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840B1 -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840B1
KR101026840B1 KR1020100047205A KR20100047205A KR101026840B1 KR 101026840 B1 KR101026840 B1 KR 101026840B1 KR 1020100047205 A KR1020100047205 A KR 1020100047205A KR 20100047205 A KR20100047205 A KR 20100047205A KR 101026840 B1 KR101026840 B1 KR 101026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cable
drum
control device
winch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정선
김동귀
김용재
Original Assignee
대덕전력 주식회사
(주)클립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덕전력 주식회사, (주)클립이엔지 filed Critical 대덕전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7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840B1/ko
Priority to PCT/KR2011/002606 priority patent/WO2011129604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30Arrangements to facilitate driving or bra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4Driving mechanisms other
    • B65H2403/544Driving mechanisms other involving rolling up - unrolling of transmission element, e.g. win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 B65H2403/725Brakes
    • B65H2403/7252Brakes fluid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Abstract

지중전력구에 배전케이블을 포설하는 배전케이블 풀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케이블의 풀링속도와 배전케이블에 인가되는 장력을 자동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프레임; 배전케이블 드럼을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탈부착되는 드럼축부와, 상기 드럼축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축부와 커플링으로 연결되는 제어축부와, 상기 제어축부에 연결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는 3개의 드럼적재부; 인입되는 배전케이블을 모아주며 풀링되는 배전케이블의 길이를 측정하는 출구롤러; 상기 배전케이블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권취드럼에 권취하여 배전케이블을 견인하며, 권취되는 와이어의 장력과 권취드럼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관로윈치; 및 상기 윈치에서 측정된 권취드럼의 회전수, 와이어의 장력을 입력받고, 상기 출구롤러에서 이송길이를 입력받아, 브레이크부에 가해지는 제동력과 상기 윈치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AUTOMATIC 3-PHASE POWER CABLE PULLING DEVICE HAVING CONTROL UNIT}
본 발명은 지중전력구에 배전케이블을 포설하는 배전케이블 풀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케이블의 풀링속도와 배전케이블에 인가되는 장력을 자동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중배전설비는 가공설비에 비해 전력의 안정공급 및 공급신뢰도 향상, 도시환경미화 등의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우수하여, 매년 지중배전설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지중전력구는 지하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지상과 소통할 수 있는 수직구로 연결되어 있다. 지중전력구의 내부에 배전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상에서 배전케이블을 수직구를 통해 진입시켜 지중전력구 내부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작업을 풀링(PULLING) 작업이라고 한다.
배전케이블은 지중전력구에 설치되기도 하고, 지중에서 미리 설치되어 있는 관로상에 설치되기도 하는 이러한 경우에도 배전케이블을 관로의 안으로 끌어 이동시키는 풀링 작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풀링 작업의 자동화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윈치의 구동력과 드럼에 연결된 브레이크부의 제동력을 제어하여 인입되는 배전케이블의 장력을 일정범위에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배전케이블 풀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풀링장치를 차량에 탑재함으로써 작업공간 축소와 작업인력을 감축시킬 수 있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전케이블 풀링 과정의 각종 수치를 기록하여 시공품질 관리를 용이하게 해주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배전케이블 풀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프레임; 배전케이블 드럼을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탈부착되는 드럼축부와, 상기 드럼축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축부와 커플링으로 연결되는 제어축부와, 상기 제어축부에 연결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는 3개의 드럼적재부; 인입되는 배전케이블을 모아주며 풀링되는 배전케이블의 길이를 측정하는 출구롤러; 상기 배전케이블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권취드럼에 권취하여 배전케이블을 견인하며, 권취되는 와이어의 장력과 권취드럼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관로윈치; 및 상기 윈치에서 측정된 권취드럼의 회전수, 와이어의 장력을 입력받고, 상기 출구롤러에서 이송길이를 입력받아, 브레이크부에 가해지는 제동력과 상기 윈치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배전케이블 풀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관로윈치는 권취드럼의 전방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한쌍의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권취드럼에 근접하게 배치된 롤러가 권취되는 와이어에 의하여 연직방향의 하중을 인가받도록 하고, 상기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로윈치는 구동수단으로 3상 교류 전동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관로윈치는 3상 교류 전동기의 속도를 조절하는 윈치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윈치제어부는 상기 3상 교류 전동기의 속도제어를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모드와, 상기 3상 교류 전동기의 속도제어를 상기 윈치제어부에 구비되는 속도조절 스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장치는 와이어 장력이 일정범위를 유지하도록 상기 브레이크부의 제동력과 상기 관로윈치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계를 포함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배전케이블 풀링 과정에서 배전케이블에 인가되는 장력을 실시간을 측정하고 제어할 수 있는 풀링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시공되는 배전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케이블 시공과정에서 측정되는 각종 수치를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품질 관리를 용이하게 해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지중전력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축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축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윈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와이어의 장력 계산을 위한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10은 풀링거리에 따른 배전케이블 드럼의 직경변화와, 관로윈치 직경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 내지 도 15는 고정자전류 8.35A, 12A, 16A, 22A, 29A시 각 회전수에 따른 전류밀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
도 16 내지 도 20은 고정자전류 8.35A, 12A, 16A, 22A, 29A시 각 회전수에 따른 회전자 속도(N)-토크(T)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21 내지 도 25는 각 회전자 회전수에 따른 발생 토크로부터 모터가 끌 수 있는 부하의 최대 중량을 나타낸 그래프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배전케이블 풀링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지중전력구의 구조에 관하여 살펴본다.
지중전력구는 지하 30~40m 깊이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내부에 송전 케이블, 배전 케이블, 통신 케이블이 설치된다.
도 1은 지중전력구의 구조를 개략적을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전력구(10)의 일측에는 지상과 지중전력구를 연결하는 수직구(20)가 형성되어 있다. 수직구의 내부에는 작업자가 출입시 사다리 처럼 이용할 수 있는 철구조물(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중전력구(10)의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송전 케이블, 배전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을 구별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복층의 행거(Hanger)(12)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행거(12)를 3층 구조로 형성하여 1층에는 송전 케이블을 설치하고, 2층에는 배전케이블을 설치하고, 3층에는 통신케이블을 설치하는 식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지중전력구(10) 내부에 배전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수직구(20)를 통해 배전케이블을 진입시키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 작업을 케이블 풀링(Cable pulling)이라 한다.
지중 전력구의 한 구간의 길이(여기서 한 구간이라 함은 인접한 수직구들 사이에 설치되는 지중 전력구의 길이를 의미한다.)는 수십m에서 수백m에 달한다.
한편, 배전 케이블은 드럼에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는데 드럼의 크기가 수직구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드럼 상태로 지중 전력구에 진입할 수 없다. 또한 수백미터에 달하는 배전케이블은 그 자체만으로도 부피가 커서 권취된 상태로는 수직구를 통해 운반할 수 없다.
따라서, 드럼을 수직구(20)의 입구 근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배전케이블을 풀어서 수직구(20)를 통해 지중전력구(10) 내부로 진입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 작업이 대부분 인력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종래의 케이블 풀링 작업 방식은 드럼쪽에 작업 인력이 배치되어 드럼을 수동으로 각각 잡아주면서 풀어주어야 되었고, 이렇게 순수 인력에 의해서 배전케이블을 풀어주면서 수직구(20)로 집어 넣으면, 배전케이블의 커다란 자체 무게를 수직구 층별로 인력이 배치되어 인력의 힘으로 배전케이블이 지중전력구(10) 바닥면까지 내려가게 되고, 지중 전력구 내부에 작업자를 배치하여 작업자들이 케이블을 들고 이동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에서 케이블이 수직구 입구 또는 지중 전력구 모서리에 접촉하여 외피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케이블이 자중에 의하여 급속하게 낙하하는 경우 케이블을 잡고 있던 작업자가 부상당할 우려도 있었다.
또한, 지중 전력구 내부에서 케이블의 이동이 인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다 보니 작업 속도가 느리고,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케이블 풀링 작업은 케이블 1개씩 작업이 이루어져야 했고, 3상 배전케이블 작업의 경우 3차례의 동일한 작업을 반복해야 3상 케이블의 풀링 작업을 수행하고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통상 배전케이블은 3상 배전케이블이 사용되므로, 본 발명은 3개의 배전케이블 드럼을 적재하여 자동으로 풀링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는 화물차의 적재함(200)에 장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배전케이블의 운반과 시공을 하나의 차량으로 모두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의 편의성과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는 차량에 배전케이블이 탑재된 상태에서 풀링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는 차량의 적재함(200)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배전케이블 드럼(D)이 적재함의 바닥면에 닿지 않고 회전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프레임(100)을 구비한다.
프레임(100)은 3개의 배전케이블 드럼(D)을 회전 가능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배전케이블을 좌측, 우측, 좌측과 같은 방식으로 엇갈리게 적재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로 배전케이블 드럼(D)을 배열하면 5톤 차량에 3개의 적재함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케이블의 길이가 긴 경우 드럼의 크기도 커지기 때문에, 대형 드럼을 위해서는 7톤 이상의 차량에 설치해야 하며, 이 경우 드럼(D)을 일렬로 배치할 수도 있다.
드럼(D)을 일렬로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 차량 적재 공간의 크기 제한으로 인하여 케이블 길이가 300m를 초과하는 드럼(D)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의 드럼(D)의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하면 드럼(D)간의 간섭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즉, 수평적으로 일렬로 배열되지만 수직적으로 삼각형 형태로 배열(드럼적재부가 상하측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는 방식으로 제한된 적재함의 규격에 크기가 큰 3개의 드럼(D)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배전케이블 드럼(D)은 드럼축부(110)에 고정되고, 드럼축부(110)가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드럼축부(110)는 한쌍의 드럼축 고정부(120)에 탈부착 가능하며,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드럼축부(110)는 동일축상에는 제어축부(130)가 구비된다. 제어축부(130)와 드럼축부(110)는 커플링(135)으로 연결된다. 커플링(135)은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드럼축부(110)가 프레임(100)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한 것에 비하여, 제어축부(130)는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드럼축부(110)는 배전케이블 드럼(D)의 교체를 위하여 탈부착 가능한 구조가 필요하지만, 제어축부(130)는 그럴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다.
제어축부(130)는 브레이크부(14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부(140)에서 제동력이 발생하게 되면 드럼축부(110)의 회전을 감속하게 된다.
브레이크부(140)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마찰력이 조절되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 또는 유압식 드럼 브레이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압식 브레이크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여 감속력을 조절하게 된다.
브레이크부(140)는 배전케이블이 수직구를 낙하할 때 낙하 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수직구 내부에서는 배전케이블이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기 때문에 감속시키지 않으면 배전케이블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브레이크부(140)을 이용하여 일정한 속도로 배전케이블이 수직구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는 각각의 배전케이블 드럼(D)이 각각의 브레이크부(140)에 연결된다. 이 때 3개의 브레이크부(140)는 제어장치(700)에 의하여 제동력이 조절된다.
프레임(100)의 후단에는 출구롤러(105, 105a)가 구비된다. 출구롤러(105, 105a)는 3개의 배전케이블을 모아주는 역할과, 풀링되는 배전케이블의 길이 및 속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배전케이블이 출구롤러(105, 105a)에 대하여 미끄러짐 없이 이송되므로, 출구롤러에 각속도와 출구롤러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것으로 배전케이블의 풀링 길이와 풀링 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출구롤러(105, 105a)는 프레임(100)의 후단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구롤러(105, 105a)는 드럼(D)에서 풀링되는 배전케이블을 최종적으로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배전케이블이 인입되는 입구에 근접하게 위치할수록 배전케이블을 더욱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출구롤러에서 측정된 풀링 길이와 풀링 속도는 제어장치(700)로 전송되며, 제어장치(700)는 기록계를 포함하여, 풀링 길이에 따른 풀링 속도와 케이블에 인가되는 장력(관로윈치의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을 기록하게 된다.
출구롤러(105, 105a)는 4각형 형태로 배치된 롤러로 3개의 배전케이블을 모아서 풀링시켜 준다. 출구롤러(105, 105a)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케이블진행 방향으로 배치되어 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1개의 출구롤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는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붐대(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붐대(300)의 선단에는 4각 롤러(310)가 구비될 수 있다.
4각 롤러(310)는 배전케이블 3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3개의 배전케이블을 모아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붐대(300)는 전력구의 입구 또는 관로의 입구까지 차량 진입이 용이하지 않을 때 사용한다. 차량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 3개의 케이블이 붐대(300)의 선단에 형성된 4각 롤러(310)를 통과하도록 하고, 붐대(300)의 선단을 전력구의 입구 또는 관로의 입구까지 연장함으로써, 풀링되는 배전케이블이 지면이나 다른 구조물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 손상을 방지하고 원활한 풀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전케이블 드럼(D)의 앞쪽에는 상향롤러(10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향롤러(107)는 상기 배전케이블 드럼(D)에서 풀링되는 케이블이 다른 배전케이블 드럼(D)이나 프레임과 간섭하지 않도록 배전케이블의 경로를 위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제일 앞쪽열과 두 번째 열에 상향롤러(107)가 모두 구비되어 있으나, 경우에 다라서는 제일 앞쪽열 배전케이블 드럼(D)에만 구비될 수 있으며, 모든 배전케이블 드럼(D)의 앞쪽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는 연락선이나 통신선 등을 권취할 수 있는 차량윈치(4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전케이블을 풀링하기 위해서는 와이어나 로프를 이용하여 배전케이블의 선단을 고정하게 되는데, 이 때 와이어나 로프를 풀링 장치 측으로 끌어당기기 위해서 차량윈치(400)를 사용하게 된다.
풀링이 진행되어 배전케이블 드럼(D)에 감겨진 배전케이블이 거의 다 풀려지면 끝단부는 더 이상 드럼(D)에 감겨진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이를 별도의 로프를 사용하여 잡아주어야 한다.
즉, 배전케이블의 말단부에 로프를 연결하여, 로프에 배전케이블이 낙하하지 않도록 장력을 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제어축(130)에는 로프드럼(5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축(130)에는 브레이크부(14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부(140)를 작동하여 배전케이블 말단의 풀링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배전케이블 말단이 자유낙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프드럼(500)은 로프가 풀려지는 방향으로는 제어축(130)과 함께 회전하며, 로프를 감는 방향으로는 제어축(130)과는 별개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배전케이블 풀링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로프를 로프드럼(500)에 감아야 하는데, 이 때 불필요하게 제어축(130) 전체를 회전시키지 않고 로프드럼(500)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로프드럼(500)은 상술한 차량윈치(400)에 벨트나 체인과 같은 연결수단(510)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차량윈치(400)를 작동하여 로프드럼(500)에 로프를 권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차량윈치(400)를 도 2와 같이 차량의 하부에 장착하기 보다는 도 3 이나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차량윈치(400)를 프레임(100)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량윈치(400)를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로프드럼(500)이 형성되고, 로프드럼(500)이 제어축(13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다른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축과는 별도로 로프드럼을 형성할 수도 있고, 배전케이블의 개수 만큼 로프드럼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로프드럼에 수동으로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는 제동수단을 구비하여, 로프드럼의 회전속도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드럼축부(110)는 배전케이블 드럼(D)을 고정한 상태로,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드럼축부(110)는 배전케이블 드럼(D)을 관통하는 드럼축(112)과, 상기 배전케이블 드럼(D)의 일측에 결합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쐐기편(114)과, 상기 배전케이블 드럼(D)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편(116)을 구비한다.
그런데, 배전케이블 드럼(D)의 양측면에는 체결수단(B)이 노출되어 있다. 고정편(116)은 상기 체결수단에 대응하는 걸림홈(116a)를 구비하여, 고정편(116)이 배전케이블 드럼(D)의 측면에 밀착하게 되면, 상기 걸림홈(116a)에 상기 체결수단이 위치하게 되어 고정편(116)이 배전케이블 드럼(D)에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된다.
쐐기편(114)은 배전케이블 드럼(D)의 관통공 내부로 삽입되며 드럼축(112)의 중심과 배전케이블 드럼(D)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쐐기편(114) 또는 상기 고정편(116)은 드럼축(11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배전케이블 드럼(D)의 양측면을 밀착되거나 이격되도록 조절될 수 있으며, 다양한 규격의 배전케이블 드럼(D)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드럼축(112)의 일측 단부에는 커플링(135)이 구비되며, 드럼축(112)에 구비된 커플링(135)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커플링이 제어축에도 구비된다.
한쌍의 커플링(135)을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속함으로써 드럼축부(110)와 제어축부(13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커플링(135)에는 체결수단의 결속을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축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드럼축 고정부(120)는 배전케이블 드럼 장착 위치의 양측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축 고정부(120)는 상부덮개판(122)과 하부덮개판(124)으로 분할 형성되어, 드럼축부(110)를 감싸는 형태를 가진다.
드럼축부(110)의 탈부착을 위해서, 드럼축 고정부(120)의 상부덮개판(122)은 하부덮개판(124)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덮개판(122)을 젖히면 드럼축부(110)를 드럼축 고정부(12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윈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관로윈치(600)는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전케이블을 끌어당기는 견인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술한 제어장치에 연결된다.
관로윈치(60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610)과,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배전케이블과 연결된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드럼(620)과, 상기 권취드럼의 전방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롤러(630, 640)와, 상기 권취드럼에 근접한 롤러(6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650)과, 상기 구동수단(610)을 제어하는 윈치제어부(660)를 포함한다.
구동수단(610)으로는 3상 교류 전동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속도 제어가 용이하고 소형화의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쌍의 롤러(630, 640)는 윈치측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제1롤러(630)와, 제1롤러(63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2롤러(640)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때 제2롤러(640)는 권취드럼의 바닥면과 유사한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제1롤러(630)는 제2롤러(640) 보다 높은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셀(650)은 제1롤러(630)에 가해지는 수직방향의 하중을 측정하게 되는데, 이로부터 와이어에 인가되는 장력을 계산할 수 있다.
윈치제어부(660)는 상기 3상 교류 전동기의 속도제어를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모드와, 상기 3상 교류 전동기의 속도제어를 상기 윈치제어부에 구비되는 속도조절 스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모드로 선택하는 경우 구동수단의 속도와 토크가 후술하는 제어장치(700)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며, 수동모드로 선택하는 작업자가 윈치제어부(660)를 직접 조작하여 윈치의 회전속도와 토크 등을 조절하게 된다.
도 8은 와이어의 장력 계산을 위한 모식도이다.
로드셀에서 측정되는 연직방향의 힘 Fx는 제1롤러(630)의 좌측으로 작용하는 장력인 T1과, 제1롤러(630)의 우측으로 작용하는 장력인 T2의 연직방향 성분의 합이된다.
따라서, Fx = {T1 * sin(θ1)} + {T2 * sin(θ2)} 가 된다.
그런데, 제1롤러(630)의 양측으로 작용하는 장력의 크기는 같으며(T1 = T2), 장력이 작용하는 각도는 귄취드럼(620), 제1롤러(630) 및 제2롤러(640)의 설치시에 결정되는 것이므로, 로드셀에서 측정되는 연직방향의 힘인 Fx 로부터 와이어의 장력 T1을 계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에 구비되는 제어장치(700)는 브레이크부의 제동력과, 관로윈치의 구동속도 및 토크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출구롤러에서 측정되는 풀링 거리와 풀링 속도를 입력받게 되며, 관로윈치에서는 와이어 장력을 입력 받게 된다.
제어장치(700)는 풀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입력받은 정보로부터 브레이크부의 제동력과 관로윈치의 구동속도 및 토크를 제어하여, 배전케이블이 설정된 속도 범위와 허용된 인장력의 범위 안에서 풀링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풀링 공정의 진행과정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풀링 거리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표시하게 된다.
제어장치(700)와 상술한 관로윈치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장치(700)와 관로윈치를 연결하는 제어선에 인터폰을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중전력구 내부에서는 휴대전화의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제어장치(700)와 관로윈치를 연결하는 제어선에 인터폰을 연결하여 제어장치(700)측의 작업자와 전력구 내부의 작업자들이 서로 연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폰은 복수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700)와 관로윈치 사이의 거리가 300m라면, 인터폰을 50m 간격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총 6개의 인터폰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선에는 인터폰의 연결과 함께 비상정지스위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풀링 과정에서 배전케이블의 손상 혹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때 작업자가 상기 비상정지스위치를 누를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통신선에 연결되는 비상정지스위치는 후술하는 제어장치에 구비된 비상정지 스위치(72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장치(700)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710)과, 수동 모드와 자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 스위치(720)과, 풀링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 레버(730)와, 풀링시의 인장력을 조절하는 인장력 조절 레버(740)와, 작업자가 풀링 작업을 비상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 스위치(760)를 포함한다.
또한, 관로윈치의 회전방향(정회전과 역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선택스위치(77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창(610)에는 관로윈치에 구동수단의 부하량, 와이어에 인가되는 장력(또는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하중), 풀링 거리, 풀링 속도 등이 표시되며, 이러한 정보들은 풀링 거리에 따른 그래프로 연속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장치(700)는 상기의 정보들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계(미도시)를 포함하며, 기록계에는 실시간으로 와이어에 인가되는 장력과 케이블 풀링 속도 등이 기록되며, 이러한 기록은 시간과 함께 기록되고 아울러 풀링 거리 단위로 기록된다.
이러한 기록은 감독자가 공사현장에서 직접 지켜보지 않더라도 사후에 풀링 작업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시공품질 관리가 용이해 지는 효과를 가져 오게 된다.
모드선택 스위치(720)는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인데, 자동모드는 풀링 거리와 수직구의 깊이를 입력하면 제어장치가 프로그램에 의해 관로윈치와 브레이크부를 제어하여 풀링 작업을 실행하게 되며, 수동모드는 작업자가 작업상황을 모니터링 하며 속도 조절 레버(730)와 인장력 조절 레버(740)를 조작해 풀링 속도와 장력을 직접 조절하는 방식으로 풀링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실험 결과 >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수학적 검토와 시뮬레이션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1. 배전케이블 드럼과 관로윈치의 직경 변화 검토
배전케이블을 권취하고 있는 드럼은 풀링이 진행됨에 따라 직경이 감소하게 되고, 와이어를 권취하는 관로윈치는 와이어가 감김에 따라 직경이 증가하게 된다.
도 10은 풀링거리에 따른 배전케이블 드럼의 직경변화와, 관로윈치 직경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Dpk는 드럼의 직경을 나타내며, Dwi는 관로윈치의 직경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케이블 드럼의 직경은 풀링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계단식으로 감소하게 되고, 관로위치의 직경은 풀링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계단식으로 증가하게 된다.
계단식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이유는 감겨져있는 권선수의 변화에 따른 것인데, 배전케이블의 경우 케이블두께에 50mm 이상이기 때문에 이러한 수치를 무시할 수 없으며, 와이어의 경우 직경은 작으나 수백미터의 길이를 협소한 폭에 권취하다 보니 권선수가 크게 증가하여 이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수치가 된다.
도시한 결과는 배전케이블은 10회가 감긴상태가 초기상태라고 가정한 것으로, 초기 직경이 1.4m에서 최종직경은 0.5m 정도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관로윈치에서도 초기직경 0.11m부터 최종직경 0.23m 까지 두배 이상의 직경 변화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풀링 공정을 제어함에 있어서, 풀링 거리에 따른 드럼과 관로윈치의 직경 변화를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2. 관로윈치 모터의 해석
1) 목적
본 발명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 장치는, 3상 배전케이블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를 설치하고, 관로윈치와 배전케이블을 와이어로 연결하여 관로윈치의 동력으로 배전케이블을 견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관로윈치의 발생토크가 3상 배전케이블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는지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유한요소법에 의한 2차원 자계해석 방법을 가지고 윈치용 모터의 전류밀도 및 토크 분석을 행하였다.
2) 해석 모델
실험에 사용된 관로윈치용 모터는 모터는 3상 유도전동기로 극수는 4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차 도체에 유도되는 전류의 특성 및 전동기 토크 분석을 위하여 고정자측에 인가하는 전류를 8.35A, 12A, 16A, 22A, 29A로 설정하였다. 또한 회전자의 회전수는 0(rpm), 150(rpm), 450(rpm),750(rpm), 1050(rpm), 1350(rpm), 1560(rpm), 1740(rpm)으로 설정하였으며 각 회전수에 따른 모터 특성을 분석한다. 해석모델의 절점수는 6,586이며, 요소수는 11,963이다.
표 1은 해석에 사용된 모터의 사양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0032344573-pat00001
3) 유한요소법에 의한 2차원 자계해석 결과
(1) 전류밀도 분포
유도전동기 토크는 고정자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회전자속과 2차 도체 내에 유도되는 전류의 관계에 의하여 발생되기 때문에 유도되는 전류가 토크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도 11에 고정자전류 8.35A시 각 회전수에 따른 전류밀도 분포를, 도 12에 고정자전류 12A시 각 회전수에 따른 전류밀도 분포를, 도 13에 고정자전류 16A시 각 회전수에 따른 전류밀도 분포를, 도 14에 고정자전류 22A시 각 회전수에 따른 전류밀도 분포를, 도 15에 고정자전류 29A시 각 회전수에 따른 전류밀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도 11 내지 도 15에서 알 수 있듯이 회전자 회전수가 상승할수록 전류밀도의 분포가 상승함을 알 수 있다. 고정자전류 8.35A, 12A, 16A, 22A, 29A시의 전류밀도 분포는 회전수 1050(rpm) ~ 1570(rpm)영역에서 전류밀도의 최대치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대 전류 밀도가 발생하는 회전자 속도 영역에서 최대토크가 발생된다.
(2) 회전자 속도(N)-토크(T) 특성
도 16 내지 도 20은 회전자 속도(N)-토크(T)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에 고정자전류 8.35A시 각 회전수에 따른 토크 특성을, 도 17에 고정자전류 12A시 각회전수에 따른 토크 특성을, 도 18 에 고정자전류 16A시 각 회전수에 따른 토크 특성을, 도 19 에 고정자전류 22A시 각 회전수에 따른 토크 특성을, 도 20 에 고정자전류 29A시 각 회전수에 따른 토크 특성을 나타내었다.
도시한 결과로부터, 고정자전류 8.35A 인가 시 모터의 최대토크는 회전자 회전수 1570(rpm) 근방에서 27.32(Nm) 발생하고 있으며 고정자전류 12A, 16A인가 시 모터의 최대토크는 회전자 회전수 1350(rpm) 근방에서 42.16(Nm), 62.03(Nm)가 각각 발생하고, 고정자전류 22A, 29A인가 시 모터의 최대토크는 회전자 회전수 1050(rpm) 근방에서 85.20(Nm), 118.27(Nm)가 각각 발생함이 확인되었으며, 각 인가전류에 대한 최대 토크는 0.13~0.42 슬립범위에서 발생됨이 확인되었다.
도 21 내지 도 25는 각 회전자 회전수에 따른 발생 토크로부터 모터가 끌 수 있는 부하의 최대 중량을 나타낸 것이다. 단, 윈치 드럼의 지름이 100(mm)로 일정하고 감속기가 없다는 가정하에 결과값을 산출하였다.
도 21 내지 도 25의 결과로부터 각 인가전류에 대한 최대 토크가 발생되는 회전자 회전수 영역(1050(rpm)~1570(rpm); 슬립범위: 0.13~ 0.42)에서 모터 자체가 끌 수 있는 중량은 55.77(Kgf) ~ 241.36(Kgf)까지 가능함이 확인 되었으며, 이 결과값은 3상 유도전동기의 100(%) 부하에 해당된다.
배전케이블과 롤러의 접촉면 상에 슬립이 발생하지 않고, 롤러의 이상적인 회전이 수행되며(베어링의 마모나 이상작동이 없는 상태), 배전케이블의 풀링과 관로윈치의 감김시 각 배전케이블 및 와이어의 감김 메커니즘은 밀착형 접촉을 이룬다고 가정할 때, 배전케이블 드럼의 풀링속도는 드럼과 관로윈치의 직경 변화를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3 상 배전케이블을 약 300m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수평분력은 대부분 케이블 하중에 따른 롤러와의 마찰력이 차지하게 되며, 이는 관로 상의 롤러배치가 약 1.5m 간격의 조밀한 위치선정으로 인한 단위케이블 처짐량이 롤러간격에 비하여 상당히 적은 량으로 계산되었기에 처짐에 의한 추가 인장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즉, 주어진 여러 초기조건과 시스템 구조를 고려한 상황에서의 필요한 수평분력(인장력)은 약 14~562kgf 구간내에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고정자 전류 29A 이상을 투입하고 3 상 유도전동기의 회전자 회전수를 적절히 조절한다면 지중 전력구 내부로 3 상 케이블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용량의 3상 유도 전동기를 사용하여 300m 길이의 3상 배전케이블 동시 풀링 작업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를 사용하면 3개의 배전케이블을 동시에 풀링 할 수 있도록 해주며, 실시간으로 시공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기록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풀링작업에 투여되는 작업인력과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시공비용을 25% 이상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아울러 시공 품질 관리에 있어서도 감독자가 공사현장에서 직접 지켜보지 않더라도 기록된 내용으로부터 공사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시공품질 관리에 있어서도 탁월한 효과를 가져온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 : 배전케이블 D : 배전케이브 드럼
10 : 지중전력구 12 : 행거
20 : 수직구 50 : 드럼
100 : 프레임 110 : 드럼축부
120 : 드럼축 고정부 130 : 제어축
140 : 브레이크부 200 : 적재함
300 : 붐대 400 : 윈치
500 : 로프드럼 510 : 연결수단
600 : 관로윈치 610 : 구동수단
620 : 권취드럼 630 : 제1롤러
640 : 제2롤러 650 : 로드셀
660 : 윈치제어부 700 : 제어장치
710 : 디스플레이창 720 : 모드선택 스위치
730 : 속도 조절 레버 740 : 인장력 조절 레버
760 : 비상정지 스위치 770 : 방향선택스위치

Claims (19)

  1. 차량의 적재함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프레임;
    배전케이블 드럼을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탈부착되는 드럼축부와, 상기 드럼축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축부와 커플링으로 연결되는 제어축부와, 상기 제어축부에 연결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는 3개의 드럼적재부;
    인입되는 배전케이블을 모아주며 상기 드럼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드럼에서 풀링되는 배전케이블의 길이를 측정하는 출구롤러;
    상기 배전케이블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권취드럼에 권취하여 배전케이블을 견인하며, 권취되는 와이어의 장력과 권취드럼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관로윈치; 및
    상기 관로윈치에서 측정된 권취드럼의 회전수,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입력받고, 상기 출구롤러에서 이송길이를 입력받아, 브레이크부에 가해지는 제동력과 상기 관로윈치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관로윈치는 상기 권취드럼의 전방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한쌍의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권취드럼에 근접하게 배치된 롤러가 권취되는 와이어에 의하여 연직방향의 하중을 인가받도록 하고, 상기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와이어 장력이 일정범위를 유지하도록 상기 브레이크부의 제동력과 상기 관로윈치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계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윈치는 구동수단으로 3상 교류 전동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윈치는 3상 교류 전동기의 속도를 조절하는 윈치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제어부는 상기 3상 교류 전동기의 속도제어를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모드와, 상기 3상 교류 전동기의 속도제어를 상기 윈치제어부에 구비되는 속도조절 스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드럼적재부는 좌우측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드럼적재부는 상하측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케이블 드럼에서 인출되는 배전케이블이 다른 배전케이블 드럼에 간섭하지 않도록 배전케이블의 경로를 안내하는 상향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축부는 배전케이블 드럼을 관통하는 드럼축과, 상기 배전케이블 드럼의 일측에 결합되는 쐐기편과, 상기 배전케이블 드럼의 타측에 결합되며 배전케이블 드럼에 구비된 체결수단에 대응하는 걸림홈을 구비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편과 상기 고정편은 드럼축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축부의 탈부착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며 배전케이블 드럼 장착 위치 양측에 배치되는 드럼축 고정부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축 고정부는 상부덮개판과 하부덮개판으로 분할형성되어 드럼축부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부덮개판이 상기 하부덮개판에 대하여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마찰력이 조절되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브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연락선 또는 통신선을 권취할 수 있는 차량윈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축에 로프드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드럼은 로프를 푸는 방향으로는 제어축과 함께 회전하고, 로프를 감는 방향으로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KR1020100047205A 2010-04-16 2010-05-20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KR101026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205A KR101026840B1 (ko) 2010-05-20 2010-05-20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PCT/KR2011/002606 WO2011129604A2 (ko) 2010-04-16 2011-04-13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205A KR101026840B1 (ko) 2010-05-20 2010-05-20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840B1 true KR101026840B1 (ko) 2011-04-06

Family

ID=44049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205A KR101026840B1 (ko) 2010-04-16 2010-05-20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8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168A (ko) * 2018-12-28 2020-07-08 (주)오트로닉스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CN113328476A (zh) * 2018-06-04 2021-08-31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张力控制绞盘装置及其操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4123A (ko) * 2004-12-08 2006-06-13 오성종합기술(주) 윈치 제어 장치
KR100610374B1 (ko) * 2005-12-30 2006-08-09 주식회사 이피이 장조장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4123A (ko) * 2004-12-08 2006-06-13 오성종합기술(주) 윈치 제어 장치
KR100610374B1 (ko) * 2005-12-30 2006-08-09 주식회사 이피이 장조장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28476A (zh) * 2018-06-04 2021-08-31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张力控制绞盘装置及其操作方法
KR20200082168A (ko) * 2018-12-28 2020-07-08 (주)오트로닉스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KR102255986B1 (ko) * 2018-12-28 2021-05-25 (주)오트로닉스 케이블 포설 속도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003B1 (ko)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KR100981710B1 (ko) 지중전력구 3상 배전케이블 동시 풀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풀링 자동화 공법
KR101261458B1 (ko)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CN106482782B (zh) 深井双折线式多层缠绕提升机钢丝绳的动态径向变形与动张力监测装置及方法
US20130248638A1 (en) Method for Horizontally Winding and Unwinding a Parallel Wire Strand
KR102149670B1 (ko) 송전용 지중케이블 와인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케이블 설치시스템
KR101649170B1 (ko) 지중관로내 케이블지중하 포설방법 및 장치
CN209767009U (zh) 电缆自动敷设系统及其电缆敷设装置
KR101825447B1 (ko) 케이블 포설기 및 다수의 케이블 포설기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KR101261457B1 (ko)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
KR101026840B1 (ko)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CN201937208U (zh) 一种用于电缆管道敷设电缆的放线架
WO2011129604A2 (ko)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JP6834015B2 (ja) 線材の張力測定装置
KR20160001105A (ko) 지중관로내 케이블 지중하 포설방법 및 장치
CN210528053U (zh) 一种铁路电缆线自动放线装置
CN208249717U (zh) 一种钢缆随行的电缆垂直吊装系统
KR101443255B1 (ko)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JP5596374B2 (ja) 中高層ビルにおける垂直幹線の延線工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装置
KR20150018059A (ko) 길이 측정 기능을 갖는 벨트 권출장치
CN108071256A (zh) 充电车库及用于充电车库的收放线装置
CN206720627U (zh) 一种绞磨机尾绳逆止安保器
CN210072162U (zh) 一种5g通信工程建设用光缆牵引夹头
KR20110090626A (ko) 다중휠을 이용한 선박용 케이블 포설장치
CN201334287Y (zh) 一种安装轮辐式负荷传感器的钢丝绳测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