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450B1 -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 Google Patents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450B1
KR100875450B1 KR1020080031958A KR20080031958A KR100875450B1 KR 100875450 B1 KR100875450 B1 KR 100875450B1 KR 1020080031958 A KR1020080031958 A KR 1020080031958A KR 20080031958 A KR20080031958 A KR 20080031958A KR 100875450 B1 KR100875450 B1 KR 100875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voltage cable
high voltage
hole
pu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삼
Original Assignee
(유)전일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전일기술단 filed Critical (유)전일기술단
Priority to KR1020080031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김와이어를 통해 고압케이블을 건축물을 관통한 케이블관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당겨 인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고압케이블이 결속된 케이블결속구와, 상기 케이블결속구를 당김와이어를 통해 당길 수 있도록 상기 당김와이어가 결속된 케이블당김구로 이루어진 송전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결속구는 상하로 양분되는 봉체로 일측단 상하단부에는 체결핀이 좌우측으로 관통하는 축공을 갖되, 전방측으로 상하측삽입홈이 수직으로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단에는 좌우측삽입홈이 수평으로 각각 형성되며, 중심에는 단면이 원형을 이루고 지그재그로 이루어져 고압케이블이 걸림안착되는 파형장홈이 지그재그로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외측나사산을 갖는 결합돌부가 형성되어 중심에 고압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고 내측나사부를 갖는 마개가 나사결합되어 한 몸을 이루며, 상기 파형장홈의 상하부에는 파형장홈에 안착고정된 고압케이블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단에 밀착고무를 갖는 조임볼트가 사선으로 출입되는 상하부조임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당김구는 중심에 당김와이어가 관통하는 통공을 갖고, 당김와이어 선단의 걸림판에 의해 걸림고정되는 걸림관이 형성되고, 걸림관 외주연 사방에서 후방측으로 각각 연장되되 상하부는 선단부가 상기 상하측삽입홈에 각각 삽입되어 축공 연장선상에 체결공을 갖는 상하부체결대가 각각 형성되며, 좌우측은 상기 좌우측삽입홈에 각각 삽입안착되어 이동시 지지되어 흔들림을 방지하는 좌우측지지대가 각각 형성된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송배전 고압 케이블을 건축물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잡아당겨 배선할 때 당김 와이어와 고압 케이블의 결속력을 증대하여 고압 케이블의 이탈을 막고 고압 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케이블결속구, 케이블당김구

Description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APPARATUS FOR LAYING CABLE IN CHANNEL}
본 발명은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배전 고압 케이블을 건축물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잡아당겨 배선할 때 당김 와이어와 고압 케이블의 결속력을 증대하여 고압 케이블의 이탈을 막고 고압 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하는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력은 송전선과 변전소를 거쳐서 공급된 후, 최종적인 수용가 또는 전력사용시설로 공급되기 위해 이들 수용가나 전력사용시설에 근접 설치된 수변전설비를 거치게 된다.
이러한 수변전설비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상기기와 전주를 통해 제공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변전소의 지중 고압 케이블은 지중에서 지상으로 인출되어 전주에 고정되고, 고압 케이블 내의 3상 케이블은 수용측 3상 수변전 케이블과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다.
한편 수변전설비에서 고압 케이블이 각 수용측으로 배선될 때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고압 케이블이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여 배선될 때 케이블관(보호 관)이 사용되고 있다. 즉, 건축물의 벽에 케이블관을 삽입(매설)하고, 상기 케이블관 내부에 고압 케이블을 배선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 구성의 케이블관 내에 케이블을 인입하는 경우에는, 당김 와이어를 케이블관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관통시키고 이 당김 와이어의 단부에 고압 케이블을 매듭 연결하여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고압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관에 배선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고압 케이블 인입방법에 따르면, 고압 케이블을 단순하게 매듭 연결한 것이기 때문에 고압 케이블과 당김 와이어의 연결 및 해체 작업이 번거롭고, 당김 와이어를 잡아당길 때 당김 와이어가 꼬일 수 있는데, 당김 와이어와 고압 케이블의 연결 구조상 당김 와이어와 함께 고압 케이블이 꼬이며, 매듭이 풀려 고압 케이블이 당김 와이어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당김 와이어를 잡아당겨 고압 케이블을 인입할 때 고압 케이블이 케이블관의 내주면과 마찰되기 때문에 마찰에 의해 고압 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배전 고압 케이블을 건축물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잡아당겨 배선할 때 당김 와이어와 고압 케이블의 결속력을 증대하여 고압 케이블의 이탈을 막고 고압 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하는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당김와이어를 통해 고압케이블을 건축물을 관통한 케이블관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당겨 인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고압케이블이 결속된 케이블결속구와, 상기 케이블결속구를 당김와이어를 통해 당길 수 있도록 상기 당김와이어가 결속된 케이블당김구로 이루어진 송전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결속구는 상하로 양분되는 봉체로 일측단 상하단부에는 체결핀이 좌우측으로 관통하는 축공을 갖되, 전방측으로 상하측삽입홈이 수직으로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단에는 좌우측삽입홈이 수평으로 각각 형성되며, 중심에는 단면이 원형을 이루고 지그재그로 이루어져 고압케이블이 걸림안착되는 파형장홈이 지그재그로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외측나사산을 갖는 결합돌부가 형성되어 중심에 고압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고 내측나사부를 갖는 마개가 나사결합되어 한 몸을 이루며, 상기 파형장홈의 상하부에는 파형장홈에 안착고정된 고압케이블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단에 밀착고무를 갖는 조임볼트가 사선으로 출입되는 상하부조임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당김구는 중심에 당김와이어가 관통하는 통공을 갖고, 당김와이어 선단의 걸림판에 의해 걸림고정되는 걸림관이 형성되고, 걸림관 외주연 사방에서 후방측으로 각각 연장되되 상하부는 선단부가 상기 상하측삽입홈에 각각 삽입되어 축공 연장선상에 체결공을 갖는 상하부체결대가 각각 형성되며, 좌우측은 상기 좌우측삽입홈에 각각 삽입안착되어 이동시 지지되어 흔들림을 방지하는 좌우측지지대가 각각 형성된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송배전 고압 케이블을 건축물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잡아당겨 배선할 때 당김 와이어와 고압 케이블의 결속력을 증대하여 고압 케이블의 이탈을 막고 고압 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 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는, 당김와이어(30)를 통해 고압케이블(40)을 건축물을 관통한 케이블관(도시않음)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당겨 인입하는 장치로, 고압케이블(40)이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케이블결속구(10)와, 케이블결속구(10)를 당김와이어(30)로 당기기 위해 고정시키는 케이블당김구(2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결속구(10)는 상하로 양분되는 봉체로 일측단 상하단부에는 체결핀(14c)이 좌우측으로 관통하는 축공(14b)을 갖되 전방측으로 상하측삽입홈(14,14a)이 수직으로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단에는 좌우측삽입홈(15,15a)이 수평으로 각각 형성되며, 중심에는 단면이 원형을 이루고 지그재그로 이루어져 고압케이블(40)이 걸림안착되는 파형장홈(11)이 지그재그로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외측나사산(16a)을 갖는 결합돌부(16)가 형성되어 중심에 고압케이블(40)이 관통하는 관통공(17b)을 갖고 내측나사부(17a)를 갖는 마개(17)가 나사결합되어 한 몸을 이루며, 상기 파형장홈(11)의 상하부에는 선단에 밀착고무(12b,13b)를 갖는 조임볼트(12a,13a)가 사선으로 출입되는 상하부조임공(12,13)이 각각 형성되어 파형장 홈(11)에 안착고정된 고압케이블(40)의 빠짐을 방지한다.
상기 케이블당김구(20)는 중심에 당김와이어(30)가 관통하는 통공(21a)을 갖고 당김와이어(30) 선단의 걸림판(31)에 의해 걸림고정되는 걸림관(21)이 형성되고, 걸림관(21) 외주연 사방에서 후방측으로 각각 연장되되 상하부는 선단부가 상기 상하측삽입홈(14,14a)에 각각 삽입되어 축공(14b) 연장선상에 체결공(22a,23a)을 갖는 상하부체결대(22,23)가 각각 형성되며, 좌우측은 상기 좌우측삽입홈(15,15a)에 각각 삽입안착되어 이동시 지지되어 흔들림을 방지하는 좌우측지지대(24,25)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케이블결속구(10,10a)의 일측을 상하부체결대(22,23) 체결공(22a,23a)의 체결핀(14c)을 축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마개(17)의 광통공(17b)을 통해 고압케이블(40)을 파형장홈(11)에 밀어넣은 상태에서 마개(17)를 결합돌부(16)에 체결고정시킨 다음, 상하부조임공(12,13)의 조임볼트(12a,13a)를 조여서 선단의 밀착고무(12b,13b)로 파형장홈(11)의 고압케이블(40)을 밀착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케이블당김구(20)의 걸림관(21)에 걸림고정된 당김와이어(30)를 건축물을 관통한 케이블관(도시않음)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당겨 케이블결속구(10,10a)에 고정된 고압케이블(40)을 인입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 케이블결속구 11 : 파형장홈
12,13 : 상하부조임공 12a,13a : 조임볼트
12b,13b : 밀착고무 14,14a : 상하측삽입홈
14b : 축공 14c : 체결핀
15,15a : 좌우측삽입홈 16 : 결합돌부
16a : 외측나사산 17 : 마개
17a : 내측나사부 17b : 관통공
20 : 케이블당김구 21 : 걸림관
21a : 통공 22,23 : 상하부체결대
22a,23a : 체결공 24,25 : 좌우측지지대
30 : 당김와이어 31 : 걸림판
40 : 고압케이블

Claims (1)

  1. 당김와이어(30)를 통해 고압케이블(40)을 건축물을 관통한 케이블관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당겨 인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고압케이블(40)이 결속된 케이블결속구와, 상기 케이블결속구를 당김와이어(30)를 통해 당길 수 있도록 상기 당김와이어(30)가 결속된 케이블당김구로 이루어진 송전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결속구(10,10a)는 상하로 양분되는 봉체로 일측단 상하단부에는 체결핀(14c)이 좌우측으로 관통하는 축공(14b)을 갖되, 전방측으로 상하측삽입홈(14,14a)이 수직으로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단에는 좌우측삽입홈(15,15a)이 수평으로 각각 형성되며, 중심에는 단면이 원형을 이루고 지그재그로 이루어져 고압케이블(40)이 걸림안착되는 파형장홈(11)이 지그재그로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외측나사산(16a)을 갖는 결합돌부(16)가 형성되어 중심에 고압케이블(40)이 관통하는 관통공(17b)을 갖고 내측나사부(17a)를 갖는 마개(17)가 나사결합되어 한 몸을 이루며, 상기 파형장홈(11)의 상하부에는 파형장홈(11)에 안착고정된 고압케이블(40)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단에 밀착고무(12b,13b)를 갖는 조임볼트(12a,13a)가 사선으로 출입되는 상하부조임공(12,1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당김구(20)는 중심에 당김와이어(30)가 관통하는 통공(21a)을 갖고, 당김와이어(30) 선단의 걸림판(31)에 의해 걸림고정되는 걸림관(21)이 형성되고, 걸림관(21) 외주연 사방에서 후방측으로 각각 연장되되 상하부는 선단부가 상기 상하측삽입홈(14,14a)에 각각 삽입되어 축공(14b) 연장선상에 체결공(22a,23a)을 갖는 상하부체결대(22,23)가 각각 형성되며, 좌우측은 상기 좌우측삽입홈(15,15a)에 각각 삽입안착되어 이동시 지지되어 흔들림을 방지하는 좌우측지지대(24,25)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20080031958A 2008-04-07 2008-04-07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0875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958A KR100875450B1 (ko) 2008-04-07 2008-04-07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958A KR100875450B1 (ko) 2008-04-07 2008-04-07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450B1 true KR100875450B1 (ko) 2008-12-22

Family

ID=4037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958A KR100875450B1 (ko) 2008-04-07 2008-04-07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4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8379A (zh) * 2018-09-24 2018-12-18 张若玮 电力电缆曳引万向滑车
KR101962941B1 (ko) 2018-07-19 2019-03-27 주식회사 천운건설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KR102153116B1 (ko) 2020-04-02 2020-09-0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KR102273861B1 (ko) 2021-04-30 2021-07-06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20210155912A (ko) * 2020-06-17 2021-12-24 안지현 전기선 안전커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547B1 (ko) 1998-04-28 2000-06-15 강병호 풀링아이 및 그 사용방법
KR100786374B1 (ko) 2007-06-20 2007-12-14 최부일 송배전 고압 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0793617B1 (ko) 2007-09-13 2008-01-10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선 인출용 풀링아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547B1 (ko) 1998-04-28 2000-06-15 강병호 풀링아이 및 그 사용방법
KR100786374B1 (ko) 2007-06-20 2007-12-14 최부일 송배전 고압 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0793617B1 (ko) 2007-09-13 2008-01-10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선 인출용 풀링아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941B1 (ko) 2018-07-19 2019-03-27 주식회사 천운건설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CN109038379A (zh) * 2018-09-24 2018-12-18 张若玮 电力电缆曳引万向滑车
KR102153116B1 (ko) 2020-04-02 2020-09-0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KR20210155912A (ko) * 2020-06-17 2021-12-24 안지현 전기선 안전커버
KR102475186B1 (ko) * 2020-06-17 2022-12-06 안지현 전기선 안전커버
KR102273861B1 (ko) 2021-04-30 2021-07-06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450B1 (ko)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0786374B1 (ko) 송배전 고압 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200443376Y1 (ko) 송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0846135B1 (ko)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US4101114A (en) Cable pulling system
KR101777411B1 (ko) 송배전 고압케이블의 인입장치구조
KR102090878B1 (ko) 케이블 타이
KR200443412Y1 (ko) 송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US2827680A (en) Wedge-eye cable anchoring devices
CN104092144B (zh) 绝缘子更换工具
CN103594961A (zh) 一种更换电缆线的方法
KR101141756B1 (ko) 지하관로 케이블 포설용 클램핑 장치
KR200438918Y1 (ko) 배선관용 전선 견인기구
KR100818623B1 (ko)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
CN205846634U (zh) 一种短距离线盒连接装置
CN214412199U (zh) 直锁楔形线夹
KR102248695B1 (ko)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시스템
US11569648B2 (en) Joint-use bracket for installing communication lines on utility pole
CN103036191A (zh) 一种用于欧式分支箱、环网柜的电缆终端
KR100966174B1 (ko)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
CN201238171Y (zh) 一种电线线路墙面暗敷布线单元及系统
KR20200087058A (ko) 전선 가이드장치
CN218897041U (zh) 一种建筑工地线路保护装置
KR20100006596A (ko)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
US7268295B1 (en) Puller/connector for electrical racew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