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174B1 -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174B1
KR100966174B1 KR1020100012550A KR20100012550A KR100966174B1 KR 100966174 B1 KR100966174 B1 KR 100966174B1 KR 1020100012550 A KR1020100012550 A KR 1020100012550A KR 20100012550 A KR20100012550 A KR 20100012550A KR 100966174 B1 KR100966174 B1 KR 100966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pressing piece
lifting
pressing
in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건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건축
Priority to KR1020100012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에 관한 것으로, 공동주택 단지 내에 가로등이나 신호등과 같은 전기시설물을 설치할 때 시설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시설물의 설치 지역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고, 전력선의 인출시 전력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는, 인양철선(3)이 연결되는 인양 유도부(10)와; 상기 인양 유도부의 후방에 힌지(15)를 통해 연결되며 다수의 전력선(1)이 연결되는 전력선 연결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인양 유도부는, 둘레부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몸체(11), 상기 몸체의 선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되는 첨예부(12), 상기 몸체의 둘레부의 4개소에 각각 설치되며 지중에 매설된 매설관(3)의 벽면을 따라 구르는 4개의 롤러(13)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선 연결부는, 연결링(32)의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다수의 제1가압편(31)이 구비되며 상기 제1가압편의 둘레부에 전력선이 안착되는 곡선형의 안착부(33)가 구비된 원통형의 내통체(30), 상기 내통체의 제1가압편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제1가압편을 벌어지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조임볼트(40), 이탈방지턱(52a)이 구비된 연결링(52)의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면서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전력선과 상기 내통체가 수용되는 다수의 제2가압편(51)이 구비되며 상기 제2가압편의 내주면에 상기 전력선을 덮는 덮개부(53)가 구비된 원통형이고 상기 인양 유도부에 힌지로 연결되는 외통체(50), 상기 외통체의 제2가압편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제2가압편을 모이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조임너트(60), 상기 외통체의 연결링의 둘레부의 4개소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매설관의 내벽면을 따라 구르는 4개의 롤러(54)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PULLING EYE FOR EXTRACTING POWER LINE IN AN APARTMENT HOUS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단지 내에 가로등이나 신호등과 같은 전기시설물을 설치할 때 시설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시설물의 설치 지역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고, 전력선의 인출시 전력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 내에 설치하는 신호등이나 가로등에는 전력선이 지중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전력선을 신호등이나 가로등에 연결하는 방식은 각 신호등이나 가로등을 설치하는 기초콘크리트를 연결하는 파형관(매설관)을 설치하고, 파형관에 저전압용 전력선을 삽입하여 연결 설치한다.
이때 파형관을 설치할 때 미리 파형관 내에 인양철선을 내장하여 전력선의 단부에 인양철선을 연결하고, 인양철선을 윈치에 연결하여 잡아당기면 전력선이 파형관을 통하여 인출되게 되어 신호등이나 가로등에 전력선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 전력선을 인양철선에 연결하는 방식은 전력선의 심선을 구부려 인양철선에 연결하고, 그 주위에 테이프를 감는 방식으로 전력선의 심선이 절단되거나 인양철선에 의해 파형관을 통과하면서 감은 테이프가 벗겨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전력선의 심선을 일일이 구부리고 테이프를 감아야 하므로 그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고, 불편하였다.
또한, 전력선을 파형관에서 인출한 후에 심선을 다시 원상태로 펴야 하므로 불편하고, 심선을 원상태로 펴는 도중에 절단되어 다시 피복을 벗겨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풀링아이(Pulling eye)가 사용된다.
풀링아이는 전력선 종단에서 인장와이어(인양철선)와 포설장비를 연결하여 포설작업을 실시할 때 전력선을 당기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규정 포설장력 이상으로 당길 경우에도 전력선과 인장와이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전력선의 외피가 손상되거나 인장와이어가 늘어나면서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풀링아이는, 전력선을 일방향에서 단순 가압하는 방식이거나 피복을 벗긴 후 연결하는 방식으로, 전자의 경우 전력선을 인출할 때 전력선에 인출방향과 반대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되면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고, 후자의 경우 피복을 벗기는 작업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동주택 단지 내에 가로등이나 신호등과 같은 전기시설물을 설치할 때 시설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시설물의 설치 지역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고, 전력선의 인출시 전력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는, 인양철선이 연결되는 인양 유도부와; 상기 인양 유도부의 후방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며 다수의 전력선이 연결되는 전력선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양 유도부는, 둘레부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첨예부, 상기 몸체의 둘레부의 4개소에 각각 설치되며 지중에 매설된 매설관의 벽면을 따라 구르는 4개의 제1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선 연결부는, 연결링의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다수의 제1가압편이 구비되며 상기 제1가압편의 둘레부에 전력선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된 원통형의 내통체, 상기 내통체의 제1가압편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제1가압편을 벌어지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조임볼트,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연결링의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면서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전력선과 상기 내통체가 수용되는 다수의 제2가압편이 구비되며 상기 제2가압편의 내주면에 상기 전력선을 덮는 덮개부가 구비된 원통형이고 상기 인양 유도부에 힌지로 연결되는 외통체, 상기 외통체의 제2가압편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제2가압편을 모이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조임너트, 상기 외통체의 연결링의 둘레부의 4개소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매설관의 내벽면을 따라 구르는 4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에 의하면, 전력선이 제1,2가압편에 의해 내외부 양측에서 가압됨으로써 견고하게 연결되어 공동주택 단지 내에 가로등이나 신호등과 같은 전기시설물을 설치할 때 전력선의 이탈이나 단선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고 전력선의 인출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의 조립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의 사용 상태도.
도 1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는(100), 다수의 전력선(1)을 공동주택 단지의 가로등과 같은 전기시설물에 연결하기 위하여 전력선(1)을 매설관(2)을 통해 인출하기 위한 것으로, 인양철선(3)이 연결되는 인양 유도부(10)와; 전력선(1)이 연결되며 인양 유도부(10)에 의해 매설관(2)을 따라 이동하는 전력선 연결부(20)로 구성된다.
인양 유도부(10)는, 전력선 연결부(20)를 매설관(2) 내부에서 이동하기 위한 선도체로서, 둘레부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몸체(11)로 구성된다.
몸체(11)의 선단부에는 매설관(2)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있더라도 이물질에 의해 전력선(1)의 인양이 간섭되지 않도록 이물질을 주변으로 분산시키는 첨예부(12)가 형성된다. 첨예부(12)에는 인양철선(3)이 연결되는 고리(12a)가 형성된다.
인양 유도부(10)는 매설관(2)의 중심에 배치되어 인양철선(3)의 당김에 의해 이동할 때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롤러(13)가 적용된다. 롤러(13)는 몸체(11)의 둘레부의 4개소에 균일한 각도를 두고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인양 유도부(10)는 전력선 연결부(2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특히, 매설관(2)의 곡선부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전력선 연결부(20)와 힌지(15)로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몸체(11)의 배면에는 힌지(15)가 연결되는 제1힌지브래킷(14)이 돌출 형성된다.
전력선 연결부(20)는, 다수 예를 들어 4개의 전력선(1)이 견고하게 연결되어 전력선(1)의 인출 중에 전력선(1)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다수의 전력선(1)을 원주를 따라 배열하고 이렇게 배열된 전력선(1)의 내부와 외부에서 전력선(1)의 중심방향으로 가압력을 발생하여 전력선(1)을 고정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내통체(30)는 다수(전력선(1)의 수량과 동일하게 구성)의 제1가압편(31)이 구비된다. 다수의 제1가압편(31)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각각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구조이며, 일측은 연결링(32)을 통해 연결된다.
제1가압편(31)은 둘레부에 전력선(1)이 수용되며, 외력에 의해 벌어져 둘레부에 수용된 전력선(1)을 탄력 지지하고,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다.
조임볼트(40)는 내통체(30)의 제1가압편(31)을 벌어지도록 하여 제1가압편(31)에 안착된 전력선(1)을 외부로 지지하는 것이며, 제1가압편(3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나사 체결된다.
즉, 제1가압편(31)들에 의해 형성되는 원의 직경은 조임볼트(4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조임볼트(40)의 체결에 의해 제1가압편(31)이 벌어지는 것이다.
외통체(50)는 내통체(30)와 동일한 구조로서, 다수의 제2가압편(51)이 탄성 변형하면서 전력선(1)을 가압하는 것으로, 단 전력선(1)을 내통체(30) 방향으로 가압한다.
제2가압편(51)들은 연결링(52)을 통해 연결되어 일측의 자유단부가 탄성변형하며, 예를 들어,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선에 후술하는 조임너트(60)가 체결됨으로써 전력선(1)을 내통체(30) 방향으로 가압한다.
연결링(52)의 단부에는 조임너트(60)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턱(52a)이 형성된다.
외통체(50)의 연결링(52)의 둘레부에는 4개의 롤러(54)가 장착된다. 이 롤러(54)는 인양 유도부(10)의 롤러(13)와 동일한 목적으로 적용된 것이다.
전력선 연결부(20)는 인양 유도부(10)와 힌지(15)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외통체(50)의 연결링(52)에는 힌지(15)가 결합되는 제2힌지브래킷(55)이 돌출 형성된다.
조임너트(60)는 외통체(50)의 제2가압편(51)의 나사선에 나사 체결되어 제2가압편(51)을 통해 전력선(1)을 내통체(30)측으로 가압한다.
본 발명은 전력선(1)을 제1,2가압편(31,51) 사이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안착부(33)와 덮개부(53)가 적용될 수 있다.
안착부(33)는 제1가압편(31)의 외주면에 전력선(1)을 감싸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덮개부(53)는 제2가압편(51)의 내주면에 전력선(1)을 감싸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안착부(33)와 덮개부(53)는 각각 하나의 전력선(1)을 내외부 양측에서 지지하는 것이며, 전력선(1)에 대한 가압력을 증대하고 전력선(1)의 빠짐을 막기 위하여 안착부(33)와 덮개부(53)는 각각 표면에 다수의 가압돌기(미도시)가 구비되면서 일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쐐기식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공동주택 단지에 가로등을 설치할 경우 가로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선(1)을 가로등의 설치지역으로 인출하며, 전력선(1)은 매설관(2)을 통해 인출될 수 있다.
먼저 전력선(1)을 인출하기 위하여 매설관(2)을 통해 가로등 설치지역에서 인양철선(3)을 전력선 공급지역으로 인출한다. 인양철선(3)은 강성을 갖기 때문에 매설관(2)을 자연스럽게 통과하여 전력선 공급지역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인양철선(3)을 인양 유도부(10)의 고리(12a)에 연결한다.
한편, 전력선 연결부(20)에 전력선(1)을 연결한다. 전력선(1)의 연결 작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통체(30)의 안착부(33)에 전력선(1)을 안착하고, 전력선(1)을 외통체(50)의 덮개부(53)에 맞춰 삽입하면, 외통체(50)의 내부에 전력선(1)과 내통체(30)가 삽입된다. 이때는 조임볼트(40)와 조임너트(60)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전력선(1)에 의해 제1,2가압편(31,51)이 전력선(1)을 구속하지 않는다.
이어서, 조임볼트(40)를 제1가압편(31)의 나사선에 체결하면, 제1가압편(31)들이 벌어지게 되어 전력선(1)을 외통체(50)측으로 밀게 된다. 전력선(1)이 빠지지 않을 정도로 조임볼트(40)를 체결한 상태에서 조임너트(60)를 체결하면 제2가압편(51)이 전력선(1)을 내통체(30)측으로 가압한다. 이미 내통체(30)의 제1가압편(31)은 조임볼트(40)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전력선(1)을 가압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전력선(1)은 내부와 외부에서 제1,2가압편(31,51)에 의해 가압된 상태이다.
여기서, 내통체(30)와 외통체(50)가 서로 결합되지 않았지만, 조임볼트(40) 및 조임너트(60)를 통해 내통체(30), 외통체(50) 및 전력선(1)이 견고하게 결속된다.
이와 같이 전력선 연결부(20)에 전력선(1)을 연결한 후 인양철선(3)을 당기면 인양 유도부(10)와 전력선 유도부(20)가 매설관(2)의 내부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인양 유도부(10)의 롤러(13)와 전력선 유도부(20)의 롤러(54)에 의해 인양 유도부(10)와 전력선 유도부(20)가 매설관(2)의 중심에 배치되면서 매설관(2)의 내벽을 따라 구르게 되어 매설관(2)과의 접촉저항이 적으므로 무리하게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인양철선(3)을 당길 수 있다.
전력선(1)의 인양시 전력선(1)에 인양철선(3)의 당김력과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할 경우 전력선(1)이 전력선 연결부(20)에서 이탈되려 하지만, 전력선(1)이 제1,2가압편(31,51)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전력선 연결부(20)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또한, 전력선(1)이 전력선 연결부(20)에서 이탈되려 할 때 안착부(33)와 덮개부(53)가 쐐기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력선(1)은 안착부(33)와 덮개부(53) 사이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1 : 전력선, 2 : 매설관
3 : 인양철선, 10 : 인양 유도부
20 : 전력선 연결부, 30 : 내통체
31 : 제1가압편, 33 : 안착부
40 : 조임볼트, 50 : 외통체
51 : 제2가압편, 53 : 덮개부
60 : 조임너트,

Claims (2)

  1. 둘레부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몸체(11), 상기 몸체의 선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되며 고리(12a)가 형성되어 상기 고리에 인양철선(3)이 연결되는 첨예부(12), 상기 몸체의 둘레부의 4개소에 각각 설치되며 지중에 매설된 매설관(2)의 벽면을 따라 구르는 4개의 롤러(13)로 이루어진 인양 유도부(10)와;
    둘레부에 다수의 전력선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원통형의 내통체(30), 상기 내통체의 둘레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통체의 둘레부에 배열된 다수의 전력선을 외부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인양 유도부의 후방에 힌지(15)를 통해 연결되고 둘레부의 4개소에 각각 상기 매설관의 내벽면을 따라 구르는 4개의 롤러(54)가 설치된 외통체(50)를 포함하는 전력선 연결부(20)로 이루어진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는, 연결링(32), 상기 연결링의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다수의 제1가압편(31), 상기 제1가압편의 둘레부에 일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쐐기식으로 형성되면서 다수의 가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전력선이 안착되는 곡선형의 안착부(33)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통체는, 이탈방지턱(52a)이 구비된 연결링(52), 상기 연결링의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면서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전력선과 상기 내통체가 수용되는 다수의 제2가압편(51), 상기 제2가압편의 내주면에 일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쐐기식으로 형성되면서 다수의 가압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전력선을 덮는 덮개부(53)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통체의 제1가압편에는 상기 제1가압편을 벌어지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조임볼트(40)가 나사 체결되고, 상기 외통체의 제2가압편에는 상기 제2가압편을 모이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조임너트(60)가 나사 체결되어, 상기 전력선이 상기 제1,2가압편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
  2. 삭제
KR1020100012550A 2010-02-10 2010-02-10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 KR100966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550A KR100966174B1 (ko) 2010-02-10 2010-02-10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550A KR100966174B1 (ko) 2010-02-10 2010-02-10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6174B1 true KR100966174B1 (ko) 2010-06-25

Family

ID=42370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550A KR100966174B1 (ko) 2010-02-10 2010-02-10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1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740A (ko) * 2019-08-09 2021-02-17 한국전력공사 풀링아이
CN112473044A (zh) * 2020-12-04 2021-03-12 张琴 一种用于降低消防灭火劳动强度的水管固定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590B1 (ko) * 2006-04-13 2006-07-19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케이블 풀링아이
KR20100006596A (ko) * 2008-07-10 2010-01-21 (주) 나우엔지니어링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590B1 (ko) * 2006-04-13 2006-07-19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케이블 풀링아이
KR20100006596A (ko) * 2008-07-10 2010-01-21 (주) 나우엔지니어링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740A (ko) * 2019-08-09 2021-02-17 한국전력공사 풀링아이
KR102316604B1 (ko) * 2019-08-09 2021-10-25 한국전력공사 풀링아이
CN112473044A (zh) * 2020-12-04 2021-03-12 张琴 一种用于降低消防灭火劳动强度的水管固定架
CN112473044B (zh) * 2020-12-04 2021-11-09 张琴 一种用于降低消防灭火劳动强度的水管固定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590B1 (ko)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케이블 풀링아이
CN106374395B (zh) 一种穿线管用电缆牵引装置及电缆穿管敷设方法
KR101777411B1 (ko) 송배전 고압케이블의 인입장치구조
KR100966174B1 (ko) 공동주택 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
CN203367893U (zh) 电缆牵引头
TW355861B (en) A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apparatus with helical support for cable suspension
KR100585820B1 (ko) 공동주택단지내의 전신주에 설치된 애자와 케이블의체결장치
US721684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posing conduits, wires, and the like through structures
KR101141756B1 (ko) 지하관로 케이블 포설용 클램핑 장치
KR20180024123A (ko) 지중선로 입선용 원형롤러
CN203877647U (zh) 新型移动线盘
CN103354336A (zh) 一种电缆增强型牵引头
CN201466592U (zh) 一种用于穿线管的线缆保护套筒
CN107204595B (zh) 耐张线夹
CN210439423U (zh) 一种基于建筑施工应用的管道抗浮机构
CN207517909U (zh) 一种接地线夹
CN112564029A (zh) 一种双向同步对接线夹
CN112072556A (zh) 一种用于电缆安装的支撑装置
CN213584998U (zh) 一种cpvc电力电缆保护管
CN214370004U (zh) 伸缩式吊装杆
RU2383979C1 (ru) Анкерный зажим для 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типа восьмерки
CN214312692U (zh) 一种高柔性拖链电缆
CN204257397U (zh) 放线盘固定装置
CN104505251A (zh) 放线盘固定装置
CN104832596B (zh) 自压紧型钢丝绳紧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