를 포함한다.
고정 서포트롤러(420)는 본체(100)의 진입단(121)과 진출단(122)에 롤러브래킷(410)으로 고정된다.
회전 서포트롤러(440)는 고정 서포트롤러(420)의 양단에 롤러슬랫(430)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케이블(10)을 지지한다. 즉, 회전 서포트롤러(440)는 고정 서포트롤러(42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두껍거나 얇은 직경의 케이블(10)에 맞춰 회전하면서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모터(300)의 동력으로 한 쌍의 견인롤러(200)를 회전시켜서 케이블(10)을 자동으로 끌어서 당기며 견인을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포트부재(4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직경이 상이한 케이블(10)의 견인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조절부재(140)에 의해 한 쌍의 견인롤러(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10)을 안정적으로 견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케이블 100 : 본체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본체
121 : 진입단 122 : 진출단
123 : 수평안내면 130 : 설치공간
140 : 조절부재 200 : 견인롤러
300 : 모터 400 : 서포트부재
420 : 고정 서포트롤러 440 : 회전 서포트롤러

Claims (5)

  1. 케이블 포설용 견인장치에 있어서,
    케이블이 진입하는 진입단과 진출하는 진출단의 상단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안내면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진입단으로 진입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진출단으로 견인하도록 상기 수평안내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견인롤러;
    상기 한 쌍의 견인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모터; 및
    상기 모터로 회전하는 한 쌍의 견인롤러에 의해 견인되는 상기 케이블을 직경에 맞춰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진입단과 진출단에 각각 설치되는 서포트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서포트부재는,
    상기 본체의 진입단과 진출단에 고정되는 고정 서포트롤러;
    상기 고정서포트롤러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을 직경에 맞춰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서포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를 설치하도록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에는 상기 한 쌍의 견인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조절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견인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어느 한 견인롤러를 좌우로 이송시키도록 연결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좌우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를 좌우로 이송시키도록 연결된 이송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견인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슬라이더를 좌우로 이송시키도록 회전하는 볼스크루, 및
    상기 볼스크루를 회전시키도록 기어박스로 연결된 조절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견인장치.
KR2020230001795U 2023-08-25 케이블 포설용 견인장치 KR200498045Y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8045Y1 true KR200498045Y1 (ko) 2024-06-03

Family

I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447B1 (ko) 2016-10-22 2018-03-22 김현철 케이블 포설기 및 다수의 케이블 포설기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KR102187338B1 (ko) * 2020-06-12 2020-12-04 허효원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
KR102190804B1 (ko) 2020-03-11 2020-12-14 이은상 전선포설용 케이블 피더장치
KR102215662B1 (ko) 2020-09-14 2021-02-15 주식회사 테크로드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102380674B1 (ko) * 2021-07-06 2022-04-01 주식회사 한미개발 케이블 풀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447B1 (ko) 2016-10-22 2018-03-22 김현철 케이블 포설기 및 다수의 케이블 포설기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KR102190804B1 (ko) 2020-03-11 2020-12-14 이은상 전선포설용 케이블 피더장치
KR102187338B1 (ko) * 2020-06-12 2020-12-04 허효원 전력용 케이블 송출장치
KR102215662B1 (ko) 2020-09-14 2021-02-15 주식회사 테크로드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102380674B1 (ko) * 2021-07-06 2022-04-01 주식회사 한미개발 케이블 풀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61451A (zh) 一种电力施工用电缆放线装置
KR101505802B1 (ko) 케이블 안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장비
KR102160808B1 (ko)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분리 포설을 위한 천정 설치형 케이블 덕트
KR100923919B1 (ko) 천정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98045Y1 (ko) 케이블 포설용 견인장치
KR102616986B1 (ko) 케이블 포설장치용 이동대차,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KR102616987B1 (ko) 케이블 포설장치용 이동대차,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CN113224690B (zh) 一种电缆敷设架线辅助装置
CN113479702B (zh) 一种电缆铺设用电缆拉伸器
KR101921520B1 (ko) 지중 송전선로 포설용 원형롤러
KR101713633B1 (ko) 리깅장치
KR102081258B1 (ko) 배전선로의 작업시 안전 장치
US3218033A (en) Cable feed mechanism
KR100923921B1 (ko) 천정 포설용 지중 캐터필라
KR101577566B1 (ko) 이동식 바텐
CN111071853A (zh) 一种电线电缆放线装置
CN214412083U (zh) 一种电缆敷设辅助牵引设备
KR101965758B1 (ko) 전선 중계 피더
KR102396576B1 (ko) 케이블 권취장치
US8578859B1 (en) Crawl space organization system
KR102146744B1 (ko) 무대용 드럼이송 구동장치
KR20170000927A (ko) 케이블 포설장치
JPH047613Y2 (ko)
CN219247333U (zh) 一种电缆敷设用固定设备
CN220022124U (zh) 一种电缆敷设牵引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