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153A -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 - Google Patents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153A
KR20220134153A KR1020210039446A KR20210039446A KR20220134153A KR 20220134153 A KR20220134153 A KR 20220134153A KR 1020210039446 A KR1020210039446 A KR 1020210039446A KR 20210039446 A KR20210039446 A KR 20210039446A KR 20220134153 A KR20220134153 A KR 20220134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fixing
protrusion
holder structur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5258B1 (ko
Inventor
백성오
송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210039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258B1/ko
Priority to US17/703,993 priority patent/US20220308081A1/en
Priority to CN202220694425.7U priority patent/CN217133197U/zh
Publication of KR20220134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 G01P1/026Housings for speed measuring devices, e.g. pulse gen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9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speed sensor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01D5/2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using a variable number of pulses in a tra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01P3/487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delivered by rotating 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는, 일단부에 센서부가 안착되고 타단부에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케이블이 안착되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에 있어서, 연장 형성되는 바디; 상기 센서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형성되는 센서부 안착부; 상기 센서부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한 쌍의 케이블이 안착되도록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형성되는 케이블 안착부; 상기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홈부를 구비하는 제 1 고정부; 상기 바디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 1 홈부의 단면과 상이한 단면을 가지는 제 2 홈부를 구비하는 제 2 고정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HOLDER STRUCTURE FOR SENSOR AND SENSOR FOR DETECTING CHANGE OF MAGNETIC FIELD}
본 발명은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휠 스피드 센서는 차량의 휠 상에 배치되는 영구 자석이 휠과 함께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여 차량의 스피드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휠의 회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 및 바퀴와 지면의 마찰에 의하여 상승할 수 있는 이물질이 휠 스피드 센서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휠 스피드 센서는 케이블에 연결된 센서부를 센서용 홀더 구조체에 안착시킨 상태로 하우징을 일체로 사출 형성시킨다.
이 때, 하우징을 사출하기 위하여 센서용 홀더 구조체는 별도의 고정 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데, 고정 부재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서 작업자의 부주위로 센서용 홀더 구조체가 고정되는 방향이 반대로 바뀔 수 있게 된다.
센서용 홀더 구조체의 배치 방향이 올바르지 않은 상태로 하우징을 사출하는 경우에는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하우징의 특성상 센서용 홀더 구조체를 재차 분리하여 다시 하우징을 사출할 수 없으므로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센서용 홀더 구조체를 잘못 배치시켜도 별도의 고정 부재에 결합될 수 있으면 자동화 생산 설비를 이용하더라도 위와 같은 손실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서, 하우징 사출을 위하여 센서용 홀더 구조체를 배치할 때 특정 방향으로 배치될 때에만 고정 부재에 결합될 수 있어서, 센서용 홀더 구조체가 잘못 배치된 상태로 사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77708호(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하우징 사출 시 하우징 내부에 센서용 홀더 구조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불량품 생산을 줄일 수 있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부가 센서용 홀더 구조체에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는, 일단부에 센서부가 안착되고 타단부에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케이블이 안착되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에 있어서, 연장 형성되는 바디; 상기 센서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형성되는 센서부 안착부; 상기 센서부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한 쌍의 케이블이 안착되도록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형성되는 케이블 안착부; 상기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홈부를 구비하는 제 1 고정부; 상기 바디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 1 홈부의 단면과 상이한 단면을 가지는 제 2 홈부를 구비하는 제 2 고정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센서부는 센서 본체, 상기 센서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케이블이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 및 상기 단자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관통홀에 결합된 채로 상기 센서부가 상기 센서부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일측에 돌출 형성된 단자 고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 본체의 타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본체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 안착부는 상기 센서 본체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벽 및 상기 본체 고정 돌기가 삽입된 채로 상기 센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벽에 형성된 본체 고정 돌기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센서 본체는 비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벽은 상기 센서 본체가 일방향으로만 상기 센서부 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본체의 비대칭적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케이블 안착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벽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벽은 양측면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측벽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케이블 고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케이블 안착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벽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은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분리벽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케이블 고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케이블의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케이블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 부재를 상기 바디의 타측에 고정하는 보호 부재 고정 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호 부재 고정 부재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안착부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보호 부재가 상기 보호 부재 고정 부재에 안착되도록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호 부재 고정 부재는 상기 보호 부재 고정 부재의 개방된 측 양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돌기에는 상기 보호 부재를 상기 보호 부재 고정 부재의 개방된 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돌출부와 이격되어 상기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3 돌출부 및 상기 제 3 돌출부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3 홈부를 구비하는 제 3 고정부; 상기 제 2 돌출부와 이격되어 상기 바디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4 돌출부 및 상기 제 4 돌출부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 3 홈부의 단면과 상이한 단면을 가지는 제 4 홈부를 구비하는 제 4 고정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케이블; 상기 센서부와 상기 한 쌍의 케이블이 안착되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 상기 센서용 홀더 구조체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용 홀더 구조체는 연장 형성되는 바디; 상기 센서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형성되는 센서부 안착부; 상기 한 쌍의 케이블이 안착되도록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형성되는 케이블 안착부; 상기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홈부를 구비하는 제 1 고정부; 상기 바디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 1 홈부의 단면과 상이한 단면을 가지는 제 2 홈부를 구비하는 제 2 고정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우징은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제 1 홈부의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는 제 1 고정 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부에 결합되고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제 2 홈부의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는 제 2 고정 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 2 고정부에 결합된 상태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돌출부와 이격되어 상기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3 돌출부 및 상기 제 3 돌출부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3 홈부를 구비하는 제 3 고정부; 상기 제 2 돌출부와 이격되어 상기 바디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4 돌출부 및 상기 제 4 돌출부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 3 홈부의 단면과 상이한 단면을 가지는 제 4 홈부를 구비하는 제 4 고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제 1 홈부와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는 제 1 고정 부재가 상기 제 1 고정부에 결합되고,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제 2 홈부와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는 제 2 고정 부재가 상기 제 2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고정 부재와 이격 배치되되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제 3 홈부와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는 제 3 고정 부재가 상기 제 3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고정 부재와 이격 배치되되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제 4 홈부와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는 제 4 고정 부재가 상기 제 4 고정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센서부는 차량의 휠 스피드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는, 하우징 사출 시 하우징 내부에 센서용 홀더 구조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불량품 생산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는, 센서부가 센서용 홀더 구조체에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의 센서부 안착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의 케이블 안착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7 (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에 제 1 내지 제 4 고정부재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의 센서용 홀더 구조체에 제 1 내지 제 4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의 고정 부재에 보호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 (b)는 도 8 (a)의 A-A' 선을 따라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 접속이라는 표현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물론 다른 구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의 형상을 다르게 설계함으로써 하우징을 사출 시 센서용 홀더 구조체가 고정되는 방향이 바뀌는 것을 방지하여 불량품이 생산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센서용 홀더 구조체는 자동차의 휠 스피드를 측정할 수 있는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의 센서부를 고정할 수 있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을 자동차 휠의 스피드를 측정할 수 있는 휠 스피드 센서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때, 도 1에서의 하부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방향으로 규정하고, 좌측을 향하는 방향을 상측 방향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1)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 센서부(200), 케이블(300) 및 하우징(400)을 구비한다.
센서부(200)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한다. 특히 차량의 휠 내부에 배치되어 차량의 휠(미도시)에 부착되어 휠(미도시)과 함께 회전하는 영구 자석에 의해 변화하는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센서부(200)는 차량의 휠 스피드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1)의 센서부(200)는 센서 본체(210) 및 단자(220)를 포함한다.
센서 본체(210)에는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IC(Integrated Circuit)칩이 실장된다.
센서 본체(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센서 본체(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가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본체(210)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경사면(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센서 본체(210)를 설치하는 자는 센서 본체(210)의 상면과 하면을 구분할 수 있다.
단자(220)는 센서 본체(2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단자(220)는 센서 본체(210)에 전력을 공급하고 센서 본체(210)와 외부의 제어부(미도시)를 통전 가능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220)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220)에는 관통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22)은 후술하는 단자 고정 돌기(112)에 체결된다.
관통홀(222)이 형성되는 위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220)의 센서 본체(210)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단자(22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각 단자(220)마다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자(220)마다 동일한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300)은 센서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의 제어부(미도시)와 센서부(200)를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센서 본체(210)가 측정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300) 내에 배치되는 도선(310)이 단자에 통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케이블(300)의 개수는 단자(22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고, 각 단자(2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케이블(300) 및 단자(22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200)와 센서부(200)에 연결된 케이블(300)이 안착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1)의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는 바디(110), 센서부 안착부(120) 및 케이블 안착부(130)를 구비한다.
바디(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의 상부 면에는 센서부(200) 및 케이블(300)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때, 바디(110)의 전방 측에는 센서부 안착부(120)가 형성되며, 센서부(200)는 센서부 안착부(120)에 안착된 상태로 바디(110)에 고정된다.
이 때, 도 3를 참조하여 센서부 안착부(120)에 센서부(200)가 안착되는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의 센서부 안착부의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1)의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는 센서부(20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고정되기 위하여, 테두리벽(122), 본체 고정 돌기 홈(124) 및 단자 고정 돌기(112)를 구비한다.
센서부 안착부(1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 안착부(120)에 배치된 센서부(200)의 센서 본체(21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테두리벽(122)이 상부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때, 테두리벽(1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본체(21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센서 본체(210)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경사면(2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센서 본체(210)를 테두리벽(122) 내에 배치할 때 센서 본체(210)의 상면과 하면을 반대로 뒤집어 배치하는 경우, 센서 본체(210)가 테두리벽(122) 내에 삽입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불량품이 제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테두리벽(122)의 전방 측 내측면에는 본체 고정 돌기 홈(124)이 형성된다. 본체 고정 돌기 홈(124)에는 센서 본체(210)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본체 고정 돌기(230)가 삽입된다.
본체 고정 돌기(23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본체 고정 돌기 홈(124)은 본체 고정 돌기(23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본체 고정 돌기(23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테두리벽(122)에 따라 센서 본체(210)의 상하면을 결정하고, 본체 고정 돌기(230)를 본체 고정 돌기 홈(124)에 삽입한 상태에서 센서 본체(210)를 테두리벽(122) 내측에 배치시킨다.
한편, 센서부 안착부(120)의 후방 측에는 바디(110)의 상부면으로부터 단자 고정 돌기(112)가 돌출 형성된다.
센서 본체(210)가 센서부 안착부(120)에 안착됨에 따라 단자(220)가 바디(11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데, 단자 고정 돌기(112)는 센서 본체(210)가 테두리벽(122) 내에 고정되도록 단자(220)에 형성된 관통홀(222)에 삽입된다.
단자 고정 돌기(112)의 형상 및 위치는 관통홀(2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본체 고정 돌기(230)를 본체 고정 돌기 홈(124)에 삽입한 채로 단자 고정 돌기(112)를 관통홀(222)에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단자 고정 돌기(112)의 상부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 고정 돌기(112)가 관통홀(222)에 삽입될 때 관통홀(222)의 전방측 내주면이 단자 고정 돌기(112)에 형성된 전방 경사면(114)을 따라 관통홀(222) 내부로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방 경사면(116)이 형성됨으로써 관통홀(222)의 후방측 내주면이 이동할 때 단자 고정 돌기(112)에 의해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본체 고정 돌기(230)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고, 단자 고정 돌기(112)에 의하여 전후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채로, 센서부 안착부(120)에 안착된다.
한편, 바디(110)의 후방 측에는 케이블 안착부(130)가 형성된다. 즉, 센서부 안착부(120)에 센서부(200)가 안착됨에 따라 센서부(200)의 단자(220)에 연결되어 후방 측에 배치되는 케이블(300)은 케이블 안착부(130)에 안착된 상태로 바디(110)에 고정된다.
이 때, 도 4을 참조하여 케이블 안착부(130)에 케이블(300)이 안착되는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의 케이블 안착부의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1)의 케이블 안착부(130)는 측벽(132), 분리벽(134) 및 케이블 고정 리브(136)를 구비한다.
측벽(1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바디(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때, 측벽(132)은 케이블(300)의 좌우 측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 때, 한 쌍의 단자(220)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케이블(300)이 각각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측벽(132)의 중앙에는 분리벽(134)이 형성된다. 분리벽(134)은 바디(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측벽(132)과 평행하도록 바디(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300)은 단자(220)에 연결된 채로 측벽(132)과 분리벽(134) 사이에 안착된다.
이 때, 분리벽(134) 또는 측벽(132)의 내측면에는 케이블 고정 리브(136)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고정 리브(136)는 분리벽(134)과 측벽(132)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300)의 좌우측면을 가압하여 케이블(300)이 분리벽(134)과 측벽(132) 사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케이블 고정 리브(136)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측벽(132) 및 분리벽(134)의 길이에 따라 다른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센서부(200)를 센서부 안착부(120)에 안착시킨 뒤 단자(220)에 결합된 케이블(300)을 케이블 안착부(130), 즉 분리벽(134)과 측벽(132) 사이에 안착시킨다. 이 때, 사용자는 케이블(300)이 바디(110)의 상부면에 맞닿도록 하부 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케이블(300)이 케이블 고정 리브(136)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에 센서부(200)와 케이블(300)이 안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를 감싸도록 하우징(400)이 형성된다. 이 때, 하우징(400)은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가 별도의 고정 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출되어 형성된다.
이 때,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하우징(400)을 사출 형성하기 위한 구성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1)의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는 제 1 고정부(140) 및 제 2 고정부(150)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부(140)는 하우징(400)을 사출 시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가 제 1 고정 부재(2)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바디(110)의 우측면에 형성된다.
제 1 고정부(140)에 결합하는 제 1 고정 부재(2)는 막대기의 형성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 1 고정 부재(2)의 단면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1)의 제 1 고정부(140)는 바디(110)의 우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142)를 구비하고, 제 1 돌출부(142)의 선단면에는 바디(110)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홈부(144)를 구비한다.
제 1 홈부(144)는 제 1 고정 부재(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고정 부재(2)의 단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부(140)가 형성되는 우측면의 반대 측인 바디(110)의 좌측면에는 제 2 고정 부재(4)에 고정될 수 있는 제 2 고정부(150)가 형성된다.
제 1 고정부(140)와 제 2 고정부(150)가 도 6에 도시된 바처럼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 2 고정부(150)는 제 1 고정부(140)와 마찬가지로 바디(110)의 좌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152)를 구비하고, 제 2 돌출부(152)의 선단면에는 바디(110)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 홈부(154)를 구비한다.
이 때, 제 2 홈부(154)에는 제 2 고정 부재(4)가 결합하는데, 제 2 고정 부재(4)는 제 1 고정 부재(2)와 같이 연장 형성되는 막대기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홈부(154)는 제 2 고정 부재(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2 고정 부재(4)의 단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제 1 고정 부재(2)와 제 2 고정 부재(4)는 단면의 형상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의 좌우 방향이 바뀌어 제 1 고정 부재(2) 측에 제 2 고정부(150)가 배치되고 제 2 고정 부재(4) 측에 제 1 고정부(140)가 배치되더라도, 제 1 고정부(140)에 제 2 고정 부재(4)가 삽입될 수 있고 제 2 고정부(150)에 제 1 고정 부재(2)가 결합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400)을 사출하여 형성 시 하우징(400) 내부에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가 배치되는 방향이 바뀐 상태로 사출되어 불량품이 생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400)을 사출 시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1)의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는 제 3 고정부(160) 및 제 4 고정부(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제 3 고정부(160) 및 제 4 고정부(170)에 대한 설명 중 제 1 고정부(140) 및 제 2 고정부(150)에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고정부(160)는 제 1 고정부(140)와 이격되어 바디(110)의 우측면에 형성된다. 제 3 고정부(160)는 제 1 고정 부재(2)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3 고정 부재(6)와 결합된다.
이 때, 제 3 고정부(160)는 제 1 고정부(140)와 마찬가지로 바디(110)의 우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3 돌출부(162)와 제 3 돌출부(162)의 선단면에 형성되는 제 3 홈부(164)를 구비할 수 있다.
제 3 고정 부재(6)는 제 1 고정 부재(2)가 제 1 고정부(140)에 결합될 때 제 3 홈부(164)로 삽입됨으로써 제 3 고정부(160)에 결합된다.
이 때, 제 3 홈부(164)의 단면의 형상과 제 1 홈부(144)의 단면 형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하우징(400)을 사출 시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가 전후방향으로 잘못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고정부(170)는 제 3 고정부(160)와 대향하여 바디(110)의 좌측면에 형성되고, 바디(110)의 좌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4 돌출부(172)와 제 4 돌출부(172)의 선다면에 형성되는 제 4 홈부(174)를 구비할 수 있다. 제 4 홈부(174)에는 제 2 고정 부재(4)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4 고정 부재(8)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때, 제 3 홈부(164)와 마찬가지로 하우징(400)을 사출 시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가 전후방향으로 잘못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4 홈부(174)의 단면의 형상과 제 2 홈부(154)의 단면 형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홈부(164)와 제 4 홈부(174)의 단면의 형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을 사출 시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의 잘못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a) 및 (b)를 참조하여 제 1 고정 부재(2) 내지 제 4 고정 부재(8)가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에 결합되는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에 제 1 내지 제 4 고정부재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의 센서용 홀더 구조체에 제 1 내지 제 4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을 사출하기 전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를 고정하기 위한 하측에 제 1 고정 부재(2) 및 제 3 고정 부재(6)가 배치되고 상측에 제 2 고정 부재(4) 및 제 4 고정 부재(8)가 배치된다.
제 1 고정 부재(2) 내지 제 4 고정 부재(8)는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 때, 하우징(400)의 사출이 예정된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는 제 1 고정부(140) 및 제 3 고정부(160)가 제 1 고정 부재(2) 및 제 3 고정 부재(6)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2 고정부(150) 및 제 4 고정부(170)가 제 2 고정 부재(4) 및 제 4 고정 부재(8)의 하부에 배치된다.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 사출을 위하여 제 1 고정 부재(2) 내지 제 4 고정 부재(8)는 각각 제 1 고정부(140) 내지 제 4 고정부(17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때,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가 배치되는 방향이 바뀌는 경우. 제 1 고정부(140) 내지 제 4 고정부(170)의 단면과 제 1 고정 부재(2) 내지 제 4 고정 부재(8)의 단면은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제 1 고정부(140) 내지 제 4 고정부(170)에 제 1 고정 부재(2) 내지 제 4 고정 부재(8)가 결합할 수 없게 된다.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 부재(2) 내지 제 4 고정 부재(8)가 각각 제 1 고정부(140) 내지 제 4 고정부(170)에 삽입되면 하우징(400)을 사출하여 형성시킨다. 이에 따라, 센서부(200)가 안착된 센서부 안착부(120)와 케이블(300)이 안착된 케이블 안착부(130)를 일체로 감쌀 수 있는 하우징(400)이 형성된다. (도 1 참조)
하우징(400)이 형성된 이후에는 제 1 고정 부재(2) 내지 제 4 고정 부재(8)가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로 분리된다.
도 8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의 보호 부재 고정 부재에 보호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 (b)는 도 8 (a)의 A-A' 선을 따라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는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는 한 쌍의 케이블(300)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320)를 바디(110)의 타측에 고정한다.
이 때,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부재(320)는 한 쌍의 케이블(300)을 외부로부터 물리적으로 보호하고 한 쌍의 케이블(300)이 나뉜 상태로 방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케이블(30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일종을 피복일 수 있다.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는 내부에 한 쌍의 케이블(300)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보호 부재(320)의 외주면을 감싸서 보호 부재(320)를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 부재(320)의 외부면과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의 내주면(192)이 맞닿은 채로 결합된다.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의 일측은 보호 부재(320)가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의 일측이 개방되는 방향은 상술한 케이블(300)이 케이블 안착부(130)에 안착되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에 케이블(300)을 결합할 때, 케이블(300) 및 케이블(300)을 감싸는 보호 부재(320)를 같은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보다 쉽게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는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를 바디(110)의 타측면에 배치하기 위하여 이음부(18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음부(180)는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가 바디(11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바디(110)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에 연결된다. 이 때, 바디(110), 이음부(180) 및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음부(180)가 구비됨으로써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가 이음부(180)를 통해 보호 부재(320)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의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는 보호 부재 고정 돌기(194) 및 보호 부재 고정 돌기(194)에 형성되는 가이드면(19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보호 부재 고정 돌기(194)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의 개방되는 측 양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보호 부재 고정 돌기(194)가 형성됨에 따라, 보호 부재(320)가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의 개방될 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보호 부재 고정 돌기(194) 각각에는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의 개방된 측으로 가이드면(196)이 형성된다. 가이드면(196)은 사용자가 보호 부재(320)를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에 결합할 때 보호 부재(320)를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의 개방된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케이블(300)보다 굵은 보호 부재(320)를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에 정밀하게 대응시키지 않더라도 쉽게 보호 부재(320)를 가이드면(196)을 따라 개방된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의 일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보호 부재(320)가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얇은 케이블(300)을 보다 쉽게 케이블 안착부(130)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는 단면이 서로 다른 홈부를 구비하는 제 1 고정부(140) 내지 제 4 고정부(17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제 1 고정부(140) 내지 제 4 고정부(170)를 제 1 고정 부재(2) 내지 제 4 고정 부재(8)에 결합시킬 때, 방향을 확인할 수 있어서, 하우징 사출 시 하우징 내부에 센서용 홀더 구조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불량품 생산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는, 케이블 안착부(130) 및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를 구비함으로써 케이블(300)이 이탈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면(196)이 형성된 보호 부재 고정 부재(190)를 구비함으로써 보호 부재(320)를 보다 용이하게 센서용 홀더 구조체(1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는 휠 스피드 센서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 내부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센서부가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는 센서로 사용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 154 제 2 홈부
2 제 1 고정 부재 160 제 3 고정부
4 제 2 고정 부재 162 제 3 돌출부
6 제 3 고정 부재 164 제 3 홈부
8 제 4 고정 부재 170 제 4 고정부
100 홀더 구조체 172 제 4 돌출부
110 바디 174 제 4 홈부
112 단자 고정 돌기 180 이음부
114 전방 경사면 190 보호 부재 고정 부재
116 후방 경사면 192 안착면
120 센서부 안착부 194 보호 부재 고정 돌기
122 테두리벽 196 가이드면
124 본체 고정 돌기 홈 200 센서부
130 케이블 안착부 210 센서 본체
132 측벽 212 경사면
134 분리벽 220 단자
136 케이블 고정 리브 222 관통홀
140 제 1 고정부 230 본체 고정 돌기
142 제 1 돌출부 300 케이블
144 제 1 홈부 310 도선
150 제 2 고정부 320 보호 부재
152 제 2 돌출부 400 하우징?

Claims (15)

  1. 일단부에 센서부가 안착되고 타단부에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케이블이 안착되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에 있어서,
    연장 형성되는 바디;
    상기 센서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형성되는 센서부 안착부;
    상기 센서부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한 쌍의 케이블이 안착되도록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형성되는 케이블 안착부;
    상기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홈부를 구비하는 제 1 고정부;
    상기 바디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 1 홈부의 단면과 상이한 단면을 가지는 제 2 홈부를 구비하는 제 2 고정부; 를 포함하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센서 본체, 상기 센서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케이블이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 및 상기 단자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관통홀에 결합된 채로 상기 센서부가 상기 센서부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일측에 돌출 형성된 단자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 본체의 타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본체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 안착부는 상기 센서 본체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벽 및 상기 본체 고정 돌기가 삽입된 채로 상기 센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벽에 형성된 본체 고정 돌기 홈을 포함하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본체는 비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벽은 상기 센서 본체가 일방향으로만 상기 센서부 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본체의 비대칭적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안착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벽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벽은 양측면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측벽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케이블 고정 리브를 포함하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안착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벽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은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분리벽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케이블 고정 리브를 포함하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케이블의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케이블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 부재를 상기 바디의 타측에 고정하는 보호 부재 고정 부재; 를 포함하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 고정 부재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안착부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보호 부재가 상기 보호 부재 고정 부재에 안착되도록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 고정 부재는 상기 보호 부재 고정 부재의 개방된 측 양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기에는 상기 보호 부재를 상기 보호 부재 고정 부재의 개방된 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와 이격되어 상기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3 돌출부 및 상기 제 3 돌출부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3 홈부를 구비하는 제 3 고정부;
    상기 제 2 돌출부와 이격되어 상기 바디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4 돌출부 및 상기 제 4 돌출부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 3 홈부의 단면과 상이한 단면을 가지는 제 4 홈부를 구비하는 제 4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
  12.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케이블;
    상기 센서부와 상기 한 쌍의 케이블이 안착되는 센서용 홀더 구조체;
    상기 센서용 홀더 구조체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용 홀더 구조체는
    연장 형성되는 바디;
    상기 센서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형성되는 센서부 안착부;
    상기 한 쌍의 케이블이 안착되도록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형성되는 케이블 안착부;
    상기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홈부를 구비하는 제 1 고정부;
    상기 바디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 1 홈부의 단면과 상이한 단면을 가지는 제 2 홈부를 구비하는 제 2 고정부; 를 포함하는,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제 1 홈부의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는 제 1 고정 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부에 결합되고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제 2 홈부의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는 제 2 고정 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 2 고정부에 결합된 상태로 사출되어 형성되는,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용 홀더 구조체는
    상기 제 1 돌출부와 이격되어 상기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3 돌출부 및 상기 제 3 돌출부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3 홈부를 구비하는 제 3 고정부;
    상기 제 2 돌출부와 이격되어 상기 바디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4 돌출부 및 상기 제 4 돌출부의 선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 3 홈부의 단면과 상이한 단면을 가지는 제 4 홈부를 구비하는 제 4 고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제 1 홈부와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는 제 1 고정 부재가 상기 제 1 고정부에 결합되고,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제 2 홈부와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는 제 2 고정 부재가 상기 제 2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고정 부재와 이격 배치되되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제 3 홈부와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는 제 3 고정 부재가 상기 제 3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고정 부재와 이격 배치되되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제 4 홈부와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는 제 4 고정 부재가 상기 제 4 고정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출되어 형성되는,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차량의 휠 스피드를 측정하는,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
KR1020210039446A 2021-03-26 2021-03-26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 KR102615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446A KR102615258B1 (ko) 2021-03-26 2021-03-26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
US17/703,993 US20220308081A1 (en) 2021-03-26 2022-03-25 Holder structure for sensor and sensor for detecting change of magnetic field
CN202220694425.7U CN217133197U (zh) 2021-03-26 2022-03-28 传感器用支架结构体及磁场变化检测传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446A KR102615258B1 (ko) 2021-03-26 2021-03-26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153A true KR20220134153A (ko) 2022-10-05
KR102615258B1 KR102615258B1 (ko) 2023-12-19

Family

ID=8264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446A KR102615258B1 (ko) 2021-03-26 2021-03-26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08081A1 (ko)
KR (1) KR102615258B1 (ko)
CN (1) CN217133197U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0964A (ja) * 2005-12-21 2007-07-05 Sumiden Electronics Kk 回転検出センサ
KR100777708B1 (ko) 2007-01-08 2007-11-21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제조방법
KR101341588B1 (ko) * 2013-05-27 2013-12-13 이정민 세경케이블용 다분기함과 이를 이용한 다분기세트
JP2015169468A (ja) * 2014-03-05 2015-09-28 住友電装株式会社 車輪速センサ
KR102088360B1 (ko) * 2019-08-01 2020-03-17 아센텍 주식회사 차량 속도감지 센서 탑재용 인서트
JP2020112406A (ja) * 2019-01-10 2020-07-27 日立金属株式会社 回転速センサ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0964A (ja) * 2005-12-21 2007-07-05 Sumiden Electronics Kk 回転検出センサ
KR100777708B1 (ko) 2007-01-08 2007-11-21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제조방법
KR101341588B1 (ko) * 2013-05-27 2013-12-13 이정민 세경케이블용 다분기함과 이를 이용한 다분기세트
JP2015169468A (ja) * 2014-03-05 2015-09-28 住友電装株式会社 車輪速センサ
JP2020112406A (ja) * 2019-01-10 2020-07-27 日立金属株式会社 回転速センサ
KR102088360B1 (ko) * 2019-08-01 2020-03-17 아센텍 주식회사 차량 속도감지 센서 탑재용 인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7133197U (zh) 2022-08-05
US20220308081A1 (en) 2022-09-29
KR102615258B1 (ko)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5651B1 (en) Electrical current detection device
US8917085B2 (en) Current sensor
US7170410B2 (en) Sensor device
EP2619598B1 (en) Current detecting device and attaching structure thereof
US20130320968A1 (en) Current sensor
US8854036B2 (en) Current detecting apparatus
JP2010014477A (ja) 電流センサ
US9673573B2 (en) Connector with sensor
JP2002357617A (ja) センサ装置
JP6064117B2 (ja) 電流センサ
JP2001128334A (ja) 電線プロテクタの電線保持構造
KR20160117184A (ko) 플러그
US5447454A (en) Connector
CN115275533A (zh) 电压检测单元
CN115275535A (zh) 电压检测单元
KR20220134153A (ko)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
JP3351502B2 (ja) 電流センサ内蔵コネクタ
KR20220011427A (ko) 충전커넥터
CN113544910A (zh) 带电子部件的端子台、电子设备及电子部件用安装辅助件
KR20130081915A (ko) 배터리 전류 측정 장치
CN114765321A (zh) 附带温度传感器的配线部件
JP6894767B2 (ja) 中継端子モジュール
JP4514682B2 (ja) 回転検出センサ
CN112563831A (zh) 带有温度传感器的端子组件
JP5864737B2 (ja) 生体情報測定用コネクタと、それを用いた生体情報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