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116B1 -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 Google Patents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116B1
KR102153116B1 KR1020200040533A KR20200040533A KR102153116B1 KR 102153116 B1 KR102153116 B1 KR 102153116B1 KR 1020200040533 A KR1020200040533 A KR 1020200040533A KR 20200040533 A KR20200040533 A KR 20200040533A KR 102153116 B1 KR102153116 B1 KR 102153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oltage cable
support bar
pi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군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Priority to KR1020200040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배전 고압 케이블이 관로를 통과할 때 고압케이블과 관로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손상을 방지하고, 고압케이블이 쳐지지 않고 관로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는 고압케이블이 관로를 통과할 때 고압케이블과 관로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손상을 방지하고, 고압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케이블을 관로 내로 삽입 시 지지구의 기울어짐이 방지되어 고압케이블을 관로 연장방향을 수평하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관로 삽입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Assist apparatus for inserting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high voltage cable in channel}
본 발명은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배전 고압 케이블이 관로를 통과할 때 고압케이블과 관로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손상을 방지하고, 고압케이블이 쳐지지 않고 관로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력은 송전선과 변전소를 거쳐서 공급된 후, 최종적인 수용가 또는 전력사용시설로 공급하기 위해 이들 수용가나 전력사용시설에 근접 설치된 수변전설비를 거치게 되며, 이러한 수변전설비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상기기와 전주를 통해 제공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변전소의 지중 고압케이블은 지중에서 지상으로 인출되어 전주에 고정되고, 고압 케이블 내의 3상 케이블은 수용 측 3상 수변전 케이블과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다.
한편, 수변전설비에서 고압케이블이 수용 측으로 배선될 때 건축물을 통과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고압 케이블이 건축물 통과하여 배선될 때, 보호관이나 덕트 등의 관로가 사용되고 있다 즉, 건축물에 관로를 삽입(매설)하고, 관로 내부에 고압케이블을 배선하는 것이다.
종래의 관로 내에 고압케이블을 인입하는 경우에는, 당김 와이어를 관로의 출구 측에서 입구 측으로 관통시키고, 이 당김 와이어의 단부에 고압케이블을 연결하여 입구 측에서 출구 측으로 잡아당겨 고압케이블을 관로 내에 배선한다.
그러나, 종래의 관로내 고압케이블 인입 방법은 당김 와이어를 잡아당길 때 고압케이블이 관로의 내주면에 마찰되기 때문에 마찰에 의해 고압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되거나, 고압케이블의 인입 거리가 길어질수록 고압케이블과 관로의 내주면의 마찰력 또한 커지므로 고압케이블을 당기는 힘이 매우 커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7545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8637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배전용 고압케이블이 관로를 통과할 때 고압케이블과 관로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손상을 방지하고, 고압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는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케이블을 관로 내로 삽입 시 기울어짐이 방지되어 고압케이블을 관로 연장방향을 수평하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내 삽입 도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는 고압케이블이 삽입되는 관로의 내주면에 대해 상기 고압케이블을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압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압케이블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는 것으로서,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압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게 구심을 경유하여 연장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지지구와; 상기 고압케이블에 대해 상기 지지구를 상기 고압케이블의 연장방향을 회전중심으로 상기 지지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와; 상기 관로 내부로 상기 고압케이블을 삽입 시, 상기 관로의 내주면에 구름 접촉되면서 상기 고압케이블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름부와; 상기 고압케이블의 삽입 방향과 대응되는 상기 지지구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구의 진행방향 전방 측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지지구 내에 내장되고, 상기 촬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구에 설치되는 충전단자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송출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의 동작과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구는 상부에 상방으로 볼록한 제1곡면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평평한 제1평면부가 형성된 반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부에 상기 제1평면부의 중심부를 경유하도록 연장되고 상방으로 인입되는 제1인입홈이 형성된 제1지지구와, 상기 제1지지구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부에 상기 제1지지구의 제1평면부에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평평한 제2평면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방으로 볼록한 제2곡면부가 형성된 반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평면부에는 상기 제1인입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평면부의 중심을 경유하도록 연장되고 하방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1인입홈과 함께 상기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제2인입홈이 형성된 제2지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관통구멍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는 상기 관통구멍과 나란한 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하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저널부와, 상기 저널부의 중공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압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고압케이블에 결합되며, 상하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널부와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저널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탈방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널부는 수지, 에폭시, 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재에 세라믹 볼을 혼합하여 사출 성형되고, 상기 커버부에 대해 점 접촉 및 미끄럼 마찰 가능하도록 상기 세라믹볼의 일부가 상기 저널부의 중공부 내주면 측으로부터 노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는 상기 구름부가 상기 관로에 접촉 시, 상기 지지구가 상기 고압케이블이 삽입되는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지지구를 지지하여 상기 고압케이블이 상기 관로를 따라 나란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지지구 기울임방지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름부는 상기 관통구멍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지지구의 외주면에 상기 지지구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지지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홀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볼부재와, 상기 볼부재가 상기 삽입홀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에 상기 볼부재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볼부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형의 노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구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는 고압케이블이 관로를 통과할 때 고압케이블과 관로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손상을 방지하고, 고압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케이블을 관로 내로 삽입 시 지지구의 기울어짐이 방지되어 고압케이블을 관로 연장방향을 수평하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관로 삽입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에 대한 일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는 도 1의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지지구 기울임방지유닛에 대한 일부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지지구 기울방지유닛이 관로 내 기 삽입연장된 고압케이블에 접촉시 제1지지롤러 또는 제3지지롤러의 길이가 연장되어 접촉면적이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1)는 지지구(100)와, 베어링부와, 구름부(300)와, 촬영부(400)와, 배터리부(500)와, 충전단자부(600)와, 무선통신부(700)와, 컨트롤러(800)과 지지구 기울임방지유닛(610)을 구비한다.
지지구(100)는 고압케이블(C)이 삽입되는 관로(5)의 내주면에 대해 고압케이블(C)을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고압케이블(C)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압케이블(C)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서로 이격되게 결합된다.
지지구(100)는 구(救)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압케이블(C)이 통과할 수 있게 구심(球心)을 경유하여 연장되는 관통구멍(H)이 형성된다.
지지구(100)는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반구(半球) 형상의 제1지지구(110) 및 제2지지구(120)와, 제1지지구(110)와 제2지지구(120)를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지지구(110)는 상부에 상방으로 볼록한 제1곡면부(1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평평한 제1평면부(112)가 형성된 반구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지지구(110)의 제1평면부(112)에는 제1평면부(112)의 중심부를 경유하도록 연장되고 상방으로 인입되는 제1인입홈(113)이 형성된다. 제1인입홈(113)은 후술하는 베어링부의 상측 외주면 일부가 진입 및 수용될 수 있도록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지지구(120)는 제1지지구(110)의 하부에서 제1평면부(112)와 밀착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부에 제1지지구(110)의 제1평면부(112)에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평평한 제2평면부(12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방으로 볼록한 제2곡면부(122)가 형성된 반구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지지구(120)의 제2평면부(121)에는 제1지지구(110)에 형성된 제1인입홈(1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평면부(121)의 중심을 경유하도록 연장되고 하방으로 인입되는 제2인입홈(123)이 형성된다. 제2인입홈(123)은 후술하는 베어링부의 하측 외주면 일부가 진입 및 수용될 수 있도록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평면부(121)가 제1평면부(112)에 밀착될 시, 제1인입홈(113)과 함께 고압케이블(C)이 통과 및 베어링부가 삽입 설치되는 관통구멍(H)을 형성한다.
체결부는 제1지지구(110)와 제2지지구(120)를 상호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체결볼트(131)와 체결너트(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지지구(110) 측에는 제1곡면부(111) 외주면으로부터 제2지지구(120)의 제2평면부(12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지지구(110)를 관통하는 제1체결구멍(115)이 형성되고, 제2지지구(120) 측에는 제1체결구멍(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체결구멍(115)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제2지지구(120)를 관통하는 제2체결구멍(125)이 형성된다.
체결볼트(131)는 제1체결구멍(115)을 통해 제2체결구멍(125)으로 삽입되며, 체결너트(132)는 제2체결구멍(125)으로 삽입되어 체결볼트(131)에 나사결합된다.
체결너트(132)는 체결볼트(131)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제2체결구멍(125)의 단부 측에 제2지지구(120)에 몰딩될 수도 있다. 또한, 체결너트(132)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체결구멍(125)에는 체결볼트(131)를 나사결합시킬 수 있게 나사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볼트(131)가 제1지지구(110)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체결구멍(115)의 상측에는 제1체결구멍(115)의 직경보다 확장된 확장구(116)가 형성되며, 제1체결구멍(115)과 확장구(116)에 의해 형성된 턱부에 체결볼트(131)의 헤드부가 안착된다.
베어링부는 고압케이블(C)에 대해 지지구(100)를 고압케이블(C)의 연장방향을 회전중심으로 지지구(1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저널부(210A, 210B)와, 커버부(220A, 220B)와,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널부(210A, 210B)는 관통구멍(H)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내측에는 관통구멍(H)과 나란한 방향으로 중공부(211)가 형성된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커버부(220A, 220B)의 외측에서 커버부(220A, 220B)를 감싸 커버부(220A, 220B)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중공부(2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로 분할된 제1저널부(210A) 및 제2저널부(210B)를 포함한다.
커버부(220A, 220B)는 저널부(210A, 210B)의 중공부(2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는 중공부(211)와 나란한 방향으로 고압케이블(C)이 통과하는 홀(221)이 형성된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고압케이블(C)의 외측에서 외주면을 감싸 고압케이블(C)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홀(2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로 분할된 제1커버부(220A)와 제2커버부(220B)를 포함한다.
저널부(210A, 210B)의 내경은 커버부(220A, 220B)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커버부(220A, 220B)의 내경은 고압케이블(C)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고압케이블(C)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커버부(220A, 220B)의 내주면에는 고압케이블(C)의 외주면에 밀착 및 가압되어 커버부(220A, 220B)에 대해 고압케이블(C)이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탄성패드가 더 구비된다.
이탈방지부는 저널부(210A, 210B)와 커버부(220A, 220B)에 형성되어 커버부(220A, 220B)가 저널부(210A, 210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이탈방지돌기(227)와 이탈방지홈(217)에 의해 형성된다.
이탈방지돌기(227)는 커버부(220A, 220B)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커버부(220A, 22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탈방지홈(217)은 이탈방지돌기(22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저널부(210A, 210B)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인입되고, 저널부(210A, 210B)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저널부(210A, 2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탈방지홈(217)은 저널부(210A, 210B)에 대해 커버부(220A, 220B)가 용이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저널부(210A, 210B)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부는 이탈방지돌기(227)가 이탈방지홈(217)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져 고압케이블(C)의 길이방향으로 고압케이블(C)에 외력이 작용할 때, 고압케이블(C)을 감싸는 커버부(220A, 220B)가 저널부(210A, 210B)의 내주면에 대해 슬라이딩되면서 저널부(210A, 2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 및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저널부(210A, 210B)는 수지, 에폭시, 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재에 세라믹 볼을 혼합하여 사출 성형되고, 커버부(220A, 220B)에 대해 점 접촉 및 미끄럼 마찰 가능하도록 세라믹볼의 일부가 저널부(210A, 210B)의 중공부(211) 내주면 측으로부터 노출되게 형성된다.
구름부(300)는 관로(5) 내부로 상기 고압케이블(C)을 삽입 시, 관로(5)의 내주면에 구름 접촉되면서 고압케이블(C)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구(100)에 복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름부(300)는 볼부재(310)와, 고정플레이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볼부재(310)는 관통구멍(H)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지지구(100)의 외주면에 지지구(100)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지지구(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홀(101)에 각각 삽입 설치된다.
고정플레이트(320)는 볼부재(310)가 삽입홀(101)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에 볼부재(31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볼부재(3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형의 노출구가 형성되고, 가장자리 측이 피스부재 또는 볼트부재에 의해 지지구(100) 외측에 결합 고정된다.
고정플레이트(320)를 지지구(100)에 결합시 고정플레이트(320)가 지지구(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플레이트(320)가 결합되는 지지구(100)의 외측 일정 영역에는 고정플레이트(3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고정플레이트(320)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인입된 인입부(102)가 형성된다.
촬영부(400)는 고압케이블(C)의 삽입 방향과 대응되는 상기 지지구(100)의 일 측에 설치되어 지지구(100)의 진행방향 전방 측의 영상을 촬영한다.
배터리부(500)는 상기 지지구(100) 내에 내장되고, 촬영부(4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충전단자부(600)는 배터리부(500)를 충전할 수 있도록 지지구(100) 외측에 노출되게 설치되며, 배터리부(500)와 연결된다.
무선통신부(700)는 촬영부(4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의 관리단말기(900)로 무선 송출하며, 컨트롤러(800)는 촬영부(400) 및 무선통신부(700)의 동작과 배터리부(50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한다.
촬영부(400)에서 촬영된 영상은 관리단말기(9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확인하면서 고압케이블(C)의 관로 내 인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구 기울임 방지유닛(610)은 구름부(300)가 관로(5)에 접촉 시, 지지구(100)가 고압케이블(C)이 삽입되는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구(100)를 지지하여 고압케이블(C)이 관로(5)를 따라 나란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한다.
지지구 기울임 방지유닛(610)은 지지구가 고압케이블이 삽입되는 전방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기울임방지부(620)와, 지지구가 후방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기울임방지부(720)를 구비한다.
전방기울임방지부(620)는 전방관로하부지지부(621)와, 전방관로 상부지지부(641)와, 제1확개유닛을 구비한다.
전방관로하부지지부(621)는 제2지지구(120)의 전방 측에 일측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후술되는 제1확개유닛에 의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된다.
전방관로하부지지부(621)는 제2지지구(120)의 외경이 큰 상부 전방측 양 측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브라켓(622,630)과, 일측이 제1브라켓(622)에 상하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지지구(12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지지바(626)와, 일측이 제2브라켓(630)에 상하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지지구(12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2지지구(120)를 사이에 두고 제1지지바(626)에 대칭되는 제2지지바(634)와,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의 타단에 양측이 회건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지지롤러(638)를 구비한다.
제1지지바(626)와 제2지지바(634)는 각 타측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좁아진다.
제1브라켓(622)은 중공부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되는 제2지지구(120) 일측부에 장착되게 제2지지구(120)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1곡면연장부(623)와, 고압케이블(C)이 삽입되는 방향인 전방을 향하는 제1곡면연장부(623)의 일단에 중공부(211)의 관통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직선연장부(624)를 구비한다. 제2브라켓(630)은 제1곡면연장부(623)가 중공부에 이격되는 거리에 대응되게 중공부에 이격되는 제2지지구(120)의 타측부에 장착되게 제2지지구(120)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2곡면연장부(631)와, 고압케이블(C)이 삽입되는 방향인 전방을 향하는 제2곡면연장부(631)의 일단에 제1직선연장부(624)에 나란하게 연장된 제2직선연장부(632)를 구비한다.
제1지지바(626)는 제1직선연장부(624)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회동결합부(627)와, 제1회동결합부(627)에서 제2지지구(120)에 멀어지게 연장되되 제2지지바(634)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1절곡연장부(628)와, 제1절곡연장부(628)에서 제1회동결합부(627)와 나란하게 제2지지구(120)에 멀어지게 연장되어 제1지지롤러(638)의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지지부(629)를 구비한다.
제2지지바(634)는 제2직선연장부(632)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회동결합부(635)와, 제2회동결합부(635)에서 제2지지구(120)에 멀어지게 연장되되 제1절곡연장부(628)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2절곡연장부(636)와, 제2절곡연장부(636)에서 제2회동결합부(635) 및 제1롤러지지부(629)와 나란하게 연장되며 제1지지롤러(638)의 타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지지부(637)를 구비한다.
전방관로상부지지부(641)는 제1지지구(110)의 전방 측에 일측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후술되는 제1확개유닛에 의해 상향경사지게 연장된다.
전방관로상부지지부(641)는 제1지지구(110)의 외경이 큰 하부 전방측 양 측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3 및 제4브라켓(642,650)과, 일측이 제3브라켓(642)에 상하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지지구(11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지지바(646)와, 일측이 제4브라켓(650)에 상하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지지구(11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1지지구(110)를 사이에 두고 제3지지바(646)에 대칭되는 제4지지바(654)와, 제3지지바와 제4지지바의 타단에 양측이 회건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지지롤러(658)를 구비한다.
제3지지바(642)와 제4지지바(650)는 각 타측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좁아진다.
제3브라켓(642)은 중공부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되는 제1지지구(110) 일측부에 장착되게 제1지지구(110)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3곡면연장부(643)와, 고압케이블(C)이 삽입되는 방향인 전방을 향하는 제3곡면연장부(643)의 일단에 중공부(211)의 관통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3직선연장부(645)를 구비한다. 제4브라켓(650)은 제3곡면연장부(643)가 중공부에 이격되는 거리에 대응되게 중공부에 이격되는 제1지지구(110)의 타측부에 장착되게 제1지지구(110)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4곡면연장부(651)와, 고압케이블(C)이 삽입되는 방향인 전방을 향하는 제4곡면연장부(651)의 일단에 제3직선연장부(645)에 나란하게 연장된 제4직선연장부(652)를 구비한다.
제3지지바(646)는 제3직선연장부(645)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회동결합부(647)와, 제3회동결합부(647)에서 제1지지구(110)에 멀어지게 연장되되 제4지지바(654)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3절곡연장부(648)와, 제3절곡연장부(648)에서 제1지지구(110)에 멀어지게 연장되어 제3회동결합부(647)와 나란하며 제2지지롤러(658)의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롤러지지부(649)를 구비한다.
제4지지바(654)는 제4직선연장부(652)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4회동결합부(655)와, 제4회동결합부(655)에서 제1지지구(110)에 멀어지게 연장되되 제3절곡연장부(648)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4절곡연장부(656)와, 제4절곡연장부(656)에서 제1지지구(110)에 멀어지게 연장되어 제4회동결합부(655) 및 제3롤러지지부(649)와 나란하며 제2지지롤러(658)의 타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4롤러지지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제1확개유닛은 전방관로하부지지부(621)와 전방관로상부지지부(641)가 상호 확개되어 관로(5)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전방관로하부지지부(621)와 전방관로상부지지부(641)를 탄성지지하는 제1확개부재(660)와 제2확개부재(661)를 구비한다.
제1확개부재(660)와 제2확개부재(661)는 각각 코일스프링이 적용된다.
제1확개부재(660)는 상하로 연장되게 일측이 제1지지바(626)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3지지바(646)에 연결된다. 제2확개부재(661)는 상하로 연장되게 일측이 제2지지바(634)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4지지바(654)에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확개부재(660)에 의해 제1지지바(626)는 하향 경사지고, 제3지지바(646)는 상향경사진다. 그리고, 제2확개부재(661)에 의해 제2지지바(635)는 하향 경사지고, 제4지지바(654)는 상향경사진다.
후방기울임방지부(720)는 후방관로하부지지부(721)와, 후방관로 상부지지부(741)와, 제2확개유닛을 구비한다.
후방관로하부지지부(721)는 제2지지구(120)의 후방 측에 일측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후술되는 제2확개유닛에 의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된다.
후방관로하부지지부(721)는 제2지지구(120)의 외경이 큰 상부 후방측 양 측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5 및 제6브라켓(722,730)과, 일측이 제5브라켓(722)에 상하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지지구(12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7지지바(626)와, 일측이 제6브라켓(730)에 상하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지지구(12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2지지구(120)를 사이에 두고 제5지지바(726)에 대칭되는 제6지지바(734)와, 제5지지바와 제6지지바의 타단에 양측이 회건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지지롤러(738)를 구비한다.
제5지지바(726)와 제6지지바(734)는 각 타측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좁아진다.
제5브라켓(722)은 중공부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되는 제2지지구(120) 일측부에 장착되게 제2지지구(120)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5곡면연장부(723)와, 고압케이블(C)이 삽입되는 방향인 후방을 향하는 제5곡면연장부(723)의 일단에 중공부(211)의 관통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5직선연장부(724)를 구비한다. 제6브라켓(730)은 제5곡면연장부(723)가 중공부에 이격되는 거리에 대응되게 중공부에 이격되는 제2지지구(120)의 타측부에 장착되게 제2지지구(120)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6곡면연장부(731)와, 고압케이블(C)이 삽입되는 방향인 전방을 향하는 제7곡면연장부(731)의 일단에 제5직선연장부(724)에 나란하게 연장된 제6직선연장부(732)를 구비한다.
제5지지바(726)는 제5직선연장부(724)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5회동결합부(727)와, 제5회동결합부(727)에서 제2지지구(120)에 멀어지게 연장되되 제6지지바(734)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5절곡연장부(728)와, 제5절곡연장부(728)에서 제5회동결합부(727)와 나란하게 제2지지구(120)에 멀어지게 연장되어 제3지지롤러(738)의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5롤러지지부(729)를 구비한다.
제6지지바(734)는 제6직선연장부(732)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6회동결합부(735)와, 제6회동결합부(735)에서 제2지지구(120)에 멀어지게 연장되되 제5절곡연장부(728)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6절곡연장부(736)와, 제6절곡연장부(736)에서 제6회동결합부(735) 및 제5롤러지지부(729)와 나란하게 연장되며 제3지지롤러(738)의 타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6롤러지지부(737)를 구비한다.
후방관로상부지지부(741)는 제1지지구(110)의 후방 측에 일측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후술되는 제2확개유닛에 의해 상향경사지게 연장된다.
후방관로상부지지부(741)는 제1지지구(110)의 외경이 큰 하부 후방측 양 측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7 및 제8브라켓(742,750)과, 일측이 제7브라켓(742)에 상하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지지구(11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7지지바(746)와, 일측이 제8브라켓(750)에 상하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지지구(11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1지지구(110)를 사이에 두고 제7지지바(746)에 대칭되는 제8지지바(754)와, 제7지지바와 제8지지바의 타단에 양측이 회건가능하게 장착되는 제4지지롤러(758)를 구비한다.
제7지지바(746)와 제8지지바(750)는 각 타측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좁아진다.
제7브라켓(742)은 중공부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되는 제1지지구(110) 일측부에 장착되게 제1지지구(110)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7곡면연장부(743)와, 고압케이블(C)이 삽입되는 방향인 후방을 향하는 제7곡면연장부(743)의 일단에 중공부(211)의 관통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7직선연장부(745)를 구비한다. 제8브라켓(750)은 제8곡면연장부(743)가 중공부에 이격되는 거리에 대응되게 중공부에 이격되는 제1지지구(110)의 타측부에 장착되게 제1지지구(110)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8곡면연장부(751)와, 고압케이블(C)이 삽입되는 방향인 후방을 향하는 제8곡면연장부(751)의 일단에 제7직선연장부(745)에 나란하게 연장된 제8직선연장부(752)를 구비한다.
제7지지바(746)는 제7직선연장부(745)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7회동결합부(747)와, 제7회동결합부(747)에서 제1지지구(110)에 멀어지게 연장되되 제8지지바(754)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7절곡연장부(748)와, 제7절곡연장부(748)에서 제1지지구(110)에 멀어지게 연장되어 제7회동결합부(747)와 나란하며 제4지지롤러(758)의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7롤러지지부(749)를 구비한다.
제8지지바(754)는 제8직선연장부(752)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8회동결합부(미도시)와, 제8회동결합부(미도시)에서 제1지지구(110)에 멀어지게 연장되되 제7절곡연장부(748)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8절곡연장부(756)와, 제8절곡연장부(756)에서 제1지지구(110)에 멀어지게 연장되어 제8회동결합부 및 제7롤러지지부(749)와 나란하며 제4지지롤러(758)의 타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8롤러지지부(757)를 구비한다.
제2확개유닛은 후방관로하부지지부(721)와 후방관로상부지지부(741)가 상호 확개되어 관로(5)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후방관로하부지지부(721)와 후방관로상부지지부(741)를 탄성지지하는 제3확개부재(760)와 제4확개부재(761)를 구비한다.
제3확개부재(760)와 제4확개부재(761)는 각각 코일스프링이 적용된다.
제3확개부재(760)는 상하로 연장되게 일측이 제5지지바(726)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7지지바(746)에 연결된다. 제4확개부재(761)는 상하로 연장되게 일측이 제6지지바(734)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8지지바(754)에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3확개부재(760)에 의해 제5지지바(726)는 하향 경사지고, 제7지지바(746)는 상향경사진다. 그리고, 제4확개부재(761)에 의해 제6지지바(735)는 하향 경사지고, 제8지지바(754)는 상향경사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1)는 고압케이블(C)이 관로를 통과할 때 고압케이블과 관로(5)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손상을 방지하고, 고압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1)는 지지구(100)의 전후방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구 기울임방지유닛(610)에 의해 고압케이블을 관로 내로 삽입 시 지지구(100)의 기울어짐이 방지되어 고압케이블을 관로 연장방향을 수평하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관로 삽입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는 지지구 기울임방지유닛을 제외하고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의 구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구 기울임방지유닛은 전방기울임방지부(820)와, 후방기울임방지부(920)를 구비한다.
전방기울임방지부(820)는 전방관로하부지지부(821)와 전방관로상부지지부(641)와, 제1 및 제2확개부재(660,661)를 구비한다.
전방관로하부지지부(821)는 제1 및 제2브라켓(622,630)과, 제1 및 제2지지바(826,834)과, 제1지지롤러(838)와 제1당김부재(664)를 구비한다.
제1 지지바(826)는 제1회동결합부(627)와, 제1회동결합부(627)에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축(830) 결합되어 제1회동결합부(627)에서 제2지지구(120)에 멀어지게 연장되되 제2지지바(634)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1절곡연장부(628)와, 제1절곡연장부(628)에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축(831) 결합되며 제1절곡연장부(628)에서 제1회동결합부(627)와 나란하게 제2지지구(120)에 멀어지게 연장되어 제1지지롤러(638)의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지지부(629)를 구비한다.
제2지지바(834)는 제2회동결합부(635)와, 제2회동결합부(635)에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축(835) 결합되어 제2회동결합부(635)에서 제2지지구(120)에 멀어지게 연장되되 제1절곡연장부(628)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2절곡연장부(636)와, 제2절곡연장부(636)에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축(836) 결합되며 제2절곡연장부(636)에서 제2회동결합부(635) 및 제1롤러지지부(629)와 나란하게 연장되며 제1지지롤러(638)의 타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지지부(637)를 구비한다.
제1당김부재(664)는 길이 신축 가능한 탄성력을 갖는 코일스프링이 적용되어, 지지구(100)를 사이에 두고 제1지지바(826)와 제2지지바(834)가 상호 멀어지게 회동된 후 이격거리가 복원될 수 있도록 양측에 연결되는 제1지지바(826)와 제2지지바(834)를 당긴다.
제1지지롤러(838)는 관로(5)의 저부에 기 포설된 다른 고압케이블(C')들이 삽입되는 고압케이블(C) 보다 큰 직경을 가질 경우, 기 포설된 다른 고압케이블(C')에 접촉시 접촉면적이 확장되도록 일측부와 타측부가 상호 이격되게 분리구조를 갖는다.
제1지지롤러(838)는 제1지지바(826)의 제1롤러지지부(629)에 일단에 형성된 제1회전축(84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제2지지바(834)를 향하는 타측이 외경이 축소되게 형성되며 타단 중심측에 제1슬라이딩돌기(841)가 형성된 제1몸체(839)와, 제2지지바(834)의 제2롤러지지부(637)에 타단에 형성된 제2회전축(843)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지지바(826)를 향하는 타측이 외경이 축소되게 형성되며 타단 중심측에 제1슬라이딩 돌기(841)가 진퇴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 결합홈(844)이 형성되는 제2몸체(842)를 구비한다.
제1몸체(839)의 외경이 축소된 타측과, 제2몸체(842)의 외경이 축소된 일측은 외경이 축소되되 오목한 호형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후방기울임방지부(920)는 후방관로하부지지부(921)와, 후방관로상부지지부(741)와, 제3 및 제4확개부재(760,761)를 구비한다.
후방관로하부지지부(921)는 제5 및 제6브라켓(722,730)과, 제5 및 제6지지바(926,934)과, 제3지지롤러(938)와, 제2당김부재(764)를 구비한다.
제5지지바(926)는 제5회동결합부(727)와, 제5회동결합부(727)에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축(927) 결합되어 제5회동결합부(727)에서 제2지지구(120)에 멀어지게 연장되되 제6지지바(734)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5절곡연장부(728)와, 제5절곡연장부(728)에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축(928) 결합되며 제5절곡연장부(728)에서 제5회동결합부(727)와 나란하게 제2지지구(120)에 멀어지게 연장되어 제3지지롤러(938)의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5롤러지지부(729)를 구비한다.
제6지지바(934)는 제6회동결합부(735)와, 제6회동결합부(735)에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축(935) 결합되어 제6회동결합부(735)에서 제2지지구(120)에 멀어지게 연장되되 제5절곡연장부(728)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제6절곡연장부(736)와, 제6절곡연장부(736)에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축(936) 결합되며 제6절곡연장부(736)에서 제6회동결합부(735) 및 제5롤러지지부(729)와 나란하게 연장되며 제3지지롤러(938)의 타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6롤러지지부(737)를 구비한다.
제2당김부재(764)는 길이 신축 가능한 탄성력을 갖는 코일스프링이 적용되어, 지지구(100)를 사이에 두고 제5지지바(926)와 제6지지바(934)가 상호 멀어지게 회동된 후 이격거리가 복원될 수 있도록 양측에 연결되는 제5지지바(926)와 제6지지바(934)를 당긴다.
제3지지롤러(938)는 제1지지롤러(838)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기 포설된 다른 고압케이블(C')에 접촉시 접촉면적이 확장되도록 일측부와 타측부가 상호 이격되게 분리구조를 갖는다.
제3지지롤러(938)는 제6지지바(934)의 제6롤러지지부(737)에 일단에 형성된 제3회전축(94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제5지지바(926)를 향하는 타측이 외경이 축소되게 형성되며 타단 중심측에 제2슬라이딩돌기(941)가 형성된 제3몸체(939)와, 제5지지바(926)의 제5롤러지지부(729)에 타단에 형성된 제4회전축(943)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제6지지바(934)를 향하는 타측이 외경이 축소되게 형성되며 타단 중심측에 제2슬라이딩 돌기(941)가 진퇴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 결합홈(944)이 형성되는 제4몸체(942)를 구비한다.
제3몸체(939)의 외경이 축소된 타측과, 제4몸체(942)의 외경이 축소된 일측은 외경이 축소되되 오목한 호형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9를 참고하면, 제1지지롤러는 연장된 길이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압케이블(C')에 접촉시 고압케이블(C')의 상부측에 접촉되는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이격되면서 호형곡면을 갖는 중심측이 고압케이블(C')과 접촉면적이 넓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3지지롤러도 연장된 길이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압케이블(C')에 접촉시 고압케이블(C')의 상부측에 접촉되는 제3몸체와 제4몸체가 이격되면서 호형곡면을 갖는 중심측이 고압케이블(C')과 접촉면적이 넓게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는 제1 및 제3지지롤러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압케이블(C')이 기 포설된 관로 내에도 고압케이블(C)을 연장방향을 수평하게 안정적으로 지지면서 삽입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100 : 지지구 110 : 제1지지구
120 : 제2지지구 210A : 제1저널부
210B : 제2저널부 217 : 이탈방지홈
220A : 제1커버부 220B : 제2커버부
227 : 이탈방지돌기 300 : 구름부
310 : 볼부재 320 : 고정플레이트
400 : 촬영부 500 : 배터리부
600 : 충전단자부 610 : 지지구 기울임 방지유닛
620 : 전방기울임방지부 621 : 전방관로하부지지부
641 : 전방관로상부지지부 700 : 무선통신부
720 : 후방기울임방지부 721 : 후방관로하부지지부
841 : 후방관로상부지지부 800 : 컨트롤러
900 : 관리단말기

Claims (4)

  1. 고압케이블이 삽입되는 관로의 내주면에 대해 상기 고압케이블을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압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압케이블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는 것으로서,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압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게 구심을 경유하여 연장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지지구와;
    상기 고압케이블에 대해 상기 지지구를 상기 고압케이블의 연장방향을 회전중심으로 상기 지지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와;
    상기 관로 내부로 상기 고압케이블을 삽입 시, 상기 관로의 내주면에 구름 접촉되면서 상기 고압케이블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름부와;
    상기 고압케이블의 삽입 방향과 대응되는 상기 지지구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구의 진행방향 전방 측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지지구 내에 내장되고, 상기 촬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구에 설치되는 충전단자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송출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의 동작과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구는
    상부에 상방으로 볼록한 제1곡면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평평한 제1평면부가 형성된 반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부에 상기 제1평면부의 중심부를 경유하도록 연장되고 상방으로 인입되는 제1인입홈이 형성된 제1지지구와,
    상기 제1지지구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부에 상기 제1지지구의 제1평면부에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평평한 제2평면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방으로 볼록한 제2곡면부가 형성된 반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평면부에는 상기 제1인입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평면부의 중심을 경유하도록 연장되고 하방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1인입홈과 함께 상기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제2인입홈이 형성된 제2지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관통구멍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는 상기 관통구멍과 나란한 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하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저널부와,
    상기 저널부의 중공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압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고압케이블에 결합되며, 상하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널부와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저널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탈방지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구름부가 상기 관로에 접촉 시, 상기 지지구가 상기 고압케이블이 삽입되는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지지구를 지지하여 상기 고압케이블이 상기 관로를 따라 나란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지지구 기울임방지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구 기울임 방지유닛은
    상기 제2지지구의 전방 측에 일측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며 타단에 상기 관로의 내주면에 접해 구름운동하는 제1지지롤러를 포함하는 전방관로하부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구의 전방 측에 일측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며 타단에 상기 관로의 내주면에 접해 구름운동하는 제2지지롤러를 포함하는 전방관로상부지지부와, 상기 전방관로하부지지부와 상기 전방관로상부지지부가 상호 확개되어 관로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상기 전방관로하부지지부와 상기 전방관로상부지지부를 탄성지지하는 제1확개유닛을 구비하는 전방기울임방지부와;
    상기 제2지지구의 후방 측에 일측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며 타단에 상기 관로의 내주면에 접해 구름운동하는 제3지지롤러를 포함하는 후방관로하부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구의 후방 측에 일측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며 타단에 상기 관로의 내주면에 접해 구름운동하는 제4지지롤러를 포함하는 후방관로상부지지부와, 상기 후방관로하부지지부와 상기 후방관로상부지지부가 상호 확개되어 관로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상기 후방관로하부지지부와 상기 후방관로상부지지부를 탄성지지하는 제2확개유닛을 구비하는 후방기울임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관로하부지지부는
    각 일측이 상기 제2지지구의 전방측 양 측부에 각각 상하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지지구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각각 연장되되 타측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좁아지며 타단에 상기 제1지지롤러의 양측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및 제2지지바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전방관로상부지지부는
    각 일측이 상기 제1지지구의 전방측 양 측부에 각각 상하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지지구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각각 연장되되 타측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좁아지며 타단에 상기 제2지지롤러의 양측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 및 제4지지바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확개유닛은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제1지지바와 상기 제3지지바가 상기 관로에 접한 상태가 유지되게 상기 제1지지바와 상기 제3지지바를 탄성지지하는 제1확개부재와,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제2지지바와 상기 제4지지바가 상기 관로에 접한 상태가 유지되게 상기 제2지지바와 상기 제4지지바를 탄성지지하는 제2확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관로하부지지부는
    각 일측이 상기 제2지지구의 후방측 양 측부에 각각 상하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지지구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각각 연장되되 타측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좁아지며 타단에 상기 제3지지롤러의 양측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5 및 제6지지바를 더 구비하며,
    상기 후방관로상부지지부는
    각 일측이 상기 제1지지구의 후방측 양 측부에 각각 상하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지지구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각각 연장되되 타측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좁아지며 타단에 상기 제4지지롤러의 양측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7 및 제8지지바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확개유닛은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제5지지바와 상기 제7지지바가 상기 관로에 접한 상태가 유지되게 상기 제5지지바와 상기 제7지지바를 탄성지지하는 제3확개부재와,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제6지지바와 상기 제8지지바가 상기 관로에 접한 상태가 유지되게 상기 제6지지바와 상기 제8지지바를 탄성지지하는 제4확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롤러는
    상기 관로의 저부에 기 포설되며 상기 제1지지롤러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다른 고압케이블들에 접촉시 접촉면적이 확장되도록 일측부와 타측부가 상호 이격되게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심측 외경이 축소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바와 상기 제2지지바는
    상기 제1지지롤러의 일측부와 타측부가 이격될 수 있도록 각 일측이 상기 제2지지구에 대해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전방관로하부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바와 상기 제2지지바가 상호 멀어지게 회동된 후 이격거리가 복원될 수 있도록 양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1지지바와 상기 제2지지바를 당길 수 있도록 길이신축가능한 제1당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지지롤러는
    상기 관로의 저부에 깔린 상기 다른 고압케이블들에 접촉시 접촉면적이 확장되도록 일측부와 타측부가 상호 이격되게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심측 외경이 축소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5 지지바와 상기 제6지지바는
    상기 제3지지롤러의 일측부와 타측부가 이격될 수 있도록 각 일측이 상기 제2지지구에 대해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후방관로하부지지부는
    상기 제5지지바와 상기 제6지지바가 상호 멀어지게 회동된 후 이격거리가 복원될 수 있도록 양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5지지바와 상기 제6지지바를 당길 수 있도록 길이신축가능한 제2당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KR1020200040533A 2020-04-02 2020-04-02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KR102153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533A KR102153116B1 (ko) 2020-04-02 2020-04-02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533A KR102153116B1 (ko) 2020-04-02 2020-04-02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116B1 true KR102153116B1 (ko) 2020-09-08

Family

ID=7247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533A KR102153116B1 (ko) 2020-04-02 2020-04-02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1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810B1 (ko) * 2020-04-29 2021-01-12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옥외형 통신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KR102273861B1 (ko) * 2021-04-30 2021-07-06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CN113437702A (zh) * 2021-07-27 2021-09-24 国网河南省电力公司平顶山供电公司 一种用于顶管法敷设电缆的工况检测装置
CN117335327A (zh) * 2023-10-10 2024-01-02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淮南市潘集区供电公司 井道电缆适应性敷设固定装置
CN117335325A (zh) * 2023-09-18 2024-01-02 安徽宏源电力设计咨询有限责任公司 一种电缆穿排管辅助工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954Y1 (ko) * 2003-07-16 2003-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파이프내 전선배열용 리드와이어 견인장치
KR100786374B1 (ko) 2007-06-20 2007-12-14 최부일 송배전 고압 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0875450B1 (ko) 2008-04-07 2008-12-22 (유)전일기술단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1864444B1 (ko) * 2017-11-29 2018-06-04 (유)전일기술단 옥외형 통신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KR101962941B1 (ko) * 2018-07-19 2019-03-27 주식회사 천운건설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954Y1 (ko) * 2003-07-16 2003-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파이프내 전선배열용 리드와이어 견인장치
KR100786374B1 (ko) 2007-06-20 2007-12-14 최부일 송배전 고압 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0875450B1 (ko) 2008-04-07 2008-12-22 (유)전일기술단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KR101864444B1 (ko) * 2017-11-29 2018-06-04 (유)전일기술단 옥외형 통신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KR101962941B1 (ko) * 2018-07-19 2019-03-27 주식회사 천운건설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810B1 (ko) * 2020-04-29 2021-01-12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옥외형 통신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KR102273861B1 (ko) * 2021-04-30 2021-07-06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CN113437702A (zh) * 2021-07-27 2021-09-24 国网河南省电力公司平顶山供电公司 一种用于顶管法敷设电缆的工况检测装置
CN117335325A (zh) * 2023-09-18 2024-01-02 安徽宏源电力设计咨询有限责任公司 一种电缆穿排管辅助工具
CN117335325B (zh) * 2023-09-18 2024-04-02 安徽宏源电力设计咨询有限责任公司 一种电缆穿排管辅助工具
CN117335327A (zh) * 2023-10-10 2024-01-02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淮南市潘集区供电公司 井道电缆适应性敷设固定装置
CN117335327B (zh) * 2023-10-10 2024-05-17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淮南市潘集区供电公司 井道电缆适应性敷设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116B1 (ko)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US4337922A (en) Apparatus for laying and securing heavy electrical cables
US6578800B2 (en) Apparatus for fixing a cable guidance hose
EP2446513B1 (en) A guidance chain for guiding cables or other lines in a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JP5461616B2 (ja) ガイドローラ装置
KR101777411B1 (ko) 송배전 고압케이블의 인입장치구조
CN203781484U (zh) 一种用于输电电缆的放线装置
CN208142720U (zh) 一种便携式可调节的电力线缆放线专用装置
JP2013043717A (ja) 電気車両用充電装置
KR101962941B1 (ko) 송전 및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삽입 도움장치
KR20180024123A (ko) 지중선로 입선용 원형롤러
GB2574735A (en) Cable retraction apparatus
KR102273861B1 (ko)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CN211266274U (zh) 一种电缆敷设辅助装置
US20060196986A1 (en) Umbilical retraction apparatus
KR102235162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KR100877731B1 (ko) 공동주택의 배전을 위한 절연형 내선연결대
KR100619438B1 (ko) 전신주에 연결된 전선의 늘어짐 방지와 위치조절이 가능한전선연결기구
CN110635281A (zh) 一种一拖多型电力连接装置
KR20010090195A (ko) 케이블배선용 삽입장치
CN213937213U (zh) 一种通信电缆架设装置
KR101708484B1 (ko) 송배전 지중관로의 도통시험장치
CN111211520A (zh) 一种电缆敷设辅助装置
KR101704613B1 (ko) 활선 상태에서의 배전선로 교체장치
CN220148875U (zh) 一种导地线用的牵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