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447B1 - 케이블 포설기 및 다수의 케이블 포설기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포설기 및 다수의 케이블 포설기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447B1
KR101825447B1 KR1020160138030A KR20160138030A KR101825447B1 KR 101825447 B1 KR101825447 B1 KR 101825447B1 KR 1020160138030 A KR1020160138030 A KR 1020160138030A KR 20160138030 A KR20160138030 A KR 20160138030A KR 101825447 B1 KR101825447 B1 KR 101825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able
base frame
winch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김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철 filed Critical 김현철
Priority to KR1020160138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16Braked elements rotated by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2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기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 1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양단부가 베어링 지지된 제 1 장력조절 롤러와, 상기 제 1 장력조절 롤러의 일단부에 제공된 제 1 브레이크를 갖는 제 1 장력조절 롤러부재와; 제 2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 2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양단부가 베어링 지지된 제 2 장력조절 롤러와, 상기 제 2 장력조절 롤러의 일단부에 제공된 제 2 브레이크를 갖는 제 2 장력조절 롤러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장력조절 롤러부재 사이에 제공된 메인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장력조절 롤러부재와 인접된 위치된 제 1 가이드롤러와,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 상단에 제공되어 있으며 윈치 모터와 연동된 윈치 롤러와, 상기 윈치 롤러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 하단에 제공된 윈치 종동 롤러와, 상기 윈치 롤러와 이격되게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 상단에 제공된 제 1 연선 롤러와, 상기 제 1 연선 롤러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 하단에 제공된 제 2 연선 롤러와, 상기 윈치 롤러와 상기 제 1 연선 롤러를 동시에 승강시켜 상기 원치 롤러와 상기 윈치 종동 롤러 그리고 상기 제 1 연선 롤러과 상기 제 2 연선 롤러를 밀착 또는 이격시키도록 제공된 롤러 승강부재와,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윈치 롤러의 후단에 위치된 가이드롤러 승강부재와, 상기 가이드롤러 승강부재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2 가이드롤러와, 상기 제 1 및 제 2 브레이크와 상기 롤러 승강부재와 상기 가이드롤러 승강부재를 제어하도록 제공되어 있으며 장력 감지센서가 내장된 제어기를 갖는 메인 포설기와;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제공된 브라켓트 본체와, 상기 브라켓트 본체에 제공된 제 1 및 제 2 고정부재를 갖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에 적어도 1개 이상 제공된 고정 브라켓트로 구성됨으로써, 맨홀 또는 케이블 트레이에 직접 장착되는 구조로서 복수 개의 케이블 포설기를 연동시켜 케이블을 최장 600 ~ 700M 까지 포설할 수 있으며, 각 구간별 케이블의 장력에 대응하여 과중한 부하없이 케이블 포설이 가능함은 물론 다수의 인력이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하여야 하는 근원적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포설기 및 다수의 케이블 포설기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Cable routing apparatus and method of pulling cable using multi cable rou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기 및 다수의 케이블 포설기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케이블 포설방법은 윈치 또는 인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케이블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파단되거나 작업 인부 사이에 작업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일 방안으로 제안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61457호(등록일자: 2013.4.30., 발명의 명칭: 케이블 선출장치)는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적재함에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조립부재들로 결합되고 2개가 한 조를 이루는 드럼거치부(2)를 다수의 구획 공간에 각각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지지틀(1)과, 상기 지지틀(1)의 선단에 장착되는 전동롤러부(4)와, 상기 드럼거치부(2)에 안착되는 드럼(10)과, 상기 드럼(10)에 감겨 있던 케이블(11)을 풀어서 지상 또는 지중의 맨홀(7) 입구로 안전하게 이동시켜주는 가이드부재(5)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1)에 고정되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지지판(21)에 2개의 지지베어링(22) 및 1개의 로딩베어링(23)이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로딩베어링(23)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로딩베어링(23)에 접촉하는 라이닝(241)과 이 라이닝(241)을 압착하는 스프링(242) 및 이 스프링(242)의 탄성력을 조정하도록 지지대(241)에 나사결합되는 조정나사(244)가 체결되어 이루어지는 브레이크(24)를 포함하는 드럼거치부(2)와; 상기 드럼거치부(2)에 양단이 얹히는 본체(31)와 상기 드럼(10)의 중심에 끼워져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면서 포장목(10')의 제거 또는 케이블(11)의 풀림을 위해 드럼(10)과 일체로 회전 또는 드럼(10)만 회전하도록 본체(31) 양측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링(32)과 상기 고정링(32) 둘레 면에 끼워지고 걸고리(331) 및 고정나사(332)를 갖는 지지링(33)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봉(3)과; 상기 지지틀(1)의 각 열의 선단에 장착되어 케이블(11)을 당겨내어 선출시키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2개가 한 조를 이루는 구동롤러(41)와 가이드롤러(42) 그리고 구동롤러(41)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43)로 이루어지면서 입구 및 출구 부분에 4개의 수직가이드봉(45, 45')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전동롤러부(4); 및 상기 전동롤러부(4)로부터 선출되는 케이블(11)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지지틀(1)의 하측에 장착된 레일(51)과 이 레일(51)을 따라 이동하여 수납되는 수평대(52)와 이 수평대(52) 선단에 수직가이드봉(521)과 수평가이드봉(522)을 장착하며 상기 수평대(52)를 고정시키는 고정레버(53)가 레일에 나사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가이드부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거치봉의 걸고리를 이용하여 초기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포장묵을 [0021]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드럼거치부의 브레이크가 드럼의 중심축 역할을 하는 거치봉의 양단이 얹힌 구동롤러의 회전 상태를 조정하여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이 필요 이상 풀려 작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동롤러부를 통해 1열에 배치된 3개의 드럼에 감겨있는 케이블을 동시에 당겨 선출할 때 수직가이드봉이 겹치지 않도록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부재의 수평대가 편리하게 설치 및 고정되는 간단한 구조이므로 사용이 편리하여 선출되는 케이블을 안전하게 안내하게 되고, 드럼에 귄취된 케이블이 전동롤러부의 동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케이블에 작용하던 장력 감소 및 윈치의 작동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음으로써 장치의 고장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맨홀 내부 또는 케이블 트레이에 직접 장착되어 케이블을 포설할 수 없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6748호(등록일자: 2011.11.18., 발명의 명칭: 케이블 피더)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a) 다수개의 상부 피딩롤러가 장착된 상부회전축과; (b) 상기 상부회전축이 설치된 상부프레임과; (c) 상기 다수개의 상부 피딩롤러와 대응된 다수개의 하부 피딩롤러가 장착된 하부회전축과; (d) 상기 하부회전축이 설치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은 그 일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로 열리고 닫히며; (e) 상기 상부회전축과 상기 하부회전축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는 한 개가 제공되고, 상기 상부 회전축과 상기 하부 회전축은 상기 구동모터와 동력전달매개체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는 회생제동제어가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은 핸드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f) 상기 상부 및 하부 피딩롤러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케이블을 각각 측방향을 따라 분리하는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더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상기 상부프레임은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열리고 닫히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회전축에 장착된 피딩롤러도 상하로 열리고 닫히면서 하부프레임에 장착된 피딩롤러와 대응되고, 상하방향으로 피동롤러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그 하부의 피딩롤러의 상면에 놓이는 케이블의 위치가 측방향으로 변위됨이 없이 그대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으나, 맨홀 내부 또는 케이블 트레이에 직접 장착되어 케이블을 포설할 수 없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트레이 또는 맨홀 내부에 직접 장착되어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기 및 다수의 케이블 포설기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 1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양단부가 베어링 지지된 제 1 장력조절 롤러와, 상기 제 1 장력조절 롤러의 일단부에 제공된 제 1 브레이크를 갖는 제 1 장력조절 롤러부재와; 제 2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 2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양단부가 베어링 지지된 제 2 장력조절 롤러와, 상기 제 2 장력조절 롤러의 일단부에 제공된 제 2 브레이크를 갖는 제 2 장력조절 롤러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장력조절 롤러부재 사이에 제공된 메인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장력조절 롤러부재와 인접된 위치된 제 1 가이드롤러와,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 상단에 제공되어 있으며 윈치 모터와 연동된 윈치 롤러와, 상기 윈치 롤러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 하단에 제공된 윈치 종동 롤러와, 상기 윈치 롤러와 이격되게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 상단에 제공된 제 1 연선 롤러와, 상기 제 1 연선 롤러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 하단에 제공된 제 2 연선 롤러와, 상기 윈치 롤러와 상기 제 1 연선 롤러를 동시에 승강시켜 상기 원치 롤러와 상기 윈치 종동 롤러 그리고 상기 제 1 연선 롤러과 상기 제 2 연선 롤러를 밀착 또는 이격시키도록 제공된 롤러 승강부재와,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윈치 롤러의 후단에 위치된 가이드롤러 승강부재와, 상기 가이드롤러 승강부재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2 가이드롤러와, 상기 제 1 및 제 2 브레이크와 상기 롤러 승강부재와 상기 가이드롤러 승강부재를 제어하도록 제공되어 있으며 장력 감지센서가 내장된 제어기를 갖는 메인 포설기와;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제공된 브라켓트 본체와, 상기 브라켓트 본체에 제공된 제 1 및 제 2 고정부재를 갖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에 적어도 1개 이상 제공된 고정 브라켓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롤러 승강부재는 상기 윈치 롤러와 상기 제 1 연선 롤러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과, 양단부가 베어링 지지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와 연동되도록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부면에 제공된 스크류 연결관체와, 상기 스크류의 일단부에 연결된 구동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롤러 승강부재는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제공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단부가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베어링 지지된 가이드 스크류와, 상기 가이드 스크류의 타단부와 연결된 승강 모터와, 상기 승강 모터를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에 지지하도록 제공된 지지 브라켓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브라켓트 본체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제공된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 일체로 제공된 수평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고정부재는 상기 수직부재를 관통하여 전후퇴되도록 제공된 제 1 고정 스크류와, 상기 제 1 고정 스크류의 일단부에 제공된 제 1 파지단과, 상기 제 1 고정 스크류의 타단부에 제공된 제 1 고정 핸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고정부재는 상기 수평부재를 관통하여 전후퇴되도록 제공된 제 2 고정 스크류와, 상기 제 2 고정 스크류의 일단부에 제공된 제 2 파지단과, 상기 제 2 고정 스크류의 타단부에 제공된 제 2 고정 핸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구항 제1항, 청구항 제3항 및 청구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이루어진 케이블 포설기를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면 또는 맨홀 내부에 다수 개 설치하되, 통합 제어기를 기준으로 전단부에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 포설기를 설치하고 후단부에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 포설기을 설치하고, 상기 케이블 포설기들을 상기 통합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도록 연결한 후 상기 통합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 포설기를 작동시켜 케이블을 견인하되, 상기 통합 제어기를 기준으로 전단부 및 후단부에 설치되는 케이블 포설기의 갯수는 동일하고, 인접된 2개의 상기 케이블 포설기의 이격 거리는 40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케이블 포설기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맨홀 또는 케이블 트레이에 직접 장착되는 구조로서 복수 개의 케이블 포설기를 연동시켜 케이블을 최장 600 ~ 700M 까지 포설할 수 있으며, 각 구간별 케이블의 장력에 대응하여 과중한 부하없이 케이블 포설이 가능함은 물론 다수의 인력이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하여야 하는 근원적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포설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케이블 포설기의 고정 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케이블 포설기의 케이블 견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메인 포설기의 제 2 가이드 롤러의 승강 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다수의 케이블 포설기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선출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피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포설기(100)는 제 1 장력조절 롤러부재(10), 메인 포설기(30), 제 2 장력조절 롤러부재(50) 및 고정 브라켓트(20)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장력조절 롤러부재(10)는 제 1 베이스 프레임(11)과, 제 1 베이스 프레임(11)의 상부면에 양단부가 베어링 지지된 제 1 장력조절 롤러(15)와, 제 1 장력조절 롤러(15)의 일단부에 제공된 제 1 브레이크(17)로 이루어져 있다.
제 2 장력조절 롤러부재(50)는 제 2 베이스 프레임(51)과, 제 2 베이스 프레임(51)의 상부면에 양단부가 베어링 지지된 제 2 장력조절 롤러(55)와, 제 2 장력조절 롤러(55)의 일단부에 제공된 제 2 브레이크(57)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 포설기(30)는 제 1 장력조절 롤러부재(10) 및 제 2 장력조절 롤러부재(50) 사이에 제공된 메인 베이스 프레임(31)과, 메인 베이스 프레임(31)의 상부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제 1 장력조절 롤러부재(10)와 인접된 위치된 제 1 가이드롤러(32)와, 메인 베이스 프레임(31)의 상부면 상단에 제공되어 있으며 윈치 모터(M)와 연동된 윈치 롤러(WR)와, 윈치 롤러(WR)의 하부에 위치되며 메인 베이스 프레임(31)의 상부면 하단에 제공된 윈치 종동 롤러(FR1)와, 윈치 롤러(WR)와 이격되게 메인 베이스 프레임(31)의 상부면 상단에 제공된 제 1 연선 롤러(FR2)와, 제 1 연선 롤러(FR2)의 하부에 위치되며 메인 베이스 프레임(31)의 상부면 하단에 제공된 제 2 연선 롤러(FR3)와, 윈치 롤러(WR)와 제 1 연선 롤러(FR2)를 동시에 승강시켜 원치 롤러(WR)와 윈치 종동 롤러(FR1)를 밀착 또는 이격시키고 제 1 연선 롤러(FR1)과 제 2 연선 롤러(FR2)를 밀착 또는 이격시키도록 제공된 롤러 승강부재(37)와, 메인 베이스 프레임(31)의 상부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윈치 롤러(WR)의 후단에 위치된 가이드롤러 승강부재(34)와, 가이드롤러 승강부재(34)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2 가이드롤러(33)와, 제 1 및 제 2 브레이크(17)(57)와 롤러 승강부재(37)와 가이드롤러 승강부재(34)를 제어하도록 제공되어 있으며 장력 감지센서가 내장된 제어기(38)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윈치 롤러(WR)와 제 1 연선 롤러(FR2)는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제 2 연선 롤러(FR3)와 윈치 종동 롤러(FR1)는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있다.
윈치 롤러(WR), 윈치 종동 롤러(FR1), 제 1 및 제 2 연선 롤러(FR2)(FR3)는 금속 재질의 휠(도시 안됨)과 타이어(번호 없음)로 구성되며 공기주입구(도시 안됨)가 부설되어 있어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롤러 승강부재(37)는 윈치 롤러(WR)와 제 1 연선 롤러(FR2)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37a)과, 양단부가 베어링 지지된 스크류(37c)와, 스크류(37)와 연동되도록 연결 프레임(37a)의 하부면에 제공된 스크류 연결관체(37b)와, 스크류(37c)의 일단부에 연결된 구동 모터(37d)로 이루어져 있다.
가이드롤러 승강부재(34)는 메인 베이스 프레임(31)의 상부면에 제공된 베이스 플레이트(34a)와, 일단부가 메인 베이스 프레임(31)을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34a)의 하부면에 베어링 지지된 가이드 스크류(34c)와, 가이드 스크류(34c)의 타단부와 연결된 승강 모터(34d)와, 승강 모터(34d)를 메인 베이스 프레임(31)의 하부면에 지지하도록 제공된 지지 브라켓트(34b)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300"은 케이블이다.
고정 브라켓트(20)는 제 1 장력조절 롤러부재(10), 메인 포설기(30) 및 제 3 장력조절 롤러부재(50)의 하부면에 적어도 1개 이상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 브라켓트(20)는 고정 플레이트(21)와, 고정 플레이트(21)의 하부면에 제공된 브라켓트 본체(23)와, 브라켓트 본체(23)에 제공된 제 1 고정부재(25) 및 브라켓트 본체(23)에 제공된 제 2 고정부재(27)로 이루어져 있다.
브라켓트 본체(23)는 고정 플레이트(21)의 하부면에 제공된 수직부재(23v)와, 수직부재(23v)의 하단에 일체로 제공된 수평부재(23h)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고정부재(25)는 수직부재(23v)를 관통하여 전후퇴되도록 제공된 제 1 고정 스크류(25a)와, 제 1 고정 스크류(25a)의 일단부에 제공된 제 1 파지단(25c)과, 제 1 고정 스크류(25a)의 타단부에 제공된 제 1 고정 핸들(25b)로 이루어져 있다.
제 2 고정부재(27)는 수평부재(23h)를 관통하여 전후퇴되도록 제공된 제 2 고정 스크류(27a)와, 제 2 고정 스크류(27a)의 일단부에 제공된 제 2 파지단(27c)과, 제 2 고정 스크류(27a)의 타단부에 제공된 제 2 고정 핸들(27b)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제 1 고정부재(25)는 케이블 트레이(200)의 측면 밀착되어 고정되고 제 2 고정부재(27)는 케이블 트레이(200)의 하부면을 밀착 고정되어 케이블 트레이(200)에 제 1 및 제 2 장력조절 롤러부재(10)(50)와, 메인 포설기(30)를 수동으로 고정시킨다(도 2 참조).
본 발명의 장력 감지센서를 내장한 제어기(38)는 견인하는 케이블(300)의 장력을 감지하여 장력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① 윈치 롤러(M)의 회전수를 1 ~ 5rpm씩 낮춰 견인되는 케이블(300)의 속도를 줄려 케이블의 장력을 기준치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하고, 장력 기준치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② 윈치 롤러(M)의 회전수를 1 ~ 5rpm씩 높혀 견인되는 케이블(300)의 속도를 높여 케이블의 장력이 기준치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윈치 롤러(M)의 정상 회전수는 윈치 롤러(M)의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100 ~ 500rpm 이내이며, 장력 기준치는 견인되는 케이블의 선경이나 종류에 따라 달라짐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제어기(38)는 케이블의 장력이 장력 기준치에 미달하는 경우에 ② 방법과 함께 가이드롤러 승강부재(34)의 승강 모터(34d)를 작동시켜 제 2 가이드롤러(33)를 상승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브레이크(17)(57)는 후술되는 통합 제어기(COM)의 제어에 의해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수의 케이블 포설기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가) 다수의 케이블 포설기 설치
본 실시예의 케이블 포설기는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면 또는 맨홀 내부에 설치된다. 통합 제어기(COM)를 기준으로 전단부에 복수 개의 케이블 포설기(F1~F9)을 설치하고 후단부에 복수 개의 케이블 포설기(R1~9N)을 설치한 후, 통합 제어기(COM)와 각각의 케이블 포설기와 케이블 포설기(F1~F9)(R1~R9)를 전기적 또는 전자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케이블 포설기 상호간의 거리(L1)는 40m가 바람직하고, 케이블 포설기의 전단부 길이(TFL)과 케이블 포설기의 후단부 길이(TBL)는 동일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포설 방법에 의해서는 케이블을 720m 정도 견인할 수 있다.
(나) 케이블 견인
케이블 드럼(도시 안됨)으로부터 케이블을 인출하여 제 1 케이블 포설기(F1)에 제공하면, 통합 제어기(COM)는 제 1 케이블 포설기(F1)를 작동시켜 케이블을 견인하고, 계속해서 제 2 케이블 포설기(F2)을 작동시켜 케이블을 견인하게 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 18 케이블 포설기(B9)를 작동시켜 케이블을 견인한다.
여기서, 통합 제어기(COM)는 케이블 견인시 각각의 케이블 포설기(F1~F9) (B1~B9)에 의해 감지된 케이블의 장력을 장력 기준치 범위 내로 유지시키도록 각각의 케이블 포설기(F1~F9)(B1~B9)의 윈치 롤러, 가이드롤러 승강부재, 제 1 및 제 2 브레이크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분명하다.
10, 50 : 장력조절 가이드부재
11, 51 : 베이스 프레임 15, 55 : 장력조절 롤러
17, 57 : 브레이크
30 : 메인 포설기
31 : 메인 베이스 프레임 32, 33 : 가이드롤러
34 : 가이드롤러 승강부재
38 : 제어기
100 : 케이블 포설기

Claims (5)

  1. 제 1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 1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양단부가 베어링 지지된 제 1 장력조절 롤러와, 상기 제 1 장력조절 롤러의 일단부에 제공된 제 1 브레이크를 갖는 제 1 장력조절 롤러부재와;
    제 2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 2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양단부가 베어링 지지된 제 2 장력조절 롤러와, 상기 제 2 장력조절 롤러의 일단부에 제공된 제 2 브레이크를 갖는 제 2 장력조절 롤러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장력조절 롤러부재 사이에 제공된 메인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장력조절 롤러부재와 인접된 위치된 제 1 가이드롤러와,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 상단에 제공되어 있으며 윈치 모터와 연동된 윈치 롤러와, 상기 윈치 롤러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 하단에 제공된 윈치 종동 롤러와, 상기 윈치 롤러와 이격되게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 상단에 제공된 제 1 연선 롤러와, 상기 제 1 연선 롤러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 하단에 제공된 제 2 연선 롤러와, 상기 윈치 롤러와 상기 제 1 연선 롤러를 동시에 승강시켜 상기 윈치 롤러와 상기 윈치 종동 롤러 그리고 상기 제 1 연선 롤러과 상기 제 2 연선 롤러를 밀착 또는 이격시키도록 제공된 롤러 승강부재와,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윈치 롤러의 후단에 위치된 가이드롤러 승강부재와, 상기 가이드롤러 승강부재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2 가이드롤러와, 상기 제 1 및 제 2 브레이크와 상기 롤러 승강부재와 상기 가이드롤러 승강부재를 제어하도록 제공되어 있으며 장력 감지센서가 내장된 제어기를 갖는 메인 포설기와;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제공된 브라켓트 본체와, 상기 브라켓트 본체에 제공된 제 1 및 제 2 고정부재를 갖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에 적어도 1개 이상 제공된 고정 브라켓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롤러 승강부재는 상기 윈치 롤러와 상기 제 1 연선 롤러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과, 양단부가 베어링 지지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와 연동되도록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부면에 제공된 스크류 연결관체와, 상기 스크류의 일단부에 연결된 구동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 승강부재는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제공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단부가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베어링 지지된 가이드 스크류와, 상기 가이드 스크류의 타단부와 연결된 승강 모터와, 상기 승강 모터를 상기 메인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에 지지하도록 제공된 지지 브라켓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 본체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제공된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 일체로 제공된 수평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고정부재는 상기 수직부재를 관통하여 전후퇴되도록 제공된 제 1 고정 스크류와, 상기 제 1 고정 스크류의 일단부에 제공된 제 1 파지단과, 상기 제 1 고정 스크류의 타단부에 제공된 제 1 고정 핸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고정부재는 상기 수평부재를 관통하여 전후퇴되도록 제공된 제 2 고정 스크류와, 상기 제 2 고정 스크류의 일단부에 제공된 제 2 파지단과, 상기 제 2 고정 스크류의 타단부에 제공된 제 2 고정 핸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기.
  5. 청구항 제1항, 청구항 제3항 및 청구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이루어진 케이블 포설기를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면 또는 맨홀 내부에 다수 개 설치하되, 통합 제어기를 기준으로 전단부에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 포설기를 설치하고 후단부에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 포설기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블 포설기들을 상기 통합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도록 연결한 후 상기 통합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 포설기를 작동시켜 케이블을 견인하되, 상기 통합 제어기를 기준으로 전단부 및 후단부에 설치되는 케이블 포설기의 갯수는 동일하고, 인접된 2개의 상기 케이블 포설기의 이격 거리는 40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케이블 포설기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KR1020160138030A 2016-10-22 2016-10-22 케이블 포설기 및 다수의 케이블 포설기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KR101825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030A KR101825447B1 (ko) 2016-10-22 2016-10-22 케이블 포설기 및 다수의 케이블 포설기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030A KR101825447B1 (ko) 2016-10-22 2016-10-22 케이블 포설기 및 다수의 케이블 포설기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447B1 true KR101825447B1 (ko) 2018-03-22

Family

ID=6190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030A KR101825447B1 (ko) 2016-10-22 2016-10-22 케이블 포설기 및 다수의 케이블 포설기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44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671B1 (ko) * 2018-07-11 2020-02-17 제일이엔지(주) 케이블 포설 시스템
KR102138456B1 (ko) * 2019-01-18 2020-07-27 양희성 전력 케이블 연속 철거 및 신설이 가능한 일체형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
KR102190804B1 (ko) * 2020-03-11 2020-12-14 이은상 전선포설용 케이블 피더장치
CN113363004A (zh) * 2021-06-22 2021-09-07 安徽锦标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便捷安装的感温电缆
KR20210143472A (ko) * 2020-05-20 2021-11-29 전태훈 전력 케이블용 송출장치
CN114314157A (zh) * 2021-12-17 2022-04-12 国网河南省电力公司温县供电公司 一种电缆放线牵拉装置
CN116873659A (zh) * 2023-09-07 2023-10-13 扬州广通电力机具有限公司 一种电缆输送装置
CN117080942A (zh) * 2023-08-08 2023-11-17 石家庄铁道大学 一种应用于电力系统构建中的电缆处理设备
CN117728319A (zh) * 2024-02-18 2024-03-19 江苏宇航特种线缆有限公司 一种安装电缆的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669B1 (ko) * 2013-11-18 2015-03-06 김현철 케이블 포설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669B1 (ko) * 2013-11-18 2015-03-06 김현철 케이블 포설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671B1 (ko) * 2018-07-11 2020-02-17 제일이엔지(주) 케이블 포설 시스템
KR102138456B1 (ko) * 2019-01-18 2020-07-27 양희성 전력 케이블 연속 철거 및 신설이 가능한 일체형 전력 케이블 포설장치
KR102190804B1 (ko) * 2020-03-11 2020-12-14 이은상 전선포설용 케이블 피더장치
KR102396099B1 (ko) 2020-05-20 2022-05-11 전태훈 전력 케이블용 송출장치
KR20210143472A (ko) * 2020-05-20 2021-11-29 전태훈 전력 케이블용 송출장치
CN113363004A (zh) * 2021-06-22 2021-09-07 安徽锦标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便捷安装的感温电缆
CN114314157A (zh) * 2021-12-17 2022-04-12 国网河南省电力公司温县供电公司 一种电缆放线牵拉装置
CN114314157B (zh) * 2021-12-17 2023-08-18 国网河南省电力公司温县供电公司 一种电缆放线牵拉装置
CN117080942A (zh) * 2023-08-08 2023-11-17 石家庄铁道大学 一种应用于电力系统构建中的电缆处理设备
CN117080942B (zh) * 2023-08-08 2024-04-05 石家庄铁道大学 一种应用于电力系统构建中的电缆处理设备
CN116873659A (zh) * 2023-09-07 2023-10-13 扬州广通电力机具有限公司 一种电缆输送装置
CN116873659B (zh) * 2023-09-07 2024-01-23 扬州广通电力机具有限公司 一种电缆输送装置
CN117728319A (zh) * 2024-02-18 2024-03-19 江苏宇航特种线缆有限公司 一种安装电缆的装置
CN117728319B (zh) * 2024-02-18 2024-04-26 江苏宇航特种线缆有限公司 一种安装电缆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447B1 (ko) 케이블 포설기 및 다수의 케이블 포설기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US20190148923A1 (en) Cable pulling apparatus for cable tray
KR20110098218A (ko) 마찰차를 이용한 호이스트
KR101254577B1 (ko)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KR100978003B1 (ko)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KR101261457B1 (ko)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
KR102149670B1 (ko) 송전용 지중케이블 와인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케이블 설치시스템
KR100590852B1 (ko) 전선 권취장치
KR101950238B1 (ko) 전선 포설을 위한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US4445668A (en) Cable feeding system
KR101261458B1 (ko)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KR101289465B1 (ko) 트레이의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KR101499669B1 (ko) 케이블 포설기
CN207475086U (zh) 积木式电缆输送机
WO2010141871A2 (en) Cable pulling machine
KR101451751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구동장치
KR200163244Y1 (ko) 전선의가선장치(架線裝置)
CN209344647U (zh) 一种暗敷电缆套防护管用施工装置
JP4746605B2 (ja) 繰り出し装置
KR101443255B1 (ko)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CN107857166A (zh) 一种分线张力机
CN210763652U (zh) 一种高性能聚乙烯缆改进型编制系统
KR100849520B1 (ko) 동기식 체인 리프트 장치
KR102440835B1 (ko) 지중 전력 케이블 장거리 포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3117264A (ja) 舞台設備における吊物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