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861B1 -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861B1
KR102273861B1 KR1020210056887A KR20210056887A KR102273861B1 KR 102273861 B1 KR102273861 B1 KR 102273861B1 KR 1020210056887 A KR1020210056887 A KR 1020210056887A KR 20210056887 A KR20210056887 A KR 20210056887A KR 102273861 B1 KR102273861 B1 KR 102273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voltage cable
moving member
pulling
b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기
Original Assignee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056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는, 파이프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파이프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20)에 송전 고압케이블(10)을 수용한 후 관로(20) 내를 이동하는 이동부재(100);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과 함께 상기 수용공간(120)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부재(100)의 이동시,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이 상기 이동부재(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함께 이동하도록 버티는 힘을 발휘하는 버팀부재(200); 상기 버팀부재(200)에 당기는 힘을 가하여 상기 이동부재(100)와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을 함께 이동시키는 당김부재(300); 및 상기 이동부재(100)에 전달되는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부재(100)를 제동하는 제동수단(400)을 포함하되; 상기 버팀부재(200)는 상기 이동부재(100)의 제동시, 상기 당김부재(300)의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100)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을 상기 관로(20)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지중 송전 고압 케이블의 관로내 이동, 및 인입장치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지중 송전 고압 케이블의 배선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APPARATUS FOR LAYING CABLE IN CHANNEL}
본 발명은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의 관로내 인입시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력은 송전선과 변전소를 거쳐서 공급된 후, 최종적인 수용가 또는 전력사용시설로 공급되기 위해 이들 수용가나 전력사용시설에 근접 설치된 수변전설비를 거치게 된다.
한편, 송전에 사용되는 전압은 기술발전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가 있으나 최근에는 발전용량 증가, 송전기술 개선, 전력수요 확장 등에 힘입어 66KV 급 이상이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향후 필요에 의하여 다시 변경될 가능성은 매우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수변전설비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상기기와 전주를 통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변전소의 지중 고압 케이블은 지중에서 지상으로 인출되어 전주에 고정되고, 고압 케이블 내의 3상 케이블은 수용측 3상 수변전 케이블과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다.
한편, 수변전설비에서 고압케이블이 각 수용측으로 배선될 때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고압케이블이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여 배선될 때 케이블관(보호관)이 사용되고 있다. 즉, 건축물의 벽에 케이블관을 삽입(매설)하고, 상기 케이블관 내부에 고압 케이블을 배선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고압 케이블 인입방법에 따르면, 고압 케이블을 단순하게 매듭 연결한 것이기 때문에 고압 케이블과 당김 와이어의 연결 및 해체 작업이 번거롭고, 당김 와이어를 잡아당길 때 당김 와이어가 꼬일 수 있는데, 당김 와이어와 고압 케이블의 연결 구조상 당김 와이어와 함께 고압 케이블이 꼬이며, 매듭이 풀려 고압 케이블이 당김 와이어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당김 와이어를 잡아당겨 고압 케이블을 인입할 때 고압 케이블이 케이블관의 내주면과 마찰되기 때문에 마찰에 의해 고압 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75450호(2008.12.22.)에는 ‘송전 고압 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의하면, 송배전 고압 케이블을 건축물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잡아당겨 배선할 때 당김 와이어와 고압 케이블의 결속력을 증대하여 고압 케이블의 이탈을 막고 고압 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당김 와이어와 고압 케이블의 결속력을 증대하여 고압 케이블의 이탈을 막고 고압 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할 뿐, 고압 케이블을 관로 내 특정 위치에 위치시킬 수 없고, 고압 케이블을 인입장치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해야 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75450호(2008.12.2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송전 고압 케이블을 소정의 이동부재에 안착시켜 관로 내를 이동시키고, 외부 제어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를 제동함으로써, 상기 송전 고압 케이블을 관로 내 특정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부재의 제동시, 상기 송전 고압 케이블을 상기 이동부재로부터 자동 이탈시키고, 상기 송전 고압 케이블에 당기는 힘을 가하는 당김부재와 상기 송전 고압 케이블의 결합을 자동 해제함으로써,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을 인입장치로부터 자동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 내 인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중 송전 고압 케이블의 관로내 이동 및 인입장치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지중 송전 고압 케이블의 배선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 내 인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 내 인입장치는, 파이프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파이프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20)에 송전 고압케이블(10)을 수용한 후 관로(20) 내를 이동하는 이동부재(100);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과 함께 상기 수용공간(120)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부재(100)의 이동시,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이 상기 이동부재(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함께 이동하도록 버티는 힘을 발휘하는 버팀부재(200); 상기 버팀부재(200)에 당기는 힘을 가하여 상기 이동부재(100)와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을 함께 이동시키는 당김부재(300); 및 상기 이동부재(100)에 전달되는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부재(100)를 제동하는 제동수단(400)을 포함하되; 상기 버팀부재(200)는 상기 이동부재(100)의 제동시, 상기 당김부재(300)의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100)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을 상기 관로(20)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부재(100)는 상기 당김부재(300)의 당기는 힘 대비 상기 관로(20) 내의 이동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하부에 부착된 2이상의 바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팀부재(200)는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의 둘레를 감싸는 버팀본체(210);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을 상기 이동부재(100)에 삽입시,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의 삽입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10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2개 이상의 버팀대(220)들; 상기 버팀본체(210)의 외주면에 상기 버팀대(220)를 연결하되, 상기 버팀대(220)가 상기 버팀본체(210)에 대해 상기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버팀대(220)를 지지하는 버팀링크(230); 및 상기 버팀링크(230)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버팀대(220)로 탄성력을 작용하되,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비틀림 스프링(240)을 포함하고, 상기 버팀링크(230)는 상기 버팀부재(200)가 상기 이동부재(100)로부터 이탈시, 상기 비틀림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버팀대(220)를 상기 관로(20)의 내면에 밀착 고정시키고, 상기 버팀대(220)의 일측은 상기 당김부재(30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당김부재(300)는 상기 버팀부재(200)가 상기 이동부재(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221)에 결합되는 당김판(310); 상기 당기는 힘을 상기 당김판(310)으로 전달하는 당김와이어(330); 및 상기 당김와이어(330)와 상기 당김판(310)를 연결하는 다수의 서브와이어(320)들을 포함하고, 상기 당김판(310)은 상기 버팀부재(200)가 상기 이동부재(100)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버팀대(220)가 상기 관로(20)의 내면에 밀착 고정될 경우, 상기 결합홈(22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는 송전 고압 케이블을 소정의 이동부재에 안착시켜 관로 내를 이동시키고, 외부 제어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를 제동함으로써, 상기 송전 고압 케이블을 관로 내 특정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부재의 제동시, 상기 송전 고압 케이블을 상기 이동부재로부터 자동 이탈시키고, 상기 송전 고압 케이블에 당기는 힘을 가하는 당김부재와 상기 송전 고압 케이블의 결합을 자동 해제함으로써,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을 인입장치로부터 자동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지중 송전 고압 케이블의 관로내 이동, 및 인입장치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지중 송전 고압 케이블의 배선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고압 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팀부재(2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김부재(3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팀부재(200) 및 당김부재(3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고압 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고압 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팀부재(2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김부재(3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는 이동부재(100), 버팀부재(200), 당김부재(300) 및 제동수단(400)을 포함한다.
이동부재(100)는 파이프 형태의 몸체(110)로 구현되고, 파이프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20)에 송전 고압케이블(10)을 수용한 후 관로(20)내를 이동한다. 이 때, 이동부재(100)는 당김부재(300)를 통해 전달되는 당기는 힘에 의해, 관로(20) 내를 이동하며, 상기 당기는 힘 대비 관로(20) 내의 이동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하부에 부착된 2개 이상의 바퀴(130)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팀부재(200)는 송전 고압케이블(10)과 함께 수용공간(120)에 수용되어, 이동부재(100)의 이동시 송전 고압케이블(10)이 이동부재(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함께 이동하도록 버티는 힘을 발휘한다. 이를 위해, 버팀부재(200)는 버팀본체(210), 2개 이상의 버팀대(220)들, 버팀대(220)를 버팀본체(210) 외주면에 연결하는 버팀링크(230)들, 및 비틀림 스프링(240)을 포함한다.
버팀본체(210)는 밴드 또는 파이프 형태로 구현되어, 송전 고압케이블(10)의 둘레를 감싼다. 이 때, 버팀본체(210)는 송전 고압케이블(10)을 감싸는 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여, 송전 고압케이블(10)을 밀접하게 감싸도록 할 수 있다.
버팀대(220)는 버팀본체(210)에 의해 감싸여진 송전 고압케이블(10)을 이동부재(100)에 삽입시, 삽입방향으로 이동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 때, 이동본체(110) 내부에서, 버팀본체(210)와 송전 고압케이블(10)이 평행을 유지하면서 버티기 위해, 버팀대(220)는 2개 이상을 포함하여야 하고, 버팀대(220)가 이동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할 때,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이동본체(110)의 내주면에 접하는 면에는 소정의 마찰력 감소처리를 더 할 수 있다.
한편, 버팀대(220)의 일측(삽입방향)에는 후술할 당김부재(300)의 당김판(31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221)이 형성된다.
버팀링크(230)는 버팀본체(210)의 외주면에 버팀대(220)를 연결하되, 버팀대(220)가 버팀본체(210)에 대해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버팀대(220)를 지지한다.
비틀림 스프링(240)은 버팀링크(230)의 끝단에 연결되어 버팀대(220)로 탄성력을 작용하되, 송전 고압케이블(1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비틀림 스프링(240)의 탄성력은 송전 고압케이블(10)이 이동본체(110) 내부에 버티는 힘으로 작용한다.
당김부재(300)는 버팀부재(200)에 당기는 힘을 가하여 이동부재(100)와 송전 고압케이블(10)을 함께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당김부재(300)는 버팀부재(200)가 이동부재(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결합홈(221)에 결합되는 당김판(310), 당김판(310)으로 당기는 힘을 전달하기 위한 당김와이어(330), 및 당김판(310)과 당김와이어(330)를 연결하는 다수의 서브와이어(3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당김판(310)의 지름은 버팀부재(200)가 이동부재(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결합홈(221)의 내부에 당김판(310)이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는 길이(r1)로 구현되어야 하고, 당김판(310)의 중앙에는 버팀부재(20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312)이 형성되되, 관통홀(312)의 지름은 버팀본체(210) 단면의 지름(r2)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버팀부재(200)가 이동부재(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당김판(310)이 결합홈(221)과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312)로 버팀본체(210)가 관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동수단(400)은 이동부재(100)에 전달되는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이동부재(100)를 제동한다. 이를 위해, 제동수단(400)은 2개 이상의 바퀴(130)들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정지시켜, 이동부재(100)를 제동할 수 있으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제동수단(400)이 이동부재(100)의 바퀴(130) 상부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팀부재(200) 및 당김부재(3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서, 도 4는 버팀부재(200)가 이동부재(100)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1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버팀부재(200)가 이동부재(100)로부터 이탈한 상태를 나타내는 제2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버팀부재(200)가 이동부재(100)에 수용된 경우, 버팀대(220)는 이동몸체(110)의 내주면에 밀접 접촉하여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되고, 비틀림 스프링(240)은 상기 가압되는 힘에 의해 압축되어, 이동몸체(110)의 내주면을 밀어내는 방향(화살표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여, 버팀부재(200)가 이동몸체(110) 내부에서 버티는 힘을 발휘한다.
당김판(310)은 버팀대(220)의 결합홈(221)과 결합하여, 당김와이어(330)로부터 전달되는 당기는 힘에 의해, 버팀부재(200), 송전 고압케이블(10) 및 이동부재(100)를 함께 이동시키는 힘을 발휘한다.
이와 같이, 당기는 힘에 의해, 버팀부재(200), 송전 고압케이블(10) 및 이동부재(100)가 함께 이동하는 중, 제동수단(400)이 구동되어, 이동부재(100)가 관로(20)내의 특정 위치에 멈춘 경우, 버팀부재(200)는 당김부재(300)의 당기는 힘에 의해, 이동부재(100)로부터 이탈하게 되는데, 이 때, 비틀림 스프링(240)이 인장되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버팀대(220)를 버팀 몸체(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경우, 버팀대(220)가 관로(20)의 내면에 밀착 고정된다. 그러면, 버팀대(220)의 결합홈(221)과 당김판(310) 간의 결합이 해제되어, 당김판(310)이 버팀부재(200)로부터 분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고압 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로서, 당기는 힘에 의해, 버팀부재(200), 송전 고압케이블(10) 및 이동부재(100)가 함께 이동하는 중, 제동수단(400)이 구동되어, 이동부재(100)가 관로(20)내의 특정 위치에 멈춘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동수단(400)이 구동하여, 바퀴(130) 중 적어도 하나를 제동시킨 경우, 외부로부터 전달된 당기는 힘에 의해 버팀부재(200)가 이동부재(100)로부터 이탈되고, 버팀부재(200)가 이탈된 경우, 버팀부(220)가 관로(20) 내면에 밀착 고정되면서, 결합홈(221)과 당김판(310)과의 결합이 해제되어 당김부재(300)와 버팀부재(200)가 분리되어, 송전 고압케이블(10)이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송전 고압 케이블을 소정의 이동부재에 안착시켜 관로 내를 이동시키고, 외부 제어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를 제동함으로써, 상기 송전 고압 케이블을 관로 내 특정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을 인입장치로부터 자동 분리시킨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지중 송전 고압 케이블의 배선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송전 고압케이블 20: 관로
100: 이동부재 110: 이동본체
120: 바퀴 200: 버팀부재
210: 버팀본체 220: 버팀대
221: 결합홈 230: 버팀링크
240: 비틀림 스프링 300: 당김부재
310: 당김판 320: 서브와이어
330: 당김와이어

Claims (4)

  1. 파이프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파이프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20)에 송전 고압케이블(10)을 수용한 후 관로(20) 내를 이동하는 이동부재(100);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과 함께 상기 수용공간(120)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부재(100)의 이동시,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이 상기 이동부재(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함께 이동하도록 버티는 힘을 발휘하는 버팀부재(200);
    상기 버팀부재(200)에 당기는 힘을 가하여 상기 이동부재(100)와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을 함께 이동시키는 당김부재(300); 및
    상기 이동부재(100)에 전달되는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부재(100)를 제동하는 제동수단(400)을 포함하되;
    상기 버팀부재(200)는
    상기 이동부재(100)의 제동시, 상기 당김부재(300)의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100)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을 상기 관로(20)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00)는
    상기 당김부재(300)의 당기는 힘 대비 상기 관로(20) 내의 이동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하부에 부착된 2이상의 바퀴(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부재(200)는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의 둘레를 감싸는 버팀본체(210);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을 상기 이동부재(100)에 삽입시, 상기 송전 고압 케이블(10)의 삽입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10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2개 이상의 버팀대(220)들;
    상기 버팀본체(210)의 외주면에 상기 버팀대(220)를 연결하되, 상기 버팀대(220)가 상기 버팀본체(210)에 대해 상기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버팀대(220)를 지지하는 버팀링크(230); 및
    상기 버팀링크(230)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버팀대(220)로 탄성력을 작용하되, 상기 송전 고압케이블(1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비틀림 스프링(240)을 포함하고,
    상기 버팀링크(230)는
    상기 버팀부재(200)가 상기 이동부재(100)로부터 이탈시, 상기 비틀림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버팀대(220)를 상기 관로(20)의 내면에 밀착 고정시키고,
    상기 버팀대(220)의 일측은
    상기 당김부재(30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2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재(300)는
    상기 버팀부재(200)가 상기 이동부재(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221)에 결합되는 당김판(310);
    상기 당기는 힘을 상기 당김판(310)으로 전달하는 당김와이어(330); 및
    상기 당김와이어(330)와 상기 당김판(310)를 연결하는 다수의 서브와이어(320)들을 포함하고,
    상기 당김판(310)은
    상기 버팀부재(200)가 상기 이동부재(100)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버팀대(220)가 상기 관로(20)의 내면에 밀착 고정될 경우, 상기 결합홈(22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20210056887A 2021-04-30 2021-04-30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2273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887A KR102273861B1 (ko) 2021-04-30 2021-04-30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887A KR102273861B1 (ko) 2021-04-30 2021-04-30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861B1 true KR102273861B1 (ko) 2021-07-06

Family

ID=7686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887A KR102273861B1 (ko) 2021-04-30 2021-04-30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10943A (zh) * 2023-04-28 2023-08-01 苏州茂顺成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聚丙烯电缆保护管加工的表面喷涂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954Y1 (ko) * 2003-07-16 2003-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파이프내 전선배열용 리드와이어 견인장치
KR100786374B1 (ko) * 2007-06-20 2007-12-14 최부일 송배전 고압 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0875450B1 (ko) 2008-04-07 2008-12-22 (유)전일기술단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200443412Y1 (ko) * 2008-11-07 2009-02-11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1047146B1 (ko) * 2011-04-27 2011-07-07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송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2153116B1 (ko) * 2020-04-02 2020-09-0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954Y1 (ko) * 2003-07-16 2003-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파이프내 전선배열용 리드와이어 견인장치
KR100786374B1 (ko) * 2007-06-20 2007-12-14 최부일 송배전 고압 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0875450B1 (ko) 2008-04-07 2008-12-22 (유)전일기술단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200443412Y1 (ko) * 2008-11-07 2009-02-11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1047146B1 (ko) * 2011-04-27 2011-07-07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송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2153116B1 (ko) * 2020-04-02 2020-09-0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10943A (zh) * 2023-04-28 2023-08-01 苏州茂顺成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聚丙烯电缆保护管加工的表面喷涂装置
CN116510943B (zh) * 2023-04-28 2024-01-26 苏州茂顺成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聚丙烯电缆保护管加工的表面喷涂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724892T3 (en) Methods for wiring and splicing power lines
KR102273861B1 (ko)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1047146B1 (ko) 송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BRPI0713645A2 (pt) processo e dispositivo de instalação de cabos e envoltórios em uma canalização não visitável
US20150249325A1 (en) Method for stringing replacement optical ground wire or static wire near energized power lines
KR101777411B1 (ko) 송배전 고압케이블의 인입장치구조
KR100846135B1 (ko)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2305678B1 (ko)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 장치
KR101550852B1 (ko) 내전압 시험용 선로연결설비
KR101613894B1 (ko) 폴 타입 엘보접속재 투입 및 분리장치
KR101016055B1 (ko)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
CN106461024B (zh) 柔性电隔离装置
KR20100053383A (ko) 3조 케이블 드럼장치
KR101962941B1 (ko)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KR100622242B1 (ko) 다양한 크기의 케이블 수용이 가능한 고밀도 다공 스페이서
US4408091A (en) Device at cable ends to serve as a preparation for splicing
JP2003180010A (ja) 通信ケーブル乃至通信ケーブルを挿入するさや管の管路内壁固定用バンド取付装置及びこのバンド取付装置による通信ケーブル乃至さや管の管路内壁固定工法
KR20240009289A (ko) 지중관로 케이블 포설 방법 및 장치
KR101613896B1 (ko) 엘보접속재 투입 및 분리장치용 고정지그
KR101819058B1 (ko) 배전케이블 이송용 이송장치
KR20190125817A (ko) 공가봉인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0993294B1 (ko) 건축용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
CN218676518U (zh) 一种防止缠绕的电缆
JPS63290110A (ja) 地下敷設管路用気密栓
EP1727251A2 (en) Live conductor stringing and splicing method and appar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