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708B1 -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708B1
KR100777708B1 KR1020070001926A KR20070001926A KR100777708B1 KR 100777708 B1 KR100777708 B1 KR 100777708B1 KR 1020070001926 A KR1020070001926 A KR 1020070001926A KR 20070001926 A KR20070001926 A KR 20070001926A KR 100777708 B1 KR100777708 B1 KR 100777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rib
wheel speed
ribs
spe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환중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1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 G01P1/026Housings for speed measuring devices, e.g. pulse gen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60T8/26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using valves or actuators with external control means
    • B60T8/26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using valves or actuators with external control means using the valves of an ABS, ASR or ESP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2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characterised by a first part whose movement represents the measuring value, and by a second part which is moved by an external force in order to follow the movement of the first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을 소형화 하면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제조방법은, 인서트금형(200)의 캐리어고정홈(201)에 끼워지도록 캐리어고정핀(121)이 캐리어(120)의 양측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 높이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120)의 양측벽에 돌출된 각각의 캐리어고정핀(121)을 캐리어(120)의 양측벽에서 환형상으로 감싸는 형태로 상기 캐리어고정핀(121)의 높이 보다 낮게 돌출된 리브(122a,122b)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120)에 센싱소자(110)와 케이블(130)이 연결되어 안착된 상태로 1차서브조립체(100)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1차서브조립체(100)를 오버몰드 인서트금형(200)내에 인서트하는 단계와, 상기 1차서브조립체(100)의 외부에 오버몰드하우징(300)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휠스피드센서, 센싱소자, 캐리어, 고정핀, 리브

Description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제조방법{METHOD MANUFACTURING OF WHEEL SPEED SENSOR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종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성형된 캐리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캐리어가 금형에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캐리어의 요부가 성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요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라 캐리어가 성형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차서브조립체 110 : 센싱소자
120 : 캐리어 120a : 제1편
120b : 제2편 120c : 코어
121 : 캐리어고정핀 122a,122b : 리브
200 : 인서트금형 201 : 캐리어고정홈
300 : 오버몰드 하우징
본 발명은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을 소형화 하면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는 푸트 브레이크와 주차 브레이크로 구분되는 바, 상기한 푸트 브레이크는 승용차의 경우 유압을 사용하여 4륜에 장착된 디스크 브레이크 또는 드럼 브레이크를 제어함으로써 자동차의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디스크 브레이크의 경우 드라이브 샤프트와 동일 회전하는 디스크 캘리퍼 어셈블리가 소정의 압력으로 잡아 고정시킴으로써 제동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한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흡기의 부압이 연통되도록 설치된 부스터와, 상기한 부스터와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 후륜 브레이크에 유압 배관으로 연결된 마스터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시 슬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티록 브레 이크 장치(ABS)가 개발되었는 바, 이는 휠 스피드 센서로 휠의 회전 속도를 체크하면서 록킹되지 않도록 브레이크 유압을 제어하게 된다.
종래 이러한 자동차용 휠 스피드 센서에 적용되는 캐리어의 제조방법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코어(10)에 리브형성홈(11)이 방전가공에 의해 막혀진 상태로 형성되어 사출성형이 이루어져 캐리어(20)의 리브(21)가 끝이 뭉뚝하게 성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20)의 캐리어고정핀(22)이 본 발명을 설명하는 도 3의 금형(200)의 캐리어고정홈(201)에 인서트되어 안착된 상태로 상기 리브(21)가 뭉뚝하게 형성된 상태로 자동차용 휠 스피드 센서의 오버몰드(over mold)가 이루어지면 상기 자동차용 휠 스피드센서는 상기 리브(21)의 뭉뚝한 부분에 의해서 수분침투를 차단하지 못하고 캐리어(20)로 수분이 침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캐리어의 리브성형시에 리브형성홈을 조각난 코어편으로 형성하여 끝을 뾰쪽하게 하고 끝에는 에어밴트를 형성하여 캐리어의 성형시 리브가 뾰쪽하게 성형되도록 한 자동차용 휠 스피드 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제1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끝이 뾰쪽한 캐리어를 이용하여 오버몰드 사출성형을 할 때 캐리어의 뾰쪽한 부분이 성형시 녹아서 오버몰드와 일몸을 형성하여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된 자동차용 휠 스피드 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제 2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휠 스피드 센서의 제조방법은, 인서트금형의 캐리어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캐리어고정핀이 캐리어의 양측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 높이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의 양측벽에 돌출된 각각의 캐리어고정핀을 캐리어의 양측벽에서 환형상으로 감싸는 형태로 상기 캐리어고정핀의 높이 보다 낮게 돌출된 리브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에 센싱소자와 케이블이 연결되어 안착된 상태로 1차서브조립체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1차서브조립체를 오버몰드 인서트금형내에 인서트하는 단계와, 상기 1차서브조립체의 외부에 오버몰드하우징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휠 스피드 센서의 제조방법은, 상기 1차서브조립체를 구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캐리어를 성형하는 금형은, 각각의 상기 캐리어고정핀의 외측면과 상기 리브의 캐리어고정핀쪽으로 향한 면이 수직으로 형성되도록 조립되는 제1편과, 상기 캐리어고정핀과 가까운 위치의 리브의 끝이 뭉뚝하지 않도록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캐리어고정핀을 기준으로 상기 리브 보다 더 멀리 있는 리브의 수직면을 형성하도록 조립되는 제2편과, 상기 리브의 끝이 뭉뚝하지 않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휠 스피드 센서의 제조방법은, 상기 1차서브조립체를 구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캐리어의 리브는 상기 캐리어고정핀으로부터 0.5 ~ 1㎜ 간격을 두고 0.4 ~ 1.2㎜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리브는 상기 리브로 부터 0.5 ~ 1㎜ 간격을 두고 0.4 ~ 1.2㎜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리브의 상부에 상기 제2편과 코어의 경사면에 의해 뾰족해진 각도는 17 ~ 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휠 스피드 센서의 제조방법은, 상기 오버몰드하우징을 성형하는 단계에서, 상기 캐리어의 리브위로 오버몰드 사출성형 하는 두께는 상기 리브의 뾰쪽한 첨단 부위에서 0.8 ~ 1.0㎜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종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성형된 캐리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캐리어가 금형에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캐리어의 요부가 성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요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센싱소자에 의해 휠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 휠 축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휠 스피드 센서의 제조방법은, 인서트금형(200)의 캐리어고정홈(201)에 끼워지도록 캐리어고정핀(121)이 캐리어(120)의 양측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 높이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120)의 양측벽에 돌출된 각각의 캐리어고정핀(121)을 캐리어(120)의 양측벽에서 환형상으로 감싸는 형태로 상기 캐리어고정핀(121)의 높이 보다 낮게 돌출된 리브(122a,122b)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120)에 센싱소자(110)와 케이블(130)이 연결되어 안착된 상태로 1차서브조립체(100)를 구성하는 단계(S1)와, 상기 1차서브조립체(100)를 오버몰드 인서트금형(200)내에 인서트하는 단계(S2)와, 상기 1차서브조립체(100)의 외부에 오버몰드하우징(300)을 성형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120)에는 상기 센싱소자(110)와 케이블(130)이 안착되어 조립되도록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1차서브조립체(100)를 구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캐리어(120)를 성형하는 금형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상기 캐리어고정핀(121)의 외측면과 상기 리브(122a,122b)의 캐리어고정핀(121)쪽으로 향한 면이 수직으로 형성되도록 조립되는 제1편(120a)과, 상기 캐리어고정핀(121)과 가까운 위치의 리브(122a)의 끝이 뭉뚝하지 않도록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캐리어고정핀(121)을 기준으로 상기 리브(122a) 보다 더 멀리 있는 리브(122b)의 수직면을 형성하도록 조립되는 제2편(120b)과, 상기 리브(122b)의 끝이 뭉뚝하지 않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코어(120c)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리브(122a)와 리브(122b)의 뾰쪽한 부분을 형성하는 제1편(120a)과 제2편(120b) 및 코어(120c)에 의해 에어밴트가 형성되어 사출성형시 가스가 빠지게 되므로 캐리어(120)의 리브(122a,122b)를 성형시 끝이 뾰쪽하게 성형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1차서브조립체(100)를 구성하는 단계에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캐리어(120)의 리브(122a)는 상기 캐리어고정핀(121)으로부터 0.5 ~ 1㎜ 간격을 두고 0.4 ~ 1.2㎜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리브(122b)는 상기 리브(122a)로 부터 0.5 ~ 1㎜ 간격을 두고 0.4 ~ 1.2㎜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리브(122a,122b)의 상부에 상기 제2편(120b)과 코어(120c)의 경사면에 의해 뾰족해진 각도는 17 ~ 2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고정핀(121)과 리브(122a)의 간격(a)과 리브(122a)와 리브(122b)의 간격(a)이 모두 1㎜ 이하로 하는 것은 센서의 크기가 작아서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할 수 없음은 물론, 상기 캐리어고정핀(121)으로 침투되는 수분을 조기에 차단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리브(122a,122b)의 캐리어(120)측벽에서 돌출된 높이(b)를 0.4 ~ 1.2㎜로 하는 이유는 0.4㎜ 이하인 경우에는 금형에서 리브의 날이 살아있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고, 또 1.2㎜ 이상인 경우에는 기능상 불필요하므로 실험치로 정한 것이다.
또한 상기 리브(122a,122b)의 뾰쪽한 각도(θ)를 17 ~ 20°로 하는 이유는 열전달효율이 좋아 잘 녹고 뾰쪽한 상태를 잘 유지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오버몰드하우징(300)을 성형하는 단계에서, 상기 캐리어(120)의 리브(122a,122b)위로 오버몰드 사출성형 하는 두께(c)는 상기 리브(122a,122b)의 뾰쪽한 첨단 부위에서 0.8 ~ 1.0㎜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두께가 0.8㎜ 이하인 경우에는 미성형이 발생될 염려가 있고, 1.0㎜ 이상일 경우에는 기포가 발생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어의 리브성형시에 리브형성홈을 조각난 코어편으로 형성하여 끝을 뾰쪽하게 하고 끝에는 에어밴트를 형성하여 캐리어의 성형시 리브가 뾰쪽하게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끝이 뾰쪽한 캐리어를 이용하여 오버몰드 사출성형을 할 때 캐리어의 뾰쪽한 부분이 성형시 녹아서 오버몰드와 일몸을 형성하여 수분의 침투를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인서트금형(200)의 캐리어고정홈(201)에 끼워지도록 캐리어고정핀(121)이 캐리어(120)의 양측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 높이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120)의 양측벽에 돌출된 각각의 캐리어고정핀(121)을 캐리어(120)의 양측벽에서 환형상으로 감싸는 형태로 상기 캐리어고정핀(121)의 높이 보다 낮게 돌출된 리브(122a,122b)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120)에 센싱소자(110)와 케이블(130)이 연결되어 안착된 상태로 1차서브조립체(100)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1차서브조립체(100)를 오버몰드 인서트금형(200)내에 인서트하는 단계와,
    상기 1차서브조립체(100)의 외부에 오버몰드하우징(300)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휠 스피드 센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서브조립체(100)를 구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캐리어(120)를 성형하는 금형은,
    각각의 상기 캐리어고정핀(121)의 외측면과 상기 리브(122a,122b)의 캐리어고정핀(121)쪽으로 향한 면이 수직으로 형성되도록 조립되는 제1편(120a)과,
    상기 캐리어고정핀(121)과 가까운 위치의 리브(122a)의 끝이 뭉뚝하지 않도록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캐리어고정핀(121)을 기준으로 상기 리브(122a) 보다 더 멀리 있는 리브(122b)의 수직면을 형성하도록 조립되는 제2편(120b)과,
    상기 리브(122b)의 끝이 뭉뚝하지 않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코어(12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휠 스피드 센서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1차서브조립체(100)를 구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캐리어(120)의 리브(122a)는 상기 캐리어고정핀(121)으로부터 0.5 ~ 1㎜ 간격을 두고 0.4 ~ 1.2㎜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리브(122b)는 상기 리브(122a)로 부터 0.5 ~ 1㎜ 간격을 두고 0.4 ~ 1.2㎜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리브(122a,122b)의 상부에 상기 제2편(120b)과 코어(120c)의 경사면에 의해 뾰족해진 각도(θ)는 17 ~ 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휠 스피드 센서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몰드하우징(300)을 성형하는 단계에서,
    상기 캐리어(120)의 리브(122a,122b)위로 오버몰드 사출성형 하는 두께(c)는 상기 리브(122a,122b)의 뾰쪽한 첨단 부위에서 0.8 ~ 1.0㎜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휠 스피드 센서의 제조방법.
KR1020070001926A 2007-01-08 2007-01-08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제조방법 KR100777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926A KR100777708B1 (ko) 2007-01-08 2007-01-08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926A KR100777708B1 (ko) 2007-01-08 2007-01-08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708B1 true KR100777708B1 (ko) 2007-11-21

Family

ID=3908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926A KR100777708B1 (ko) 2007-01-08 2007-01-08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7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6459A (ko) * 2014-05-02 2015-11-12 조익훈 센서 모듈 및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KR101770195B1 (ko) * 2015-10-12 2017-08-2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속도 센서
KR101864433B1 (ko) 2016-12-28 2018-06-0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회전체 검출 센서 구조물
US20220308081A1 (en) * 2021-03-26 2022-09-29 Mando Corporation Holder structure for sensor and sensor for detecting change of magnetic fiel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602A (ja) 1997-07-03 1999-01-29 Nisshinbo Ind Inc 回転速センサ
US6253614B1 (en) 1998-07-15 2001-07-03 Ssi Technologies, Inc. Speed sensor having a UV-cured glue seal and a method of applying the same
JP2002257839A (ja) 2001-03-01 2002-09-11 Sumitomo Electric Ind Ltd 回転検出センサ
JP2004257867A (ja) 2003-02-26 2004-09-16 Continental Teves Corp 回転速セ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602A (ja) 1997-07-03 1999-01-29 Nisshinbo Ind Inc 回転速センサ
US6253614B1 (en) 1998-07-15 2001-07-03 Ssi Technologies, Inc. Speed sensor having a UV-cured glue seal and a method of applying the same
JP2002257839A (ja) 2001-03-01 2002-09-11 Sumitomo Electric Ind Ltd 回転検出センサ
JP2004257867A (ja) 2003-02-26 2004-09-16 Continental Teves Corp 回転速センサ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6459A (ko) * 2014-05-02 2015-11-12 조익훈 센서 모듈 및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KR101598046B1 (ko) * 2014-05-02 2016-03-08 조익훈 센서 모듈 및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KR101770195B1 (ko) * 2015-10-12 2017-08-2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속도 센서
KR101864433B1 (ko) 2016-12-28 2018-06-0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회전체 검출 센서 구조물
US20220308081A1 (en) * 2021-03-26 2022-09-29 Mando Corporation Holder structure for sensor and sensor for detecting change of magnetic field
KR20220134153A (ko) 2021-03-26 2022-10-05 주식회사 만도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
KR102615258B1 (ko) * 2021-03-26 2023-12-19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센서용 홀더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기장 변화 감지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708B1 (ko)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제조방법
CN107210595B (zh) 用于组合电缆的密封模制分线结构及其制造方法
KR102091931B1 (ko) 나사 방식으로 고정되는 타이어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타이어
US20180354171A1 (en) Production method for cover
KR100905065B1 (ko) 자동차용 휠 스피드센서와 그의 금형
JP6665641B2 (ja) センサホルダ部を有する保護カバーの製造方法
KR100768699B1 (ko)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와 이의 제조방법
KR100736716B1 (ko)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와 이의 성형장치
KR101290771B1 (ko) 센서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52780B1 (ko) 스피드 센서용 톤휠 및 그 제작방법
CN205749546U (zh) Abs轮速传感器的头部改良结构
KR20180082447A (ko) 커버 생산 방법
CN211281215U (zh) 汽车用碳纤维挡泥板
KR200447918Y1 (ko) 차량의 에이비에스 센서용 홀아이씨 고정홀더
KR101033325B1 (ko) 휠 스피드 센서 장치
KR101024313B1 (ko)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
CN113727825B (zh) 传感器支架部的保护罩及具备上述保护罩的轴承装置、以及具有传感器支架部的保护罩的制造方法
KR20110057455A (ko) 스피드센서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8146998A1 (en) Automobile abs tone wheel sensor and manufacture method
KR20110057425A (ko) 스피드센서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5051442B2 (ja) コネクタ
KR20090007102A (ko) 차량용 오일 리저버
CN114833979B (zh) 胎压侦测器封装方法
KR102610654B1 (ko) 디스크 브레이크용 서포트부재
KR100980971B1 (ko) 스피드 센서용 톤휠 및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