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817A - 공가봉인장치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공가봉인장치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817A
KR20190125817A KR1020180050103A KR20180050103A KR20190125817A KR 20190125817 A KR20190125817 A KR 20190125817A KR 1020180050103 A KR1020180050103 A KR 1020180050103A KR 20180050103 A KR20180050103 A KR 20180050103A KR 20190125817 A KR20190125817 A KR 20190125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fastening
cantilever
seal
op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0826B1 (ko
Inventor
임한승
김상현
최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50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826B1/ko
Publication of KR20190125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가봉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가봉인장치는 공가 설비의 케이블들을 결속하여 봉인하도록 형성되는 봉인부 및 상기 봉인부와 결합되어 상기 봉인부의 봉인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봉인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가봉인장치는 지상의 작업자가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케이블을 봉인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가봉인장치 및 그 작동 방법{Cable seal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공가 설비용 케이블을 봉인하기 위한 공가봉인장치에 한 것으로, 특히 공가 설비용 케이블을 지상에서 조작하여 공가봉인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가봉인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가 설비는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설비인 전신주 및 지중관로에 전기공급의 용도 외에 통신용 케이블과 부속 조간선, 분배기 등 부속 설비를 가설하는 것이다.
현재 통신회사와 유선방송 사업자들의 통신선로는 전력회사나 기간통신 사업자의 승인을 받은 후 해당회사의 전주를 이용한 공가 설비를 이용하고 있으며, 공가 요금을 지불하고 있다. 공가 설비를 이용하는 방법은 통신사업자가 공가 설비 사용신청을 하면 한국전력 등 공가 설비 제공자는 전신주의 강도를 고려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공가 설비의 사용이 승인되면 공가 설비 사용에 따른 비용을 사용자가 부담하고 케이블을 설치한다.
한편, 무단으로 설치되어 있는 통신케이블로 인하여 전신주의 도괴 및 절손 사고가 다수 발생하는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정상적인 공가 요금을 지불하고 잇는 통신사업자들이 무단으로 설치된 통신케이블로 인하여 금전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실정이다. 이에, 전력회사나 기간통신 사업자는 공가 설비의 사용실태를 주기적을 점검하고 현황을 파악하여 공가 설비의 불법 사용을 감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통신회사와 유선방송 사업자들의 케이블 등이 공가 설비에 무단으로 포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허가된 공가통신을 봉인하여 구분하고, 공가 설비의 불법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시로 공가 설비를 순찰하여 시설현장을 감시하고 있다.
기존의 공가봉인장치는 플라스틱 재질의 케이블 타이 형태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버켓 탑승 또는 승주 후 인력으로 직접 시공하였다. 이에, 공가봉인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시공 비용이 발생하고, 봉인에 긴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공가봉인장치의 봉인 시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공가봉인장치에 대하여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공가봉인장치의 봉인 시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공가봉인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공가봉인장치의 봉인 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공가봉인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가봉인장치는 공가 설비의 케이블들을 결속하여 봉인하도록 형성되는 봉인부 및 상기 봉인부와 결합되어 상기 봉인부의 봉인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봉인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가봉인장치는 지상의 작업자가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케이블을 봉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봉인부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일부가 반원 형태로 형성된 제1반원부를 구비하는 제1봉인날,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일부가 반원 형태로 형성된 제2반원부를구비하고 상기 제1봉인날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봉인날, 상기 제1봉인날과 상기 제2봉인날을 서로 연결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에 삽입되어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봉인날의 상기 결합부와 결합된 말단은 상기 제1반원부와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체결부에는 제1체결개구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봉인날의 상기 결합부와 결합된 말단은 상기 제2반원부와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체결부에는 제2체결개구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봉인날의 상기 제1반원부는 내주면 상에 톱니바퀴 형상의 요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봉인날의 상기 제2반원부는 외주면 상에 톱니바퀴 형상의 요철부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요철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반원부의 내주면으로 상기 제2반원부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와 상기 요철수용부는 서로 삽입 접촉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복수의 결합개구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외력에 의하여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봉인부와 결합되는 상기 조작부의 말단에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돌출되어 상기 봉인부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핀, 상기 고정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핀을 출입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분리줄 및 상기 봉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체결줄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줄의 말단에는 상기 봉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의 체결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가봉인장치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가봉인장치의 작동방법은 봉인부와 조작부를 조립하는 단계, 지상의 작업자가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봉인부를 봉인하는 봉인 작동단계, 및 지상의 작업자가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봉인부와 조작부를 분리하는 분리 작동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외력에 의하여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단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봉인부와 결합되는 상기 조작부의 말단에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돌출되어 상기 봉인부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출입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핀, 상기 고정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핀을 출입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분리줄, 상기 봉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체결줄 및 상기 체결줄의 말단에 구비되고,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체결고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고정핀, 분리줄, 체결줄 및 체결고리는 지상의 작업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봉인부와 조작부를 조립하는 단계는, 상기 봉인부의 삽입부가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단계, 및 상기 봉인부에 상기 체결고리를 삽입하여 체결줄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고정핀이 돌출되되, 상기 고정핀과 대응되는 봉인부에 배치되는 체결개구에 상기 고정핀이 돌출되어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줄을 연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체결고리는 상기 봉인부에 구비된 제1체결구 및 제2체결구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줄과 상기 봉인부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봉인 작동단계는, 상기 봉인부의 내부에 공가 설비의 케이블을 수용하는 단계, 상기 봉인부에 상기 체결고리로 연결된 상기 체결줄을 상기 몸체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봉인부가 체결되어 상기 케이블을 봉인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줄을 상기 몸체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되 상기 체결고리의 탄성변형으로 상기 봉인부와 상기 체결줄이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봉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체결줄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봉인부에 구비된 제1봉인날과 제2봉인날이 서로 맞물려 체결되고, 상기 제1봉인날의 내주면에 구비된 요철부에 상기 제2봉인날의 외주면에 구비된 요철수용부가 서로 삽입 접촉되어 케이블이 봉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작동단계는, 상기 분리줄을 상기 몸체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고정핀이 상기 몸체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봉인부와 상기 조작부가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가봉인장치는 지상의 작업자가 조작부에 구비되어 봉인부에 연결된 체결줄을 작동하여 케이블을 봉인하므로 공가봉인장치의 봉인 시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가봉인장치는 지상에서 작업자에 의해 공가봉인장치의 봉인이 시행되므로 작업자의 버켓 탑승 또는 승주작업이 배제되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공가봉인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가봉이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가봉인장치의 작동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가봉인장치의 봉인 작동단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은 도 3에 도시된 공가봉인장치의 분리 작동단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공가봉인장치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공가봉인장치는 지상의 작업자가 조작부에 구비되어 봉인부에 연결된 체결줄을 작동하여 케이블을 봉인하므로 공가봉인장치의 봉인 시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가봉인장치는 지상에서 작업자가 공가봉인장치의 봉인 시 지상에서 공가설비 봉인이 시행되므로, 버켓 탑승 또는 승주 작업이 배제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공가봉인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공가봉인장치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가봉인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가봉인장치는 봉인부(100)와 조작부(200)로 형성된다. 봉인부(100)는 공가 설비의 케이블(1)들을 결속하여 봉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작부(200)는 봉인부(100)와 결합되어 봉인부(100)가 케이블(1)들을 봉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 조작부(200)는 봉인부(10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봉인부(100)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1봉인날(110), 제2봉인날(120), 결합부(130), 삽입부(140)을 포함한다.
제1봉인날(110)은 일부가 소정 곡률을 가지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제1반원부(111)를 구비하고, 제1반원부(111)의 말단은 제1반원부(111)와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평평하게 형성되는 제1체결부(112)를 구비한다. 또한 제1체결부(112)에는 제1체결개구(113)가 배치되어 후술되는 체결고리(222)가 삽입될 수 있다. 나아가, 제1봉인날(110)의 제1반원부(111)의 내주면 상에 톱니바퀴 형상의 요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봉인날(120)은 일부가 소정 곡률을 가지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제2반원부(121)를 구비하고, 제2반원부(121)의 말단은 제2반원부(121)와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평평하게 형성되는 제2체결부(122)를 구비한다. 또한 제2체결부(122)에는 제2체결개구(123)가 배치되어 후술되는 체결고리(222)가 삽입될 수 있다. 덧붙여, 제2봉인날(120)의 제2반원부(121)의 외주면 상에 톱니바퀴 형상의 요철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요철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봉인날(110)과 제2봉인날(120)의 제1반원부(111)와 제2반원부(121)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며, 이에 제1반원부(111)와 제2반원부(121)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닫힌 도형 내부에 케이블(1)을 수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반원부(111)의 내주면으로 제2반원부(121)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닫힌 도형은 조작부(200)의 작동에 따라 축소되어 케이블(1)을 체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봉인날(110)과 제2봉인날(120)의 제1반원부(111)와 제2반원부(121)는 케이블(1)을 수용할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봉인날(110)과 제2봉인날(120)의 제1반원부(111)와 제2반원부(121)의 지름은 25 cm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봉인부(100)의 결합부(130)는 제1봉인날(110)과 제2봉인날(120)을 서로 결합하여 제1봉인날(110)과 제2봉인날(120)이 서로 맞물리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결합누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조작부(200)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결합부(130)의 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복수의 결합개구(142)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결합개구(142)에는 후술되는 조작부(200)의 고정핀(241)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조작부(200)는 몸체부(210), 고정핀(241), 분리줄(231), 체결줄관통개구(240)및 체결줄(221)을 구비한다.
조작부(200)의 몸체부(210)는 외력에 의하여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단(211, 212, 213, 214, 215)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10)를 형성하는 복수의 단(211, 212, 213, 214, 215)이 펼쳐지면서 지상에서도 배전설비인 전신주에 설치된 케이블(1)에 도달할 수 있는 길이가 될 수 있다. 조작부(200)는 복수의 단(211, 212, 213, 214, 215)이 펼쳐지며 연장되었을 때 전신주에 설치된 케이블(1)까지 도달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5 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작부(200)가 단축되었을 때에 휴대하기에 불편함이 없어야되므로 조작부(200)가 단축되었을 때 몸체부(210)의 길이는 적어도 1m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조작부(200)의 복수의 단을 포함할 수 있고, 제1단 내지 제5단(211, 212, 213, 214, 215)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조작봉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조작에 용이하지 않으므로 조작부(200)의 적어도 일부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어 경량화될 수 있다.
한편 고정핀(241)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봉인부(100)와 결합되는 조작부(200)의 말단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돌출되어 봉인부(100)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고정핀(241)은 결합개구(14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돌출되어 결합개구(142)에 삽입되어 봉인부(100)와 조작부(200)를 조립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핀(241)은 분리줄(231)과 연결되어 지상에서 작업자의 조작부(200) 작동에 의하여 봉인부(100)와 조작부(200)가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작업자에 의하여 분리줄(231)이 몸체부(210)의 연장방향으로 당겨지면 고정핀(241)은 몸체부(210) 내부로 삽입되어 조작부(200)와 봉인부(100)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분리줄(231)은 몸체부(210)의 내부 일부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줄(221)은 작업자의 조작부(200) 작동에 의하여 제1봉인날(110)과 제2봉인날(120)을 서로 맞물리게 하여 제1봉인날(110) 및 제2봉인날(120) 내부의 케이블(1)를 체결할 수 있다. 체결줄(221)은 몸체부(210)의 제1단(211)에 배치된 체결줄관통개구(240)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덧붙여, 체결줄(221)은 봉인부(100)와 연결되기 위해서 두갈래로 갈라지고, 두갈래로 갈라진 체결줄(221)의 말단에는 체결고리(22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두갈래로 갈라진 체결줄(221)의 말단에는 체결고리(222)가 배치되어 봉인부(1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체결고리(222)는 봉인부(100)의 제1체결개구(113) 및 제2체결개구(123)에 삽입되어 제1봉인날(110)과 제2봉인날(120)의 움직임을 형성하여 서로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체결고리(222)는 외력에 의해서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된 공가봉인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가봉인장치의 작동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가봉인장치의 작동방법은 봉인부(100)와 조작부(200)를 조립하는 단계(S1), 지상의 작업자가 상기 조작부(200)를 조작하여 봉인부(100)를 봉인하는 봉인 작동단계(S2) 및 지상의 작업자가 상기 조작부(200)를 조작하여 봉인부(100)와 조작부(200)를 분리하는 분리 작동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공가봉인장치의 작동방법은 지상의 작업자에 의해 조작 가능할 수 있다.
먼저, 봉인부(100)와 조작부(200)를 조립하는 단계(S1)는 삽입부(140)가 조작부(200)를 수용하는 단계 및 봉인부(100)에 체결고리(222)를 삽입하여 체결줄(221)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200)를 수용하는 단계에서는 고정핀(241)이 돌출되어, 고정핀(241)과 대응되는 봉인부(100)에 배치된 체결개구에 고정핀(241)이 돌출되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체결줄(221)을 연결하는 단계에서 체결고리(222)는 봉인부(100)에 구비된 제1체결구 및 제2체결구에 삽입되어 체결줄(221)과 봉인부(100)가 연결될 수 있다.
봉인 작동단계(S2)와 분리 작동단계(S3)는 후술되는 도 4 및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가봉인장치의 봉인 작동단계(S2)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공가봉인장치의 봉인 작동단계(S2)는 도 4의 (a) 내지 (d)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4의 (a)는 봉인부(100)의 내부에 공가 설비의 케이블(1)을 수용하는 단계이다. 이어서, 도 4의 (b)봉인부(100)와 체결고리(222) 연결된 체결줄(221)을 몸체부(21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봉인부(100)가 체결되며 케이블(1)을 봉인하는 단계이다. 또한, 도 4의 (c)는 체결줄(221)을 몸체부(21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되 체결고리(222)의 탄성변형되는 단계이고, 도 4의 (d)는 봉인부(100)와 체결줄(221)이 분리되는 단계이다.
도 4의 (a)와 (b)에서는 체결줄(221)이 당겨짐에 따라 봉인부(100)에 구비된 제1봉인날(110)과 제2봉인날(120)이 서로 맞물려 체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봉인날(110)의 내주면에 구비된 요철부에 제2봉인날(120)의 외주면에 구비된 요철수용부가 서로 삽입 접촉되어 체결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공가봉인장치의 분리 작동단계(S3)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상세하게 도 5는 공가봉인장치의 단면도로 설명될 수 있다.
상기 분리 작동단계(S3)는 분리줄(231)을 몸체부(21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고정핀(241)이 몸체부(210) 내부로 삽입된다. 이에, 봉인부(100)와 조작부(200)가 분리될 수 있다.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7)

  1. 공가 설비의 케이블들을 결속하여 봉인하도록 형성되는 봉인부; 및
    상기 봉인부와 결합되어 상기 봉인부의 봉인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봉인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지상의 작업자가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케이블을 봉인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봉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부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일부가 반원 형태로 형성된 제1반원부를 구비하는 제1봉인날;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일부가 반원 형태로 형성된 제2반원부를구비하고 상기 제1봉인날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봉인날;
    상기 제1봉인날과 상기 제2봉인날을 서로 연결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에 삽입되어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봉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인날의 상기 결합부와 결합된 말단은 상기 제1반원부와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체결부에는 제1체결개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봉인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봉인날의 상기 결합부와 결합된 말단은 상기 제2반원부와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체결부에는 제2체결개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봉인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인날의 상기 제1반원부는 내주면 상에 톱니바퀴 형상의 요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봉인날의 상기 제2반원부는 외주면 상에 톱니바퀴 형상의 요철부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요철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봉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원부의 내주면으로 상기 제2반원부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와 상기 요철수용부는 서로 삽입 접촉하여 체결되어 케이블을 봉인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봉인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복수의 결합개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봉인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외력에 의하여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봉인부와 결합되는 상기 조작부의 말단에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돌출되어 상기 봉인부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핀;
    상기 고정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핀을 출입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분리줄; 및
    상기 봉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체결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봉인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줄의 말단에는 상기 봉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의 체결고리를 더 포함하는 공가봉인장치.
  10. 봉인부와 조작부를 조립하는 단계;
    지상의 작업자가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봉인부를 봉인하는 봉인 작동단계; 및
    지상의 작업자가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봉인부와 조작부를 분리하는 분리 작동단계를 포함하는 공가봉인장치의 작동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외력에 의하여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단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봉인부와 결합되는 상기 조작부의 말단에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돌출되어 상기 봉인부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출입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핀;
    상기 고정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핀을 출입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분리줄;
    상기 봉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체결줄; 및
    상기 체결줄의 말단에 구비되고,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체결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의 고정핀, 분리줄, 체결줄 및 체결고리는 지상의 작업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봉인장치의 작동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봉인부와 조작부를 조립하는 단계는,
    상기 봉인부의 삽입부가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단계; 및
    상기 봉인부에 상기 체결고리를 삽입하여 체결줄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봉인장치의 작동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고정핀이 돌출되되, 상기 고정핀과 대응되는 봉인부에 배치되는 체결개구에 상기 고정핀이 돌출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봉인장치의 작동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줄을 연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체결고리는 상기 봉인부에 구비된 제1체결구 및 제2체결구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줄과 상기 봉인부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봉인장치의 작동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 작동단계는,
    상기 봉인부의 내부에 공가 설비의 케이블을 수용하는 단계;
    상기 봉인부에 상기 체결고리로 연결된 상기 체결줄을 상기 몸체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봉인부가 체결되어 상기 케이블을 봉인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줄을 상기 몸체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되 상기 체결고리의 탄성변형으로 상기 봉인부와 상기 체결줄이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봉인장치의 작동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봉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체결줄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봉인부에 구비된 제1봉인날과 제2봉인날이 서로 맞물려 체결되고,
    상기 제1봉인날의 내주면에 구비된 요철부에 상기 제2봉인날의 외주면에 구비된 요철수용부가 서로 삽입 접촉되어 체결되어 케이블을 봉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봉인장치의 작동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작동단계는,
    상기 분리줄을 상기 몸체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고정핀이 상기 몸체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봉인부와 상기 조작부가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가봉인장치의 작동 방법.
KR1020180050103A 2018-04-30 2018-04-30 공가봉인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2130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103A KR102130826B1 (ko) 2018-04-30 2018-04-30 공가봉인장치 및 그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103A KR102130826B1 (ko) 2018-04-30 2018-04-30 공가봉인장치 및 그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817A true KR20190125817A (ko) 2019-11-07
KR102130826B1 KR102130826B1 (ko) 2020-07-03

Family

ID=6857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103A KR102130826B1 (ko) 2018-04-30 2018-04-30 공가봉인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8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1830A (ja) * 1996-03-19 1997-10-03 Chuo Spring Co Ltd 帯板製ケーブルハンガー
JPH09298812A (ja) * 1996-03-06 1997-11-18 Chuo Spring Co Ltd 板バネ製ケーブルハンガー
KR20090070212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신기인터모빌 케이블 고정용 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8812A (ja) * 1996-03-06 1997-11-18 Chuo Spring Co Ltd 板バネ製ケーブルハンガー
JPH09261830A (ja) * 1996-03-19 1997-10-03 Chuo Spring Co Ltd 帯板製ケーブルハンガー
KR20090070212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신기인터모빌 케이블 고정용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826B1 (ko) 202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1561C (en) Splice restraint
KR101900945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
CN105356368A (zh) 绝缘护罩安装工具
KR100898145B1 (ko) 매설형 배전선로의 누전방지구조물
KR20190125817A (ko) 공가봉인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N103746316B (zh) 一种带电更换直线转角塔绝缘子串的装置及方法
KR100951147B1 (ko) 특고압 지중전선 배전대
KR102273861B1 (ko) 지중 송전 고압케이블 관로내 인입장치
CN206962368U (zh) 电导线设备
KR20170046930A (ko)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
KR102357718B1 (ko) 변압기와 접속된 도심 가공 배전선로의 선로 보호장치
KR101016055B1 (ko)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
CN203722150U (zh) 一种电缆护套
KR102093601B1 (ko) 방호관 연결 장치
KR102413386B1 (ko)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의 주상 포설 방법
KR102067528B1 (ko)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
KR200490913Y1 (ko) 전력케이블 보호구용 고정장치
KR102702283B1 (ko) 전선 보호 커버
KR101038941B1 (ko) 공가 설비용 케이블 봉인 분배기
CN112217036A (zh) 同轴电缆组件
KR20150067440A (ko) 군작전용 및 다용도 배낭형 안전 유도라인 통신장비
CN218897041U (zh) 一种建筑工地线路保护装置
KR101033535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의 활선분기고리용 안전장치
KR101228447B1 (ko)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KR101225592B1 (ko) 지중송배전선로 훼손 경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