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003B1 -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003B1
KR100978003B1 KR1020100035552A KR20100035552A KR100978003B1 KR 100978003 B1 KR100978003 B1 KR 100978003B1 KR 1020100035552 A KR1020100035552 A KR 1020100035552A KR 20100035552 A KR20100035552 A KR 20100035552A KR 100978003 B1 KR100978003 B1 KR 100978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cable
drum
vehicle
pulling device
automatic pu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정선
김동귀
김용재
Original Assignee
(주)클립이엔지
대덕전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립이엔지, 대덕전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클립이엔지
Priority to KR102010003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003B1/ko
Priority to PCT/KR2011/002606 priority patent/WO2011129604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지중전력구 또는 관로에 배전케이블을 포설하는 차량 탑재형 풀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배전케이블 드럼을 차량에 탑재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프레임; 배전케이블 드럼을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탈부착되는 드럼축부와, 상기 드럼축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축부와 커플링으로 연결되는 제어축부와, 상기 제어축부에 연결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는 3개의 드럼적재부; 상기 브레이크부의 제동력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인입되는 배전케이블을 모아주는 출구롤러;를 포함하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VEHICLE MOUNTED TYPE PULLING DEVICE FOR 3-PHASE POWER CABLE}
본 발명은 지중전력구 또는 관로에 배전케이블을 포설하는 차량 탑재형 풀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배전케이블 드럼을 차량에 탑재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중배전설비는 가공설비에 비해 전력의 안정공급 및 공급신뢰도 향상, 도시환경미화 등의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우수하여, 매년 지중배전설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지중전력구는 지하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지상과 소통할 수 있는 수직구로 연결되어 있다. 지중전력구의 내부에 배전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상에서 배전케이블을 수직구를 통해 진입시켜 지중전력구 내부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작업을 풀링(PULLING) 작업이라고 한다.
배전케이블은 지중전력구에 설치되기도 하고, 지중에서 미리 설치되어 있는 관로상에 설치되기도 하는 이러한 경우에도 배전케이블을 관로의 안으로 끌어 이동시키는 풀링 작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풀링 작업의 자동화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구와 관로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풀링장치를 차량에 탑재함으로써 작업공간 축소와 작업인력을 감축시킬 수 있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 풀링 작업시 발생하는 케이블 외피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3상 케이블을 동시에 풀링할 수 있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프레임; 배전케이블 드럼을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탈부착되는 드럼축부와, 상기 드럼축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축부와 커플링으로 연결되는 제어축부와, 상기 제어축부에 연결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는 3개의 드럼적재부; 상기 브레이크부의 제동력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인입되는 배전케이블을 모아주는 출구롤러;를 포함하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3개의 드럼적재부는 좌우측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전케이블 드럼에서 인출되는 배전케이블이 다른 배전케이블 드럼에 간섭하지 않도록 배전케이블의 경로를 안내하는 상향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축부는 배전케이블 드럼을 관통하는 드럼축과, 상기 배전케이블 드럼의 일측에 결합되는 쐐기편과, 상기 배전케이블 드럼의 타측에 결합되며 배전케이블 드럼에 구비된 체결수단에 대응하는 걸림홈을 구비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며,
상기 쐐기편과 상기 고정편은 드럼축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축부의 탈부착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며 배전케이블 드럼 장착 위치 양측에 배치되는 드럼축 고정부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상기 드럼축 고정부는 상부덮개판과 하부덮개판으로 분할형성되어 드럼축부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부덮개판이 상기 하부덮개판에 대하여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레이크부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마찰력이 조절되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브레이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풀링되는 배전케이블을 전력구 또는 관로의 입구까지 안내하는 붐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붐대의 단부에는 3개의 배전케이블을 모아주는 4각 롤러를 구비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축부에 로프드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로프드럼은 로프를 푸는 방향으로는 제어축부와 함께 회전하고, 로프를 감는 방향으로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는 차량의 적재함상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케이블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작업인력을 감축하고 작업시간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는 배전케이블을 관로 또는 전력구의 입구까지 케이블의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케이블 손상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지중전력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2는 케이블관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축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축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력구 3상 배전케이블 풀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풀링 공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지중전력구의 구조에 관하여 살펴본다.
지중전력구는 지하 30~40m 깊이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내부에 송전 케이블, 배전 케이블, 통신 케이블이 설치된다.
도 1은 지중전력구의 구조를 개략적을 나타낸 구조도이고, 도 2는 케이블관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전력구(10)의 일측에는 지상과 지중전력구를 연결하는 수직구(20)가 형성되어 있다. 수직구의 내부에는 작업자가 출입시 사다리 처럼 이용할 수 있는 철구조물(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중전력구(10)의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송전 케이블, 배전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을 구별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복층의 행거(Hanger)(12)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행거(12)를 3층 구조로 형성하여 1층에는 송전 케이블을 설치하고, 2층에는 배전케이블을 설치하고, 3층에는 통신케이블을 설치하는 식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지중전력구(10) 내부에 배전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수직구(20)를 통해 배전케이블을 진입시키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 작업을 케이블 풀링(Cable pulling)이라 한다.
지중 전력구의 한 구간의 길이(여기서 한 구간이라 함은 인접한 수직구들 사이에 설치되는 지중 전력구의 길이를 의미한다.)는 수십m에서 수백m에 달한다.
한편, 배전 케이블은 드럼에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는데 드럼의 크기가 수직구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드럼 상태로 지중 전력구에 진입할 수 없다. 또한 수백미터에 달하는 배전케이블은 그 자체만으로도 부피가 커서 권취된 상태로는 수직구를 통해 운반할 수 없다.
따라서, 드럼을 수직구(20)의 입구 근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배전케이블을 풀어서 수직구(20)를 통해 지중전력구(10) 내부로 진입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 작업이 대부분 인력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종래의 케이블 풀링 작업 방식은 드럼쪽에 작업 인력이 배치되어 드럼을 수동으로 각각 잡아주면서 풀어주어야 되었고, 이렇게 순수 인력에 의해서 배전케이블을 풀어주면서 수직구(20)로 집어 넣으면, 배전케이블의 커다란 자체 무게를 수직구 층별로 인력이 배치되어 인력의 힘으로 배전케이블이 지중전력구(10) 바닥면까지 내려가게 되고, 지중 전력구 내부에 작업자를 배치하여 작업자들이 케이블을 들고 이동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에서 케이블이 수직구 입구 또는 지중 전력구 모서리에 접촉하여 외피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케이블이 자중에 의하여 급속하게 낙하하는 경우 케이블을 잡고 있던 작업자가 부상당할 우려도 있었다.
또한, 지중 전력구 내부에서 케이블의 이동이 인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다 보니 작업 속도가 느리고,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케이블 풀링 작업은 케이블 1개씩 작업이 이루어져야 했고, 3상 배전케이블 작업의 경우 3차례의 동일한 작업을 반복해야 3상 케이블의 풀링 작업을 수행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3상 배전 케이블을 동시에 풀링 할 수 있는 풀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풀링 공법에 관한 것으로, 드럼을 차량에 회전가능하게 탑재하고 풀링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동시 풀링 장치를 이용하며, 전력구에 설치된 행거위에 가이드롤러를 설치하여 행거상에 3개의 배전케이블을 동시에 풀링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공사 소요 인력을 절감하고,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중관로(60)의 양측에 맨홀(62)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맨홀을 통해서 배전케이블을 인입하게 된다.
지중관로에서의 종래의 작업방식은 케이블인 인입되는 측에 케이블 드럼을 배치하고, 반대편에서 윈치로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방식이었으며, 케이블 드럼을 작업자가 인력으로 케이블 드럼을 풀어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통상 배전케이블은 3상 배전케이블이 사용되므로, 본 발명은 3개의 배전케이블 드럼을 적재하여 자동으로 풀링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는 화물차의 적재함(200)에 장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배전케이블의 운반과 시공을 하나의 차량으로 모두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의 편의성과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는 차량에 배전케이블이 탑재된 상태에서 풀링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는 차량의 적재함(200)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배전케이블 드럼(D)이 적재함의 바닥면에 닿지 않고 회전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프레임(100)을 구비한다.
프레임(100)은 3개의 배전케이블 드럼(D)을 회전 가능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배전케이블을 좌측, 우측, 좌측과 같은 방식으로 엇갈리게 적재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로 배전케이블 드럼(D)을 배열하면 5톤 차량에 3개의 적재함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케이블의 길이가 긴 경우 드럼의 크기도 커지기 때문에, 대형 드럼을 위해서는 7톤 이상의 차량에 설치해야 하며, 이 경우 드럼(D)을 일렬로 배치할 수도 있다.
배전케이블 드럼(D)은 드럼축부(110)에 고정되고, 드럼축부(110)가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드럼축부(110)는 한쌍의 드럼축 고정부(120)에 탈부착 가능하며,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드럼축부(110)는 동일축상에는 제어축부(130)가 구비된다. 제어축부(130)와 드럼축부(110)는 커플링(135)으로 연결된다. 커플링(135)은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드럼축부(110)가 프레임(100)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한 것에 비하여, 제어축부(130)는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드럼축부(110)는 배전케이블 드럼(D)의 교체를 위하여 탈부착 가능한 구조가 필요하지만, 제어축부(130)는 그럴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다.
제어축부(130)는 브레이크부(14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부(140)에서 제동력이 발생하게 되면 드럼축부(110)의 회전을 감속하게 된다.
브레이크부(140)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마찰력이 조절되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 또는 유압식 드럼 브레이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압식 브레이크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여 감속력을 조절하게 된다.
브레이크부(140)는 배전케이블이 수직구를 낙하할 때 낙하 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수직구 내부에서는 배전케이블이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기 때문에 감속시키지 않으면 배전케이블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브레이크부(140)을 이용하여 일정한 속도로 배전케이블이 수직구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는 각각의 배전케이블 드럼(D)이 각각의 브레이크부(140)에 연결된다. 이 때 3개의 브레이크부(140)는 제어부에 의하여 제동력이 조절되는데, 3개의 브레이크부(140)를 동일하게 제어할 수도 있으며, 개별적으로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작업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으며, 배전케이블의 이송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자동적으로 제어부가 제동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센서는 드럼축부에 구비되는 각속도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100)의 후단에는 출구롤러(105, 105a)가 구비된다. 출구롤러(105, 105a)는 3개의 배전케이블을 모아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출구롤러(105, 105a)는 4각형 형태로 배치된 롤러로 3개의 배전케이블을 모아서 풀링시켜 준다. 출구롤러(105, 105a)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케이블진행 방향으로 배치되어 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1개의 출구롤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는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붐대(300)를 더 포함한다.
붐대(300)의 선단에는 4각 롤러(3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각 롤러(310)는 배전케이블 3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3개의 배전케이블을 모아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붐대(300)는 전력구의 입구 또는 관로의 입구까지 차량 진입이 용이하지 않을 때 사용한다. 차량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 3개의 케이블이 붐대(300)의 선단에 형성된 4각 롤러(310)를 통과하도록 하고, 붐대(300)의 선단을 전력구의 입구 또는 관로의 입구까지 연장함으로써, 풀링되는 배전케이블이 지면이나 다른 구조물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 손상을 방지하고 원활한 풀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전케이블 드럼(D)의 앞쪽에는 상향롤러(10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향롤러(107)는 상기 배전케이블 드럼(D)에서 풀링되는 케이블이 다른 배전케이블 드럼(D)이나 프레임과 간섭하지 않도록 배전케이블의 경로를 위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제일 앞쪽열과 두 번째 열에 상향롤러(107)가 모두 구비되어 있으나, 경우에 다라서는 제일 앞쪽열 배전케이블 드럼(D)에만 구비될 수 있으며, 모든 배전케이블 드럼(D)의 앞쪽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는 연락선이나 통신선 등을 권취할 수 있는 윈치(4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전케이블을 풀링하기 위해서는 와이어나 로프를 이용하여 배전케이블의 선단을 고정하게 되는데, 이 때 와이어나 로프를 풀링 장치 측으로 끌어당기기 위해서 윈치(400)를 사용하게 된다.
풀링이 진행되어 배전케이블 드럼(D)에 감겨진 배전케이블이 거의 다 풀려지면 끝단부는 더 이상 드럼(D)에 감겨진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이를 별도의 로프를 사용하여 잡아주어야 한다.
즉, 배전케이블의 말단부에 로프를 연결하여, 로프에 배전케이블이 낙하하지 않도록 장력을 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제어축부(130)에는 로프드럼(5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축부(130)에는 브레이크부(14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부(140)를 작동하여 배전케이블 말단의 풀링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배전케이블 말단이 자유낙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프드럼(500)은 로프가 풀려지는 방향으로는 제어축부(130)와 함께 회전하며, 로프를 감는 방향으로는 제어축부(130)와는 별개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배전케이블 풀링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로프를 로프드럼(500)에 감아야 하는데, 이 때 불필요하게 제어축부(130) 전체를 회전시키지 않고 로프드럼(500)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로프드럼(500)은 상술한 윈치(400)에 벨트나 체인과 같은 연결수단(510)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윈치(400)를 작동하여 로프드럼(500)에 로프를 권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윈치(400)를 도 3과 같이 차량의 하부에 장착하기 보다는 도 4나 도 5에 도시된바와 같이 윈치(400)를 프레임(100)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윈치(400)를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드럼축부(110)는 배전케이블 드럼(D)을 고정한 상태로,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드럼축부(110)는 배전케이블 드럼(D)을 관통하는 드럼축(112)과, 상기 배전케이블 드럼(D)의 일측에 결합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쐐기편(114)과, 상기 배전케이블 드럼(D)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편(116)을 구비한다.
그런데, 배전케이블 드럼(D)의 양측면에는 체결수단(B)이 노출되어 있다. 고정편(116)은 상기 체결수단에 대응하는 걸림홈(116a)를 구비하여, 고정편(116)이 배전케이블 드럼(D)의 측면에 밀착하게 되면, 상기 걸림홈(116a)에 상기 체결수단이 위치하게 되어 고정편(116)이 배전케이블 드럼(D)에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된다.
쐐기편(114)은 배전케이블 드럼(D)의 관통공 내부로 삽입되며 드럼축(112)의 중심과 배전케이블 드럼(D)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쐐기편(114) 또는 상기 고정편(116)은 드럼축(11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배전케이블 드럼(D)의 양측면을 밀착되거나 이격되도록 조절될 수 있으며, 다양한 규격의 배전케이블 드럼(D)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드럼축(112)의 일측 단부에는 커플링(135)이 구비되며, 드럼축(112)에 구비된 커플링(135)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커플링이 제어축부에도 구비된다.
한쌍의 커플링(135)을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속함으로써 드럼축부(110)와 제어축부(13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커플링(135)에는 체결수단의 결속을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구비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축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드럼축 고정부(120)는 배전케이블 드럼 장착 위치의 양측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축 고정부(120)는 상부덮개판(122)과 하부덮개판(124)으로 분할 형성되어, 드럼축부(110)를 감싸는 형태를 가진다.
드럼축부(110)의 탈부착을 위해서, 드럼축 고정부(120)의 상부덮개판(122)은 하부덮개판(124)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덮개판(122)을 젖히면 드럼축부(110)를 드럼축 고정부(12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를 사용하면 3개의 배전케이블을 동시에 지중전력구 또는 관로의 입구까지 모아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풀링작업에 투여되는 작업인력과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시공비용을 25% 이상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 : 배전케이블
D : 배전케이브 드럼
10 : 지중전력구
12 : 행거
20 : 수직구
50 : 드럼
100 : 프레임
110 : 드럼축부
120 : 드럼축 고정부
130 : 제어축부
140 : 브레이크부
200 : 적재함
300 : 붐대
400 : 윈치
500 : 로프드럼
510 : 연결수단

Claims (14)

  1. 차량의 적재함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프레임;
    배전케이블 드럼을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탈부착되는 드럼축부와, 상기 드럼축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축부와 커플링으로 연결되는 제어축부와, 상기 제어축부에 연결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는 3개의 드럼적재부;
    상기 브레이크부의 제동력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인입되는 배전케이블을 모아주는 출구롤러;를 포함하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드럼적재부는 좌우측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케이블 드럼에서 인출되는 배전케이블이 다른 배전케이블 드럼에 간섭하지 않도록 배전케이블의 경로를 안내하는 상향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축부는 배전케이블 드럼을 관통하는 드럼축과, 상기 배전케이블 드럼의 일측에 결합되는 쐐기편과, 상기 배전케이블 드럼의 타측에 결합되며 배전케이블 드럼에 구비된 체결수단에 대응하는 걸림홈을 구비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편과 상기 고정편은 드럼축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축부의 탈부착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며 배전케이블 드럼 장착 위치 양측에 배치되는 드럼축 고정부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축 고정부는 상부덮개판과 하부덮개판으로 분할형성되어 드럼축부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부덮개판이 상기 하부덮개판에 대하여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마찰력이 조절되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브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풀링되는 배전케이블을 전력구 또는 관로의 입구까지 안내하는 붐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의 단부에는 3개의 배전케이블을 모아주는 4각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연락선 또는 통신선을 권취할 수 있는 윈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축부에 로프드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드럼은 로프를 푸는 방향으로는 제어축부와 함께 회전하고, 로프를 감는 방향으로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장치.
KR1020100035552A 2010-04-16 2010-04-16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KR100978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552A KR100978003B1 (ko) 2010-04-16 2010-04-16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PCT/KR2011/002606 WO2011129604A2 (ko) 2010-04-16 2011-04-13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552A KR100978003B1 (ko) 2010-04-16 2010-04-16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003B1 true KR100978003B1 (ko) 2010-08-25

Family

ID=4276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552A KR100978003B1 (ko) 2010-04-16 2010-04-16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003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821B1 (ko) * 2010-11-18 2011-04-12 장한전력(주) 케이블가이드가 구비된 다회선 케이블 선출장치
KR20120020437A (ko) * 2010-08-30 2012-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드럼용 받침대
KR101159700B1 (ko) 2012-04-30 2012-06-26 주식회사 동해 케이블 4드럼 선출장치를 이용한 지중 저압 케이블 포설방법 및 케이블 4드럼 선출장치
KR101174077B1 (ko) 2012-01-31 2012-08-22 (주)디.에이치.케이 더블 브레이디드 로프를 이용한 지중 케이블 포설방법 및 지중 케이블 디지털 풀러
KR101261457B1 (ko) 2011-11-11 2013-05-10 하나테크 주식회사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
KR101261458B1 (ko) 2011-09-07 2013-05-10 하나테크 주식회사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KR101347181B1 (ko) * 2013-04-29 2014-01-07 대덕전력 주식회사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인입인출 포설 장치
KR101408266B1 (ko) 2013-11-18 2014-06-16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차량 탑재용 배전케이블 3드럼 전차선 동시 포설장치
KR20200028321A (ko) * 2018-09-06 2020-03-16 주식회사 남북건설 송전용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KR20200028203A (ko) * 2018-09-06 2020-03-16 주식회사 남북건설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KR20210051788A (ko) * 2019-10-31 2021-05-10 한국전력공사 차량 거치식 케이블 포설 장치
KR20210128100A (ko) 2020-04-16 2021-10-26 (주)디피엔지니어링 지중케이블 권취수단이 구비된 트랙터 일체형 지중케이블 견인 장치
KR20210128093A (ko) 2020-04-16 2021-10-26 (주)디피엔지니어링 트랙터 일체형 지중케이블 견인장치
KR20210128098A (ko) 2020-04-16 2021-10-26 (주)디피엔지니어링 풀링와이어 안내수단이 구비된 트랙터 일체형 지중케이블 견인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4707A (ja) * 1992-10-07 1993-11-16 Kandenko Co Ltd ケーブル延線作業車
KR200163244Y1 (ko) 1999-07-01 2000-02-15 주식회사동해 전선의가선장치(架線裝置)
JP2002159112A (ja) 2000-11-17 2002-05-31 East Japan Railway Co 信号ケーブル延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4707A (ja) * 1992-10-07 1993-11-16 Kandenko Co Ltd ケーブル延線作業車
KR200163244Y1 (ko) 1999-07-01 2000-02-15 주식회사동해 전선의가선장치(架線裝置)
JP2002159112A (ja) 2000-11-17 2002-05-31 East Japan Railway Co 信号ケーブル延線装置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437A (ko) * 2010-08-30 2012-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드럼용 받침대
KR101685938B1 (ko) 2010-08-30 2016-12-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드럼용 받침대
KR101028821B1 (ko) * 2010-11-18 2011-04-12 장한전력(주) 케이블가이드가 구비된 다회선 케이블 선출장치
KR101261458B1 (ko) 2011-09-07 2013-05-10 하나테크 주식회사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KR101261457B1 (ko) 2011-11-11 2013-05-10 하나테크 주식회사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
KR101174077B1 (ko) 2012-01-31 2012-08-22 (주)디.에이치.케이 더블 브레이디드 로프를 이용한 지중 케이블 포설방법 및 지중 케이블 디지털 풀러
KR101159700B1 (ko) 2012-04-30 2012-06-26 주식회사 동해 케이블 4드럼 선출장치를 이용한 지중 저압 케이블 포설방법 및 케이블 4드럼 선출장치
KR101347181B1 (ko) * 2013-04-29 2014-01-07 대덕전력 주식회사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인입인출 포설 장치
KR101408266B1 (ko) 2013-11-18 2014-06-16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차량 탑재용 배전케이블 3드럼 전차선 동시 포설장치
KR102149524B1 (ko) * 2018-09-06 2020-08-28 주식회사 남북건설 송전용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KR20200028203A (ko) * 2018-09-06 2020-03-16 주식회사 남북건설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KR20200028321A (ko) * 2018-09-06 2020-03-16 주식회사 남북건설 송전용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KR102220514B1 (ko) * 2018-09-06 2021-02-25 주식회사 남북건설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US11848543B2 (en) 2018-09-06 2023-12-19 Sn Enc Co., Ltd. Power transmission underground cable winding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underground cable spreading system comprising same
KR20210051788A (ko) * 2019-10-31 2021-05-10 한국전력공사 차량 거치식 케이블 포설 장치
KR102650798B1 (ko) 2019-10-31 2024-03-26 한국전력공사 차량 거치식 케이블 포설 장치
KR20210128100A (ko) 2020-04-16 2021-10-26 (주)디피엔지니어링 지중케이블 권취수단이 구비된 트랙터 일체형 지중케이블 견인 장치
KR20210128093A (ko) 2020-04-16 2021-10-26 (주)디피엔지니어링 트랙터 일체형 지중케이블 견인장치
KR20210128098A (ko) 2020-04-16 2021-10-26 (주)디피엔지니어링 풀링와이어 안내수단이 구비된 트랙터 일체형 지중케이블 견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003B1 (ko)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KR100981710B1 (ko) 지중전력구 3상 배전케이블 동시 풀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풀링 자동화 공법
CN209767009U (zh) 电缆自动敷设系统及其电缆敷设装置
KR102149524B1 (ko) 송전용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KR101261457B1 (ko)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
KR101261458B1 (ko)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KR101086748B1 (ko) 케이블 피더
KR100932524B1 (ko) 지중관로용 케이블 인입 및 인출 장치
CN203212111U (zh) 一种新型电缆盘底座
KR102416616B1 (ko)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이 가능한 멀티 풀링 머신
CN201937208U (zh) 一种用于电缆管道敷设电缆的放线架
KR20120127082A (ko) 트레이의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CN201351106Y (zh) 起重机换钢丝绳装置
KR200446355Y1 (ko) 케이블 터닝 포설 작업용 롤러장치
KR100981711B1 (ko)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KR101026840B1 (ko)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WO2011129604A2 (ko)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KR101443255B1 (ko)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KR102223387B1 (ko)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케이블 포설공법
JP5596374B2 (ja) 中高層ビルにおける垂直幹線の延線工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装置
KR101408266B1 (ko) 차량 탑재용 배전케이블 3드럼 전차선 동시 포설장치
JP2011188562A (ja) 中高層ビルにおける垂直幹線の延線工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装置
KR101254427B1 (ko) 케이블 레이드 그로멧 제조장치
KR102040057B1 (ko) 맨홀 내 지중 케이블 포설 장치
KR102220513B1 (ko) 멀티 케이블 설치 및 철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