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447B1 -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 Google Patents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447B1
KR101228447B1 KR1020120142809A KR20120142809A KR101228447B1 KR 101228447 B1 KR101228447 B1 KR 101228447B1 KR 1020120142809 A KR1020120142809 A KR 1020120142809A KR 20120142809 A KR20120142809 A KR 20120142809A KR 101228447 B1 KR101228447 B1 KR 101228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optical
drop cable
cover
optical 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120142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재연결된 광드롭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슬라이드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쉽고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는 광드롭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양단에는 외면에 걸림홈(11a)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광케이블이 삽입관통되는 삽입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삽입구(11)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된 광케이블의 인장섬유가 체결부재(12a)를 매개로 고정되는 체결구(12)가 형성되며, 일방으로 개구된 내면에는 내향으로 돌출되어 광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이탈방지부(13)가 형성된 베이스(10)와; 일단에 걸림홈(1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구(21)를 갖추고서, 슬라이드방식으로 결합되어 베이스(10)를 감싸는 커버(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걸림홈을 갖춘 베이스와 걸림구를 갖춘 커버가 슬라이드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쉽고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광드롭케이블 접속함{Optical drop cable connecting box}
본 발명은 절단되어 재접속한 광드롭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광드롭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드롭케이블은 광섬유로 된 코어와, 케이블이 강한 힘에 견디도록 하기 위한 케블라섬유제의 클래드(또는 인장섬유라고 함) 및 케이블의 맨 바깥층을 이루어 외피가 되는 재킷으로 이루어진 광섬유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광섬유 유닛을 보호할 수 있도록 재킷에는 광드롭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에서 인가되는 인장력을 견딜 수 있도록 강선 또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과 같은 항장력체가 더 보강되어 있다.
상기 광드롭케이블은 가공의 전주와 전주 사이 또는 지중의 맨홀과 맨홀 사이에 설치되는 가장 직경이 작은 통신선으로서, 광드롭케이블에 인장력이 가해지게 되면 광섬유 유닛이 스트레스를 받아 쉽게 단선(파단)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광드롭케이블이 단선(파단)되어 선로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모듈러 측정기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절단된 부위를 탐색하고 찾아낸 후 광드롭케이블을 절단한 상태에서 외피에 감싸진 광코어를 노출시켜 준 다음 이를 상호 재접속(연결)하고, 투명재질의 접속구(열수축슬리브)로 감싸 보호하거나 또는 기계식 접속자를 매개로 접속된 광코어를 보호하였다.
상기 열수축슬리브를 매개로 연결시켜 주는 방법은, 먼저 광드롭케이블의 외피를 벗긴 상태에서 각각의 광코어를 상호 접속(재연결)시켜 주고, 열수축슬리브로 감싼 후 열수축슬리브의 각 단부에 열을 가하게 되면 열수축슬리브가 열 수축되면서 상호 재접속(연결)된 광코어를 감싸 보호하게 되며, 기계식 접속자를 매개로 연결시켜 주는 방법은, 광드롭케이블의 광코어를 상호 재접속(연결)시켜 준 다음 기계식 접속자로 감싸 준 상태에서 인장섬유와 함께 일정간격으로 광코어 및 인장섬유를 포함한 광드롭케이블을 가압고정시켜 주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광드롭케이블을 연결해 준다 하더라도 외부로부터의 충격 즉,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 규정된 인장하중을 견딜 수 없어 광코어의 연결부위가 쉽게 단선(파단)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광드롭케이블이 절단되면 통상 절단된 부위를 재연결시켜 주지 않고 분기함이나 단자함 등의 통신장비로부터 가입자 사이에 설치된 광드롭케이블 전체를 재가설하여 선로를 복구하므로 비용 및 가설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으며, 그렇다고 해서 절단된 광드롭케이블의 연결을 위해 고가의 함체를 설치하기에는 비용과 설치의 편의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가 아닐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는 등록특허 제10-1058396호가 있다.
상기 발명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베이스와 커버로 구성되고, 베이스의 내에는 클래드를 묶어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말뚝과, 광드롭케이블 재접속용 접속구의 결합을 위한 접속구지지편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광드롭케이블의 절단된 부위를 재접속하여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발명은 베이스에 커버를 덮어 내부를 밀폐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베이스의 걸림돌기에 커버의 걸림공이 모두 걸려야 밀폐가 가능하고, 베이스의 걸림돌기에 걸린 커버의 걸림공을 모두 해제해야지만 커버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결합 및 분리가 매우 불편하여 작업효율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결합 및 분리하는 과정에 걸림공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로 인해 다시 재가설해야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으며, 분할구조를 이루고 있어 작업중 커버를 분실할 우려가 매우 높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재접속(연결)된 광드롭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슬라이드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쉽고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는 광드롭케이블 접속함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에는 외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광케이블이 삽입관통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삽입구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된 광케이블의 인장섬유가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체결구가 형성되며, 일방으로 개구된 내면에는 내향으로 돌출되어 광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일단에 걸림홈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구를 갖추고서, 슬라이드방식으로 결합되어 베이스를 감싸는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는,
광케이블이 권취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이드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의 양단부에는,
베이스와 커버 사이를 밀폐하는 실링부재가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삽입구에는,
광케이블의 외면을 감싸 밀폐할 수 있도록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안내관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의 삽입구는 외면이 테이퍼지되, 테이퍼진 면 중 어느 한 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와 커버의 결합시 커버의 걸림구는 걸림홈에 탄발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걸림홈을 갖춘 베이스와 걸림구를 갖춘 커버가 슬라이드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쉽고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의 내부로 절단된 광드롭케이블을 삽입한 상태에서 인장섬유는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구에 고정하고, 외피를 벗긴 광코어는 재접속(연결) 후 열수축슬리브(또는 기계식 접속자)를 매개로 보호되어 베이스의 내부에 보관하며, 커버를 슬라이드시켜 베이스에 의해 감싸지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각 광드롭케이블로 인장력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인장섬유가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구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어 열수축슬리브(또는 기계식 접속자)를 매개로 보호되고 있는 광코어로는 인장력이 전달되지 않아 재접속(연결)부위가 이로 인해 단선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가 베이스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외부오염원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인장섬유가 오염되어 삭음으로 인해 인장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탈방지부를 매개로 베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광코어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광코어를 강제로 누르지 않고도 편리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수의 가이드부 주위로 열수축슬리브(또는 기계식 접속자)를 매개로 보호되는 광코어가 권취되어 보관되기 때문에 광코어가 서로 엉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지보수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더군다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탄성재질의 실링부재 및 안내관를 매개로 베이스와 커버 사이 및 광드롭케이블을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어 외부오염원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드롭케이블 접속함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드롭케이블 접속함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드롭케이블 접속함의 A-A'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드롭케이블 접속함의 B-B'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광드롭케이블 접속함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드롭케이블 접속함은 베이스(10)와 커버(20)로 구성되며, 여기에 실링부재(30) 및 안내관(40)이 더 보강 구비된 것으로, 절단된 광드롭케이블(1)을 베이스(10)의 내부에서 재접속시켜 주고, 재접속된 광드롭케이블(1) 및 베이스(10)를 커버(20)로 감싸 보호하기 때문에 외력(인장력)으로부터 재접속된 부분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이점이 있다.
참고로, 상기 광드롭케이블(1)의 광코어(1b)는 상호 재접속(연결)된 상태에서 열수축슬리브(S)에 의해 보호되거나 또는 공지의 기계식 접속자를 매개로 상호 연결시켜 주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하에는 일실시 예로서 열수축슬리브(S)에 대해서만 언급한다.
상기 베이스(10)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박스타입의 함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베이스(10)의 내부는 상방으로 개구되되, 양단에는 외면에 걸림홈(11a)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광드롭케이블(1)이 삽입관통되는 삽입구(11)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내측으로 체결부재(12a)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구(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12a)는 삽입구(11)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된 광드롭케이블(1)의 인장섬유(1a)를 체결구(12)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체결부재(12a)를 체결구(12)에 약간만 조여준 상태에서 체결부재(12a)의 둘레면에 인장섬유(1a)를 임의의 횟수로 권취 후 체결부재(12a)를 강하게 조여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내면, 좀 더 바람직하게는 일방으로 개구된 내면에는 내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이탈방지부(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부(13)는 열수축슬리브(S)를 매개로 보호되어 베이스(10)의 내부에 수납된 광코어(1b)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참고로, 상기 열수축슬리브(S)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공지의 투명한 관으로서, 외피를 벗긴 광코어(1b)를 상호 재접속(연결)시켜 준 다음 광코어(1b)를 감싸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열수축슬리브(S)의 각 단부에 열을 가하게 되면 열수축슬리브(S)가 열에 의해 수축되면서 외피를 포함한 광코어(1b)의 둘레면이 감싸져 보호되며, 이로 인해 상호 접속된 광코어(1b)는 일정한 인장력을 견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10)의 내부로 절단된 광드롭케이블(1)을 삽입한 상태에서 인장섬유(1a)는 체결부재(12a)를 매개로 체결구(12)에 고정하고, 외피를 벗긴 광코어(1b)는 재접속(연결) 후 열수축슬리브(S)를 매개로 보호되어 베이스(10)의 내부에 보관된다.
따라서, 상기 각 광드롭케이블(1)로 인장력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인장섬유(1a)가 체결부재(12a)를 매개로 체결구(12)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열수축슬리브(S)을 매개로 보호되고 있는 재접속(연결)된 광코어(1b)로는 인장력이 전달되지 않아 재접속(연결)부위가 이로 인해 단선(파단)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수축슬리브(S)를 매개로 보호되는 광코어(1b)를 베이스(10)의 내부에 정리 없이 수납할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이 광코어(1b)를 정리 없이 수납하게 되면 광코어(1b)가 서로 엉키기 쉬우며, 특히 유지보수에는 엉킨 광코어(1b)를 푸느라 불필요한 시간을 소진하게 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단선 후 재설치해야하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베이스(10)의 내부에 열수축슬리브(S)를 매개로 보호되고 있는 광코어(1b)를 권취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이드부(14)를 더 보강하였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14) 주위로 열수축슬리브(S)를 매개로 보호되고 있는 광코어(1b)가 권취되어 보관되기 때문에 광코어(1b)가 서로 엉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지보수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베이스(10)의 삽입구(11)는 외면이 테이퍼지되, 테이퍼진 면 중 어느 한 면에 걸림홈(11a)이 형성되고, 이후에 설명될 커버(20)의 걸림구(21)는 삽입구(11)의 테이퍼각에 상응하게 경사져 걸림구(21)가 걸림홈(11a)에 삽입시 탄발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베이스(10)로부터 커버(20)를 쉽고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시 파손의 문제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20)는 내부가 양단으로 개구된 박스형태의 합성수지재질의 함으로서, 일단에는 걸림홈(11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구(21)가 일체로 형성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슬라이드방식으로 결합되어 베이스(10)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나의 실시 예로서, 상기 베이스(10)와 커버(20)의 형상을 박스형태로 기재 및 도시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공지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20)를 매개로 베이스(10)를 감싼다 하더라도 베이스(10)와 커버(20) 간에는 이격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 내부로 외부오염원이 유입될 우려가 매우 높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베이스(10)의 양단부에 실링부재(30)를 더 보강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베이스(10)와 커버(20) 사이에 실링부재(30)가 개입되기 때문에 외부오염원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실링부재(30)는 탄성을 갖춘 실리콘 또는 고무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10)의 내부에 인장섬유(1a) 및 열수축슬리브(S)을 매개로 보호되는 재접속(연결)된 광코어(1b)가 보관되어 커버(20)에 의해 감싸지므로 외부오염원의 유입을 피할 수 있어 인장섬유(1a)가 오염으로 인해 삭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맨홀과 같이 습하고 슬러리와 같은 오염원이 있는 곳에서 상당히 유리한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실링부재(30)를 통해 베이스(10)와 커버(20) 사이로 침투되는 외부오염원은 차단할 수 있지만, 광드롭케이블(1)과 삽입구(11) 사이로의 외부오염원의 유입은 차단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삽입구(11)의 구멍에 탄성재질의 안내관(40)을 보강해 주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재질의 안내관(40)이 광드롭케이블(1)의 외면을 기밀하게 감싸며 고정하기 때문에 외부오염원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특히 맨홀과 같이 습하고 슬러리와 같은 오염원이 있는 곳에서 상당히 유리한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먼저 절단된 각 광드롭케이블(1)이 베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10)의 삽입구(11)에 형성된 안내관(40)을 통해 각 광드롭케이블(1)을 삽입해 준다.
이때, 상기 광드롭케이블(1)은 탄성재질의 안내관(40)에 의해 외면이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고정되게 되며, 이로 인해 외부오염원이 광드롭케이블(1)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상기 광드롭케이블(1)의 인장섬유(1a)를 체결구(12) 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인장섬유(1a)가 빠지지 않도록 체결부재(12a)를 매개로 단단히 조여 고정시켜 준다.
상기 인장섬유(1a)의 고정이 완료되면, 외피를 벗긴 각각의 광코어(1b)를 상호 재접속(연결)시켜 주고, 열수축슬리브로(S)로 재접속(연결)를 감싼 후 열수축슬리브(S)의 각 단부에 열을 가하게 되면 열수축슬리브(S)가 열 수축되면서 상호 재접속(연결)된 광코어(1b)를 감싸 보호하게 되며, 이 밖에도 공지의 기계식 접속자를 매개로 상호 재접속시켜 줄 수 있다.
상기 광코어(1b)의 재접속(연결)이 완료되면 가이드부(14)의 둘레에 재접속(연결)된 광코어(1b)을 권취시켜 주며, 이때 열수축슬리브(S)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부(13)의 하측에 배치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광드롭케이블(1)을 베이스(10)의 내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커버(20)를 베이스(10)를 향해 슬라이드시켜 주게 되면 베이스(10)의 둘레가 커버(20)에 의해 감싸지게 되며, 이때 실링부재(30)는 압착되어 베이스(10)와 커버(20) 사이를 실링하게 되고, 이로 인해 외부오염원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0)의 걸림구(21)는 삽입구(11)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삽입구(11)의 걸림홈(11a)에 도달하게 되면 탄발되어서 걸림홈(11a)과 상호 결합된다.
한편, 유지보수를 위해 베이스(10)로부터 커버(2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걸림홈(11a)에 결합된 걸림구(21)를 이탈시켜 준 상태에서 삽입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커버(20)를 슬라이드시켜 주면 쉽게 해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10)의 내부로 절단된 광드롭케이블(1)을 삽입한 상태에서 인장섬유(1a)는 체결부재(12a)를 매개로 체결구(12)에 고정하고, 외피를 벗긴 광코어(1b)는 재접속(연결) 후 열수축슬리브(S)를 매개로 보호되어 베이스(10)의 내부에 보관되며, 커버(20)를 슬라이드시켜 베이스(20)를 감싼다.
따라서, 상기 각 광드롭케이블(1)로 인장력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인장섬유(1a)가 체결부재(12a)를 매개로 체결구(12)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열수축슬리브(S)를 매개로 보호되는 재접속(연결)된 광코어(1b)로는 인장력이 전달되지 않아 재접속(연결)부위가 이로 인해 단선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20)가 베이스(10)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외부오염원이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인장섬유(1a)가 오염으로 인해 삭아 인장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베이스 11: 삽입구 11a: 걸림홈
12: 체결구 12a: 체결부재 13: 이탈방지부
14: 가이드부 20: 커버 21: 걸림구
30: 실링부재 40: 안내관

Claims (5)

  1. 양단에는 외면에 걸림홈(11a)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광케이블이 삽입관통되는 삽입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삽입구(11)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된 광케이블의 인장섬유가 체결부재(12a)를 매개로 고정되는 체결구(12)가 형성되며, 일방으로 개구된 내면에는 내향으로 돌출되어 광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이탈방지부(13)가 형성된 베이스(10)와;
    일단에 걸림홈(1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구(21)를 갖추고서, 슬라이드방식으로 결합되어 베이스(10)를 감싸는 커버(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내부에는, 케이블이 권취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이드부(14)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양단부에는,
    베이스(10)와 커버(20) 사이를 밀폐하는 실링부재(30)가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11)에는 광케이블의 외면을 감싸 밀폐할 수 있도록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안내관(40)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삽입구(11)는 외면이 테이퍼지되, 테이퍼진 면 중 어느 한 면에 걸림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0)와 커버(20)의 결합시 커버(20)의 걸림구(21)는 걸림홈(11a)에 탄발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KR1020120142809A 2012-12-10 2012-12-10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KR101228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809A KR101228447B1 (ko) 2012-12-10 2012-12-10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809A KR101228447B1 (ko) 2012-12-10 2012-12-10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447B1 true KR101228447B1 (ko) 2013-02-01

Family

ID=4789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809A KR101228447B1 (ko) 2012-12-10 2012-12-10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543A (ko) 2015-02-16 2016-08-24 주식회사 시큐어닉스 광케이블 접속보호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1644A (ja) 1997-04-23 2001-11-06 エヌ・ヴェ・レイケム・ソシエテ・アノニム 光ファイバ用スプライス接続クロージャ
JP2001311838A (ja) 2000-05-01 2001-11-09 Japan Telegaertner Ltd スプライスボックス
JP2005227330A (ja) 2004-02-10 2005-08-25 Oki Electric Ind Co Ltd 光コネクタ保持器
KR20100089462A (ko) * 2009-02-04 2010-08-12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1644A (ja) 1997-04-23 2001-11-06 エヌ・ヴェ・レイケム・ソシエテ・アノニム 光ファイバ用スプライス接続クロージャ
JP2001311838A (ja) 2000-05-01 2001-11-09 Japan Telegaertner Ltd スプライスボックス
JP2005227330A (ja) 2004-02-10 2005-08-25 Oki Electric Ind Co Ltd 光コネクタ保持器
KR20100089462A (ko) * 2009-02-04 2010-08-12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543A (ko) 2015-02-16 2016-08-24 주식회사 시큐어닉스 광케이블 접속보호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10111T3 (es) Recubrimiento de tracción mejorado para jalar un cable de fibra óptica a lo largo de un conducto
JP4733115B2 (ja) 複合成形中間分岐点を有する配線ケーブル組立体
US7228047B1 (en) Breakout and connector assemblies for use with high count fiber optic cables
EP0817984B1 (en) Closure with cable strain relief
JP2008501154A (ja) 別個のコネクタポートを有するテザー組立体
PT2772778E (pt) Ficha de fibra ótica
IL117334A (en) Fiber optic canopy closure
MX2012004906A (es) Conector optico.
BRPI0621975A2 (pt) Adaptador de cabo para um cabo de fibras ópticas, sistema para plugar um cabo de fibra óptica em um receptáculo de fibra óptica, e, método para instalar um cabo de fibras ópticas em um receptáculo de fibras ópticas
RU2552119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корпус для 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адаптированный под операции направления и подсоединения 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к серединному разветвлению
KR101228447B1 (ko)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JP5079287B2 (ja) 短余長融着接続部収容部材
KR100942229B1 (ko) 광접속함체용 트레이
CN212160169U (zh) 接续结构及光缆接续盒
JP2003322727A (ja)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および通線方法
JP2010243835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分岐構造体、光ファイバケーブル分岐方法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分岐具
KR101058396B1 (ko)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KR20110009064U (ko) 보호튜브를 갖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기구
KR100393606B1 (ko) 팬아웃 블럭용 분기 장치
KR101597088B1 (ko) 광케이블 접속장치
JP2661960B2 (ja) 多心光コード分岐部
JP4458539B2 (ja) 光ケーブル接続具
KR100276072B1 (ko)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KR20000031486A (ko) 팬아웃 코드
JPH0356905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分岐部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