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795B1 - 차량탑재형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탑재형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795B1
KR101031795B1 KR1020100111924A KR20100111924A KR101031795B1 KR 101031795 B1 KR101031795 B1 KR 101031795B1 KR 1020100111924 A KR1020100111924 A KR 1020100111924A KR 20100111924 A KR20100111924 A KR 20100111924A KR 101031795 B1 KR101031795 B1 KR 101031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cable
roller
retractor
cabl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정선
김동귀
김용재
Original Assignee
대덕전력 주식회사
(주)클립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덕전력 주식회사, (주)클립이엔지 filed Critical 대덕전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1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cutting cables or wires, or splicing

Abstract

전력구 또는 관로에 설치된 노후 배전 케이블의 철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상 배전케이블을 동시에 인출하고 절단하여 수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의 상부에 대향되도록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를 승하강시키며 상기 상부롤러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상부롤러 또는 상기 하부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견인기; 및 배전케이블 이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터부와, 상기 배전케이블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롤러베드와, 상기 롤러베드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하류측클램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이송실린더를 구비하는 절단테이블;을 포함하는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탑재형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VEHICLE MOUNTED TYPE 3 PHASE CABLE PULLING, CUTTING AND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전력구 또는 관로에 설치된 노후 배전 케이블의 철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상 배전케이블을 동시에 인출하고 절단하여 수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차량탑재형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 케이블은 사용시한이 경과함에 열화로 인하여 노화되고, 그에 따른 교체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전력구 또는 관로 내부의 교체 대상 케이블을 지상으로 끌어내어 수십에서 수백미터 노상에 펼쳐 놓고 수작업으로 일정 길이 만큼 절단한 후, 다시 절단된 케이블을 수작업으로 바인딩한 후 재활용 업체 또는 한전 보급소로 운반하는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케이블을 지상으로 끌어낸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지나치게 많은 작업 공간을 필요로 하고, 전체 작업이 인력에 의존하고 있어서 작업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지중 전력구 또는 관로내의 케이블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노후화 되어 교체 대상 케이블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어서, 노후 케이블의 수거를 자동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구 또는 관로에 설치된 노후 케이블을 지상으로 인출하여 절단하고 처리하는 작업을 하나의 장치에서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철거장치를 차량의 적재함에 탑재하여, 차량의 적재함 내에서 케이블의 철거, 절단 및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의 상부에 대향되도록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를 승하강시키며 상기 상부롤러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상부롤러 또는 상기 하부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견인기; 및 배전케이블 이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터부와, 상기 배전케이블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롤러베드와, 상기 롤러베드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하류측클램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이송실린더를 구비하는 절단테이블;을 포함하는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견인기는, 배전케이블의 입측과 출측에 각각 배전케이블을 안내하는 입측롤러부와 출측롤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롤러 및 상기 하부롤러는 상기 배전케이블과 접하는 부분에 톱니 형상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테이블은 상기 롤러베드의 일측 하부에 절단된 배전케이블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바인드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바인드함은 일측에 개폐 가능한 스토퍼를 구비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하류측클램프는 상기 배전케이블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터부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커터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베드는 좌우로 스윙가능하도록 힌지축으로 연결되고 일측에 승하강실린더를 구비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의 적재함의 크기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차량의 적재함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견인기와 상기 절단테이블을 상부에 고정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상부면에 폭방향 위치변경이 가능한 받침판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에 상기 견인기와 상기 절단테이블을 고정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절단된 배전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적재박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적재박스는 서로 포개어지는 내부박스와 외부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박스는 일측이 절첩가능하도록 형성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는 전력구 또는 관로 내부의 케이블을 윈치로 인출하고 철거장치의 견인기에 연결하여 인출함과 동시에 절단하고 묶어주는 작업을 일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시키므로 종래에 인력에 의존하던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하고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는 차량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되어 작업공간을 축소할 수 있고 주변 교통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를 사용할 경우, 작업에 투여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어 공사비용을 약 25% 절감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사비용의 절감은 현재 연간 약 350억원 정도의 공사비가 소요됨을 기준으로 할 때 연간 87억 5천만원 수준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의 절단테이블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의 견인기와 절단테이블이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의 견인기와 절단테이블이 프레임의 일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의 견인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의 롤러 테이블의 작동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의 적재박스 작동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의 사시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회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에서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기술된 것이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접하여 설치될 수 있고,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경우엔 상기 어떤 구성요소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3의 수단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의 사시도이다.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10)는, 전력구 또는 관로에 설치되어 있던 노후 케이블을 동력에 의하여 끌어내고 절단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10)는 크게 2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3상 배전케이블을 압착하여 끌어당기는 역할을 수행하는 견인기(100)와, 견인기(100) 의하여 인출된 케이블을 안내하며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테이블(200)이다.
견인기(100)는 3개의 배전케이블을 동시에 동일한 속도로 끌어당기는 역할을 수행한다.
견인기(100)는 상하에 서로 마주보는 롤러를 구비하고, 롤러의 사이에 배전 케이블을 압착한 후,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배전 케이블을 끌어당기도록 구성된다.
견인기(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하부롤러(120)와, 상기 하부롤러(120)의 상부에 대향되도록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롤러(130)와, 상기 상부롤러(130)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유압실린더(140)와, 상기 상부롤러(130)와 상기 하부롤러(12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부롤러(130)와 하부롤러(120)가 3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2개로 구성되거나, 4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상부롤러(130) 및 하부롤러(120)는 서로 체인이나 벨트등으로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절단테이블(200)은 견인기(100)로 끌어 당겨진 3상 배전케이블을 일정하게 안내하며, 일정 길이로 연속적으로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절단테이블(200)은 배전케이블 이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터부(220)와, 배전케이블 이송방향으로 회전가능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롤러(232)를 구비하는 롤러베드(230)와, 상기 롤러베드(230)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하류측클램프(240, 250)와, 상기 롤러베드(23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바인드함(26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를 복귀시키는 이송실린더(270)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210)가 우측으로 이송되는 힘은 견인기(100)가 배전케이블을 밀어내는 힘이다. 롤러베드(230)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하류측클램프(240,250)가 배전케이블을 고정하게 되면, 견인기(100)에 의하여 배전케이블이 밀려나게 되고, 그에 고정된 절단테이블(200) 전체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베이스플레이트(210)는 레일(2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수평이동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터부(220)는 회전모터(222)와 회전커터날(224)을 포함하는 데, 회전모터(22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대하여 승하강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모터(222)의 승하강은 유압실린더(미도시)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회전커터날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방식이나,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일자형 또는 반원형 커터날이 유압실린더와 이에 의하여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교차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롤러베드(230)는 복수개의 롤러(232)이 평행하게 배열되어, 이송되는 배전케이블의 이송시 마찰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롤러베드(230)의 좌측에 구비되는 상류측클램프(240)는 커터부(220)에 의한 절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커터부(220)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베드(230)의 우측에 구비되는 하류측클램프(250)는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하류측클램프(250)에 배전케이블이 도달하면 동작하여 배전케이블을 고정하게 되는데, 이 때 상류측클램프(240)도 함께 동작한다. 그리고, 커터부(220)가 동작하여 배전케이블을 절단한 이후에는 상,하류측클램프(240,250) 모두 고정을 해제하고, 다시 배전케이블이 하류측클램프(250)에 다다를 때 까지 해제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롤러베드(23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바인드함(260)은 커터부(220)에 의하여 절단된 배전케이블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작업자가 절단된 배전케이블 다발을 바인딩할 수 있도록 시간을 확보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인드함(260)은 롤러베드(230)에 연결되어 롤러베드(230)와 함께 왕복이동하는 것은 아니고,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바인드함(260)은 절단된 배전케이블이 굴러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경사부(262)와, 상기 경사부(262)의 하단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개폐가능한 임시저장부(264)와, 상기 경사부(262)에 구비되어 경사부 위쪽으로 돌출되거나, 경사부(262)의 아래로 수납되는 스토퍼부(266)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어서 우측의 스토퍼부(266)는 돌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스토퍼부(266)가 이렇게 돌출되면 절단된 배전케이블이 임시저장부(264)로 굴러가지 못하고 스토퍼부(266)의 위쪽에 멈추게 된다.
임시저장부(264)는 대략 U자 형상을 가지며, 하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단된 배전케이블이 일정수량 임시저장부(264)에 쌓이게 되면, 작업자에 의하여 또는 자동 바인딩 장치에 의하여 임시저장부(264)에 쌓인 배전케이블을 바인딩한다. 그런데, 바인딩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 절단된 배전케이블이 임시저장부(264)로 유입되면 바인딩 작업이 곤란해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인 스토퍼부(262)이다. 스토퍼부(266)는 바인딩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상승하여 절단된 배전케이블이 임시저장부(264)로 유입되지 않게 한다. 스토퍼부(266)가 상승하면 절단된 배전케이블이 임시저장부(262)까지 내려가지 못하고 스토퍼부(266)에 멈추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의 절단테이블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10)는 절단테이블(200)이 왕복이동하며 3상 배전케이블을 연속적으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견인기(100)가 정지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배전케이블을 인출하게 되고, 인출된 배전케이블은 상기 절단테이블(200)이 왕복이동하며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는 절단테이블(200)이 견인기(100)에 인접한 위치에 놓여있게 된다. 이 때 바인드함(260)은 절단테이블(200)의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절단테이블(200)은 좌우로 이송되는 것이나 바인드함(260)이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견인기(100)를 작동하여, 배전케이블을 끌어 당기게 된다. 이 때, 커터부(220)는 상승한 상태이며, 상,하류측클램프(240,250)도 상승하여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견인기(100)에 의하여 끌어당겨지는 배전케이블은 커터부(220)의 하부를 통과한 후, 상류측클램프(240)를 통과하고, 롤러베드(230) 위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배전케이블이 하류측클램프(250)를 통과하게 되면 하류측클램프(250)에 구비된 센서가 배전케이블의 통과를 감지하게 된다.
배전케이블의 통과가 감지되면 상류측클램프(240)와 하류측클램프(250)가 하강하여 배전케이블의 양단을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도 견인기(100)는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배전케이블을 끌어당기게 되는데, 끌어당겨지는 배전케이블에 의하여 절단테이블(200) 전체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류측클램프(240)와 하류측클램프(250)가 배전케이블을 고정함과 동시에 커터부(220)가 작동하게 된다. 커터부(220)는 회전커터날(224)이 회전하며 하강하도록 작동한다. 커터부(220)가 하강하며 배전케이블을 절단하는 시간동안에도 견인기(100)는 연속적으로 작동하게 되므로, 커터부(220)의 절단 완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테이블(200)이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완료되게 된다. 이 때 절단테이블(200)은 바인드함(260)에 인접하게 위치되므로, 절단테이블(200)에서 절단된 배전케이블이 바인드함(260)으로 보내질 수 있다.
절단이 완료되면, 커터부(220)는 회전을 멈추고 상승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류측클램프(240)와 하류측클램프(250)도 모두 상승하여 배전케이블의 고정을 해제 한다. 다음으로 롤러베드(230)의 일측이 상승하여 절단된 배전케이블들이 바인드함(260)로 굴려보내게 된다.
절단된 케이블을 바인드함(260)으로 굴러보낸 후, 이송실린더(270)가 수축하며 절단테이블(200)을 다시 견인기(100) 측으로 끌어 당기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도 견인기(100)는 계속 작동하게 되므로, 배전케이블은 견인기(100)의 견인속도와 이송실린더(270)의 이송속도의 합에 해당하는 속도로 롤러베드(230) 위로 이송되게 된다.
이송실린더(270)의 동작에 의하여 절단테이블(200)이 도 2와 같은 위치로 복원된 후, 배전케이블이 하류측클램프(250)에 도달할 때 까지 커터부(220)는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하류측클램프(240,250)도 모두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후 배전케이블이 하류측클램프(250)에 도달하게 되면, 동일한 동작이 반복되며 배전케이블이 절단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는 배전케이블을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끌어당기면서, 일정길이로 배전케이블을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배전케이블을 끌어냄과 동시에 절단하여 적재하도록 함으로써 도로상에 별도의 작업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도 가져온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의 견인기와 절단테이블이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차량적재함 크기에 대응하는 프레임(300)에 견인기(100)와 절단테이블(200)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300)은 차량의 적재함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차량의 적재함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를 차량 적재함에 탑재할 경우 차량의 주차 공간만 있으면 그 공간내에서 배전케이블의 인출, 절단 및 바인딩 작업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어 교통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프레임(300)의 상부면에 견인기(100)와 절단테이블(200)이 설치되는데, 이는 프레임(300) 내부 공간에 절단된 케이블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절단테이블(200)의 일측(견인기가 설치된 반대편측)에는 유도선을 권취할 수 있는 윈치(400)가 구비된다. 유도선을 이용한 배전케이블의 안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윈치(400)는 견인기(100) 및 절단테이블(200)과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윈치(400)는 케이블철거 작업에 유도선을 이용하여 배전케이블을 끌어 낼 때 사용된다. 또한 철거이후에 신규 배전케이블을 관로에 인입할 때도 유도선을 연결하여 신규 배전케이블을 관로로 인입시킬 때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견인기(100)는 배전케이블이 견인기(100)에 물려진 상태에서만 배전케이블을 끌어당길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초기에 배전케이블을 견인기(100) 까지 끌어당기기 위해서는 윈치(400)가 필요하게 된다.
즉, 관로 또는 전력구 내부의 노후된 배전케이블을 유도선으로 고정한 후 유도선을 윈치(400)로 감아 배전케이블이 상기 견인기(100)에 물릴 수 있도록 끌어 당긴 후, 상술한 바와 같은 견인기(100)에 의한 배전케이블 인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견인기(100)와 절단테이블(200)은 프레임(300) 상부면의 받침판(3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받침판(310)은 상기 프레임(300)의 측면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의 견인기와 절단테이블이 프레임의 일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견인기(100)와 절단테이블(200)은 그 자체가 상당한 중량을 가지게 된다. 공차 상태에서 견인기(100)와 절단테이블(200)이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차량의 안전운행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기(100)와 절단테이블(200)이 프레임(300)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배전케이블 철거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절단된 배전케이블의 바인딩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 확보의 측면에서 또는 절단된 배전케이블을 효율적으로 적재하기 위한 측면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기(100)와 절단테이블(200)이 프레임(30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견인기(100)와 절단테이블(200)이 고정되는 받침판(310)이 프레임(300)의 좌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판(310)은 레일에 의하여 프레임(300) 상에서 이동하거나, 별도의 유압장치에 의하여 프레임(30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의 견인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견인기의 상부롤러(130)가 모두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좌측의 상부롤러(130)만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상부롤러만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상부롤러(130)들은 체인과 같은 전동수단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3개의 상부롤러(140)가 동시에 상승하거나 동시에 하강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상부롤러(130)는 유압실린더(140)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유압실린더(140)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면, 상부롤러(130)와 하부롤러(120)의 사이에 맞물린 배전케이블이 압착되어 상부롤러(130) 및 하부롤러(120)의 회전에 의하여 끌어당겨지게 된다. 상기 상부롤러(130) 및 상기 하부롤러(120)는 상기 배전케이블과 접하는 부분에 톱니 형상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톱니 형상의 돌기는 배전케이블의 피복면에 압착됨으로써 상부롤러(130) 및 하부롤러(120)가 배전케이블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며 견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견인기(100)의 입측에는 복수개의 롤러들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입측롤러부(150)가 구비되고, 견인기(100)의 출측에도 복수개의 롤러들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출측롤러부(160)가 구비된다.
입측롤러부(150)는 3개의 배전케이블을 모아주며, 각각의 배전케이블이 각각의 상부롤러(130)와 하부롤러(120)의 중심으로 유도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출측롤러부(160)는 절단테이블(200)로 이송되는 3개의 배전케이블이 나란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의 롤러베드의 작동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절단테이블(200)에 구비되는 롤러베드(230)는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어 베이스플레이트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또한 롤러베드(230)는 복수개의 롤러를 구비하며, 좌우로 스윙(swing)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절단된 배전케이블을 바인드함(260)으로 굴려 보내기 위한 것이다.
연속작업을 위해서는 롤러베드(230) 위에 놓여지는 절단된 배전케이블(C)들을 이동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은 그 방법으로 롤러베드(230)의 일측을 들어올려 바인드함(260)로 굴러 내려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롤러베드(230)는 베이스플레이트(210)에 힌지축(236)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일측에 승하강실린더(234)를 구비한다.
배전케이블(C)이 절단되기 이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베드(23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다가, 배전케이블(C)의 절단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실린더(234)가 롤러베드(230)의 좌측을 들어 올림으로써 절단된 배전케이블(C)이 바인드함(260)로 굴러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배전케이블(C)이 모두 굴러내려간 후에는 다시 승하강실린더(234)가 하강하여 도 8과 같은 상태로 복원된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의 바인드함과 적재박스 작동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적재함 크기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절단테이블이 배치되는 경우, 절단된 배전케이블은 절단테이블의 하부에 적재된다. 이 때 적재의 편의성과 이송의 편의성을 위하여 적재박스(5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인드함(260)의 일측 하부에 적재박스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적재박스가 프레임(미도시)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 때, 적재박스(500)는 서로 포갤 수 있는 내부박스(510)와 외부박스(5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외부박스(520)는 일측이 절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접은 상태에서 그 위에 내부박스(510)가 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절단된 배전케이블(C)이 일정수량 임시저장부(264)에 쌓이게 되면, 작업자에 의하여 또는 별도의 밴딩장치에 의하여 절단된 케이블이 묶여진다. 바인딩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도 견인기(100)와 절단테이블(200)은 계속 작동하게 되므로, 배전케이블은 계속 절단된다. 따라서, 바인딩 작업중에 절단된 배전케이블이 임시저장부(264)로 굴러 내려오지 않도록 스토퍼부(266)가 상승한다.
스토퍼부(266)가 상승하게 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배전케이블이 임시저장부(264)까지 굴러가지 못하고 스토퍼부(266)의 위쪽에 멈추게 된다.
바인딩 작업이 종료되면, 임시저장부(264)가 하부로 개방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배전케이블 묶음(D)을 적재박스(500)의 우측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임시저장부(264)의 우측도어(264b)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임시저장부(264)는 좌측도어(264a)와 우측도어(264b)를 구비하며, 이들은 하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적재박스(500)는 배전케이블 2묶음(D)을 수용할 수 있는 폭을 가지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저장부(264)의 우측도어(264b)를 개방하게 되면, 배전케이블 묶음(D)이 적재박스(500)의 우측으로 보내지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저장부(264)의 좌측도어(264b)를 개방하게 되면, 배전케이블 묶음(D)이 적재박스(500)의 좌측으로 보내지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박스(500)의 내부박스(510)가 채워지게 되면, 내부박스(510)를 절단테이블(200)의 아래쪽으로 밀어 넣고, 외부박스(520)의 절첩된 측면을 펼쳐서 외부박스(520)에 절단된 배전케이블(C)이 담겨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는 절단된 배전케이블(C)을 적재함 내부 공간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인드함이 분류판을 구비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드함(260)의 중앙에 좌우로 회동가능한 분류판부(268)을 구비하여, 분류판부(268)를 좌우로 회동시키는 방식으로 절단된 배전케이블 묶음(D)을 적재박스의 좌우측으로 내려 보낼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의 사시도이다.
견인기(100)는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본 실시예는 견인기(100)의 전방에 배전케이블의 꼬임을 풀어 줄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회전기(600)를 더 포함하며, 절단테이블(700)이 앞선 실시예와는 다른 구조를 가진다.
먼저, 절단테이블(700)에 관하여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단테이블(700)은 배전케이블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롤러베드(720)와, 상기 롤러베드(720)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터부(740)와, 상기 커터부(740)를 왕복이동시키는 이송실린더(770)와, 상기 롤러베드(720)의 일측에 구비되는 바인드함(760)을 포함한다.
앞선 실시예의 경우 롤러베드와 커터부가 배전케이블의 이송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것이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롤러베드(720)는 고정된 상태를 가지고, 커터부(740)만 배전케이블의 이송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바인드함(760)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케이블회전기(600)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회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회전기(600)는 견인기(100)의 전방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610)과, 상기 고정프레임(6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에 관통공(622)을 구비하는 회전원판(620)과, 상기 회전원판(620) 상에서 상기 관통공(622)을 통과하는 배전케이블을 고정 또는 해제하도록 동작하는 압착지그(630)를 포함한다.
도 16은 압착지그(630)가 중심에서 멀어져 배전케이블을 통과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7은 압착지그(630)가 중심으로 모여서 배전케이블 3개를 동시에 압착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지그(630)가 관통공(622)의 중심을 향해 모여지게 되면, 관통공(622)을 통과하는 배전케이블(C) 3개를 동시에 압착 고정하게 된다.
케이블회전기(600)는 배전케이블이 꼬여서 원활하게 끌어당겨지지 않을 때 꼬임을 풀어주는 용도로 사용된다.
배전케이블이 꼬여서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케이블회전기(600)에서 배전케이블을 고정한 후, 다른 부분들(견인기 또는 클램프등)의 고정은 모두 해제한다. 그런 다음 케이블회전기(600)의 회전원판(620)을 회전시켜 꼬임을 풀어주고 다시 견인기(100)에 배전케이블을 고정하여 철거작업을 계속하게 된다.
이러한 케이블회전기(600)은 도 1의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견인기 110 : 하우징
120 : 하부롤러 130 : 상부롤러
140 : 유압실린더 200, 700 : 절단테이블
210 : 베이스플레이트 220 : 커터부
230 : 롤러베드 234 : 승하강실린더
240 : 상류측클램프 250 : 하류측클램프
260 : 바인드함 300 : 프레임
310 : 받침판 400 : 윈치
500 : 적재박스 600 : 케이블회전기

Claims (18)

  1.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의 상부에 대향되도록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를 승하강시키며 상기 상부롤러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상부롤러 또는 상기 하부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견인기; 및
    배전케이블 이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터부와, 상기 배전케이블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롤러베드와, 상기 롤러베드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하류측클램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이송실린더를 구비하는 절단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테이블은, 상기 롤러베드의 일측 하부에서 절단된 배전케이블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바인딩 작업 시간을 확보하도록 구비되는 바인드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바인드함은, 절단된 배전케이블이 굴러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개폐가능한 임시저장부와, 상기 경사부에 구비되어 경사부 위쪽으로 돌출가능하게 형성되어 바인딩 작업 시 절단된 배전케이블이 상기 임시저장부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 및 배전케이블 다발의 낙하 위치를 조절하는 분류판부를 포함하는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기는,
    배전케이블의 입측과 출측에 각각 배전케이블을 안내하는 입측롤러부와 출측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 및 상기 하부롤러는
    상기 배전케이블과 접하는 부분에 톱니 형상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클램프는,
    상기 배전케이블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커터날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커터날이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는,
    유압실린더와 이에 의하여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교차하는 커터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베드는,
    좌우로 스윙가능하도록 힌지축으로 연결되고,
    일측에 승하강실린더를 구비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함의 크기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차량의 적재함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견인기와 상기 절단테이블을 상부에 고정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부면에 폭방향 위치변경이 가능한 받침판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에 상기 견인기와 상기 절단테이블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적재박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박스는,
    서로 포개어지는 내부박스와 외부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박스는 일측이 절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배전케이블을 유도선으로 연결하여 끌어당기기 위한 윈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00111924A 2010-11-11 2010-11-11 차량탑재형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KR101031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924A KR101031795B1 (ko) 2010-11-11 2010-11-11 차량탑재형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924A KR101031795B1 (ko) 2010-11-11 2010-11-11 차량탑재형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1795B1 true KR101031795B1 (ko) 2011-04-29

Family

ID=44050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924A KR101031795B1 (ko) 2010-11-11 2010-11-11 차량탑재형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79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230B1 (ko) 2012-06-26 2012-09-24 대덕전력 주식회사 케이블 자동화 교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교체 공법
ITUB20161238A1 (it) * 2016-03-02 2017-09-02 Tesmec Spa Apparecchiatura per il recupero di un conduttore
KR20180086371A (ko) 2017-01-20 2018-07-31 승리전력기술(주)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방법
KR102385613B1 (ko) 2021-10-08 2022-04-18 승리전력기술(주)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의 동시 시공방법
KR20230037215A (ko) 2021-09-09 2023-03-16 서영곤 2회선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풀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2회선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신설시공방법
KR20230037225A (ko) 2021-09-09 2023-03-16 서영곤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
KR20230037224A (ko) 2021-09-09 2023-03-16 서영곤 지중전력 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620Y2 (ja) * 1988-12-20 1994-09-1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ケーブル牽引切断装置
JP2001112132A (ja) * 1999-10-06 2001-04-20 Kawakita Electrical Construction Engineering Co Ltd ケーブル撤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620Y2 (ja) * 1988-12-20 1994-09-1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ケーブル牽引切断装置
JP2001112132A (ja) * 1999-10-06 2001-04-20 Kawakita Electrical Construction Engineering Co Ltd ケーブル撤去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230B1 (ko) 2012-06-26 2012-09-24 대덕전력 주식회사 케이블 자동화 교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교체 공법
ITUB20161238A1 (it) * 2016-03-02 2017-09-02 Tesmec Spa Apparecchiatura per il recupero di un conduttore
KR20180086371A (ko) 2017-01-20 2018-07-31 승리전력기술(주)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방법
KR20230037215A (ko) 2021-09-09 2023-03-16 서영곤 2회선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풀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2회선 지중전력케이블 철거신설시공방법
KR20230037225A (ko) 2021-09-09 2023-03-16 서영곤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
KR20230037224A (ko) 2021-09-09 2023-03-16 서영곤 지중전력 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
KR102385613B1 (ko) 2021-10-08 2022-04-18 승리전력기술(주)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의 동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795B1 (ko) 차량탑재형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IT201900001841A1 (it) Macchina di recupero di un cavo
CN106218968B (zh) 一种型材自动包装设备
CN104773564A (zh) 一种大型卷料自动贴封边胶带系统
CN105225820B (zh) 一种自动组装测试机
KR101261457B1 (ko)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
DE102020125630A1 (de) Kabelbündel-Bandumwicklungsvorrichtung
JPH1083474A (ja) シート、特に銀行券の規則正しい積み重ね体を形成及び搬送するための装置
IT201900001845A1 (it) Macchina di recupero di un cavo
KR101930403B1 (ko)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방법
CN104843217A (zh) 用于钢管的捆绑装置
CN204750646U (zh) 用于钢管的捆绑装置
CN105668285A (zh) 多卷上料机
CN107055154A (zh) 自动卷网机
CN106394964B (zh) 一种回收纸箱快速捆绑装置
KR20210104634A (ko) 코일와이어의 자동절단묶음장치
CN109205364B (zh) 一种输送带卷绕台车及卷绕方法
CN203680828U (zh) 用于对制造轮胎用的帘线带进行剪切的剪切机
CN206171877U (zh) 一种回收纸箱快速捆绑装置
CN212667756U (zh) 一种验布机的收料装置
CN109368394A (zh) 一种电缆裁切设备
KR101352745B1 (ko) 합성수지재 결속부재를 이용한 파지압축기용 결속장치
CN208217844U (zh) 一种脚手架钢管双工位输送装置
CN207810929U (zh) 一种钢丝绳的缠绕设备
KR101804042B1 (ko) 로프의 자동 결속이 가능한 파지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