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055B1 -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 - Google Patents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055B1
KR101016055B1 KR1020100112292A KR20100112292A KR101016055B1 KR 101016055 B1 KR101016055 B1 KR 101016055B1 KR 1020100112292 A KR1020100112292 A KR 1020100112292A KR 20100112292 A KR20100112292 A KR 20100112292A KR 101016055 B1 KR101016055 B1 KR 101016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xing
case
support plate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11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065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ixed on or to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형성되고 하부에는 지중선로의 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장착되는 케이블 지지판과, 상기 케이블 지지판의 전방 상부에 간격을 두고 양측에 장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사이에 장착되며 윈치나 귄취릴의 연결선과 결합되는 연결봉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케이블 지지판의 상부에 장착되고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케이블 고정수단은 케이블 지지판의 상부에 고정장착되고 후방이 개방되면서 내부와 하부에는 수용공간과 케이스 고정홈들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평으로 고정장착되고 상기 케이블이 감기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감기는 케이블을 감싸면서 고정하고 외면에는 상기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통로가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 지지구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면서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클립과, 양측으로 분할형성되면서 저면에는 케이스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케이블 관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스 마감재와, 양측으로 분할형성되면서 상기 케이블 지지판에 볼팅 결합되고 내부에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마감통로가 형성되면서 둘레에는 우레탄, 고무, 실리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통과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완충고정재가 장착되는 케이블 이동 지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선로에 매설되는 케이블을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송시키면서도 확실하게 매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Undergrond railway laying system for cable}
본 발명은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선로에 매설되는 케이블을 용이하게 이송시키면서도 확실하게 매설할 수 있도록 한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나 통신 케이블 등을 예전에는 전봇대를 이용하여 공중에 가설하였으나 근래에는 지중에 매설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전선이나 통신 케이블들을 지중에 매설하는 방법으로는, 먼저 그 배선 경로를 따라 관을 지중에 매설한 후에 그 관 내에 전선이나 통신 케이블 등을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실제로 지중 매설관 내에 전선이나 통신 케이블 등을 설치하는 작업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중 매설관의 맨홀과 맨홀 사이의 길이가 길 때는 더욱더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종래에 지중 매설관 내에 전선이나 통신 케이블 등을 설치하는 방법으로는, 먼저 비닐 등을 말아 거기에 노끈 등을 묶고 지중 배관의 일측 구멍 내로 삽입한 후에, 상기 구멍에 압력 가스를 분사하여 노끈 등이 상기 지중 배관의 타측 구멍을 통하여 배출되게 한 다음, 설치하고자 하는 전선 등을 그 노끈에 묶은 후, 다시 그 노끈을 다시 잡아당겨 전선 등을 지중 배관 내에 설치되게 하는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이때, 상기 전선이나 통신 케이블은 인력을 통해 당기거나 또는 윈치의 힘을 이용하여 당기게 된다.
즉, 지중 배관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기 노끈을 윈치에 감긴 강선에 묶은 후, 노끈을 잡아당겨 강선이 지중 배관 내를 관통하도록 하고, 그 후에 강선에 전선 등을 묶은 후 윈치로 감아 전선 등이 지중 배관 내에 관통 설치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지중 배관 내의 전선 등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는, 노끈에 묶인 비닐에 압력 공기를 분사할 때, 그 분사 압력이 비닐에 균일하게 작용되지 않아 비닐이 지중 배관 내에서 선형적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회전하여 배관 내벽에 흡착되거나, 배관 내의 작은 오물이나 요철에 비닐이 충돌함으로써 비닐이 그 오물이나 요철부 등에 구속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압축 공기의 압력이 비닐에 작용되지 않고, 압축 공기는 무용하게 관을 통과해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종래의 전선이나 통신 케이블 등의 매설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작업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선로에 매설되는 케이블을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송시키면서도 확실하게 매설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의 구성을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케이블의 결합과 분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형성되고 하부에는 지중선로의 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장착되는 케이블 지지판과, 상기 케이블 지지판의 전방 상부에 간격을 두고 양측에 장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사이에 장착되며 윈치나 귄취릴의 연결선과 결합되는 연결봉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케이블 지지판의 상부에 장착되고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케이블 고정수단은 케이블 지지판의 상부에 고정장착되고 후방이 개방되면서 내부와 하부에는 수용공간과 케이스 고정홈들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평으로 고정장착되고 상기 케이블이 감기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감기는 케이블을 감싸면서 고정하고 외면에는 상기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통로가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 지지구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면서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클립과, 양측으로 분할형성되면서 저면에는 케이스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케이블 관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스 마감재와, 양측으로 분할형성되면서 상기 케이블 지지판에 볼팅 결합되고 내부에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마감통로가 형성되면서 둘레에는 우레탄, 고무, 실리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통과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완충고정재가 장착되는 케이블 이동 지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선로에 매설되는 케이블을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송시키면서도 확실하게 매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의 구성을 끼움 결합구조로 구성하여 케이블의 설치와 분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과 부품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를 구성하는 케이블 고정수단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를 구성하는 케이블 고정수단의 고정축과 케이블 고정 지지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를 구성하는 케이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를 구성하는 케이블 고정수단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를 구성하는 케이블 고정수단의 고정축과 케이블 고정 지지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를 구성하는 케이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인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10)는 케이블 지지판(20)과, 상기 케이블 지지판(20)의 전방 상부에 장착되는 연결부(30)와, 상기 케이블 지지판(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케이블 고정수단(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 지지판(20)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형성되고 하부에는 지중선로(5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21)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 지지판(20)의 하부에 장착되는 바퀴(21)를 대신하여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곡면 가이드 부재가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케이블 지지판(20)의 전방 상부에 장착되는 연결부(30)는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지지판(31)과 상기 지지판(31)의 사이에 장착되는 연결봉(32)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30)는 양측에 장착되는 지지판(31)과 지지판(31) 사이에 연결봉(32)을 장착하고, 상기 연결봉(32)에는 윈치나 귄취릴의 연결선을 결합하여, 상기 윈치나 귄취릴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케이블 지지판(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케이블 고정수단(40)은 송전, 변전, 배전, 고압의 케이블(이하 '케이블' 이라 칭함)(C)을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고정수단(40)은 케이스(410)와, 상기 케이스(410)에 고정장착되는 고정축(420)과, 상기 고정축(420)에 감기는 케이블(C)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 지지구(430)와, 상기 케이블(C)을 케이스(410)에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클립(440)과, 상기 케이스(410)를 마감하는 케이스 마감재(450)와, 상기 케이스(410)에 유입되는 케이블(C)을 고정하는 케이블 이동 지지구(46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410)는 케이블 지지판(20)의 상부에 고정장착되고, 후방이 개방되며, 내부와 하부에는 수용공간(411)과 케이스 고정홈(412)들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410)는 후방이 개방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케이블 지지판(20)과는 볼팅 결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411)이 형성되며, 하부 끝단은 후방을 향해 돌출형성되면서 상부에 케이스 고정홈(412)이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41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케이스(410)의 형상은 적용환경에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케이스(410)에 고정장착되는 고정축(42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410)의 수용공간(411)에 수평으로 고정장착된다.
이때, 상기 고정축(420)의 외면에는 감기는 케이블(C)의 고정을 위해 돌기(미도시)들이 간격을 두고 더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고정축(420)에 감기는 케이블(C)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 지지구(430)는 전·후로 분할형성되고, 외면 일측에는 상기 케이블(C)이 통과하는 통로(431)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회동작동할 수 있도록 힌지부(432)가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는 지지구 결합부(43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통로(431)에는 케이블(C)이 수용하면서 통과시킬 수 있도록 절개부(43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블 고정 지지구(430)는 고정축(420)에 감긴 케이블(C)을 통로(431)를 통해 통과시키면서 상기 힌지부(432)와 지지구 결합부(433)를 통해 고정축(420)에 고정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구 결합부(433)는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돌기(미도시)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고정홈(미도시)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고정축(420)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고정 지지구(430)에 감기는 케이블(C)의 외주면에는 고정클립(470)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클립(470)은 케이블 고정 지지구(430)에 감긴 케이블(C)을 고정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고정클립(470)은 탄성을 이용하여 케이블(C)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C)을 케이스(410)에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클립(440)은 일측이 케이스(410)의 하부에 고정되고 반대 측이 케이스(410)의 하부에 고정설치된 고정구(441)에 결합되어 케이블(C)을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케이블 고정클립(440)은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반대 측이 고정구(441)에 결합되어 케이스(410)의 하부를 통과하는 케이블(C)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블 고정클립(440)의 내면에는 케이블(C)과의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고무패드(442)가 더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케이스(410)를 마감하는 케이스 마감재(450)는 양측으로 분할형성되고, 저면에는 고정돌기(45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케이블 관통공(45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 마감재(450)는 분할형성되는 케이스 마감재(450)를 케이스(410)를 구성하는 케이스 고정홈(412)에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451)를 각각 결합하면서 케이블 관통공(452)으로 케이블(C)를 관통시킨 것이다.
상기 케이스(410)에 유입되는 케이블(C)을 고정하는 케이블 이동 지지구(460)는 양측으로 분할형성되고, 내부에는 마감통로(461)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통로(461)의 둘레에는 완충고정재(462)가 장착된다.
즉, 상기 케이블 이동 지지구(460)는 분할형성되는 케이스 이동 지지구(460)를 케이블 지지판(20)에 볼팅 결합하면서 마감통로(461)에 케이블(C)을 관통시킨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감통로(461)에 장착되는 완충고정재(462)는 우레탄, 고무, 실리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장착되어 케이블(C)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1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케이블 지지판(20)의 후방 상·하에 케이블 이동가이드(480)와 무게추(490)가 더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케이블 지지판(20)의 후방 상부에 장착되는 케이블 이동가이드(480)는 유입되는 케이블(C)을 정리하면서 상기 케이블 고정수단(4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블 지지판(20)의 후방 하부에 장착되는 무게추(490)는 상기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10)의 이동시 초기 작동력과 힘에 따른 전복을 방지하면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형성되고 하부에는 지중선로(5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21)가 장착되는 케이블 지지판(2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지지판(20)의 전방 상부로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지지판(31)과 상기 지지판(31)의 사이에 장착되고 윈치나 귄취릴의 연결선과 결합되는 연결봉(32)으로 형성되는 연결부(3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블 지지판(20)의 상부에 케이블(C)이 고정연결되는 케이블 고정수단(40)을 장착하면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 고정수단(40)은 케이블 지지판(20)의 상부에 고정장착되고 후방이 개방되면서 내부와 하부에는 수용공간(411)과 케이스 고정홈(412)들이 형성되는 케이스(410)와, 상기 케이스(410)의 수용공간(411)에 수평으로 고정장착되는 고정축(420)과, 상기 고정축(420)에 감기는 케이블(C)을 감싸면서 고정하고 외면에는 상기 케이블(C)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부(434)가 형성된 통로(431)가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 지지구(430)와, 상기 케이스(410)의 하부에 장착되면서 케이블(C)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클립(440)과, 양측으로 분할형성되면서 저면에는 케이스 고정홈(412)에 결합되는 고정돌기(45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케이블(C)이 통과하는 케이블 관통공(452)이 형성되는 케이스 마감재(450)와, 양측으로 분할형성되면서 상기 케이블 지지판(20)에 볼팅 결합되고 내부에는 케이블(C)이 통과하는 마감통로(461)가 형성되면서 둘레에는 우레탄, 고무, 실리콘 중 택일된 어느 하나로 통과하는 케이블(C)을 고정하는 완충고정재(462)가 장착되는 케이블 이동 지지구(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10)를 이용하여 케이블(C)을 지중선로(50)에 이송 매설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고정축(420)에 케이블(C)을 감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축(420)의 외면으로 케이블 고정 지지구(430)를 장착하여 고정축(420)에 감긴 케이블(C)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케이블(C)은 상기 케이블 고정 지지구(430)의 절개부(434)를 통과하여 통로(431)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고정 지지구(430)에 고정축(420)에 지지된 케이블(C)은 상기 케이스(410)의 하부에 장착되는 케이블 고정클립(440)을 통해 다시 한번 케이스(410)에 고정지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블(C)은 양측으로 분할형성되는 케이스 마감재(450)의 케이스 관통공(452)에 수용된 후 상기 케이스 마감재(450)와 함께 케이스(41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 마감재(450)는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451)가 케이스(410)의 케이스 고정홈(412)에 결합되면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C)은 양측으로 분할형성되는 케이블 이동 지지구(460)의 마감통로(461)에 수용된 후 상기 케이블 지지판(20)에 다시 한번 고정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C)은 마감통로(461)의 내면을 따라 장착되는 완충고정재(462)를 통해 유동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30)의 연결봉(32)에 윈치나 귄취릴의 연결선을 연결한 후 상기 윈치나 귄취릴을 당기게 되면 상기 케이블 고정수단(40)에 장착되는 케이블(C)은 상기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10)와 함께 이동하면서 지중선로(50)에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C)을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다음 상기 케이블(C)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수단(40)의 역순으로 진행한 후 상기 케이블(C)을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10)에서 제거한 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
20 : 케이블 지지판, 21 : 바퀴,
30 : 연결부, 31 : 지지판,
32 : 연결봉, 40 : 케이블 고정수단,
410 : 케이스, 420 : 고정축,
430 : 케이블 고정 지지구, 440 : 케이블 고정클립,
450 : 케이스 마감재, 460 : 케이블 이동 지지구.

Claims (3)

  1.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1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형성되고 하부에는 지중선로(5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21)가 장착되는 케이블 지지판(20)과,
    상기 케이블 지지판(20)의 전방 상부에 간격을 두고 양측에 장착되는 지지판(31)과 상기 지지판(31)의 사이에 장착되며 윈치나 귄취릴의 연결선과 결합되는 연결봉(32)으로 형성되는 연결부(30)와,
    상기 케이블 지지판(20)의 상부에 장착되고 케이블(C)이 연결되는 케이블 고정수단(40)으로 구성되되,
    상기 케이블 고정수단(40)은 케이블 지지판(20)의 상부에 고정장착되고 후방이 개방되면서 내부와 하부에는 수용공간(411)과 케이스 고정홈(412)들이 형성되는 케이스(410)와, 상기 케이스(410)의 수용공간(411)에 수평으로 고정장착되고 상기 케이블(C)이 감기는 고정축(420)과, 상기 고정축(420)에 감기는 케이블(C)을 감싸면서 고정하고 외면에는 상기 케이블(C)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부(434)가 형성된 통로(431)가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 지지구(430)와, 상기 케이스(410)의 하부에 장착되면서 케이블(C)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클립(440)과, 양측으로 분할형성되면서 저면에는 케이스 고정홈(412)에 결합되는 고정돌기(45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케이블(C)이 통과하는 케이블 관통공(452)이 형성되는 케이스 마감재(450)와, 양측으로 분할형성되면서 상기 케이블 지지판(20)에 볼팅 결합되고 내부에는 케이블(C)이 통과하는 마감통로(461)가 형성되면서 둘레에는 우레탄, 고무, 실리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통과하는 케이블(C)을 고정하는 완충고정재(462)가 장착되는 케이블 이동 지지구(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 지지구(430)에 감기는 케이블(C)의 외면으로 탄성을 가지는 고정클립(47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판(20)의 후방 상·하부에는 케이블 이동가이드(480)와 무게추(490)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
KR1020100112292A 2010-11-11 2010-11-11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 KR101016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292A KR101016055B1 (ko) 2010-11-11 2010-11-11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292A KR101016055B1 (ko) 2010-11-11 2010-11-11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6055B1 true KR101016055B1 (ko) 2011-02-23

Family

ID=4377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292A KR101016055B1 (ko) 2010-11-11 2010-11-11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0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5479A (zh) * 2016-11-29 2017-03-15 郑州祥和集团电力安装有限公司 隧道内高层支架电缆敷设方法及装置
KR20190027982A (ko) * 2017-09-07 2019-03-18 주식회사 준건설 연약지반 개량용 매트 포설 시스템
KR102038248B1 (ko) 2019-02-28 2019-10-29 윤세원 케이블 복합체의 지하 매설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7613A (ja) * 1987-10-29 1989-05-10 Toshiba Corp ケーブル布設工事のロボット装置
JPH11188794A (ja) 1997-12-26 1999-07-13 Sekisui Chem Co Ltd 管渠内のライニング管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7613A (ja) * 1987-10-29 1989-05-10 Toshiba Corp ケーブル布設工事のロボット装置
JPH11188794A (ja) 1997-12-26 1999-07-13 Sekisui Chem Co Ltd 管渠内のライニング管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5479A (zh) * 2016-11-29 2017-03-15 郑州祥和集团电力安装有限公司 隧道内高层支架电缆敷设方法及装置
KR20190027982A (ko) * 2017-09-07 2019-03-18 주식회사 준건설 연약지반 개량용 매트 포설 시스템
KR102399995B1 (ko) * 2017-09-07 2022-05-20 주식회사 준건설 연약지반 개량용 매트 포설 시스템
KR102038248B1 (ko) 2019-02-28 2019-10-29 윤세원 케이블 복합체의 지하 매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146B1 (ko) 송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1016055B1 (ko)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
KR102149524B1 (ko) 송전용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WO2005124810A3 (en) Slack cable arrangement for underground electric service conduit connected to service boxes on the sides of buildings
CN210201333U (zh) 一种地下电缆敷设结构
CN203180464U (zh) 一种具有监控功能的电缆排管敷设系统
KR102178966B1 (ko)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
US9225156B2 (en) Conduit spacer assembly
KR101039113B1 (ko) 변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지중 선로 매설장치
CN210286511U (zh) 一种起重机高压电缆地面导缆装置
KR101209873B1 (ko) 3상 배전케이블 수직 인입 인출 가이드 롤러 장치
KR20100115183A (ko) 케이블관 견인장치
KR101352128B1 (ko) 파형관 풀림 장치
KR102273861B1 (ko)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1168061B1 (ko) 지중 전력구 3상 동시 케이블 견인 포설장치
KR101898339B1 (ko) 지중 선로 시공용 가이드 롤러
CN209169864U (zh) 一种通信电缆用布线托架
KR100622242B1 (ko) 다양한 크기의 케이블 수용이 가능한 고밀도 다공 스페이서
KR20100053383A (ko) 3조 케이블 드럼장치
CN202534990U (zh) 一种用于敷设地下隧道中电缆的设备
JP2002233016A (ja) 下水道管内光ケーブル敷設方法
KR102085836B1 (ko)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및 그의 설치 구조
KR20100053381A (ko) 케이블 유도 지지금구
CN205791250U (zh) 一种网络通信电缆施工系统
KR102658487B1 (ko) 지중전력케이블의 철거절단 풀링장치를 이용한 지중송전케이블 철거신설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