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183A - 케이블관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관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183A
KR20100115183A KR1020090033793A KR20090033793A KR20100115183A KR 20100115183 A KR20100115183 A KR 20100115183A KR 1020090033793 A KR1020090033793 A KR 1020090033793A KR 20090033793 A KR20090033793 A KR 20090033793A KR 20100115183 A KR20100115183 A KR 20100115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raction
cable
winch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남택
Original Assignee
정석으뜸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으뜸기술(주) filed Critical 정석으뜸기술(주)
Priority to KR1020090033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5183A/ko
Publication of KR20100115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케이블관 견인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고 견인 와이어를 견인하는 메인 윈치와, 견인 와이어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다수개의 도르레와, 메인 윈치에 의해 견인되는 견인 와이어를 권취하는 보조 윈치과, 견인 와이어와 케이블관을 연결하는 케이블관 견인 캡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관 견인장치에 의하면, 케이블관 견인장치에 의해 케이블관의 매설이 용이해지고 시공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케이블관 견인장치에 구비되는 장력측정부에 의해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시공안전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케이블관, 견인장치, 윈치, 도르레

Description

케이블관 견인장치{EQUIPMENT FOR PULLING CABLE PIPE}
본 발명은 케이블관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용 또는 배전용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관을 견인하여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보화 요청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중계소부터 각 가정까지 광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21세기 정보화 사회의 통신서비스는 현재의 듣는 서비스에서 벗어나 보는 서비스 위주로 변화할 것인바, 영상 및 음성을 양방향으로 구현하기 위한 고속의 데이터 통신으로 인해 광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요구는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케이블 부설하기 위하여 과거에는 지상을 통해 케이블을 연결하는 작업을 하였으나, 최근에는 지하에 케이블을 매설하는 지중화 작업이 증가하고 있다.
케이블 지중화 작업은 주로 도시화지역, 신규개발단지 및 가공선로 구성이 어렵고 유지보수가 곤란한 지역에서 시도되는데, 지중화 작업은 미관을 확보하고 가공선로 시설이 불가능지역에 적용될 수 있는 등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을 지중화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합성수지관, 강관, 흉관 등 관재를 사용하여 관로를 구성한 후 케이블을 부설하는 관로식과, 터널과 같은 상부가 막힌 형태의 지하구조물을 설치하여 내부 벽측에 케이블을 부설한 뒤 유지 보수작업을 위한 작업원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력구식 등이 있다.
그러나, 전력구식의 경우, 건설비가 많이 소요되고 지중 매설 상의 문제점 등으로 인해 한계를 가지는바, 지중에 관을 매설하여 케이블을 부설하는 관로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관로식에 사용되는 관을 지중에 매설하기 위해서는 관을 매설하기 위해 굴착된 지점에 기중기 등을 이용하여 관을 각각 안착시킨 후 접합을 통해 연결하는데, 차량 통행 및 주변 구조물 등에 의해 기중기가 이동할 수 없는 지역에서는 관을 견인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즉, 매설지점에 적재된 관을 기중기 등을 이용하여 굴착된 지점에 안착시킨후 미리 안착된 다른 관과 접합을 시킨다. 그리고 상호 연결된 관을 소정거리만큼 견인하여 다른 관이 안착될 지점을 확보한 후 새로운 관을 안착시켜 연결시킨 다음 다시 소정거리만큼 견인하는 작업과정을 반복하여 여러 개의 관을 연결시켜 작업을 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관 매설방법의 경우, 상호 연결된 관을 소정거리만큼 견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부재하여 관을 효율적으로 견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럭 등을 이용하거나 인력에 의해 관을 견인하더라도 이동 중에 관의 머리 부분이 파손되거나 관의 연결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관을 견인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 관을 효율적으로 견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관 견인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케이블관과 연결된 견인 와이어를 견인하고, 상기 견인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측정부가 구비되는 메인 윈치; 상기 메인 윈치에 의해 견인되는 견인 와이어를 권취하는 보조 윈치; 상기 메인 윈치와 상기 보조 윈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견인 와이어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다수개의 도르레;및 상기 견인 와이어와 상기 케이블관의 일단을 연결하는 케이블관 견인 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르레는 상기 메인 윈치에 견인되는 견인 와이어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제1 도르레와, 상기 견인 와이어가 상기 보조 윈치에 감아지도록 상기 제1 도르레에 걸어지는 견인 와이어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제2 도르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메인 윈치는 상기 장력측정부에 의해 상기 견인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이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음을 울리거나 상기 윈치의 동작을 정지시 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케이블관 견인 캡은 일단에 형성된 중공에 상기 케이블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견인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고리부; 상기 견인 와이어 및 상기 연결고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하는 스위블부;및 상기 밴드부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볼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이동롤러가 구비된 스키드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보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견인 와이어의 좌우이동을 방지하는 와이어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와이어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단; 상기 고정단에 구비되고, 상기 견인 와이어의 양 단을 고정하는 제1 와이어 홀더 및 제2 와이어 홀더;및 상기 제1 와이어 홀더 또는 제2 와이어 홀더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홀더에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시공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로보틱스 붐 유닛이 구비된 시공차량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관 견인장치에 의하면, 케이블관 견인장치에 의해 케이블관을 손쉽게 견인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관의 매설이 용이 해지고, 기중기의 이동이 어려운 지역에도 케이블관 견인장치에 의해 케이블관을 견인하면서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케이블관 견인장치에 구비되는 장력측정부에 의해 와이어에 장력이 과도하게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시공안전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관 견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관 견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케이블 관(1)을 견인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관 견인장치(20)는 시공차량(10)에 적재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시공차량(10)은 케이블관 견인장치(20)를 적재하거나 시공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시공차량(10)에는 상기 케이블관 견인장치(20)를 시공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로보틱스 붐 유닛(13)이 구비된다. 상기 로보틱스 붐 유닛(13)은 다수개의 관절부 및 실린더 등으로 구성된 텔레스코픽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관 견인장치(20)를 작업지점에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시공차량(10)에는 상기 케이블관 견인장치(20)에 보조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조동력부(15)와 상기 시공차량(10)을 지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 지대(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관 견인장치(20)는 상기 시공차량(10)에 적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41)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에는 상기 로보틱스 붐 유닛(13)이 연결되어 상기 로보틱스 붐 유닛(13)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가 작업위치까지 이동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를 지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반고정부(43)가 구비된다. 상기 지반고정부(43)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 하면에 다수개로 구비되는 파일(pile)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지반고정부(43)가 지반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가 고정된다. 상기 지반고정부(43)는 접이식 또는 텔레스코픽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 상면에는 견인 와이어(45)를 감기 위한 메인 윈치(51)와 보조 윈치(53)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윈치(51)와 보조 윈치(53)는 상기 시공차량(10)의 보조동력부(15)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윈치(51)는 케이블관(1)을 견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50톤 이상을 견인할 수 있는 동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 윈치(53)는 공윈치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 윈치(51)에 의해 견인되는 와이어를 감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 윈치(51)에 권취되는 견인 와이어(45)는 다수개의 도르레에 의해 이동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도르레는 제1 도르레와 제2 도르레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윈치(51)에는 견인 와이어(45)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제1 도르 레(55)가 연결된다. 상기 제1 도르레(55)는 도르레 홀더(5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도르레 홀더(57)는 윈치 와이어(59)에 의해 상기 메인 윈치(51)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윈치(51)에 의해 상기 윈치 와이어(59)가 권취되면 상기 도르레 홀더(57)가 견인되고, 상기 도르레 홀더(57)의 견인에 의해 상기 제1 도르레(55)가 회전하면서 견인 와이어(45)를 견인한다.
상기 메인 윈치(51)에는 장력측정부(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력측정부는 상기 윈치와이어(59)에 가해지는 장력이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음을 울리거나 상기 메인 윈치(51)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르레(55)에 의해 이동방향이 변경되는 견인와이어(45)는 제2 도르레(61)에 의해 상기 보조 윈치(53) 방향으로 이동방향이 변경된다. 상기 제2 도르레(61)에 의해 이동방향이 변경되는 견인와이어(45)는 상기 보조 윈치(53)에 권취된다.
그리고, 상기 윈치(47)와 상기 제1 도르레(55) 사이 및 상기 제2 도르레(61)와 아래에서 설명할 케이블관 견인 캡(80) 사이에는 상기 견인 와이어(45)의 이동을 방지하여 상기 견인 와이어(45)가 상기 제1 도르레(55) 또는 제2 도르레(61)에 잘 물리도록 하고, 상기 보조 윈치(53)에 의해 상기 견인 와이어(45)가 잘 권취되도록 하는 와이어 지지부(70)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지지부(7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고정단(71)과, 상기 고정단(71)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와이어 홀더(73) 및 제2 와이어 홀더(75)와, 상기 제2 와이어 홀더(75)에 구비되는 완충부재(7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와이어 홀더(73) 및 상기 제2 와이어 홀더(75)는 상기 견인 와이어(45)의 양단을 파지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77)는 유압식 잭과 같은 것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와이어 홀더(75)에 완충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기 견인 와이어(45)가 상기 메인 윈치(51)에 의해 견인되는 때, 상기 완충부재(77)가 제2 와이어 홀더(75)에 완충작용을 하므로 상기 견인 와이어(45)가 과도하게 좌우로 이동하지 않으면서 상기 와이어 홀더(73, 75)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견인 와이어(45)의 말단에는 케이블관(1)을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관 견인 캡(80)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블관 견인 캡(80)은 중공형상으로 일단은 개방되어 상기 케이블관(1)이 삽입되고 타단은 차폐되어 상기 견인 와이어(45)와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관 견인 캡(80)의 차폐된 일면에는 연결고리부(8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고리부(81)에는 상기 견인 와이어(45)의 일단에 구비되는 스위블부(82)가 연결된다. 상기 스위블부(82)는 상기 연결고리부(81)에 연결되어 회전하므로 상기 견인 와이어(45)가 꼬이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관 견인 캡(80)과 상기 케이블관(1) 사이에는 별도의 간극재가 주입되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관 견인 캡(80)에는 상기 케이블관(1)의 외주면을 감싸는 밴드부(83)가 구비된다. 상기 밴드부(83)는 2개 이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분리된 밴드부(83)에는 각각 플랜지(85)가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85)를 볼트 등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83)는 상기 케이블관(1)의 주두에 구비되는 제1 밴드부(83a)와 상기 제1 밴드부(83a)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밴드부(83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밴드부(83a)와 제2 밴드부(83b)는 연결와이어 또는 턴버클(87) 등에 의해 연결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부(83)에는 상기 케이블관(1) 견인시 케이블관(1)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보조하는 이동보조부(91)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보조부(91)는 외부로 돌출된 구형상의 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형상의 볼이 상기 밴드부(83)의 원주면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외부로 돌출된 볼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케이블관(1)을 견인할 때 상기 케이블관(1)과 지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한다.
상기 이동보조부(9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키드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보조부(91)는 상기 밴드부(83)에 연결된 스키드보드 프레임(93)과 상기 스키드보드 프레임(93)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이동롤러(95)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관 견인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케이블관(1)을 매설하기 위한 매설로를 굴착한 후, 매설로의 시작점에는 케이블관(1)을 적재하고, 매설로의 종점에는 본 발명의 케이블관 견인장치(20) 가 적재된 시공차량(10)을 위치시킨다.
상기 시공차량(10)이 위치되면 지지대(17)를 이용하여 시공차량(10)을 고정시키고, 상기 시공차량의 로보틱스 붐 유닛(13)을 작동시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관 견인장치(20)를 굴착된 매설로에 위치시킨다.
상기 케이블 견인장치(20)가 매설로에 위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41)의 지반고정부(43)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를 지반에 고정시킨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가 지반에 고정되면, 견인 와이어(45)의 선단에 케이블관 견인 캡(80)을 연결한다.
그리고, 굴착된 매설로의 시작점에 적재된 케이블관(1)을 기중기 등을 이용하여 굴착된 매설로에 위치시킨다. 상기 케이블관(1)이 매설로에 안착되면, 상기 케이블관 견인 캡(80)을 상기 케이블관(1)의 두부에 연결시킨다. 상기 케이블관 견인 캡(80)의 밴드부(83)는 플랜지(85)에 의해 볼트결합되어 상기 케이블관(1)의 두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관 견인 캡(80)이 케이블관(1)에 고정되면, 상기 케이블관 견인장치(20)를 동작시켜 상기 케이블관 견인 캡(80)을 견인한다. 상기 케이블관 견인장치(20)의 메인 윈치(51)는 상기 견인 와이어(45)를 견인하고, 상기 메인 윈치(51)에 의해 견인된 견인 와이어(45)는 제1 도르레(55) 및 제2 도르레(61)를 통과하여 보조 윈치(53)에 권취된다.
또한, 상기 제1 도르레(55)와 연결되는 메인 윈치(51)에는 장력측정부가 구비되어 윈치 와이어(59)에 장력이 과도하게 가해지는 경우, 경보음을 울리거나 상 기 메인 윈치(51)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할 수 있으므로, 견인 와이어 및 케이블관(1)의 파손 및 케이블관 견인장치(20)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윈치(51)에 의해 케이블관(1)이 견인되는 동안, 상기 케이블관(1)과 견인 와이어(45)를 연결하는 케이블관 견인 캡(80)에 구비되는 이동보조부(91)는 다수개의 볼 형상 또는 스키드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블관(1)과 지면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케이블관(1)이 소정거리만큼 견인되면, 다시 새로운 케이블관(1)을 매설로에 위치시켜 이전의 케이블관(1)과 접합시킨다. 그리고, 접합된 케이블관(1)을 다시 케이블관 견인장치(20)에 의해 견인하여 상기와 같은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케이블관(1)의 연결 및 설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도르레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견인 와이어의 이동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케이블관 견인장치(20)는 시공차량(10)과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관 견인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케이블관 견인장치에 의해 케이블관을 손쉽게 견인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관의 매설이 용이해지고, 기중기의 이동이 어려운 지역에도 케이블관 견인장치에 의해 케이블관을 견인하면서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케이블관 견인장치에 구비되는 장력측정부에 의해 와이어에 장력이 과도하게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시공안전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관 견인장치가 장착된 시공차량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관 견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관 견인장치의 와이어 지지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관 견인장치의 케이블관 견인 캡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관 견인장치의 케이블관 견인 캡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관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관을 견인하는 상태를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시공차량 13 : 로보틱스 붐 유닛
20 : 케이블관 견인장치 41 : 베이스 플레이트
43 : 지반 고정부 45 : 견인 와이어
51 : 메인 윈치 53 : 보조 윈치
55 ; 제1 도르레 61 : 제2 도르레
70 : 와이어 지지부 73 : 제1 와이어 홀더
75 : 제2 와이어 홀더 77 : 완충부재
80 : 케이블관 견인 캡 81 : 연결고리부
83 : 밴드부 91 : 이동보조부
93 : 스키드보드 프레임 95 : 이동롤러

Claims (7)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케이블관과 연결된 견인 와이어를 견인하고, 상기 견인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측정부가 구비되는 메인 윈치;
    상기 메인 윈치에 의해 견인되는 견인 와이어를 권취하는 보조 윈치
    상기 메인 윈치와 상기 보조 윈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견인 와이어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다수개의 도르레;및
    상기 견인 와이어와 상기 케이블관의 일단을 연결하는 케이블관 견인 캡을 포함하는
    케이블관 견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레는
    상기 메인 윈치에 견인되는 견인 와이어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제1 도르레와,
    상기 견인 와이어가 상기 보조 윈치에 감아지도록 상기 제1 도르레에 걸어지는 견인 와이어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제2 도르레를 포함하는
    케이블관 견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윈치는
    상기 장력측정부에 의해 상기 견인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이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음을 울리거나 상기 윈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케이블관 견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관 견인 캡은
    일단에 형성된 중공에 상기 케이블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견인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고리부;
    상기 견인 와이어 및 상기 연결고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하는 스위블부;및
    상기 밴드부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볼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이동롤러가 구비된 스키드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보조부를 포함하는
    케이블관 견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견인 와이어의 좌우이동을 방지하는 와이어 지지부를 포함하는
    케이블관 견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단;
    상기 고정단에 구비되고, 상기 견인 와이어의 양 단을 고정하는 제1 와이어 홀더 및 제2 와이어 홀더;및
    상기 제1 와이어 홀더 또는 제2 와이어 홀더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홀더에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관 견인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시공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로보틱스 붐 유닛이 구 비된 시공차량에 장착되는
    케이블관 견인장치.
KR1020090033793A 2009-04-17 2009-04-17 케이블관 견인장치 KR20100115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793A KR20100115183A (ko) 2009-04-17 2009-04-17 케이블관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793A KR20100115183A (ko) 2009-04-17 2009-04-17 케이블관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183A true KR20100115183A (ko) 2010-10-27

Family

ID=4313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793A KR20100115183A (ko) 2009-04-17 2009-04-17 케이블관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51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5318A (zh) * 2011-08-26 2011-12-21 中交第二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河港船舶岸基供电装置
KR101864444B1 (ko) * 2017-11-29 2018-06-04 (유)전일기술단 옥외형 통신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CN114792952A (zh) * 2022-04-29 2022-07-26 国网河南省电力公司商丘供电公司 一种自动牵引式拉线装置及操作方法
CN116054030A (zh) * 2023-04-06 2023-05-0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一种地埋式电缆辅助穿管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5318A (zh) * 2011-08-26 2011-12-21 中交第二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河港船舶岸基供电装置
CN102285318B (zh) * 2011-08-26 2013-05-01 中交第二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河港船舶岸基供电装置
KR101864444B1 (ko) * 2017-11-29 2018-06-04 (유)전일기술단 옥외형 통신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CN114792952A (zh) * 2022-04-29 2022-07-26 国网河南省电力公司商丘供电公司 一种自动牵引式拉线装置及操作方法
CN114792952B (zh) * 2022-04-29 2024-03-19 国网河南省电力公司商丘供电公司 一种自动牵引式拉线装置及操作方法
CN116054030A (zh) * 2023-04-06 2023-05-0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一种地埋式电缆辅助穿管装置
CN116054030B (zh) * 2023-04-06 2023-06-27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一种地埋式电缆辅助穿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458B1 (ko)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KR20100115183A (ko) 케이블관 견인장치
KR101972405B1 (ko) 송전선용 장력측정식 상탑 이도공법과 그 장치
CN207782294U (zh) 电缆拖拽装置
CN104494602A (zh) 利用装备式索道进行输电线路工程材料运输的施工方法
CN107546658A (zh) 电缆穿沟装置
CN212475874U (zh) 一种大桥缆索吊机系统
CN210286511U (zh) 一种起重机高压电缆地面导缆装置
US5913639A (en) Mechanized cable puller
KR101016055B1 (ko)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
KR101177440B1 (ko) 원거리 원통형 매트 포설 공법
GB2619996A (en) Construction method for corrugated pipe to pass through pipeline by means of rail sliders in small underground space
JP3574431B2 (ja) 通信ケーブル乃至通信ケーブルを挿入するさや管の管路内壁固定用バンド取付装置及びこのバンド取付装置による通信ケーブル乃至さや管の管路内壁固定工法
KR102414890B1 (ko) 케이블 드럼용 이탈과 전복 방지용 언더롤러
CN112290457A (zh) 一种碳纤维复合芯导线的施工方法
CN110240076B (zh) 改进的用于调车绞车钢丝绳的更换系统和更换方法
KR20100053381A (ko) 케이블 유도 지지금구
KR102658487B1 (ko)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
CN117410888B (zh) 一种无人机牵引的跨山沟电缆敷设方法及系统
CN214337366U (zh) 入户配电箱埋地线管用电缆牵引装置
CN219918377U (zh) 一种输电线路传动装置
JP4149800B2 (ja) 地中管路への通信ケーブル敷設用管内作業装置及び通信ケーブル敷設方法
CN215772279U (zh) 一种电缆敷设装置
CN218754206U (zh) 大截面电缆回收装置
CN107154600B (zh) 一种特高压电缆铺设过程中判断电缆是否伸直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