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105A - 지중관로내 케이블 지중하 포설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지중관로내 케이블 지중하 포설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105A
KR20160001105A KR1020140078909A KR20140078909A KR20160001105A KR 20160001105 A KR20160001105 A KR 20160001105A KR 1020140078909 A KR1020140078909 A KR 1020140078909A KR 20140078909 A KR20140078909 A KR 20140078909A KR 20160001105 A KR20160001105 A KR 20160001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rum
rope
manhole
w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호
Original Assignee
임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호 filed Critical 임용호
Priority to KR1020140078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105A/ko
Publication of KR20160001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케이블용 맨홀에 비해 현저하게 통로가 좁고 협소한 저압케이블용 맨홀에서 케이블을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맨홀의 파손이나 케이블의 손상 없이 지중에 설치 및 철거하는 것이 가능하고, 케이블의 설치 및 철거시 3상의 케이블이 서로 꼬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중관로내의 케이블 포설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장치는 고.저압 케이블의 진단형 지중관로 포설장비에 있어서, 일측 맨홀의 상단부 포크레인의 블레이드에 케이블견인용 윈치가 설치되고, 상기 포크레인 암붐 끝단의 버킷에 제1.2의가이드로라가 설치되며, 심부름바용 윈치를 일축의 맨홀 상단에 설치하고, 맨홀 인근에 바닥형 케이블드럼 설치대가 설치되며, 상단의 케이블드럼에 케이블이 권선되고, 맨홀의 인근에 바닥형 케이블드럼 설치대가 설치되며, 맨홀과 맨홀 사이의 지중관로에 4회전링크 금구가 설치되고, 상기 4회전링크 금구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과; 상기 케이블 견인용윈치의 몸체에 설치된 견인로프 회수드럼과, 견인로프가 드럼에 고루감기도록 한 회수용로프 드럼의 가이드자동전환 장치와; 상기 케이블을 관로에 설치중 관로내부에서 케이블 자중에 의한 저항과 협착부위 및 굴곡부위을 케이블이 권취드럼에 의하여 견인되면서 케이블에 걸리는 부하를 측정하는 케이블견인력 측정용 장력계와; 상기 케이블견인력 측정용 장력계의 측정을 통해 케이블에 과부하가 걸리면 감속기 축의 드럼을 구동하는 감속기용 유압모터의 회전력을 유압장치 과부하제어 장치에 의해 감속기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기능 및 케이블이 관로의 내부 통과시 4회전 링크금구로부터 촬영된 영상물을 전산화 진단시스템에 입력시켜 케이블의 설치 과정을 진단할 수 있는 전산화 진단시스템과; 상기 케이블 설치용 관로내부의 굴곡 및 협착 부위의 저항에 의하여 작동하는 유압장치 과부하제어밸브와; 상기 유압장치 과부하제어밸브의 작동에 의하여 케이블을 견인할 수 없어 윈치의 견인력이 정지시 지하관로에 설치되는 케이블과 로프가 연결된 지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리측정기;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관로내 케이블 지중화 포설방법 및 장치{The pulling method and apparatus cable in underground wiring pipe}
본 발명은 고압케이블용 맨홀에 비해 현저하게 통로가 좁고 협소해 인력 및 수작업으로 케이블을 설치할 수 없는 저압케이블용 맨홀에서 케이블과 맨홀 및 관로의 손상 없이 고.저압 케이블을 관로에 안전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도록 하고, 일측 맨홀과 타측 맨홀 사이의 지중관로 구간에 견인용 로프를 설치할 때, 관로 내부를 관통 시험하면서 카메라로 촬영하여 관로의 협착 부분과 파손 부위 및 굴곡지점을 파악하여 케이블 설치 여부를 판단하고, 케이블 설치시에는 케이블이 지중관로의 협착부위를 통과하면서 관로의 내부를 촬영하여 촬영된 부분을 녹화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고저압 케이블의 진단형 지중관로 포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에 고압 및 저압케이블이 이설된 전주가 세워지고, 전주상에서 고압이 저압으로 전환된 케이블을 각 가정 및 공장에 보급하고 있으나, 전주로 인한 미관 불량과 태풍 또는 교통사고 등으로 전주가 쓰러지는 경우 노출된 고압선으로 인해 인근 주민과 통행인에게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전주를 사용하지 않고 지하에 관로를 묻고 맨홀에 기초대인 맨홀을 설치하여 고압 또는 저압 케이블을 포설 시공하고 있다. 그리고, 고압 케이블 맨홀 상단 변압기에서 각 가정으로 전력을 보급하기 위해서는 저압 케이블로 전환되어 지중관로를 따라 각 가정으로 보급 되고 있다.
그러나, 이때 저압케이블의 경우에는 관로의 끝단에 설치되는 맨홀의 규격이 가로(740mm)x세로(500mm)x깊이(660mm)인데 반해, 고압케이블용 맨홀은 가로(2000mm)x세로(2000mm)x깊이(2500mm) 이상의 규격을 갖는다.
그리고, 통상 고압케이블용 맨홀에서는 고압케이블 설치용 기계장치를 이용한 케이블의 포설작업이 가능하나, 고압케이블용 맨홀에 비해 현저하게 통로가 좁고 협소한 저압케이블용 맨홀에서는 고압케이블 설치용 기계장치를 이용한 케이블의 포설작업이 불가능하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저압케이블 맨홀 인근에 윈치를 설치한 후, 윈치의 권취기 드럼으로 케이블을 견인하면, 맨홀의 좁은 공간인 맨홀안 관로 쪽에서 윈치 쪽으로 로프의 각도 전환이 어려워 케이블 권취시 케이블을 견인하는 로프 연결구가 맨홀끝단 모서리에 걸리면서 맨홀 및 관로의 파손과 케이블 끝단도 손상되어 공사 후 파손된 맨홀과 관로를 재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케이블의 견인 작업을 전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하므로 많은 인력 투입과 작업시간의 과다 소요로 작업의 비효율성 및 경제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현재 3상의 케이블을 견인 설치시, 지중관로 내부의 저항과 로프의 풀림 관성 및 케이블에 걸리는 저항으로 케이블이 엉키고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누전 또는 단선, 단락 등으로 인한 불량으로 고압 송전중 케이블의 1상만 교체하지 못하고 3상의 케이블 모두를 교체해야만 된다.
이에 따라, 양질의 케이블도 동시에 교체함에 따른 낭비와, 3상이 엉킨 상태로 철거된 케이블을 1가닥씩 분리 회수함에 따른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함과 시간낭비, 많은 인력 투입에 따른 경제성이 떨어지고, 관로내부의 손상에 따른 모래와 먼지 및 물 등의 관로 유입으로 인해 케이블이 묻혀 철거시 3상의 케이블을 동시에 견인하는데 7톤 이상의 강력한 힘으로도 견인이 안되어 관로를 파헤쳐야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함께, 종래에는 지중관로의 내부에 케이블의 설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불필요한 케이블의 설치 및 교체에 따른 시간적인 낭비와 많은 인력 투입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압케이블용 맨홀에 비해 현저하게 통로가 좁고 협소해 인력 및 수작업으로 케이블을 설치할 수 없는 저압케이블용 맨홀에서 케이블과 맨홀 및 관로의 손상 없이 고.저압 케이블을 관로에 안전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도록 한 고저압 케이블의 진단형 지중관로 포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관로에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 3상의 케이블을 견인할 때 3상의 케이블이 서로 엉키고 꼬이는 현상없이 1상씩 정렬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 교체시 손상된 해당 케이블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고저압 케이블의 진단형 지중관로 포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 맨홀과 타측 맨홀 사이의 지중관로 구간에 견인용 로프를 설치할 때, 관로 내부를 관통 시험하면서 카메라로 촬영하여 관로의 협착 부분과 파손 부위 및 굴곡 지점을 파악하여 케이블 설치 여부를 판단하고, 케이블 설치시에는 케이블이 지중관로의 협착부위를 통과하면서 관로의 내부를 촬영하여 촬영된 부분을 녹화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고저압 케이블의 진단형 지중관로 포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설치시 지중관로 내부의 고저 및 각도 변화로 케이블에 부하가 걸릴 때 견인되는 케이블의 견인력을 매순간 측정하여 과부하시 과부하 제어 밸브의 작동에 의해 윈치를 자동으로 정지시켜 케이블에 견인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케이블의 인장력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매순간 측정된 부하율을 전산 및 프로그램화하여 시공과정의 확인을 통한 부실시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저압 케이블의 진단형 지중관로 포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지중관로내의 케이블 포설방법의 한 형태는, 일측 고.저압 케이블용 맨홀과 타측 고.저압 케이블용 맨홀사이의 지중관로에서 일측 고.저압 케이블용 맨홀에 인접한 위치의 케이블 드럼장치에 설치된 케이블과 타측에 설치된 맨홀의 인접한 위치의 윈치의 회수용 드럼에 감겨진 케이블을 견인할 수 있는 인장력의 로프를 이용하여 전선을 설치 및 철거함에 있어서, 상기 타측 고.저압 케이블용 맨홀에 인접하게 포크레인을 위치시키고, 포크레인 암붐의 끝단에 맨홀안에서 로프 또는 케이블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제1가이드롤러 및 하단의 제2가이드롤러가 장착된 버켓을 설치하며, 상기 버켓의 몸체에 설치된 가이드 로라장치는 포크레인의 블레이드 측에 윈치를 고정시켜 현장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고,저압 케이블을 관로에 케이블을 설치 또는 철거하기 위한 견인용 메인 윈치를 설치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블레이드 상단에 설치된 윈치에는 유압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감속기의 출력측에 설치된 권치드럼이 회전하여 로프 또는 케이블이 권취드럼을 통과하여 나오는 로프를 회수용드럼에 로프을 되감을 수 있도록 하고, 회수드럼을 구동하는 견인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상승된 과부하가 걸리면 유압력을 제어하여 모타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지하관로의 케이블을 견인하는 권치드럼에 걸리는 부하를 측정하여 설정치가 초과하면 감속기회전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의 인장력을 보호하고 관로을 통과한 케이블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거리 측정기가 설치되며, 케이블을 설치전 관로내부의 관통시험과 굴곡의 상태를 진단하도록 카메라를 설치하여 관로내부를 진단하고 전선과 전선을 연결시키거나 절단하는 공구시스템을 설치하여 볼트너트를 풀고 조이는 임팩을 사용하도록 유압공구 사용의 툴 시스템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일측 맨홀과 타측 맨홀을 개방하여 맨홀 내부의 고인물을 권취기와 소형윈치에 설치된 양수기로 맨홀내부의 물을 양수한 후, 지하에 매설되는 파형관 내부에 기 설치된 가이드철심과 맨홀 상단에 설치된 윈치의 회수드럼에 감겨진 견인로프를 연결한 다음, 맨홀 상단의 소형윈치에 설치된 4회전 링크의 부하를 견인할 수 있는 인장력의 심부름바와 연결하여 가이드철심을 회수드럼에 회수하고, 견인용 로프 끝단에 4회전링크에 고정하고 심부름바의 끝단은 4회전링크에 연결하여 소형윈치로 견인하면서 맨홀의 사이에 관로내부의 상태을 파악하기 위한 관통시험을 하며, 4회전링크장치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관로의 굴곡지점과 협착부분 및 파손유무와 고저 등을 촬영하고, 일측 맨홀과 타측 맨홀 사이의 지중관로를 관통해 케이블을 견인하는 로프를 상기 버켓 측의 제1가이드롤러 및 제2가이드롤러, 견인용윈치, 제3가이드 롤러, 제4가이드 롤러를 거쳐 관로내부 상태를 진단하여 시공여부을 결정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일측 맨홀 상단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윈치에서 전선을 권취하는 권취드럼의 로프를 지중관로를 통하여 타측 관로 상단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케이블을 견인하기 위한 메인윈치의 로프와 케이블드럼장치 상단의 전선의 끝단과 4회전링크의 견인고리와 연결하여 케이블견인용 로프을 설치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견인용 윈치의 권치드럼을 회전시켜 견인용 드럼의 견인력으로 전선끝단에 4회전링크와 취부되어 전선을 견인하는 로프를 권취드럼에 감아 전선이 지중 포설되게 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일측 관로의 지상에 설치된 전선드럼을 바닥형 드럼장치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윈치의 견인력에 의해서 케이블이 저속으로 풀리게 하는 제6 단계와;
회전하게 하여 전선을 풀어내는 바닥형 드럼장치의 상단에 설치되어 윈치의 견인력에 의하여 케이블이 천천히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단계와;
지하에 매설된 관로 내부의 케이블 설치상태를 4회전링크장치에 설치된 카메라로 촬영하여 내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시공후 녹화하여 양질의 시공 여부를 판정 및 진단하고 전산화 프로그램하는 제7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지중관로내의 케이블 포설장치의 한 형태는, 고.저압 케이블의 진단형 지중관로 포설장비에 있어서, 일측 맨홀의 상단부 포크레인의 블레이드에 케이블견인용 윈치가 설치되고, 상기 포크레인 암붐 끝단의 버킷에 제1.2의 가이드로라가 설치되며, 심부름바용 윈치를 일축의 맨홀 상단에 설치하고, 맨홀 인근에 바닥형 케이블드럼 설치대가 설치되며, 상단의 케이블드럼에 케이블이 권선되고, 맨홀의 인근에 바닥형 케이블드럼 설치대가 설치되며, 맨홀과 맨홀 사이의 지중관로에 4회전링크 금구가 설치되고, 상기 4회전링크 금구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과;
상기 케이블 견인용윈치의 몸체에 설치된 견인로프 회수드럼과, 견인로프가 드럼에 고루감기도록 한 회수용로프 드럼의 가이드자동전환 장치와;
상기 케이블을 관로에 설치중 관로내부에서 케이블 자중에 의한 저항과 협착부위 및 굴곡부위을 케이블이 권취드럼에 의하여 견인되면서 케이블에 걸리는 부하를 측정하는 케이블견인력 측정용 장력계와;
상기 케이블견인력 측정용 장력계의 측정을 통해 케이블에 과부하가 걸리면 감속기 축의 드럼을 구동하는 감속기용 유압모터의 회전력을 유압장치 과부하제어장치에 의해 감속기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기능 및 케이블이 관로의 내부 통과시 4회전 링크금구로부터 촬영된 영상물을 전산화 진단시스템에 입력시켜 케이블의 설치 과정을 진단할 수 있는 전산화 진단시스템과;
상기 케이블 설치용 관로내부의 굴곡 및 협착 부위의 저항에 의하여 작동하는 유압장치 과부하제어밸브와;
상기 유압장치 과부하제어밸브의 작동에 의하여 케이블을 견인할 수 없어 윈치의 견인력이 정지시 지하관로에 설치되는 케이블과 로프가 연결된 지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리측정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측 고.저압 케이블용 맨홀과 타측 고.저압 케이블용 맨홀 사이의 지중관로에 일측 고.저압 케이블설치용 맨홀에 인접한 케이블 드럼장치의 케이블이 설치되거나 철거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포크레인은 맨홀 인접거리에 설치되며 버켓 장치는 포크레인의 암붐 끝단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타측 고.저압 케이블용 맨홀 내부에 버켓 삽입되고, 이 버켓에는 가이드롤러가 설치되어 케이블설치용 관로에서 빠져나오는 케이블견인용 로프 또는 케이블을 맨홀내부에서 케이블견인용 윈치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제1및제2의 가이드롤러와:
상기 포크레인의 블레이드에 설치된 견인용윈치에는 감속기를 구동시키는 유압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케이블견인용 로프가 케이블 권취드럼과 부하측정용 드럼을 통과하여 회수드럼으로 방향전환 하도록 구성된 제3,4 가이드 로라와;
상기 견인로프 회수드럼에 견인로프가 골고루 감기도록 안내해주는 회수드럼 가이드자동전환 장치를 통과한 견인로프를 회수드럼에 되감고 견인로프 회수드럼을 구동시키는 유압모타와;
상기 견인로프 회수용드럼 축에 설치되는 관로의 가이드철심 회수드럼, 케이블 견인용 권취드럼 및, 부하측정용 드럼과;
상기 케이블 견인로프를 견인하여 케이블이 케이블 설치용 관로에 설치 또는 철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4회전링크 금구는, 선단부 및 후단부에 직경을 달리하고 막혀진 원형의 단면부를 갖는 원추형의 4회전링크 금구몸체와; 상기 4회전링크 금구몸체의 선단 단면부의 중앙에 케이블견인용 로프가 연결되어 회전이 자유로운 케이블 견인로프의 연결고리와; 상기 4회전링크 금구몸체의 후단 단면부에 3상의전선이 연결되도록 3개의전선 연결고리와; 상기 4회전링크의 금구에 설치되는 카메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견인용 윈치는, 권취드럼과 부하측정용 드럼 사이에 설치되는 장력계와; 상기 케이블의 견인력을 측정하고 권취드럼을 회전시키는 감속기를 구동시키는 유압모터 및, 상기 권취드럼에서 빠져나오는 로프를 회수하도록 되감는 회수드럼을 구동시키는 유압모터와; 상기 로프를 되감는 견인로프 회수드럼의 회전속도와 회전을 정지와 회전을 반복하면서 케이블 또는 로프를 일정한 속도로 유지되게 하는 회수드럼 과부하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저압 케이블용 일측맨홀 상단에 설치된 심부름바 견인용 윈치는 타측 맨홀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견인용 윈치의 견인로프와 연결하기 위한 심부름바를 케이블설치용 관로내부에 기설치 된 파형관내 가이드철심 끝단에 취부되는 것과;
상기 타측 맨홀 상단의 케이블 견인용 윈치에 설치된 케이블견인용 회수용 로프 끝단은 타측맨홀 내부의 가이드철심과 연결되어 가이드철심드럼에 회수후 케이블견인용 로프을 케이블 설치용 맨홀에서 심부름바 견인로프와 연결후 관로를 통하여 케이블드럼의 케이블을 견인하는 곳까지 견인하도록 심부름바용 권취드럼에 감긴 견인로프을 4회전링크와 연결하여 관통시험 및 관로내부 을 촬영하고 맨홀내부의 고인물을 퍼낼 수 있도록 유압식 양수기 설치와 전선을 자르거나 연결하는 유압부스타(49)가 내장되는 심부름바 견인용윈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드럼 폭과 케이블 드럼을 지지하는 로라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형 케이블 드럼 설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견인용 윈치의 케이블견인용 로프의 회수드럼은, 상기 케이블을 견인하는 견인로프가 제5 가이드로라에 의해 견인로프 회수드럼에 로프가 고루 감기도록하기 위해서 견인로프 회수드럼의 끝단의 위치에서 회수드럼의 가이드자동전환 장치 의한 가이드 자동 전환 조작밸브의 파일럿 신호에 의해서 회수드럼 가이드용 자동전환 장치에서 발생되는 설정된 압력에 도달 되면 견인로프 회수드럼의 B방향으로 직진하던 실린더가 자동전환 조작밸브의 유로 변경으로 회수드럼 전후진 실린더가 후진하여 회수드럼 A 방향으로 로프가 고루 감기게 되어 회수드럼의 (a)지점과(b)지점을 자동 왕복하는 회수용 로프드럼의 자동 전환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형 포크레인의 붐 끝단의 버켓에 가이드롤러 장치인 버켓을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포크레인의 블레이드에 케이블 견인용 윈치가 설치되며, 고압케이블용 맨홀에 비해 현저하게 통로가 좁고 협소한 저압케이블용 맨홀 안에서 포크레인 암붐 끝단의 버켓 가이드로라 장치에서 로프의 각도를 변화시켜 케이블을 견인하여 권취할 수 있도록 하고, 고압케이블 및 저압케이블을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압케이블을 설치중 맨홀 및 관로의 파손이나 케이블의 손상 없이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실행하던 케이블 설치용 관로의 관통시험기 역할을 하던 파이프형 관통 시험기를 대체하여 4회전링크 금구를 개발하여 관로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관통시험기를 대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로의 관통시험 및 3상의 케이블 설치시 케이블끼리 서로 꼬임 없이 케이블을 지중의 관로에 설치하고 송전중 케이블 단상 또는 단락시 손상된 케이블만 철거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로내부에 케이블이 통과시 케이블의 저항에 따라 달라지는 케이블의 부하율을 권취드럼의 장력계에서 측정한 지시값과 케이블을 견인하는 감속기를 구동 시키는 유압 모터의 작동 유압력이 설정 압력에 도달되면 유압 제어 장치에 의하여 유압 모터의 구동이 제어되어 케이블 권취력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윈치의 동력장치인 유압펌프의 토출량으로 유압 모타를 회전시키는 유압력과 유량을 합산하고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비율의 힘을 데이타로 결정 전산화 시킴으로써 신설 케이블 설치 관로의 관통시험과 케이블 설치시에 관로내부의 굴곡된 지점 및 고저에 따르는 케이블에 걸리는 부하율을 측정하여 데이터화 하여 전산화 진단시스템을 가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통시험 기구인 4회전 링크 금구에 카메라를 설치하게 하여 케이블 설치용 관로내부의 관통시험시에는 관로 내부를 파악하여 양질의 케이블 시공여부를 결정하고 케이블 설치 시에는 케이블 설치 과정을 카메라로 촬영 후 녹화하여 작업공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므로 양질의 시공인지 부실시공인지 파악할 수 있어 부실시공을 막으며 단계별로 실행하는 공사를 관로 관통 시험과 케이블 설치를 동시에 실시함으로서 고.저압 케이블의 진단형 지중관로 포설 장치는 원자재절감과 인력절감에 따른 공기단축으로 경제성과 함께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을 견인 설치시 3상의 케이블이 새끼처럼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4회전 링크를 개발하여 로프와 케이블 사이에 연결함으로써 케이블이 관로내부를 통과시 관로 내부의 저항에 따르는 3상의 케이블이 서로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정렬로 설치되어 불량 케이블은 1상씩 교체를 할 수 있으며 철거시 새끼처럼 꼬인 전선을 다시 풀어 정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손실과 자재원가를 줄이고 많은 인력 투입에 따른 경제성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경제적인 이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관로내의 케이블 포설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2는 (?)
도 3은 도 1의 포크레인의 블레이드에 설치된 케이블 견인용 윈치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버킷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4회전 링크 금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심부름바 견인용 윈치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7 및 도7-1은 도 1의 바닥형 케이블드럼 설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회수 로프 드럼의 가이드 자동전환 장치를 나타낸 유압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의 케이블 견인용 윈치를 이용한 유압장치 및 케이블 견인중 과부하 발생시 정지 기능과 원인 분석할 수 있도록 전산화 시스템의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중관로내의 케이블 포설방법 및 장치를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관로내의 케이블 포설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 설치용 관로내부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관로의 관통시험 하면서 관로내부의 협착 및 굴곡지점을 촬영하여 케이블 포설 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일측 저압케이블(100a) 맨홀상단에 심부름바를 견인하는 심부름바 견인용 윈치(130)를 설치하고 20~500미터 후방의 타측 저압케이블 맨홀(100b) 상단에는 포크레인(1)의 블레이드측(2)에 케이블 견인용 윈치(40)를 설치한다.
그런 후, 저압케이블용 맨홀바닥에 고인 물을 퍼낼 수 있도록 케이블 견인용 윈치에 설치된 양수기(48)를 작동시켜 맨홀에 고인 물을 퍼낸 후 케이블 설치용 관로의 관통 시험을 하는 4회전 링크(84,90) 장치를 견인할 수 있는 2톤 이상의 인장력이 있는 14밀리의 심부름바용 로프(136)을 풀어 케이블 설치용 관로 내부에 기설치 된 가이드철심(111)과 심부름바(136)를 취부하고 타측 맨홀(100b) 상단에 있는 케이블견인용 윈치(40)의 로프의 회수드럼(60)에 감겨 있는 견인로프를 풀어 케이블 설치용 관로(110)에 기 설치된 가이드철심(111)에 견인로프(150)를 취부하여 케이블 견인윈치(40)의 견인로프 회수드럼(60)을 구동시켜 가이드 철심 회수드럼(55)에 가이드 철심(111)을 되감아 철거한다.
그런 다음, 견인로프 회수드럼(60)에 감겨져 있는 견인 로프를 풀어 관로를 따라 케이블이 설치된 일측 맨홀(100a) 상단까지 설치하기 위하여 반드시 거리측정기(112a와112b)가 설치된 제3,4가이드 로라(61.62)를 통과하여 케이블 견인중 과부하로 견인력이 정지 되었을때 케이블 위치를 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맨홀(100b)내부에서 케이블 꼬임 방지용 4회전링크(90)의 견인고리(95b)에 견인로프(150)를 연결시고 심부름바(136) 끝단은 로프연결 고리(94)에 취부하여 케이블 설치용 관로(110)를 통과 시키도록 설치 후 일측 저압케이블 맨홀(100a)상단에 설치된 심부름바 견인용 윈치(130)을 작동시켜 심부름바용 견인 드럼감속기(131) 드럼에 연결된 심부름바 권취드럼(132)이 심부름바(136)를 감으며 케이블 설치용 관로내부의 굴곡지점 및 관로의 협착 여부를 파악하는 케이블 설치용 관로의 관통시험을 하면서 관로내부를 촬영하여 녹화 확인 후 케이블 설치 시공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의 제1 단계를 거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지중화 포설작업 상태를 나타낸 전체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고압 및 .저압케이블용 맨홀(100a) 후방20~500미터 후방지점의 타측 고.저압 케이블용 맨홀(100b))의 사이에 지중케이블 설치용 관로(110)가 형성되고, 일측 고.저압 케이블용 맨홀(100a)에 상단에 바닥형 케이블 드럼 설치대(140)의 상단에 케이블드럼(120a)(120b)(120c)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 설치용 관로(110)에 신규로 설치할 케이블(160)이 케이블드럼(120a,b,c)에 감겨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케이블 지중관로 포설에 있어서, 본 발명은 타측 저압케이블용 맨홀(100b)에 인접하게 포크레인(1)이 설치되어 암붐 끝단의 위치에 버켓(30)의 몸체에 제1가이드롤러(32) 및 제2가이드롤러(33)를 개발한 제품을 설치하는 제2 단계의 과정을 수행한다.
제3 단계는 포크레인(1)의 블레이드(2)에 케이블 견인용 윈치(40)가 설치되며 윈치 몸체에는 감속기를 구동시키는 유압모터(42)의 회전력으로 강력한 힘의 감속기(43)가 구동하면서 부하측정용 드럼(41b)하단에 케이블드럼 부하측정용 장력계(81)가 설치되고 맨홀안의 케이블을 견인하는 권치 드럼(41a)이 회전하면서 케이블을 견인하여 케이블 권취 드럼(41a)을 빠져나온 로프는 회수용 드럼장치의 제3의 가이드장치(61)를 통과하여 제4가이드 로라(62)에서 회수드럼(60)에 로프가 골고루 감기도록 제5가이드 로라(63)를 통하여 견인로프는 도8의 유압회로도 처럼 회수드럼 가이드 자동전환 장치(64)에 의해 로프 회수용 드럼(60)의 A 지점에 도착하면 회수드럼 전후진 실린더(72)의 D1 포트에 파일럿압력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자동전환 작동 조작 밸브(71)의 D에 압력이 밸브의 방향을 바꾸어 유압력이 A포트로 토출되어 가이드 전환용 실린더(65)가 견인 로프 회수드럼(60) B방향으로 전진후 다시 A방향으로 진행 하면서 로프가 드럼의 A와 B지점에 골고루 감겨지게 되어 수동으로 조작하던 불편을 해소하였으며 케이블 권취드럼(41a)과 로프회수용 드럼(60)의 곡률반경 차이로 로프 회수드럼(60)은 과부하 제어장치(82-1) 의하여 회전 또는 정지를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라야 원활한 로프를 되감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견인로프 회수용 드럼(60)은 감속기(43)와 원동 스프로킷(45)으로 연결된 피동스프로킷(45-1)을 축으로 연결하여 체인전동에 의해 견인로프 회수드럼용 유압모터(44)의 회전력이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고, 견인로프 회수드럼(60)을 구동하는 유압모터(44)의 회전력은 유압 제어장치인 유압과부하 제어밸브(82)에 의해 유량이 자동으로 제어되어 케이블 권취드럼(41a)과 견인로프회수용 드럼(60) 사이의 견인로프(150)의 견인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초기에는 케이블 견인용 윈치(40)의 권취드럼(41a)과 견인로프 회수드럼(60)은 직경이 같아 케이블(160) 또는 견인로프(150)를 감는 속도가 동일하나, 견인로프 회수드럼(60)의 경우에는 견인로프(150)가 감겨지면서 곡률 반경이 변화되어 회전반경이 점차 커짐으로서 견인로프(150)를 감는속도는 일정하나 드럼의 곡율 반경이 커짐으로서 로프의 감는 속도가 빨라지므로 권취드럼의 견인 속도는 일정하나 회수드럼의 로프를 감는 속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로프 회수드럼 과부하 제어장치(82-1)는 상기한 케이블 견인용 윈치(40)의 권취드럼(41)과 로프 회수용 드럼(60) 간의 속도차가 발생하면, 로프 회수용 드럼용 유압모터(44)의 유량을 회수드럼 과부하 제어장치(82-1)가 작동하여 로프 회수용 드럼(60)의 회전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정지시키고 권취드럼(41)을 빠져 나오는 로프가 쳐지면 또다시 로프 회수드럼이 회전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케이블 견인용 윈치(40)의 권취드럼(41)과 로프 회수용 드럼(60) 간의 권취 속도를 일정한 속도로 유지되는 것이다.
케이블 설치용 관로(110)에 케이블(160)이 통과시 게이블의 무게와 회전부의 고저의 저항으로 3상의케이블이 새끼처럼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4회전링크(90,)를 개발제품을 설치하여 3상의케이블이 꼬이는 현상이 없어 손상된 1상의 케이블교체가 가능하며 케이블을 관로에 설치시 케이블에 걸리는 부하율을 측정할 수 있도록 부하측정용 장력계(81)가 장착되어 있으며 2차로 유압시스템에 의한 과부하제어장치(82)에서는 관로내부에 케이블이 통과하면서 관로내부의 고저와 협착구간 또는 회전구간을 통과시 케이블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유압장치 과부하제어장치(82)가 작동되어 케이블견인이 중단 된다.
이때, 저항을 받는부위의 관로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제3,4가이드롤러(61.62)의 중심축에 거리측정기(112a과112b)를 설치하여야 로프가 풀려나간 거리가 확인되므로 부하를 받는 문제의 관로지점을 쉽게 찾아낼 수 있어 문제구간을 빠른 시간에 보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3단계를 수행한다.
제4단계는 케이블을 관로에 설치하는 과정으로 케이블을 견인하는 로프(150)를 맨홀(100b)안에서 케이블(160)과 연결하기 위하여 일측 저압케이블용 맨홀(100a)측과 타측 저압케이블용 맨홀(100b)측 사이의 지중관로(110)를 통과해 맨홀(100a)상단의 케이블드럼(120a,b,c)에 감긴 케이블(160)을 바닥형 전선드럼 설치대(140)에 상차하고 케이블 견인로프(150)는 포크레인의 버켓(30)측에 제1가이드롤러(32) 및 제2가이드롤러(33), 견인용 윈치의 권취드럼(41a)과 부하측정용 드럼(41b)을 거쳐 제3가이드롤러(61), 제4가이드롤러(62)를 거쳐 견인로프(150)가 로프회수용 드럼(60)에 골고루 감기도록 하는 회수로프용 드럼가이드 자동전환(64) 장치의 제5가이드 로라(63)를 통과하도록 한다.
케이블 견인용 윈치(40)는 강력한 힘으로 회전하는 권치드럼(41a)과 부하 측정용 드럼(41b)은 케이블 견인용 윈치(40)의 견인력으로 케이블 견인용 로프(150)를 견인하도록 로프와 4회전 링크(90)의 견인고리(94) 연결되며 케이블(160)은 케이블 견인용고리(95,a.b.c)에 연결하여 관로에 포설하게 되며 케이블을 견인한 로프는 회수용드럼(60)에 로프가 고루 감기도록 회수드럼 가이드 자동전환 장치(64)에 의해 로프가 견인로프 회수 드럼에 자동으로 감아져 케이블이 지중관로에 포설되게 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 고.저압 케이블의 진단형 지중관로 포설장치이다.
즉, 케이블 견인용 감속기(43)을 구동하는 감속기용 유압모터(42)의 회전력으로 케이블 권취드럼(41a)과 부하측정용 드럼(41b)을 회전시키면, 케이블 설치용 관로(110)를 통과한 견인로프(150)는 포크레인(1)의 암붐 끝단에 설치된 버켓측(30)에 제1가이드롤러(32) 및 제2가이드롤러(33)에 의해 맨홀안의 케이블설치용 관로에서 맨홀 상단의 케이블견인용 윈치방향으로 케이블진행 방향이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각도가 전환된다.
케이블 견인용 윈치(40)에서 권취드럼(41a)과 부하측정용 드럼(41b)을 거친 견인로프(15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가이드롤러(61)에 의해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각도가 전환되어 제4가이드롤러(62) 측으로 안내된 견인로프(150)는 제5가이드롤러(63)를 통하여 회수드럼에 고루 감기게 되며 그동안 케이블을 시공할 때 맨홀(100b)안의 케이블 또는 로프의 각도 전환이 협소한 맨홀안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져 관로 및 맨홀상단의 파손을 막기 위해서 버켓(30)에 제1과,2가이드 롤러(32,와33)장치가 저압케이블용 맨홀(100b)의 내부에 삽입되고 제1과2.가이드롤러(32와33)를 통과하여 부하측정용 드럼(41b)과 케이블 권취드럼(41a)을 통과하여 케이블견인용 윈치(40)의 제3가이드롤러(61)와 제4가이드롤러(62)에 의해 안내되는 견인로프(150)을 회수드럼(60)에 골고루 감기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버켓장치(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레인(1)의 암붐 선단부에 한 쌍의 지지편(34a,b)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지지편(34a,b) 사이의 수평방향으로 제1가이드롤러(32)를 설치하며, 그리고, 제2가이드롤러(33)는 상부측 버켓 설치용 어태치먼트(31), 가이드로라 케이싱(3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가이드 로라 케이싱(35)은 상부측은 포크레인(1)의 암붐 끝단에 급속연결 장치인 어태치먼트에 의해 탈부착 되도록 장착되는 것이며, 버켓 장치는 맨홀 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가이드롤러(32) 및 제2가이드롤러(33)에 의해 맨홀안의 견인로프(150)가 수직에서 수평방향으로 각도가 전환되어 케이블 견인용 윈치 방향으로 안내되므로 규격이 작은 저압맨홀에서 케이블 설치시 맨홀 및 케이블 손상이 없음은 물론 고압 맨홀에서의 고압케이블 설치를 하여도 전혀 문제가 없이 다목적으로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신규로 개발된 3상의 케이블꼬임 방지 및 케이블 설치용 관로의 관통시험기인 4회전링크(90.8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의 회전금구몸체(91)로 구성되고, 상기 원추형 회전금구몸체(91)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는 원형의 단면부(92)(93)가 폐쇄된 상태로 구비되는데, 이때 선단부의 단면부(92)보다 후단부의 단면부(93)의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선단의 단면부(92) 중앙부에 로프를 연결하는 고리(94)가 설치되고, 후단의 단면부(97)에 3상의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연결고리(95a)(95b)(95c)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로프 연결고리(94)와 전선 연결고리(95a)(95b)(95c)는 베어링(9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므로 회전이 자유롭고 강력한 힘에도 견딜 수 있으며, "C"형의 베어링(96)이 로프 연결고리(94) 및 전선 연결고리(95a)(95b)(95c)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어 각각의 고리가 4회전링크의 금구몸체(91)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금구몸체 측면에 카메라(98a98b98c)을 설치할 수 있는 취부공간을 주어 관로내부 통과시 관로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관로내부의 규격에 따라 4회전링크의 금구 크기도 규격화로 변경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 견인로프(150)는 10ton 이상의 인장력을 가지며, 14∼40mm 댕기머리 형태로 꼬아 형성한 광섬유질의 로프로 구성되어 관로내부 통과시 마찰로 인한 열 발생으로 인한 관로내벽을 손상시킴을 방지하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가이드롤러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버켓 장치(30)로서 포크레인의 암붐 끝단에 설치되어 저압 케이블 맨홀(100a,b)에 삽입되어 케이블 견인용 로프의 진행방향을 전환시켜 케이블을 견인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고압케이블용 맨홀에 비해 현저하게 통로가 좁고 협소한 저압케이블용 맨홀에서 로프 및 전선을 견인하여 권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압용 맨홀의 파손과 케이블의 손상 없이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지중관로에 케이블을 설치 및 철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1회의 작업으로 맨홀(100a,b) 바닥에 고인 물을 양수기(48)로 퍼내고 케이블 설치용 관로내부를 관통시험하면서 관로내부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케이블 설치용 관로내부의 협착상태 등을 파악하여 양질의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케이블 견인시 케이블의 인장력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정된 압력이상의 과부하가 발생시 케이블 견인드럼의 작동정지 기능과 긴급 정시에는 지하에 매설된 관로의 문제되는 지점을 쉽게 찾도록 거리 측정기(112a,b)를 설치하여 관로 내부의 문제 지점을 빠른 시간에 굴착하여 보수를 함으로서 작업일정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케이블 관로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견인력을 측정 프로그램화 하여 전산화시켜 진단시스템(83)으로 보관함으로서 시공 후에도 양질의 시공여부 을 확인할 수 있으며 관로에 3상의 케이블을 설치시 3상의 케이블 꼬임방지 및 관로의 관통시험을 병행하는 4회전 링크(90.84)의 금구를 개발하여 사용함으로써 3상의케이블이 꼬임 현상 없이 설치함으로서 기존에 꼬인 3상의 케이블을 다시 풀어 정리하는 시간과 인력손실을 방지한 것이다.
맨홀(100b)의 케이블 견인 윈치와 맨홀(100a) 상단에는 심부름바를 신속히 설치하고 심부름바 견인용 윈치(130)를 개발 설치함으로서 케이블 견인로프(150)을 설치하면서 케이블 설치용 관로(110)의 도통시험 및 관로내부의 상태를 파악하여 케이블 설치용 관로의 도통시험 및 케이블 설치 등을 동시에 시공함으로서 지중하 관로시공에 있어서 작업 일정을 단축하고 그동안 불편사항과 문제점을 보완하여 부실시공 또는 양질의 시공 여부를 파악하기 힘든 문제가 검증되도록 고.저압 케이블의 진단형 지중관로 포설 장치를 사용하여 시공함으로서 그동안 불편했던 문제점이 해결되며 부실시공을 방지하고 양질의 시공을 함으로서 많은 인력과 장비투입에 따른 경제성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고 경제적으로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지중관로내의 케이블 포설방법 및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은 기존의 사용되고 있는 시공방식을 개량. 현실화 시킴으로서 기존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포크레인 2: 블레이드
30: 버켓(가이드로라 설치용) 40: 케이블견인용 윈치
60: 견인로프 회수드럼 70: 회수로프용 드럼의 가이드자동전환 장치
80:측정 및 제어장치 90(84): 4회전링크 금구
100a: 일측 고.저압 맨홀 100b; 타측 고.저압 맨홀
110: 케이블 설치용 관로 111: 관로내부 가이드철심
112a.b: 거리측정기 120(a,b,c); 케이블 드럼
130: 심부름바 견인용 윈치 140(a,b,c): 바닥형 케이블드럼 설치대
150: 케이블 견인용 로프 160: 케이블
31: 버겟 설치용 어태치먼트 32: 제1가이드 롤러
33; 제2가이드롤러 34a.b,: 가이드 로라 지지대
35; 가이드 로라 지지대 36; 가이드 로라 케이싱
41a: 케이블 권치드럼 41b: 부하측정용 드럼
42: 감속기용 유압모타 43: 케이블 견인용 감속기
44: 회수드럼용 구동 유압모타 45: 원동 스프로겟
45-1: 피동 스프로겟 46: 구동체인
47: 유압 콘트롤밸브 48: 양수기장치
49: 유압 부스타 장치 50: 인버터 DC/AC 220볼트전환
51: 과부하 측정 지시게 52; 유압력 지시계기
54; tool 55: 관로의 가이드철심 회수드럼
61; 제3가이드 롤러 62: 제4가이드 롤러
63: 제5가이드롤러 64: 로프용 드럼가이드 자동전환 장치
65: 가이드 전환용 실린더 71; 가이드 자동전환 조작 밸브
72: 회수드럼 전후진 실린더 73: 로프회수드럼
74: 회수드럼 조작밸브 81: 케이블 견인력 측정용 장력계
82: 유압장치 과부하 제어밸브 82-1: 회수드럼 과부하 제어장치
83; 전산화 진단 시스템 장치 84: 관로 관통시험기(4회전링크 금구)
91: 4회전링크 금구몸체 92: ,전면 전단부
93: 후면 단면부 94 : 로프 연결고리
95a,: 케이블 a상 연결고리 95b: 케이블 b상 연결고리
95c: 케이블 c상 연결고리 96: 회전베어링
97: 오일방수 리테나 98.a:b.c: 카메라
121: 파형관내 가이드철심 131: 심부름바 견인드럼용 감속기
132: 심부름바 권취드럼 133: 심부름바 가이드장치
134: 심부름바 가이드1.로라 135: 심부름바 가이드2.로라
136: 심부름바(14mm) 137: 심부름바 권취드럼 구동 유압모터
141: 케이블 드럼폭 조절장치 142a.b.c: 일측 케이블드럼 로울러
143a.b.c: 타측 케이블드럼 로울러 144a: 일측 드럼폭 조절용 가이드축
144b: 타측 드럼폭 조절용 가이드축 145: 케이블 쳐짐 방지용 로라

Claims (8)

  1. 일측 고.저압 맨홀과 타측 고.저압 맨홀사이의 지중관로에서 일측 고.저압 맨홀에 인접한 위치의 케이블 드럼장치에 설치된 케이블을 견인하여 관로에 설치 및 철거하기 위하여 상기 타측 고.저압 맨홀상단에 인접하게 포크레인을 위치시키고, 포크레인 암붐의 끝단에 버켓을 맨홀안에 삽입하여 로프 또는 케이블을 견인윈치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제1가이드롤러 및 제2가이드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포크레인의 블레이드 측에 윈치를 고정시켜 고,저압 케이블을 관로에 설치 또는 철거하기 위한 케이블견인용 윈치를 설치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블레이드 상단에 설치된 윈치에는 유압모터의 회전력으로 구동하는 감속기의 출력측에 설치된 권치드럼이 회전하여 로프가 권취드럼을 통과하여 나오는 로프를 회수용드럼에 되감을 수 있도록 하고, 회수드럼을 구동하는 유압모터의 유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상승시에는 유압력을 제어하여 유압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지하관로의 케이블을 견인하는 권치드럼에 걸리는 부하를 장력계에서 측정하여 지시계에 전하고 과부하방지용 안전밸브가 작동되면 감속기회전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의 인장력을 보호하고 관로을 통과중인 케이블의 위치를 파악할수 있도록 하고, 거리 측정기가 설치되며, 케이블을 설치전 관로 내부을 관통시험하면서 관로의 굴곡상태를 카메라를 설치 촬영하여 관로내부를 진단하고 전선을 절단하거나 전선을 연결시키는 유압부스타가 설치되며 볼트너트를 풀고 조이는 임팩을 사용하도록 공구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일측 맨홀과 타측 맨홀을 개방하여 맨홀 내부의 고인물을 권취기와 소형윈치에 설치된 양수기로 맨홀내부의 물을 양수한 후, 지하에 매설되는 파형관 내부에 기 설치된 가이드철심을 회수하기 위해서 윈치의 회수드럼에 감겨진 견인로프를 가이드철심과 연결한 다음, 맨홀 상단의 소형윈치에 설치된 심부름바와 연결하여 가이드철심을 회수드럼에 회수하고, 견인용로프 끝단에 4회전링크의 끝단에 취부하고 심부름바의 끝단은 4회전링크의 견인고리에 연결하여 소형윈치로 견인하여 맨홀과 맨홀사이에 관로내부의 관통시험을 하기위하여 4회전링크장치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관로의 굴곡지점과 협착부분 및 파손유무와 고저 등을 촬영하고, 일측 맨홀과 타측 맨홀 사이의 지중관로를 관통해 관로내부 상태를 진단하여 시공여부을 결정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일측 맨홀의 지상에 설치된 전선드럼을 바닥형 드럼장치의 상단에 회전되도록 전선을 풀어내는 바닥형 드럼장치의 상단에 설치되어 윈치의 견인력에 의하여 케이블이 천천히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단계와;
    상기 타측 맨홀상단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윈치에서 전선을 권취하는 권취드럼의 로프를 지중관로를 통하여 일측 관로상단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케이블을 견인하기 위한 메인윈치의 견인로프와 끝단에 4회전링크의 전단부 견인고리을 연결하고, 케이블드럼장치 상단의 전선의 끝단에 4회전링크의 후미견인 고리에 연결하여 케이블을 견인할수 있도록 로프을 설치하는 제5 단계와;
    상기 견인용 윈치의 권치드럼을 회전시켜 견인용 드럼의 견인력으로 전선끝단에 4회전링크와 취부된 전선을 견인하는 로프를 권취드럼에 감아 전선이 지중관로에 포설되게 하는 제6 단계와;
    관로내부에 매설되는 케이블의 설치상태를 4회전링크장치에 설치된 카메라로 촬영하여 내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시공후 녹화하여 양질의 시공 여부를 판정 및 진단하고 전산화 프로그램하는 제7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지중관로내의 케이블 포설방법.
  2. 고.저압 케이블의 진단형 지중관로 포설장비에 있어서,
    일측 맨홀(100a)의 상단부 포크레인(1)의 블레이드(2)에 케이블견인용 윈치(40)가 설치되고, 상기 포크레인(1) 암붐 끝단의 버겟(30)에 제1.2의가이드로라(32.33)가 설치되며, 심부름바용 윈치(130)를 일축의 맨홀(100a)상단에 설치하고, 맨홀(100a)인근에 바닥형 케이블드럼 설치대(140)가 설치되며, 상단의 케이블드럼(120)에 케이블(160)이 권선되고, 맨홀(100b)의 인근에 바닥형 케이블드럼 설치대(140)가 설치되며, 맨홀(100a)과 맨홀(100b)사이의 지중관로에 4회전링크(90.84) 금구가 설치되고, 상기 4회전링크(90.84) 금구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과;
    상기 케이블 견인용윈치(40)의 몸체에 설치된 견인로프 회수드럼(60)과, 견인로프(150)가 드럼에 고루감기도록 한 회수용로프 드럼의 가이드자동전환 장치(70)와;
    상기 케이블(160)을 관로(110)에 설치중 관로내부에서 케이블 자중에 의한 저항과 협착부위 및 굴곡부위을 케이블(160)이 권취드럼에 의하여 견인되면서 케이블에 걸리는 부하를 측정하는 케이블견인력 측정용 장력계(81)와;
    상기 케이블견인력 측정용 장력계(81)의 측정을 통해 케이블에 과부하가 걸리면 감속기(40)축의 드럼을 구동하는 감속기용 유압모터(42)의 회전력을 유압장치 과부하제어 장치(82)에 의해 감속기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기능 및 케이블이 관로(110)의 내부 통과시 4회전 링크금구(90.84)로부터 촬영된 영상물을 전산화 진단시스템(83)에 입력시켜 케이블의 설치 과정을 진단할 수 있는 전산화 진단시스템(83)과;
    상기 케이블 설치용 관로내부의 굴곡 및 협착 부위의 저항에 의하여 작동하는 유압장치 과부하제어밸브(82)와;
    상기 유압장치 과부하제어밸브(82)의 작동에 의하여 케이블을 견인할 수 없어 윈치의 견인력이 정지시 지하관로에 설치되는 케이블과 로프가 연결된 지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리측정기(112a,112b);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지중관로내의 케이블 포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일측 고.저압 케이블용 맨홀(100a)과 타측 고.저압 케이블용 맨홀(100b) 사이의 지중관로(110)에 일측 고.저압 케이블설치용 맨홀(100a)에 인접한 케이블 드럼장치(120a)(120b)(120c)의 케이블(160)이 설치되거나 철거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포크레인(1)은 맨홀(100b) 인접거리에 설치되며 버켓(30) 장치는 포크레인의 암붐 끝단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타측 고.저압 케이블용 맨홀(100b) 내부에 버켓(30) 삽입되고, 이 버켓(30)에는 가이드롤러(32.33)가 설치되어 케이블설치용 관로(110)에서 빠져나오는 케이블견인용 로프(150) 또는 케이블(160)을 맨홀내부에서 케이블견인용 윈치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제1및제2의 가이드롤러(32,33)와:
    상기 포크레인(1)의 블레이드(2)에 설치된 견인용윈치(40)에는 감속기를 구동시키는 유압모터(4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케이블견인용 로프(150)가 케이블 권취드럼(41a)과 부하측정용 드럼(41b)을 통과하여 회수드럼(60)으로 방향전환 하도록 구성된 제3,4 가이드 로라(61.62)와;
    상기 견인로프 회수드럼에 견인로프가 골고루 감기도록 안내해주는 회수드럼 가이드자동전환 장치(70)를 통과한 견인로프를 회수드럼(60)에 되감고 견인로프 회수드럼을 구동시키는 유압모타(44)와;
    상기 견인로프 회수용드럼(60) 축에 설치되는 관로의 가이드철심 회수드럼(55), 케이블 견인용 권취드럼(41a) 및, 부하측정용 드럼(41b)과;
    상기 케이블 견인로프(150)를 견인하여 케이블(160)이 케이블 설치용 관로에 설치 또는 철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내의 케이블 포설장치.
  4. 제2항 있어서,
    상기 4회전링크 금구(90.84)는,
    선단부 및 후단부에 직경을 달리하고 막혀진 원형의 단면부(92)(93)를 갖는 원추형의 4회전링크 금구몸체(91)와;
    상기 4회전링크 금구몸체(91)의 선단 단면부(92)의 중앙에 케이블견인용 로프(150)가 연결되어 회전이 자유로운 케이블 견인로프의 연결고리(94)와;
    상기 4회전링크 금구몸체(91)의 후단 단면부(93)에 3상의전선이 연결되도록 3개의전선 연결고리(95a)(95b)(95c);
    상기 4회전링크의 금구(91)에 설치되는 카메라(98a 98b 98c);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지중관로내의 케이블 포설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견인용 윈치(40)는,
    권취드럼(41a)과 부하측정용 드럼(41b) 사이에 설치되는 장력계와;
    상기 케이블의 견인력을 측정하고 권취드럼(41a)을 회전시키는 감속기(43)를 구동시키는 유압모터(42) 및, 상기 권취드럼에서 빠져나오는 로프를 회수하도록 되감는 회수드럼(60)을 구동시키는 유압모터(44)와;
    상기 로프를 되감는 견인로프 회수드럼(60)의 회전속도와 회전을 정지와 회전을 반복하면서 케이블 또는 로프를 일정한 속도로 유지되게 하는 회수드럼 과부하 제어장치(82-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지중관로내의 케이블 포설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저압 케이블용 일측맨홀(100a) 상단에 설치된 심부름바 견인용 윈치(130)는 타측 맨홀(100b)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견인용 윈치(40)의 견인로프(150)와 연결하기 위한 심부름바(136)을 케이블설치용 관로내부에 기설치 된 파형관내 가이드철심(111) 끝단에 취부되는 것과;
    상기 타측맨홀(100b) 상단의 케이블 견인용 윈치(40)에 설치된 케이블견인용 회수용 로프(150) 끝단은 타측맨홀 내부의 가이드철심(111)과 연결되어 가이드철심드럼(55)에 회수후 케이블견인용 로프(150)을 케이블 설치용맨홀(100b)에서 심부름바 견인로프(136)와 연결후 관로(110)를 통하여 케이블드럼(120)의 케이블(160a.b.c)을 견인하는 곳까지 견인하도록 심부름바용 권취드럼(132)에 감긴 견인로프(136)을 4회전링크(90.84)와 연결하여 관통시험 및 관로내부 을 촬영하고 맨홀내부의 고인물을 퍼낼 수 있도록 유압식 양수기(48) 설치와 전선을 자르거나 연결하는 유압부스타(49)가 내장되는 심부름바 견인용윈치(130);
    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지중관로내의 케이블 포설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드럼 폭(144a.b)과 케이블 드럼을 지지하는 로라의(142a,b,c)와 (143a,b,c)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형 케이블 드럼 설치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지중관로내의 케이블 포설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견인용 윈치(40)의 케이블견인용 로프의 회수드럼(60)은,
    상기 케이블을 견인하는 견인로프(150)가 제5 가이드로라(63)에 의해 견인로프 회수드럼(60)에 로프가 고루 감기도록하기 위해서 견인로프 회수드럼의(60) 끝단(a)의 위치에서 회수드럼의 가이드 자동전환 장치(70) 의한 가이드 자동 전환 조작밸브(71)의 파일럿 신호에 의해서 회수드럼 가이드용 자동전환 장치(70)에서 발생되는 설정된 압력에 도달 되면 견인로프 회수드럼(60)의 B방향으로 직진하던 실린더가 자동전환 조작밸브(71)의 유로 변경으로 회수드럼 전후진 실린더(72)가 후진하여 회수드럼 A 방향으로 로프가 고루 감기게 되어 회수드럼(60)의 (a)지점과(b)지점을 자동 왕복하는 회수용 로프드럼의 자동 전환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지중관로내의 케이블 포설장치.
KR1020140078909A 2014-06-26 2014-06-26 지중관로내 케이블 지중하 포설방법 및 장치 KR20160001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909A KR20160001105A (ko) 2014-06-26 2014-06-26 지중관로내 케이블 지중하 포설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909A KR20160001105A (ko) 2014-06-26 2014-06-26 지중관로내 케이블 지중하 포설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105A true KR20160001105A (ko) 2016-01-06

Family

ID=5516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909A KR20160001105A (ko) 2014-06-26 2014-06-26 지중관로내 케이블 지중하 포설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10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0692A1 (ko) * 2018-09-06 2020-03-12 주식회사 남북건설 송전용 지중케이블 와인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케이블 설치시스템
US11095101B2 (en) 2016-09-06 2021-08-17 Quanta Associates, L.P. Repurposing pipeline for electrical cable
KR102370913B1 (ko) * 2021-06-02 2022-03-04 이지환 케이블 포설 시, 인공신경망 기반으로 케이블의 이상을 검출하는 장치
WO2023059004A1 (ko) * 2021-10-08 2023-04-13 승리전력기술(주)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의 동시 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5101B2 (en) 2016-09-06 2021-08-17 Quanta Associates, L.P. Repurposing pipeline for electrical cable
US11095102B2 (en) 2016-09-06 2021-08-17 Quanta Associates, L.P. Repurposing pipeline for electrical cable
WO2020050692A1 (ko) * 2018-09-06 2020-03-12 주식회사 남북건설 송전용 지중케이블 와인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케이블 설치시스템
US11848543B2 (en) 2018-09-06 2023-12-19 Sn Enc Co., Ltd. Power transmission underground cable winding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underground cable spreading system comprising same
KR102370913B1 (ko) * 2021-06-02 2022-03-04 이지환 케이블 포설 시, 인공신경망 기반으로 케이블의 이상을 검출하는 장치
WO2023059004A1 (ko) * 2021-10-08 2023-04-13 승리전력기술(주)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의 동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170B1 (ko) 지중관로내 케이블지중하 포설방법 및 장치
KR20160001105A (ko) 지중관로내 케이블 지중하 포설방법 및 장치
CN212363517U (zh) 一种拉力和速度检测装置、电缆敷设设备
KR101810077B1 (ko)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장치
US8122913B2 (en) High pressure hose protector
JP5923071B2 (ja) 流体管路における横断管への作業用通線の通線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される装置
KR101261458B1 (ko)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CN201429584Y (zh) 钢丝绳预防性无损试验系统
KR20200028322A (ko) 송전용 지중케이블 와인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케이블 설치시스템
CN101509896A (zh) 钢丝绳预防性无损试验系统
KR100932524B1 (ko) 지중관로용 케이블 인입 및 인출 장치
KR20180086371A (ko)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방법
CN110265927A (zh) 风力发电机组底部动力电缆自动敷设及检损装置及方法
KR101147597B1 (ko)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KR101486212B1 (ko) 포설 장치의 중앙 연동제어 시스템 및 연동제어 방법
KR20100115183A (ko) 케이블관 견인장치
KR102077532B1 (ko) 역회전용 브레이크 텐셔너
KR101174077B1 (ko) 더블 브레이디드 로프를 이용한 지중 케이블 포설방법 및 지중 케이블 디지털 풀러
KR101026840B1 (ko)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JP2011050194A (ja) 電線巻き取り能力を有するリールワインダー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張り替え又は撤去方法
CN107748109B (zh) 一种海缆弯曲疲劳特性测试机及测试方法
RU2476368C2 (ru) Способ замены каната грузоподъемного крана
KR20150008313A (ko) 지중 관로 도통시험 방법
CN219734409U (zh) 一种快速穿管作业装置
KR100403445B1 (ko) 텐션 미터 윈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