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588B1 - 세경케이블용 다분기함과 이를 이용한 다분기세트 - Google Patents

세경케이블용 다분기함과 이를 이용한 다분기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588B1
KR101341588B1 KR1020130059718A KR20130059718A KR101341588B1 KR 101341588 B1 KR101341588 B1 KR 101341588B1 KR 1020130059718 A KR1020130059718 A KR 1020130059718A KR 20130059718 A KR20130059718 A KR 20130059718A KR 101341588 B1 KR101341588 B1 KR 101341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ble
upper cover
lower bod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130059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경케이블이 다수의 광섬유로 분기될 때, 분기된 광섬유와 세경케이블을 쉽고 간편하게 안정적으로 연결해 줄 수 있는 세경케이블용 다분기함과 이를 이용한 다분기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로 분할되되, 드롭케이블튜브(200)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에는 분할편(115,125)에 의해 공간이 구획되는 튜브고정부(114,124)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본체(110)의 분할편(115)은 상부커버(120)의 튜브고정부(124)에 삽입되는 드롭케이블튜브(200)를 가압해 고정하며, 상부커버(120)의 분할편(125)은 하부본체(110)의 튜브고정부(124)에 삽입되는 드롭케이블튜브(200)를 가압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경케이블용 다분기함과 이를 이용한 다분기세트{Beanch box for optical fiber micro cable and divergencing set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세경케이블이 다수의 광섬유로 분기될 때, 분기된 광섬유와 세경케이블을 쉽고 간편하게 안정적으로 연결해 줄 수 있는 세경케이블용 다분기함과 이를 이용한 다분기세트에 관한 것이다.
대용량의 정보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의 동축케이블 대신 광케이블(Optical cable)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근래에는 고품질의 초고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 가정까지 광케이블을 부설하는 FTTH(Fiber To The Home) 네트워크 구축이 범정부적인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다.
상기, FTTH는 그 구성방법에 따라서 ANO(Active Optical Network) 및 PON(Passive Optical Network)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일반 주택과 같이 각 세대별로 수용자가 분산되어 있거나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스플리터를 이용하여 광신호를 분기, 배분하는 PON 형식이 선호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광케이블은 설치장소에 따라 옥외에 포설되는 옥외용 케이블과 옥내의 단자함으로부터 장비까지 연결되는 옥내용 케이블 및 옥외의 접속함으로부터 옥내의 단자함으로 인입되는 드롭케이블(drop cable)로 크게 구분된다.
이중, 상기 드롭케이블(drop cable)은 옥외용 케이블의 접속함체로부터 옥내의 단자함으로 연결되는 케이블로서 옥외용 케이블에 비하여 가느다란 세경광케이블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세경광케이블은 내부에 단심 또는 복심의 광섬유들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 광섬유들은 각 세대별로 또는 구내 단자함의 접속단자에 1 대 1로 대응되도록 접속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FTTH 광선로망에 대해 상세한 기재가 등록특허 제10-0827178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된 종래의 FTTH 광선로망 연결구조는 광접속함체에서부터 광아울렛 사이에 많은 융착접속을 필요로 한다.
즉, 광분배기와 광분기함 사이를 광섬유심선으로 연결하기 위해 광분배기마다 개별적으로 융착접속이 이루어져 하고, 광분기함과 광아울렛 사이에서도 각 가입자별로 융착접속을 필요로 하며, 광분기함과 광아울렛 내부에서의 광커넥터 접속 및 광아울렛과 ONT 사이에서 광점퍼코드를 이용한 접속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융착접속은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융착접속이 한번 씩 이루어질 때마다 손실률이 가중되므로 품질에 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더욱이 과도한 노동력과 작업시간이 요구되어 이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방안이 등록특허 제10-0827178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된 종래기술의 경우 연결부위가 열수축성보호튜브에 의해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시 열수축성보호튜브를 제거하고 재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더욱이 분기되어야 할 광섬유의 수가 많은 경우 각각의 구멍으로 광섬유를 삽입관통시키는 작업이 상당히 어려워 작업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밖에 없으며, 나아가 분기되는 광섬유의 수에 맞는 어댑터 및 이를 밀봉할 수 있는 열수축성보호튜브가 적용되어야 하므로 범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 및 해체가 매우 편리하고, 세경케이블의 분기시 분기부위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광섬유의 수에 따라 드롭케이블튜브가 설치되는 튜브고정구의 수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범용성이 상당히 우수한 세경케이블용 다분기함과 이를 이용한 다분기세트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본체와 상부커버로 분할되되, 드롭케이블튜브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본체와 상부커버에는 분할편에 의해 공간이 구획되는 튜브고정부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본체의 분할편은 상부커버의 튜브고정부에 삽입되는 드롭케이블튜브를 가압해 고정하며, 상부커버의 분할편은 하부본체의 튜브고정부에 삽입되는 드롭케이블튜브를 가압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본체와 상부커버에는 복수의 광섬유를 갖춘 세경케이블을 감싸 고정하는 케이블고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편과 케이블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요철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고정부의 표면에는 세경케이블을 물어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본체 또는 상부커버의 튜브고정부에는 파기가능한 확장슬롯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일 예로서, 본 발명의 다분기세트는,
하부본체와 상부커버로 분할되되, 드롭케이블튜브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본체와 상부커버에는 분할편에 의해 공간이 구획되는 튜브고정부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본체의 분할편은 상부커버의 튜브고정부에 삽입되는 드롭케이블튜브를 가압해 고정하며, 상부커버의 분할편은 하부본체의 튜브고정부에 삽입되는 드롭케이블튜브를 가압해 고정하는 다분기함과;
상기 세경케이블로부터 분기된 광섬유가 삽입되어 질 수 있는 광섬유안내관과, 인장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광섬유안내관을 감싸는 인장섬유와, 인장섬유를 감싸 보호하는 피복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튜브고정부에 삽입고정되는 드롭케이블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롭케이블튜브에는 광가입자측의 설비와 연결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된 광섬유에 설치되는 광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경케이블로부터 분기된 각각의 광섬유를 드롭케이블튜브를 이용해 보호하고, 세경케이블과 드롭케이블튜브를 하부본체와 상부커버를 이용해 고정하게 되므로 분기부위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그 설치는 매우 편리해지며, 더욱이 세경케이블을 분기시 융착접속을 요하지 않고도 가입자의 댁내까지 연결이 가능하므로 이에 따른 손실률을 개선할 수 있으며, 나아가 융착접속에 따른 과도한 노동력과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하부본체와 상부커버에 마련된 요철형태의 케이블고정부와 분할편을 통해 세경케이블과 드롭케이블튜브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상호 보완적으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확실한 고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파기가능한 확장슬롯를 통해 세경케이블로부터 분기되는 광섬유의 수에 따라 드롭케이블튜브가 설치되는 튜브고정구의 수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며, 더욱이 확장슬롯를 제거하지 않았을 때에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어 하부본체와 상부커버 내부를 항시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 역시 기대해 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분기세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분기세트에서 다분기함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분기세트에서 다분기함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분기세트에서 보호튜브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분기세트의 사용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서의 다분기세트는 다분기함(100)과 보호튜브(200)로 구성되며, 여기에 광커넥터(300)를 포함한다.
상기 다분기함(100)은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로 분할되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예로서, 상기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가 서로 맞대어지는 가장자리 면에는 각각 결합돌기(111,121)와 이에 대응되는 결합홈(112,122)이 형성되며, 이를 매개로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어 조립이 상당히 편리해지고 작업이 수월해진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일 예시에 불과하며, 이 밖에도 공지의 다양한 착탈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가 서로 분리 및 결합되는 구조로 기재 및 도시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를 절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의 일측에는 케이블고정부(113,12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분할편(115,125)을 매개로 복수의 튜브고정부(114,1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고정부(113,123)에는 광섬유(1a)를 갖춘 세경케이블(1)이 안착되어 가압고정되고, 튜브고정부(114,124)에는 보호튜브(200)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특히, 상기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의 타측에 형성된 분할편(115,125)은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의 결합시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도록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에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를 상호 결합했을 때에 하부본체(110)의 분할편(115)과 분할편(115) 사이에 상부커버(120)의 분할편(125)이 위치하게 되고, 반대로 상부커버(120)의 분할편(125)과 분할편(125) 사이에 하부본체(110)의 분할편(115)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롭케이블튜브(200)를 하부본체(110)의 튜브고정부(114)에 삽입고정한 상태에서 상부커버(120)를 덮게 되면 상부커버(120)의 분할편(125)이 드롭케이블튜브(200)를 가압하게 되므로 드롭케이블튜브(20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에 형성된 케이블고정부(113,123)와 분할편(115,125)을 매개로 세경케이블(1)과 각각의 드롭케이블튜브(200)를 고정한다 하더라도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외부로 이탈될 우려가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일 예로서, 상기 케이블고정부(113,123)와 분할편(115,125)을 임의의 간격으로 절개하여 요철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하였다.
따라서,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케이블고정부(113,123)가 요철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를 상호 결합할 경우 세경케이블(1)의 외면에는 케이블고정부(113,123)에 의해 요철형태의 마디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므로 세경케이블(1)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케이블고정부(113,123)와 세경케이블(1)의 외면이 상호 보완적으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확실한 고정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할편(115,125) 역시 요철형태를 이루고 있어 드롭케이블튜브(200)를 확실히 고정할 수 있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부본체(110)의 튜브고정부(114)에 드롭케이블튜브(200)를 삽입하게 되면, 드롭케이블튜브(200)의 외면에는 분할편(115)에 의해 요철형태의 마디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면서 상호 보완적으로 맞물리게 되며, 더욱이 상부커버(120)를 덮게 되면 상부커버(120)의 분할편(125)이 드롭케이블튜브(200)를 가압하게 되므로 드롭케이블튜브(200)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인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확실한 고정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블고정부(113,123)를 요철형태로 형성했다 하더라도 세경케이블(1)이 인장력을 받게 되면 고정상태가 해제되면서 외부로 이탈되거나 중심에서 회전되면서 세경케이블(1)로부터 분기된 광섬유(1a)가 꼬이게 되면서 단선 될 우려가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고정부(113,123)에는 고정돌기(116,117)를 더 보강해 주었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116,117)는 뾰족한 돌기로서, 세경케이블(1)을 물어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116,117)의 형태는 공지의 그 어떠한 것으로 변형실시 가능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를 상호 결합시 케이블고정부(113,123)에 의해 세경케이블(1)이 1차적으로 가압고정되면서 고정돌기(116,117)가 세경케이블(1)을 2차적으로 물어 고정하게 되므로 더욱더 확실한 고정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세경케이블(1)이 축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분기된 광섬유(1a)가 꼬이거나 이로 인해 단선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경케이블(1)로부터 분기되는 광섬유(1a)의 수에 따라 드롭케이블튜브(200) 역시 이에 대응되게 적용되어야 하며, 드롭케이블튜브(200)가 설치되는 튜브고정부(114,124) 역시 탄력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으므로, 하부본체(110) 또는 상부커버(120)의 튜브고정부(114,124)에는 파기가능한 확장슬롯(127)를 일체로 형성시켜 줌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120)의 튜브고정부(124)가 확장슬롯(127)에 의해 막혀 있고, 이때 광섬유(1a)의 수가 8개인 경우 드롭케이블튜브(200) 역시 이에 대응되게 8개가 적용되어야 하므로 확장슬롯(127)을 공구를 이용하여 탈락시키게 되면 막혀 있던 상부커버(120)의 튜브고정부(124)가 개방되면서 도 4(b)와 같이 드롭케이블튜브(20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세경케이블(1)로부터 분기되는 광섬유(1a)의 수에 따라 드롭케이블튜브(200)의 설치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며, 더욱이 확장슬롯(127)을 제거하지 않았을 때에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에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어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의 내부를 항시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 역시 기대해 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드롭케이블튜브(200)는 세경케이블(1)로부터 분기된 광섬유(1a)가 삽입관통되는 광섬유안내관(210)과, 광섬유안내관(210)을 감싸며 인장에 저항할 수 있도록 된 인장섬유(220)와, 인장섬유(220)를 감싸 보호하며 튜브고정부(114,124)에 삽입고정되는 외피(2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장섬유(220)는 인장선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지의 아라미드얀(aramid yarn)이고, 외피(230)는 공지의 난연 폴리우레탄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구성으로 이루어진 드롭케이블튜브(200)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된 광섬유(1a)를 외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장력이 작용했을 경우 이를 인장섬유(220)를 통해 견딜 수 있도록 하여 광섬유(1a)가 끊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롭케이블튜브(200)에는 광가입자측의 설비와 연결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된 광섬유(1a)에 설치되는 광커넥터(3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광커넥터(300)는 공지의 현장조립용 광커넥터를 의미한다.
일 예로서, 상기와 같이 연결된 광커넥터(300)는 광가입자측(미도시)의 설비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광커넥터(300) 설치방법은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분기세트의 사용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세경케이블(1)의 광섬유(1a)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단부측 외피를 일정길이로 탈피시켜 주고, 탈피된 각각의 광섬유(1a)을 드롭케이블튜브(200)의 광섬유안내관(210)을 통해 관통시켜 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1a)가 드롭케이블튜브(200)에 각각 삽입되면, 하부본체(110)의 케이블고정부(113)에는 세경케이블(1)을 안착시켜주고,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의 튜브고정부(114,124)에는 드롭케이블튜브(200)를 삽입시켜 준다.
이때, 상기 튜브고정부(114,124)에 삽입된 드롭케이블튜브(200)는 요철형태를 이루는 분할편(115,125)에 의해 드롭케이블튜브(200)의 외면에는 요철형태의 마디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면서 상호 보완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를 상호 결합시켜 주게 되면, 하부커버(110)의 분할편(115)과 상부커버(120)의 분할편(125)이 드롭케이블튜브(200)를 각각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롭케이블튜브(200)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인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확실한 고정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블고정부(113,123)의 역시 요철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를 상호 결합하게 되면 세경케이블(1)의 외면에는 케이블고정부(113,123)에 의해 요철형태의 마디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므로 세경케이블(1)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케이블고정부(113,123)와 세경케이블(1)의 외면이 상호 보완적으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확실한 고정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되며, 더욱이 케이블고정부(113,123)에 형성된 고정돌기(116,117)가 세경케이블(1)을 2차적으로 물어 고정하게 되므로 더욱더 확실한 고정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는 각각의 드롭케이블튜브(200) 말단부에 현장조립된 광커넥터(300)를 설치해준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를 상호 결합하더라도 외력 또는 자연적으로 상호 분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밴드(400)를 설치해 줌으로서 하부본체(110)와 상부커버(12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밴드(400)는 공지의 타이밴드, 벨크로테이프 등이 있으며, 이 밖에도 결합밴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도 적용실시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세경케이블 1a: 광섬유 100: 다분기함
110: 하부본체 120: 상부커버 111,121: 결합돌기
112,122: 결합홈 113,123: 케이블고정부
114,124: 튜브고정부 115,125: 분할편
116,126: 고정돌기 127: 확장슬롯 200: 드롭케이블튜브
210: 광섬유안내관 220: 인장섬유 230: 외피
300: 광커넥터 400: 결합밴드

Claims (7)

  1. 하부본체와 상부커버로 분할되되, 드롭케이블튜브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본체와 상부커버에는 분할편에 의해 공간이 구획되는 튜브고정부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본체의 분할편은 상부커버의 튜브고정부에 삽입되는 드롭케이블튜브를 가압해 고정하며, 상부커버의 분할편은 하부본체의 튜브고정부에 삽입되는 드롭케이블튜브를 가압해 고정하며, 하부본체 또는 상부커버의 튜브고정부에는 파기가능한 확장슬롯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와 상부커버에는 복수의 광섬유를 갖춘 세경케이블을 감싸 고정하는 케이블고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편과 케이블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요철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고정부의 표면에는 세경케이블을 물어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함.
  5. 하부본체와 상부커버로 분할되되, 드롭케이블튜브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본체와 상부커버에는 분할편에 의해 공간이 구획되는 튜브고정부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본체의 분할편은 상부커버의 튜브고정부에 삽입되는 드롭케이블튜브를 가압해 고정하며, 상부커버의 분할편은 하부본체의 튜브고정부에 삽입되는 드롭케이블튜브를 가압해 고정하는 다분기함과;
    세경케이블로부터 분기된 광섬유가 삽입되어 질 수 있는 광섬유안내관과, 인장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광섬유안내관을 감싸는 인장섬유와, 인장섬유를 감싸 보호하는 피복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튜브고정부에 삽입고정되는 드롭케이블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롭케이블튜브에는 광가입자측의 설비와 연결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된 광섬유에 설치되는 광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세트.
  7. 삭제
KR1020130059718A 2013-05-27 2013-05-27 세경케이블용 다분기함과 이를 이용한 다분기세트 KR101341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718A KR101341588B1 (ko) 2013-05-27 2013-05-27 세경케이블용 다분기함과 이를 이용한 다분기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718A KR101341588B1 (ko) 2013-05-27 2013-05-27 세경케이블용 다분기함과 이를 이용한 다분기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588B1 true KR101341588B1 (ko) 2013-12-13

Family

ID=49988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718A KR101341588B1 (ko) 2013-05-27 2013-05-27 세경케이블용 다분기함과 이를 이용한 다분기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5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08081A1 (en) * 2021-03-26 2022-09-29 Mando Corporation Holder structure for sensor and sensor for detecting change of magnetic fiel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387Y1 (ko) * 2000-11-18 2001-05-02 희성전선주식회사 광케이블용 선단 고정구조
KR200281262Y1 (ko) * 2002-02-15 2002-07-13 주식회사 아셀아이 2심이상의 다심광섬유 케이블의 분기부의 고정 및 장착장치
KR100414845B1 (ko) 2000-06-23 2004-01-13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광섬유 커넥터
JP2008304556A (ja) * 2007-06-05 2008-12-18 Advanced Cable Systems Corp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端末装置およびその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845B1 (ko) 2000-06-23 2004-01-13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광섬유 커넥터
KR200222387Y1 (ko) * 2000-11-18 2001-05-02 희성전선주식회사 광케이블용 선단 고정구조
KR200281262Y1 (ko) * 2002-02-15 2002-07-13 주식회사 아셀아이 2심이상의 다심광섬유 케이블의 분기부의 고정 및 장착장치
JP2008304556A (ja) * 2007-06-05 2008-12-18 Advanced Cable Systems Corp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端末装置およびその形成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08081A1 (en) * 2021-03-26 2022-09-29 Mando Corporation Holder structure for sensor and sensor for detecting change of magnetic field
KR20220134153A (ko) * 2021-03-26 2022-10-05 주식회사 만도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
KR102615258B1 (ko) * 2021-03-26 2023-12-19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1543B2 (en) Indexing terminals for supporting a bidirectional indexing architecture
EP3726265A1 (en) Optic fiber connecting head and optic fiber connector
EP3132298B1 (en) Fiber optic enclosure with cable management drawer
EP2353234B1 (en) Optical connection terminal having port mapping scheme
EP3673308B1 (en) Drop terminal
US9874713B2 (en) Indexing terminals having a port arrangement environmentally sealed by a cover
KR101201989B1 (ko) 광섬유 커플링 장치 및 방법
US6493500B1 (en) Method for mid-span branching of optical fiber cable
KR101253889B1 (ko) 광케이블 단자함
US10746929B2 (en) Fiber optic cable extension sleeve for receiving a splice protector of fused fiber strands
WO2016161341A3 (en) Fiber optic network architecture using high fiber-count fiber optic connectors
KR101341588B1 (ko) 세경케이블용 다분기함과 이를 이용한 다분기세트
KR20100071468A (ko) 스플리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
US6415092B1 (en) Access box for one or more optic fibers in a tensioned cable
KR101748166B1 (ko) 케이블 접속 케이싱
CN104932068A (zh) 一种分光分纤盒
KR100947631B1 (ko) 광단자함에서의 광케이블 분기방법
KR100942229B1 (ko) 광접속함체용 트레이
KR101668322B1 (ko) 세경케이블 다분기 세트
KR100829714B1 (ko) 광선로종단장치
KR200281262Y1 (ko) 2심이상의 다심광섬유 케이블의 분기부의 고정 및 장착장치
KR20050095789A (ko) 광섬유 케이블을 도관 안으로 불어넣는 방법
KR20110009064U (ko) 보호튜브를 갖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기구
KR101080374B1 (ko) 인입용 광케이블 분기세트
KR200230008Y1 (ko) 리본형다심광섬유분리형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