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487B1 -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487B1
KR102658487B1 KR1020210120262A KR20210120262A KR102658487B1 KR 102658487 B1 KR102658487 B1 KR 102658487B1 KR 1020210120262 A KR1020210120262 A KR 1020210120262A KR 20210120262 A KR20210120262 A KR 20210120262A KR 102658487 B1 KR102658487 B1 KR 102658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emolition
cutting
roller
pu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7225A (ko
Inventor
서영곤
남궁진성
신동선
Original Assignee
서영곤
남궁진성
신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곤, 남궁진성, 신동선 filed Critical 서영곤
Priority to KR1020210120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487B1/ko
Publication of KR20230037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cutting cables or wires, or splic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를 이용하여 관로 내부에 기설치된 철거케이블의 철거작업은 물론 철거되는 철거케이블을 현장에서 바로 2.5m의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철거케이블을 15 ~ 20개씩 묶어 운반함에 따라 기 설치된 철거케이블의 철거작업 및 철거된 철거케이블의 운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철거케이블이 철거된 관로 내부에 신설케이블을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를 이용하여 당겨주어 신설할 수 있음에 따라 하나의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를 이용하여 지중전력케이블에 대한 철거와 절단 및 신설이 진행될 수 있어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와 절단 및 신설에 의한 각각의 장비를 각각 구비할 필요성이 없으며,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작업성과 작업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거된 지중전력케이블에 대한 운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철거된 케이블의 부피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절단된 케이블의 철거 및 수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신설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underground transmission cable removal new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deconstruction cutting pulling apparatus of the underground power cable}
본 발명은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하여 관로 내부에 매설된 케이블을 교체할 때 기설치된 케이블을 철거하여 절단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새롭게 시공되는 신설케이블을 풀링하여 관로 내부에 시공함이 용이하도록 한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설비는 지상설비에 비해 전력의 안정공급 및 공급신뢰도 향상, 도시 환경미화, 안전성 등의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우수하여 매년 지중설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지중설비는 지중에 매설된 관로와 관로 양측에 매설된 맨홀 그리고 맨홀과 맨홀 사이의 관로에 신설된 케이블로 이루어져 있으며, 분기 개소나 전력 공급지점에 변압기나 개폐기가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중 관로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은 통상 드럼에 권취된 상태로 현지에 공급되고, 한 번에 시공되는 케이블의 길이는 대략 250~300M 정도이며, 전기 특성상 관로 1공에 케이블 3가닥이 들어가거나 1공에 케이블 1가닥이 들어가고 3가닥을 1회선(3상 교류용)이라고 하며 드럼에 권취된 케이블을 지중 관로 내부로 이동시킨 후 케이블을 풀면서 설치하게 된다.
근자들어서는 주거환경과 도시미관에 관심이 더욱 고조되면서 기존의 가공 배전선로를 지중 배전선로로 개선하는 지중화 사업이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 지중 전력설비는 급속히 증가할 것이고, 시공된 지중 케이블의 연수를 감안하면 향후 몇 년 내에 시공된 케이블을 철거하고, 새로운 케이블로 교체해야 하는 실정에 있다.
현재 케이블 철거(회수) 공정은 전동모터를 이용한 케이블 풀러(cable puller)로 당겨내어 철거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는 좁은 맨홀 내에서 묶기와 당기기를 반복적으로 시행하고 한번에 약 3m 정도씩 케이블이 맨홀 밖으로 나오면 절단하여 철거하는 바, 이에 따라 맨홀 1경간이 250~300M임을 감안하면 한 구간 철거를 위해서 약 80~100번 이상 묶기와 풀기를 반복해야 한 구간 작업이 완료되는 복잡하고 매우 힘겨운 실정이다.
또한, 도로변에 철거된 케이블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2명이 1조가 되어 큰 수동 컷터로 약 2~3m 씩 이동하면서 철거된 케이블을 절단하기 때문에 케이블의 절단작업에 의해 약 250~300M의 차로가 통제되어 교통 소통에 지장을 주고 있는 실정으로 케이블 철거 공정 작업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관로 내부에 기설치된 케이블을 철거하기 위한 케이블철거장치와 철거된 지중케이블을 절단하는 절단장치 및 기설치된 케이블을 철거 후 재신설하는 케이블풀링장치가 각각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비를 각각 구비함에 따른 비용부담이 크게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1031795호인 차량탑재형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의 상부에 대향되도록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를 승하강시키며 상기 상부롤러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상부롤러 또는 상기 하부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견인기 및 배전케이블 이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터부와 상기 배전케이블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롤러베드와 상기 롤러베드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하류측클램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이송실린더를 구비하는 절단테이블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전력구 또는 관로 내부의 케이블을 윈치로 인출하고 철거장치의 견인기에 연결하여 인출함과 동시에 절단하고 묶어주는 작업을 일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케이블을 철거하기 위한 윈치와 견인기는 물론 케이블이 철거된 관로에 새로운 케이블을 신설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케이블을 당겨주는 풀링장치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31795호(2011.04.21.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930403호(2018.12.12. 등록)
본 발명은 하나의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를 이용하여 관로 내부에 기설치된 철거케이블의 철거작업은 물론 철거케이블이 철거된 관로 내부에 신설케이블을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를 이용하여 당겨주어 신설할 수 있음에 따라 하나의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를 이용하여 지중전력케이블에 대한 철거와 절단 및 신설이 진행될 수 있어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와 절단 및 신설에 의한 각각의 장비를 각각 구비할 필요성이 없으며, 철거되는 철거케이블을 현장에서 바로 절단하고 절단된 철거케이블을 운반함에 따라 기 설치된 철거케이블의 철거작업 및 철거된 철거케이블의 운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은, 차량에 탑재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어 관로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을 인입시켜 가이드하는 롤러가이드체와, 상기 롤러가이드체와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케이블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체와, 상기 지지체의 하단에 구비되고 풀링벨트(B)를 당겨 권취하는 권취드럼을 갖는 풀링체와, 상기 롤러가이드체에 동력을 전달하는 롤러구동체와, 상기 풀링체에 동력을 전달하는 풀링구동체를 포함하는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를 이용하고, 상기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를 관로 내부를 연결하는 제1맨홀의 상단에 위치하고, 신설케이블이 감겨진 신설케이블 드럼을 상기 제1맨홀과 연결된 관로 내부와 연결되는 제2맨홀의 상단에 위치한 후, 관로 내부에 기설치된 철거케이블을 상기 제1맨홀을 통해 인출하되, 상기 제1맨홀의 상단에 위치된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의 롤러가이드체로 인출하고, 인출된 철거케이블을 상기 절단체로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관로 내부에 기설치된 철거케이블을 철거하여 절단하는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공정과; 상기 제2맨홀을 통해 상기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공정에 의해 기설치된 철거케이블이 철거된 관로 내부에 상기 신설케이블드럼으로부터 풀링된 신설케이블을 설치하는 신설케이블 풀링공정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를 이용하여 관로 내부에 기설치된 철거케이블의 철거작업은 물론 철거되는 철거케이블을 현장에서 바로 2.5m의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철거케이블을 15 ~ 20개씩 묶어 운반함에 따라 기 설치된 철거케이블의 철거작업 및 철거된 철거케이블의 운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철거케이블이 철거된 관로 내부에 신설케이블을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를 이용하여 당겨주어 신설할 수 있음에 따라 하나의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를 이용하여 지중전력케이블에 대한 철거와 절단 및 신설이 진행될 수 있어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와 절단 및 신설에 의한 각각의 장비를 각각 구비할 필요성이 없으며,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작업성과 작업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거된 지중전력케이블에 대한 운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철거된 케이블의 부피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절단된 케이블의 철거 및 수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인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의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공정을 각각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인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의 신설케이블 풀링공정을 각각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의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인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의 공정을 각각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인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지지체(10)와, 상기 지지체(10)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어 관로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을 인입시켜 가이드하는 롤러가이드체(20)와, 상기 롤러가이드체(20)와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케이블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체(30)와, 상기 지지체(10)의 하단에 구비되고 풀링벨트(B)를 당겨 권취하는 권취드럼을 갖는 풀링체(40)와, 상기 롤러가이드체(20)에 동력을 전달하는 롤러구동체(50)와, 상기 풀링체(40)에 동력을 전달하는 풀링구동체(60)를 포함하는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100)를 이용하여 관로(3)에 기 설치된 철거케이블(C1)을 철거 절단하고 철거케이블(C1)이 철거된 관로(3) 내부에 신설케이블(C2)을 신설풀링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100)를 관로(3) 내부를 연결하는 제1맨홀(1)의 상단에 위치하고, 신설케이블이 감겨진 신설케이블 드럼(110)을 상기 제1맨홀(1)과 연결된 관로(3) 내부와 연결되는 제2맨홀의 상단에 위치한 후, 관로(3) 내부에 기설치된 철거케이블(C1)을 상기 제1맨홀(1)을 통해 인출하되, 상기 제1맨홀(1)의 상단에 위치된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100)의 롤러가이드체(20)로 인출하고, 인출된 철거케이블(C1)을 상기 절단체(30)로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관로(3) 내부에 기설치된 철거케이블(C1)을 철거하여 절단하는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공정(S1)과, 상기 제2맨홀(2)을 통해 상기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공정(S1)에 의해 기설치된 철거케이블(C1)이 철거된 관로(3) 내부에 상기 신설케이블드럼(110)으로부터 풀링된 신설케이블(C2)을 설치하는 신설케이블 풀링공정(S2)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하나의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100)를 이용하여 관로(3) 내부에 기설치된 철거케이블(C1)의 철거 및 현장에서의 철거된 철거케이블(C1)을 즉시 절단할 수 있음에 따라 철거케이블(C1)에 대한 철거작업성과 작업편의성은 물론 철거된 철거케이블(C1)의 운반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하나의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장치(100)를 이용하여 철거케이블(C1)이 철거된 관로(3) 내부에 신설케이블(C2)을 풀링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100)에 의해 기설치된 케이블의 철거절단 및 신설케이블의 신설이 가능하여 기존, 케이블을 철거하기 위한 윈치와 견인기는 물론 케이블이 철거된 관로에 새로운 케이블을 신설하기 위한 풀링장치가 각각 구비되지 않아도 되어 케이블철거 및 신설에 따른 작업비용을 크게 절감함은 물론 도로의 공간을 크게 차지 않게 되어 도로교통상황을 크게 방해하지 않으며, 비용절감에 의한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공정(S1)은, 철거케이블인출단계(S11), 롤러가이드간격벌림단계(S12), 철거케이블롤러위치단계(S13), 구동접속스프로킷치합단계(S14), 철거케이블철거단계(S15), 철거케이블절단단계(S16) 및 철거케이블반복절단단계(S17)로 이루어진다.
상기 철거케이블인출단계(S11)는, 상기 제1맨홀(1)측으로 풀링벨트(B)를 인입하여 관로(3) 내부의 기설치된 철거케이블(C1)의 끝단에 연결한 후, 상기 풀링체(40)의 권취드럼(41)에 풀링벨트(B)를 감아주는 동작에 의해 철거케이블(C1)을 제1맨홀(1)측으로 인출하는 단계로, 제1맨홀(1)에 위치된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100)이 풀링체(40)에 권취된 풀링벨트(B)를 제1맨홀(1)의 내측으로 끌어내려 철거케이블(C1)에 견고하게 묶어준 다음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장치(100)의 풀링체(40)를 이용하여 풀링벨트(B)당겨주는 동작에 의해 철거케이블(C1)을 제1맨홀(1)측으로 당겨준다.
상기 롤러가이드체간격벌림단계(S12)는, 상기 롤러가이드체(20)의 구동접속실린더(21)를 승강시켜 구동조절스프로킷(22)을 승강시키고 승하강실린더(23)를 승강시켜 롤러가이드체(20)의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의 간격을 벌려주는 단계로, 풀링벨트(B)의 당김동작에 의해 제1맨홀(1)측으로 풀링벨트(B)에 묶여진 철거케이블(C1)을 위치한 후,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 사이에 철거케이블(C1)이 위치되도록 롤러가이드체(20)의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의 간격을 이격시켜 벌려준다.
상기 철거케이블롤러위치단계(S13)는, 상기 롤러가이드체간격벌림단계(S12)에 의해 간격이 벌어진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 사이에 상기 철거케이블인출단계(S11)에 의해 제1맨홀(1)측으로 인출된 철거케이블(C1)을 거치한 후, 승하강실린더(23)를 하강시켜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 사이에 철거케이블(C1)이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로, 풀링벨트(B)와 묶어진 철거케이블(C1)을 풀링벨트(B)로부터 분리한 다음, 서로에 대해 간격이 벌어진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 사이에 철거케이블(C1)을 거치시킨 다음, 승강된 상단가이드롤러(24)를 하단가이드롤러(25)측으로 하강시켜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에 철거케이블(C1)이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접속스프로킷치합단계(S14)는, 상기 철거케이블롤러위치단계(S13) 후, 철거케이블(C1)이 인입 고정된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가 동시 구동되도록, 구동접속실린더(21)를 하강시켜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에 감겨진 연동체인(26)에 구동접속스프로킷(27)이 치합되도록 하는 단계로, 상단가이드롤러(24)의 하강에 의해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 사이에 위치된 철거케이블(C1)을 견고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구동접속실린더(21)를 하강시켜 구동접속실린더(21)의 하단에 구비된 구동접속스프로킷(27)이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에 감겨진 연동체인(26)에 치합되도록 하여 연동체인(26)에 대한 장력을 조절하여 연동체인(26)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가 동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철거케이블철거단계(S15)는, 상기 구동접속스프로킷치합단계(S14) 후, 상기 롤러가이드체(20)에 동력을 전달하는 롤러구동체(50)로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를 동시 구동시켜, 철거케이블(C1)을 제1맨홀(1)을 통해 관로(3) 내부로부터 철거하는 단계로 롤러구동체(50)의 구동에 의해 하단가이드롤러(25)가 회전되면 상기 연동체인(26)에 의해 감겨져 하단가이드롤러(25)와 연결된 상단가이드롤러(24)가 하단가이드롤러(25)와 동시에 회전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 사이에 위치되어 밀착된 철거케이블(C1)이 절단체(30)측으로 당겨지면서 이동되어 관로(3) 내부로부터 철거케이블(C1)이 철거된다.
상기 철거케이블절단단계(S16)은, 상기 철거케이블철거단계(S15)에 의해 철거되는 철거케이블(C1)을 상기 절단체(30)의 위치하되, 구동되는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의 구동을 정지한 후, 절단체(30)에 철거케이블(C1)을 위치하고 절단체(30)의 절단구동실린더(31)를 구동시켜 절단날(32)을 하강시켜 철거케이블(C1)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로, 이 때 절단날(32)에 의해 절단되는 철거케이블(C1)의 길이는 한정하는 것은 물론 아니나, 운반 및 이동의 용이함을 위해 2m ~ 3m 로 절단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2.5m의 길이로 절단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상기 철거케이블반복절단단계(S17)에 의해 상기 철거케이블절단단계(S16)를 반복하여 제1맨홀(1)로부터 인출되는 철거케이블(C1)을 반복 절단한 다음, 철단된 복수개 철거케이블(C1)을 15 ~ 20개씩 묶어 크레인을 이용하여 운반차량에 적재한 후 이동하여 철거하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철거케이블인출단계(S11) 전, 인출되는 철거케이블(C1)속에 들어있는 오일이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오일누유방지통을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100)에 위치시키는 오일방지통위치단계(S11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오일방지통위치단계(S111)에 의해 오일누유방지통이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100)에 위치됨에 따라 제1맨홀(1)로부터 인출되는 철거케이블(C1) 속의 오일이 도로면측으로 새어나와 번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철거케이블인출단계(S11) 전, 관로(3) 내부의 기설치된 철거케이블(C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롤러를 설치하고 철거케이블(C1)을 설치된 이송롤러에 옮겨 안착시키는 철거케이블롤러안착단계(S11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송롤러를 먼저 설치한 후 철거하고자 하는 철거케이블(C1)을 이송롤러에 안착하면 제1맨홀(1) 측으로 철거케이블(C1)이 당겨질 때 철거케이블(C1)의 당김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철거케이블(C1)에 대한 철거작업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풀링체(40) 또는 롤러가이드체(20)에 의해 철거케이블(C1)이 당겨짐 동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신설케이블 풀링공정(S2)은, 기설치된 철거케이블(C1)을 철거절단풀링장치(100)를 이용하여 철거한 후, 제2맨홀(2) 상단에 윈치를 위치하는 윈치위치단계(S21)와, 철거절단풀링장치(100)의 풀링체(40)의 권취드럼(41)과 연결된 클러치(70)를 해제하고 권취드럼(41)에 감겨진 풀링벨트(B)를 철거케이블(C1)이 철거된 관로(3) 내부를 관통시켜 제2맨홀(2) 상단에 위치된 윈치에 연결하고 원치로 풀링벨트(B)를 제2맨홀(2)까지 당겨주는 풀링벨트당김단계(S22)와, 제2맨홀(2)까지 당겨진 풀링벨트(B)에 회전금구(80)를 연결하여 풀링벨트(B)와 신설케이블(C2)의 꼬임을 방지하는 회전금구연결단계(S23)와, 권취드럼(41)과 연결된 클러치(70)를 권취드럼(41)과 연결한 후 풀링체(40)에 동력을 전달하는 풀링구동체(60)를 구동시켜 클러치(70)와 연결된 권취드럼(41)이 회전되도록 하여 풀링벨트(B)가 권취드럼(41)측으로 당겨져 감아지는 동작에 의해 신설케이블(C2)을 제1맨홀(1)측으로 당겨주고 신설케이블(C2)의 포설장력을 자동기록하는 신설케이블당김단계(S24)와, 상기 신설케이블당김단계(S24)에 의해 제1맨홀(1)측으로 신설케이블(C2)이 당겨지면 풀링구동체(60)의 구동을 정지하여 신설케이블(C2)을 관로(3) 내부에 신설하는 신설케이블시공단계(S25)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하나의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100)로 기설치된 철거케이블(C1)을 철거절단한 후, 다시 신설케이블(C2)을 철거케이블(C1)이 철거된 관로(3) 내부로 끌어당겨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철거케이블(C1)에 대한 철거작업성과 작업편의성은 물론 철거된 철거케이블(C1)의 운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장치(100)를 그대로 이용하여 철거케이블(C1)이 철거된 관로(3) 내부에 신설케이블(C2)을 풀링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을 철거하기 위한 철거장치나 케이블을 신설하기 위한 풀링장치는 물론 철거된 케이블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장치가 전혀 필요치 않게 되어 케이블철거 및 신설에 따른 작업비용을 크게 절감함은 물론 도로의 공간을 크게 차지 않게 되어 도로교통상황을 크게 방해하지 않으며, 비용절감에 의한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S1 :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공정
S2 : 신설케이블 풀링공정
S11 : 철거케이블인출단계 S12 : 롤러가이드체간격벌림단계
S13 : 철거케이블롤러위치단계 S14 : 구동접속스프로킷치합단계
S15 : 철거케이블철거단계 S16 : 철거케이블절단단계
S17 : 철거케이블반복절단단계
S111 : 오일방지통위치단계 S112 : 철거케이블롤러안착단계
S21 : 윈치위치단계 S22 : 풀링벨트(B)당김단계
S23 : 회전금구연결단계 S24 : 신설케이블당김단계
S25 : 신설케이블시공단계
1 : 제1맨홀 2 : 제2맨홀
3 : 관로 B : 풀링벨트(B)
C1 : 철거케이블 C2 : 신설케이블
10 : 지지체
20 : 롤러가이드체 21 : 구동접속실린더
22 : 구동조절스프로킷 23 : 승하강실린더
24 : 강단가이드롤러 25 : 하단가이드롤러
26 : 연동체인 27 : 구동접속스프로킷
30 : 절단체 31 : 절단구동실린더
32 : 절단날
40 : 풀링체 41 : 권취드럼
50 : 롤러구동체 60 : 풀링구동체
70 : 클러치 80 : 회전금구
100 :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
110 : 신설케이블 드럼

Claims (5)

  1. 차량에 탑재되는 지지체(10)와, 상기 지지체(10)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어 관로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을 인입시켜 가이드하는 롤러가이드체(20)와, 상기 롤러가이드체(20)와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케이블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체(30)와, 상기 지지체(10)의 하단에 구비되고 풀링벨트(B)를 당겨 권취하는 권취드럼을 갖는 풀링체(40)와, 상기 롤러가이드체(20)에 동력을 전달하는 롤러구동체(50)와, 상기 풀링체(40)에 동력을 전달하는 풀링구동체(60)를 포함하는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100)를 이용하고, 상기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100)를 관로(3) 내부를 연결하는 제1맨홀(1)의 상단에 위치하고, 신설케이블이 감겨진 신설케이블 드럼(110)을 상기 제1맨홀(1)과 연결된 관로(3) 내부와 연결되는 제2맨홀의 상단에 위치한 후, 관로(3) 내부에 기설치된 철거케이블(C1)을 상기 제1맨홀(1)을 통해 인출하되, 상기 제1맨홀(1)의 상단에 위치된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풀링장치(100)의 롤러가이드체(20)로 인출하고, 인출된 철거케이블(C1)을 상기 절단체(30)로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관로(3) 내부에 기설치된 철거케이블(C1)을 철거하여 절단하도록,
    상기 제1맨홀(1)측으로 풀링벨트(B)를 인입하여 관로(3) 내부의 기설치된 철거케이블(C1)의 끝단에 연결한 후, 상기 풀링체(40)의 권취드럼(41)에 풀링벨트(B)를 감아주는 동작에 의해 철거케이블(C1)을 제1맨홀(1)측으로 인출하는 철거케이블인출단계(S11)와, 상기 롤러가이드체(20)의 구동접속실린더(21)를 승강시켜 구동조절스프로킷(22)을 승강시키고 승하강실린더(23)를 승강시켜 롤러가이드체(20)의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의 간격을 벌려주는 롤러가이드체간격벌림단계(S12)와, 상기 롤러가이드체간격벌림단계(S12)에 의해 간격이 벌어진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 사이에 상기 철거케이블인출단계(S11)에 의해 제1맨홀(1)측으로 인출된 철거케이블(C1)을 거치한 후, 승하강실린더(23)를 하강시켜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 사이에 철거케이블(C1)이 고정되도록 하는 철거케이블롤러위치단계(S13)와, 구동접속스프로킷치합단계(S14)와, 상기 롤러가이드체(20)에 동력을 전달하는 롤러구동체(50)에 의해 철거케이블(C1)을 제1맨홀(1)을 통해 관로(3) 내부로부터 철거하는 철거케이블철거단계(S15)와, 상기 철거케이블철거단계(S15)에 의해 철거되는 철거케이블(C1)을 상기 절단체(30)의 위치하되, 구동되는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의 구동을 정지한 후, 절단체(30)에 철거케이블(C1)을 위치하고 절단체(30)의 절단구동실린더(31)를 구동시켜 절단날(32)을 하강시켜 철거케이블(C1)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철거케이블절단단계(S16)와, 상기 철거케이블절단단계(S16)를 반복하여 제1맨홀(1)로부터 인출되는 철거케이블(C1)을 반복 절단하는 철거케이블반복절단단계(S17)를 포함하는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공정(S1)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맨홀(2)을 통해 상기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절단공정(S1)에 의해 기설치된 철거케이블(C1)이 철거된 관로(3) 내부에 상기 신설케이블드럼(110)으로부터 풀링된 신설케이블(C2)을 설치하는 신설케이블 풀링공정(S2)으로 이루어진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동접속스프로킷치합단계(S14)는,
    상기 철거케이블롤러위치단계(S13) 후, 철거케이블(C1)이 인입 고정된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가 동시 구동되도록, 구동접속실린더(21)를 하강시켜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에 감겨진 연동체인(26)에 구동접속스프로킷(27)이 치합되도록 하여, 연동체인(26)에 대한 장력을 조절하여 연동체인(26)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가 동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철거케이블철거단계(S15)에서 철거케이블(C1)은,
    상기 구동접속스프로킷치합단계(S14)에 의해 연동체인(26)에 구동접속스프로킷(27)이 치합되어 동시회전하는 상단가이드롤러(24)와 하단가이드롤러(25) 사이에 밀착되어 절단체(30)측으로 당겨지면서 관로(3) 내부로부터 철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거케이블인출단계(S11) 전, 인출되는 철거케이블(C1)속에 들어있는 오일이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오일누유방지통을 철거절단풀링장치(100)에 위치시키는 오일방지통위치단계(S1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거케이블인출단계(S11) 전, 관로(3) 내부의 기설치된 철거케이블(C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롤러를 설치하고 철거케이블(C1)을 설치된 이송롤러에 옮겨 안착시키는 철거케이블롤러안착단계(S1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
  5. 삭제
KR1020210120262A 2021-09-09 2021-09-09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 KR102658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262A KR102658487B1 (ko) 2021-09-09 2021-09-09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262A KR102658487B1 (ko) 2021-09-09 2021-09-09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225A KR20230037225A (ko) 2023-03-16
KR102658487B1 true KR102658487B1 (ko) 2024-04-16

Family

ID=8598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262A KR102658487B1 (ko) 2021-09-09 2021-09-09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4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202329A (ja) * 2017-06-05 2018-12-27 弘昭 廣地 廃電線の切断およびオイル回収方法、廃電線の切断およびオイル回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131A (ja) * 1997-03-04 1998-09-14 Nippon Komushisu Kk ケーブルの敷設および撤去方法
KR101031795B1 (ko) 2010-11-11 2011-04-29 대덕전력 주식회사 차량탑재형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KR101810077B1 (ko) * 2015-12-03 2017-12-19 승리전력기술(주)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장치
KR101930403B1 (ko) * 2017-01-20 2019-04-12 하나테크 주식회사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202329A (ja) * 2017-06-05 2018-12-27 弘昭 廣地 廃電線の切断およびオイル回収方法、廃電線の切断およびオイル回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225A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403B1 (ko)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방법
KR101810077B1 (ko)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장치
CN108930324B (zh) 一种市政道路下水道管道施工设备及方法
KR101117490B1 (ko) 다회선 케이블 선출장치
KR101261457B1 (ko)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
CN210201333U (zh) 一种地下电缆敷设结构
KR102658487B1 (ko)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
CN204190260U (zh) 一种高压输配电线缆跨路架设机具
KR101147597B1 (ko)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CN110065888B (zh) 一种缆索起重机主索拆除施工方法
KR102658486B1 (ko) 2회선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풀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2회선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신설시공방법
CN217984295U (zh) 一种电缆快速提升敷设装置
KR100928346B1 (ko) 자동제어기능을 갖는 디지털 풀링머신
KR20210001017A (ko) 다조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894667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installation of a power cable in a tunnel
KR102559106B1 (ko) 지중전력 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
KR20100115183A (ko) 케이블관 견인장치
KR101120958B1 (ko) 자주식 일체화 지중 관로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포설공법
KR100890399B1 (ko) 토목섬유매트권취기를 이용한 토목섬유포설방법
KR102220515B1 (ko) 케이블 설치 및 철거장치
KR102220513B1 (ko) 멀티 케이블 설치 및 철거장치
EP4087074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installing a power cable in a deployment site
CN212769123U (zh) 一种电缆输线装置
KR102590667B1 (ko)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KR20190019424A (ko) 지중케이블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케이블 철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