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930A -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 - Google Patents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930A
KR20170046930A KR1020150147145A KR20150147145A KR20170046930A KR 20170046930 A KR20170046930 A KR 20170046930A KR 1020150147145 A KR1020150147145 A KR 1020150147145A KR 20150147145 A KR20150147145 A KR 20150147145A KR 20170046930 A KR20170046930 A KR 20170046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main body
longitudinal direction
cable
cor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김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현 filed Critical 김도현
Priority to KR1020150147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6930A/ko
Publication of KR20170046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8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ferrules, branching and break-out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는, 반경방향에서 단면(斷面)이 반원 형상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슬롯 형상의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심광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반원 형상의 홈이 양단(兩端)의 폐쇄된 면에 형성되어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와 동일한 형상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一端)이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고 타단(他端)에서 본체와 체결부끼리 맞물려 결합되도록 구성된 뚜껑; 상기 본체의 내부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중심부분 내측면을 따라 다심광케이블이 안치되는 제1공간부가 형성된 제1내장재; 상기 뚜껑의 내부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길이방향의 중앙부분 내측면에 광아답터가 안치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一端) 부분에는 피크테일의 단심광케이블이 수납되고 상부를 폐쇄시킬 수 있는 덮개판이 구비되어 있는 제2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중심부분 내측면을 따라 제2공간부로부터 타단까지 이어지는 제3공간부가 형성된 제2내장재; 다심광케이블에서 인출한 단심광케이블과 상기 피크테일의 단심광케이블 단부(端部)끼리를 서로 접속시키는 열수축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A branch device for incoming multi-core opticl cable}
본 발명은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에서 단심광케이블을 인출하여 가입자측으로 분기시키기 위한 가입자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이나 건물의 외벽에 가설된 인터넷 및 유선방송용 다심광케이블에서 필요한 단심광케이블을 뽑아서 각 세대로 인입되게 하여 인입용 광케이블을 단정하게 정리하고 재사용 할 수 있는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및 유선방송 등에 이용되는 통신케이블은 전신주와 전신주 사이에 연결된 조가선에 결박되고, 전신주에 설치된 분기장치를 거쳐서 사용자가 있는 건물의 옥상 또는 지상으로 인입되며, 옥상에서 지상으로 또는 지상에서 옥상으로 외벽을 타고 가설되어 있다. 허가받은 통신사업자나 유선방송사업자는 해당 전신주의 분기장치로부터 건물의 옥상이나 지상까지 통신케이블 인입선을 가설한 후 건물 외벽에 가설하여, 최종적으로는 사용처에 인입되게 되는데, '인입선'이란 인터넷을 사용하거나 유선방송 등을 시청하기 위해 전신주로부터 사용처로 들어오는 광케이블을 포함한 통신케이블을 말한다.
그런데, 디지털방송, 유선방송 및 인터넷 등의 서비스에 대한 통신사업자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공동주택이나 다세대 주택 및 규모가 작은 상업용 건물 내의 통신서비스 사용자들은 전입, 전출로 인한 서비스 중지 및 신규신청과, 사업자 간의 가격 및 서비스 차이 등으로 인하여 서비스 공급자를 변경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인입용 통신케이블을 신규로 가설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고, 신규 가설을 하고 나서도 사용하지 않은 기존의 통신케이블을 철거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인터넷 및 유선방송 등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전신주의 분기장치(조가선 분기점)로부터 사용처로 인입되는 인입용 통신케이블이 무분별하게 가설되고 있어서 외관상 매우 지저분하고 위험해 보이며, 강풍이나 돌풍이 불면 여러 가닥이 서로 얽히게 되면서 그네처럼 회동하다가 나중에는 집중하중이 걸려 절단되는 등 많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158256호 "광케이블 분기 접속 함체"와 같은 기술이 출현하였으나, 상기 특허는 하나의 피복관 내부에 여러 가닥의 단심광케이블을 수납하여 한가닥의 굵은 다심광케이블로 공급되고, 광케이블이 분기되는 지점에서 다심광케이블에 접속함체를 장착하여 설치하고 나서, 접속함체 내에서 다심광케이블의 피복관을 벗겨낸 후에 내부에 있는 다수의 단심광케이블이 노출되도록 하고, 각 단심광케이블을 분기용 유니트 슬리브 저장판의 슬릿 사이에 각각 삽입하여 고정시킨 다음, 고정된 하나의 단심광케이블을 사용처로 분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함체의 구성도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고소(高所)에서 하는 분기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힘들어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많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발명자)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케이블 분기기를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2015-46077호 "인입용 다심광케이블 분기기"로 출원하였고, 이와 같은 분기기를 사용하여 현장 설치작업을 계속해 오고 있는데, 아파트나 오피스빌딩 등에서 하는 인입용 광케이블 분기작업은 고소(高所)에서 작업을 하게 되므로 작업 안전성과 편리성을 위하여 연구 개발을 지속적으로 하는 중에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이나 건물의 외벽에 가설된 인터넷 및 유선방송용 다심광케이블에 장착하여, 다심광케이블에서 필요한 단심광케이블 가닥을 인출하여 가입자 측으로 인입되게 함으로써 인입용 광케이블을 단정하게 정리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할 수 있는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번 사용하고 난 분기함도 반복사용이 가능해서 재사용할 수 있고, 다심광케이블에 미리 장착되어 있으므로 분기시에는 광점퍼코드의 양단(兩端) 연결단자를 가입자측 장비와 분배기에 각각 꽂아서 접속시키기만 하여 매우 빠르고 편리하며 안전하게 설치작업을 할 수 있으며, 조가선에 다심광케이블을 결박시키기 위한 별도의 기구나 수단을 설치할 필요없이 조가선과 다심광케이블을 한꺼번에 결박할 수 있는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는, 반경방향에서 단면(斷面)이 반원 형상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슬롯 형상의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심광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반원 형상의 홈이 양단(兩端)의 폐쇄된 면에 형성되어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와 동일한 형상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一端)이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고 타단(他端)에서 본체와 체결부끼리 맞물려 결합되도록 구성된 뚜껑; 상기 본체의 내부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중심부분 내측면을 따라 다심광케이블이 안치되는 제1공간부가 형성된 제1내장재; 상기 뚜껑의 내부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길이방향의 중앙부분 내측면에 광아답터가 안치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一端) 부분에는 피크테일의 단심광케이블이 수납되고 상부를 폐쇄시킬 수 있는 덮개판이 구비되어 있는 제2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중심부분 내측면을 따라 제2공간부로부터 타단까지 이어지는 제3공간부가 형성된 제2내장재; 다심광케이블에서 인출한 단심광케이블과 상기 피크테일의 단심광케이블 단부(端部)끼리를 서로 접속시키는 열수축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제1체결부와 뚜껑에 형성된 제2체결부끼리 체결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내장재와 제2내장재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과 같은 탄성 재질이며, 제1내장재와 제2내장재의 외주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돌출부가 본체와 뚜껑의 개방부에 각각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피크테일은, 일단(一端)은 광아답터에 접속되는 연결단자이고, 연결단자에는 단심광케이블이 연결되어 그 단부(端部)가 열수축튜브에 접속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열수축튜브는 제1내장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심광케이블의 피복된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를 형성하여, 절개부를 통해 단심광케이블이 인출되고, 인출된 단심광케이블의 단부(端部)가 열수축튜브에 접속되도록 구성되며, 단심광케이블의 양단(兩端)에 연결단자가 구비된 광점퍼코드의 일측 연결단자가 상기 광아답터에 접속되고, 광점퍼코드의 타측 연결단자는 가입자측 장비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지금까지 각종 통신케이블을 전신주의 분기장치로부터 수요처별로 단심광케이블로 공급하여 많은 통신케이블이 너덜너덜하게 인입되었던 것을 본 발명에서는 한가닥으로 된 다심광케이블을 사용함으로써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했고, 본 발명에 따른 인입용 다심광케이블 분배기를 통해 공공주택이나 건물의 외벽에 부설된 다심광케이블에서 필요한 단심광케이블 가닥을 인출하여 공동주택이나 건물의 각 세대 또는 각 층으로 공급함으로써, 인입용 광케이블을 단정하게 정리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광케이블 분배기는 필요한 단심광케이블이 미리 인출되어 단심광케이블의 단부(端部)가 광아답터까지 연결되어 있는 상태까지 작업이 완료되어 다심광케이블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분기작업시 다심광케이블의 피복의 일부를 절개하고 분배기를 장착하여 단심광케이블을 인출하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고, 작업자가 양단(兩端)에 연결단자가 부착된 광점퍼코드만 가지고 가서 광점퍼코드의 양단을 실내에 위치한 가입자측 장비와 실외에 있는 분배기에 각각 꽂아서 접속시키기만 하면 끝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빠르고 편리하며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케이블 분배기는, 한번 사용하고 난 분배기를 폐기시키지 않고 재활용하여 반복 사용이 가능하므로 비용 절약은 물론 자원도 절약할 수 있으며, 조가선에 다심광케이블을 결박시키기 위한 별도의 기구나 수단을 설치할 필요없이 분기기에 조가선과 다심광케이블을 한꺼번에 결박할 수 있어서 시공작업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자재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배기를 광케이블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분배기 뚜껑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분배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다심광케이블에서 단심광케이블이 인출되어 단심광케이블의 단부(端部)가 광아답터까지 연결되어 있는 상태까지 작업이 완료된 분배기를 다심광케이블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해 놓음으로써 작업자는 양단(兩端)에 연결단자가 부착된 광점퍼코드만 가지고 가서 광점퍼코드의 양단에 있는 연결단자를 실내측에 위치한 가입자측 장비와 실외측에 있는 분배기에 각각 꽂아주기만 하면 끝나므로 설치작업을 매우 빠르고 편리하면 안전하게 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10)는 드럼통 형상으로, 드럼통을 길이방향을 따라 2등분한 본체(11)와 뚜껑(12)이 힌지결합되어 구성되고, 본체(11)와 뚜껑(12)에는 제1내장재(13)와 제2내장재(14) 각각 삽입되어 본체(11)와 뚜껑(12)이 맞닿는 부위로 다심광케이블(20)이 관통하도록 하여 구성된다. 물론 조가선(30)이 다심광케이블(20)과 일체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심광케이블(20)과 조가선(30)이 관통되게 된다.
본체(11)는 드럼통을 길이방향을 따라 2등분했을 때 반쪽인데, 반경방향에서 단면(斷面)이 반원 형상이고, 반원의 꼭지점 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슬롯 형상의 개방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심광케이블(20)이 삽입될 수 있는 반원 형상의 홈이 양단(兩端)의 폐쇄된 면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뚜껑(12)은 본체(11)와 동일한 형상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一端)이 본체(11)와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타단(他端)에서 본체(11)와 체결부끼리 맞물려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체(11)에 형성된 제1체결부(112)와 뚜껑(12)에 형성된 제2체결부(122)는 요철(凹凸) 또는 상응하는 형상의 돌출부 및 요입부와 같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체결 고정되며,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가 없다.
제1내장재(13)는 본체(11)의 내부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중심부분 내측면을 따라 다심광케이블(20)이 안치되는 제1공간부(131)가 형성되며, 다심광케이블(20)과 함께 조가선(30)이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조가선(30)도 안치되는 홈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제2내장재(14)는 뚜껑(12)의 내부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길이방향의 중앙부분 내측면에 광아답터(27)가 안치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一端) 부분에는 피크테일(26)의 단심광케이블(22)이 수납되고 상부를 폐쇄시킬 수 있는 덮개판(142)이 구비되어 있는 제2공간부(141)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중심부분 내측면을 따라 제2공간부(141)로부터 타단까지 이어지는 제3공간부(14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제3공간부(143)의 중간 부분에 광아답터(27)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피크테일(26)의 연결단자에 연결된 단심광케이블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그대로 놔두면 분기함(10) 내부에서 어지럽게 흩어져 있게 되어 본체(11)와 뚜껑(12)도 제대로 체결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본체(11)와 뚜껑(12)을 억지로 체결하면서 단심광케이블이 파손될 염려가 있으므로, 단심광케이블을 단정히 정리하여 제2공간부(141)에 수납하고 제2공간부(141)를 덮개판(142)으로 덮어두면 단심광케이블이 단정히 정리될 뿐만 아니라 본체(11)와 뚜껑(12)의 체결에도 문제가 없게 된다.
제1내장재(13)와 제2내장재(14)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되어 있어서 어느 정도의 탄성이 있으므로, 본체(11)와 뚜껑(12)를 체결 결합시켰을 때 제1내장재(13)와 제2내장재(14)가 갖는 탄성에 의해 완전히 접촉하게 되어 분배기(10)가 밀폐되면서 수밀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내장재(13)와 제2내장재(14)의 외주면에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돌출부가 본체(11)와 뚜껑(12)의 개방부(111, 121)에 각각 삽입되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제1내장재(13)와 제2내장재(14)가 본체(11)와 뚜껑(12)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본체(11)와 뚜껑(12) 내부에 제1내장재(13)와 제2내장재(14)를 각각 삽입하여 본체(11)와 뚜껑(12)을 체결시키고 난 다음에는 분배기(10)의 양단에서 고무 등으로 된 밴딩부재(15)를 체결하면, 본체(11)와 뚜껑(12)의 체결력도 보강될 뿐만 아니라 바람이 불면서 다심광케이블(20)이 건물 외벽에 부딪히더라도 시끄러운 소음을 없앨 수 있게 된다.
열수축튜브(25)는 다심광케이블(20)에서 인출한 단심광케이블(22)과 피크테일(26)의 단심광케이블 단부(端部)끼리를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인데, 피크테일(26)은, 일단(一端)은 광아답터(27)에 접속되는 연결단자이고, 연결단자에는 단심광케이블이 연결되어 그 단부(端部)가 열수축튜브(25)에 접속되도록 구성되며, 열수축튜브(25)는 제1내장재(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열수축튜브(25)는 단심광케이블끼리 연결시켜 주기 위한 일회용 연결관인데, 광케이블 연결을 위해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작업자가 간단한 연결기를 가지고 다니면서 연결작업을 하고 있다. 만일 가입자가 바뀌게 되면 기존에 사용했던 열수축튜브를 폐기시키고, 피크테일의 연결단자에 연결된 단심광케이블과 다심광케이블에서 인출한 단심광케이블의 단부를 새로운 튜브의 양측에 각각 삽입한 다음 작업자가 가지고 다니는 연결기로 간편하게 연결작업을 한다.
다심광케이블(20)에는 피복된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21)가 형성되어, 절개부(21)를 통해 필요한 단심광케이블(22)이 인출되고, 인출된 단심광케이블(22)의 단부(端部)가 열수축튜브(25)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다심광케이블(20)을 포설할 때부터 다심광케이블(20)의 절개부(21)가 형성된 부분에 본 발명의 분배기(10)가 미리 장착되어 있다.
광점퍼코드(28)는 단심광케이블의 양단(兩端)에 연결단자가 구비된 것으로, 광점퍼코드(28)의 일측 연결단자는 광아답터(27)에 접속되고, 광점퍼코드(28)의 타측 연결단자는 가입자측 장비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광점퍼코드(28)만 가지고 가서, 실외에 있는 분배기(10)의 뚜껑(12)을 열고 광점퍼코드(28)의 일측 연결단자를 분배기(10) 내에 있는 광아답터(27)에 꽂아 접속하고, 타측 연결단자를 실내에 있는 가입자측 장비에 꽂아 접속하기만 하면 설치 작업이 끝나게 되므로 작업 자체가 매우 빠르고 간편하며 안전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분배기
11 : 본체 111 : 개방부
112 : 제1체결부
12 : 뚜껑 121 : 개방부
122 : 제2체결부
13 : 제1내장재 131 : 제1공간부
14 : 제2내장재 141 : 제2공간부
142 : 덮개판 143 : 제3공간부
15 : 밴딩부재
20 : 다심광케이블
21 : 절개부 22 : 단심광케이블
25 : 열수축튜브 26 : 피크테일
27 : 광아답터 28 : 광점퍼코드
30 : 조가선

Claims (6)

  1. 반경방향에서 단면(斷面)이 반원 형상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슬롯 형상의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심광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반원 형상의 홈이 양단(兩端)의 폐쇄된 면에 형성되어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와 동일한 형상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一端)이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고 타단(他端)에서 본체와 체결부끼리 맞물려 결합되도록 구성된 뚜껑;
    상기 본체의 내부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중심부분 내측면을 따라 다심광케이블이 안치되는 제1공간부가 형성된 제1내장재;
    상기 뚜껑의 내부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길이방향의 중앙부분 내측면에 광아답터가 안치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一端) 부분에는 피크테일의 단심광케이블이 수납되고 상부를 폐쇄시킬 수 있는 덮개판이 구비되어 있는 제2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중심부분 내측면을 따라 제2공간부로부터 타단까지 이어지는 제3공간부가 형성된 제2내장재;
    다심광케이블에서 인출한 단심광케이블과 상기 피크테일의 단심광케이블 단부(端部)끼리를 서로 접속시키는 열수축튜브;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제1체결부와 뚜껑에 형성된 제2체결부끼리 체결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장재와 제2내장재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장재와 제2내장재의 외주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돌출부가 본체와 뚜껑의 개방부에 각각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테일은, 일단(一端)은 광아답터에 접속되는 연결단자이고, 연결단자에는 단심광케이블이 연결되어 그 단부(端部)가 열수축튜브에 접속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열수축튜브는 제1내장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심광케이블의 피복된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를 형성하여, 절개부를 통해 단심광케이블이 인출되고, 인출된 단심광케이블의 단부(端部)가 열수축튜브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
  6. 제1항에 있어서,
    단심광케이블의 양단(兩端)에 연결단자가 구비된 광점퍼코드의 일측 연결단자가 상기 광아답터에 접속되고, 상기 광점퍼코드의 타측 연결단자는 가입자측 장비에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
KR1020150147145A 2015-10-22 2015-10-22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 KR20170046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145A KR20170046930A (ko) 2015-10-22 2015-10-22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145A KR20170046930A (ko) 2015-10-22 2015-10-22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930A true KR20170046930A (ko) 2017-05-04

Family

ID=5874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145A KR20170046930A (ko) 2015-10-22 2015-10-22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69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616B1 (ko) 2018-03-23 2019-10-21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광 신호 전송장치 및 그 설치방법
CN111007605A (zh) * 2019-12-02 2020-04-14 江苏永鼎光电子技术有限公司 一体化光缆分支器结构
WO2021119790A1 (pt) * 2019-12-20 2021-06-24 Furukawa Electric Latam S.A. Caixa de terminação óptica para ambientes interno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616B1 (ko) 2018-03-23 2019-10-21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광 신호 전송장치 및 그 설치방법
CN111007605A (zh) * 2019-12-02 2020-04-14 江苏永鼎光电子技术有限公司 一体化光缆分支器结构
CN111007605B (zh) * 2019-12-02 2021-01-26 江苏永鼎光电子技术有限公司 一体化光缆分支器结构
WO2021119790A1 (pt) * 2019-12-20 2021-06-24 Furukawa Electric Latam S.A. Caixa de terminação óptica para ambientes interno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29298B (zh) 光纤电缆保持装置
CN101981760B (zh) 通信电缆入口设备
CN102204049B (zh) 密封封装件
KR100952825B1 (ko) 광케이블 및 광케이블의 인장부재 지지장치
CN102062915A (zh) 网络接口装置
KR20170046930A (ko)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
KR101563771B1 (ko) 메인케이블용 복수의 방수방법을 제공하는 케이블 접속박스
EP2589999B1 (en) Optical cable connection casing adapted for operation of guiding and connecting optical cable to branching halfway
KR101694313B1 (ko) 이동 가능한 광분기어댑터가 수용되는 광케이블 단자함
KR101577595B1 (ko) 인입용 다심 광케이블 분기기
KR20100071468A (ko) 스플리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
CA2898666C (en) Cable connection casing
KR101451606B1 (ko)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
KR100947631B1 (ko) 광단자함에서의 광케이블 분기방법
CN106154474A (zh) Ftth快速布放系统多用户光分配单元装置及布线方法
JP2008129166A (ja) 光ファイバ配線系およびスプリッタボックス
CN205809372U (zh) Ftth快速布放系统多用户光分配单元装置
KR101229889B1 (ko) 인입선 행거
CN208752269U (zh) 一种抗挤压多芯户外光缆
KR200444464Y1 (ko) 광단자함
JP4373891B2 (ja) マルチメディアポート
CN203455526U (zh) 帽式光缆接头盒
KR101341588B1 (ko) 세경케이블용 다분기함과 이를 이용한 다분기세트
KR102187369B1 (ko)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
KR20160126597A (ko) 재사용을 위한 인입용 단심 광케이블 보관용 공파이프가 내장된 다심 광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