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313B1 -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313B1
KR101024313B1 KR1020090055643A KR20090055643A KR101024313B1 KR 101024313 B1 KR101024313 B1 KR 101024313B1 KR 1020090055643 A KR1020090055643 A KR 1020090055643A KR 20090055643 A KR20090055643 A KR 20090055643A KR 101024313 B1 KR101024313 B1 KR 101024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avity
speed sensor
wheel speed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293A (ko
Inventor
윤환중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오토모티브코포레이션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오토모티브코포레이션코리아 (주) filed Critical 콘티넨탈오토모티브코포레이션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090055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313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9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speed sensor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60Y2400/3032Wheel 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홀더를 장착하도록 하부금형에 함몰 형성된 캐비티, 이 홀더의 측부위에 연장 형성된 돌기부재, 및 이 캐비티에 돌기부재를 견고하게 고정 장착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휠 스피드센서의 서브조립체를 인서트 사출시 홀더를 하부금형에 견고하게 고정 장착할 수 있어 제품 성형 불량 및 금형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55643
휠 스피드센서, 홀더, 사출, 고정

Description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HOLDER MOUNTING APPARATUS FOR WHEEL SPEED SENSOR}
본 발명은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휠 스피드센서의 서브조립체를 인서트 사출시 홀더를 하부금형에 견고하게 고정 장착할 수 있어 제품 성형 불량 및 금형 파손을 최소화하는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는 푸트 브레이크와 주차 브레이크로 구분되는 바, 상기한 푸트 브레이크는 승용차의 경우 유압을 사용하여 4륜에 장착된 디스크 브레이크 또는 드럼 브레이크를 제어함으로써 자동차의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디스크 브레이크의 경우 드라이브 샤프트와 동일 회전하는 디스크 캘리퍼 어셈블리가 소정의 압력으로 잡아 고정시킴으로써 제동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한 브레이크 페달 에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흡기의 부압이 연통되도록 설치된 부스터와, 상기한 부스터와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 후륜 브레이크에 유압 배관으로 연결된 마스터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시 슬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티록 브레이크 장치(ABS)가 개발되었는 바, 이는 휠 스피드 센서로 휠의 회전 속도를 체크하면서 록킹되지 않도록 브레이크 유압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휠 스피드 센서는 제조 공법상 오버몰드 사출로 성형하여야 하는 바 휠 스피드 센서의 성형장치는, 코어와, 이 코어에 캐리어와 케이블 및 센싱소자로 이루어진 서브조립체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캐비티와, 이 캐비티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서 상기 캐비티에서 오버몰드에 의해 휠 스피드 센서가 성형되면 성형된 제품을 축출하도록 된 밀핀을 포함한다.
기존 휠 스피드센서 성형장치는 서브조립체 중 홀더를 상,하부 금형에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 홀더가 금형이 닫히기 전에는 상하부에서 완전히 고정되지 못해 인서트 작업 도중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 또는 케이블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위쪽으로 들려올려짐으로 인하여 제품 성형 불량 및 조립상태 불량에 따른 금형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홀더에 돌기부재를 돌출하고, 이 돌기부재에 홀을 통공한 후 하부금형의 캐비티에 돌출된 끼움돌부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사출 성형 전에 홀더를 하부금형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는: 홀더를 장착하도록 하부금형에 함몰 형성된 캐비티, 이 홀더의 측부위에 연장 형성된 돌기부재, 및 이 캐비티에 돌기부재를 견고하게 고정 장착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홀더의 양측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캐비티의 바닥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끼움돌부, 및 상기 끼움돌부 각각을 억지 수용하도록 상기 돌기부재의 하측 둘레면에 형성된 끼움홀부를 포함한다.
상기 끼움돌부는, 상기 캐비티의 바닥에서 연장되며 상기 끼움홀부의 내측면에 접하는 목부, 및 상기 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끼움홀부에 탄성적으로 강제 삽입되고 상기 돌기부재의 내측에 걸리는 헤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티는 상기 돌기부재 하측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끼움돌부의 양측에 지지블록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는 홀더에 돌기부재를 돌출하고, 이 돌기부재에 홀을 통공한 후 하부금형의 캐비티에 돌출된 끼움돌부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사출 성형 전에 홀더를 하부금형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의 하부금형에 홀더를 장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의 하부금형에 홀더를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금형에 홀더를 장착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는 캐비티(10), 돌기부재(20) 및 고정부(30)를 포함한다.
캐비티(10)는 하부금형(2)에 함몰 형성된다. 이때, 캐비티(10)는, 후술할, 홀더(4)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아울러, 홀더(4)는 캐리어와 케이블 및 센싱소자로 이루어진 서브조립체를 안착하는 역할을 한다.
이 홀더(4)는 하부금형(2)의 캐비티(10)에 안착되고 사출 성형됨으로써 휠 스피드센서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홀더(4)는 측부위에 돌기부재(20)를 돌출 형성한다.
특히, 돌기부재(20)는 홀더(4)의 정반대되는 양측 둘레면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 돌기부재(20)가 캐비티(10) 내측에 고정되는데, 홀더(4)의 양측에 형성됨으로써 홀더(4)를 더욱 견고히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홀더(4)에 형성되는 돌기부재(20)의 위치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돌기부재(20)는 홀더(4)에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이 돌기부재(20)는 고정부(30)에 의해 캐비티(10) 내측에 결속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부(30)는 끼움돌부(32) 및 끼움홀부(36)를 포함한다.
끼움돌부(32)는 캐비티(10)의 바닥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끼움돌부(32)는 캐비티(10)에 장착되는 홀더(4)의 각 돌기부재(20)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끼움돌부(32)는 하부금형(2)에 일체로 금형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돌기부재(20)는 끼움돌부(32)를 수용하기 위해 끼움홀부(36)를 통공한다.
이 끼움홀부(36)는 대응되는 각각의 끼움돌부(32)를 억지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즉, 끼움홀부(36)는 돌기부재(20)의 하측 둘레면에 형성되어 각 끼움돌부(32)를 억지 끼움한다.
이때, 끼움홀부(36)는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소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돌기부재(20)가 끼움돌부(32)에 결속되기 때문에 홀더(4)는 캐비티(10)에 견고하게 안착된다. 이로 인해, 홀더(4)의 사출 성형 작업시, 홀더(4)의 금형 불량률이 현저히 저하된다.
특히, 끼움돌부(32)는 목부(33) 및 헤드부(34)를 포함한다.
목부(33)는 캐비티(10)의 바닥에서 연장되며, 끼움홀부(36)의 내측면에 접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헤드부(34)는 목부(33)에서 연장되어 끼움홀부(36)에 탄성적으로 강제 삽입되고, 돌기부재(20)의 내측에 걸리게 된다.
특히, 끼움홀부(36)는 돌기부재(20)의 외측 및 하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즉, 헤드부(34)가 돌기부재(20)의 끼움홀부(36)에 삽입되면서, 돌기부재(20)의 끼움홀부(36)는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목부(33)가 끼움홀부(36)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돌기부재(20)의 끼움홀부(36)는 탄성 복원되면서 목부(33)와 밀착된다.
이때, 헤드부(34)의 크기는 초기 상태의 끼움홀부(36) 크기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헤드부(34)는 임의적으로 끼움홀부(36)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물론, 끼움돌부(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돌기부재(20)는 헤드부(34)의 하방향 당김력 발생시 끼움홀부(36)를 기준으로 임의적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힘이 발생된다.
그래서, 캐비티(10)는 돌기부재(20) 하측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끼움돌부(32)의 양측에 지지블록(38)을 형성한다.
즉, 지지블록(38)은 끼움돌부(32)의 양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돌기부재(20)는 끼움홀부(36)를 기준으로 벌어지는 양측 가장자리를 대응되는 지지블록(38)과 끼움돌부(32) 사이에 삽입된다.
즉, 지지블록(38)은 돌기부재(20)가 끼움홀부(36)를 기준으로 설정치 이상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블록(38)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하부금형(2)에 일체로 금형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홀더(4)의 양측에 형성된 돌기부재(20)가 대응되는 끼움돌부(32)에 견고하게 결속됨으로써 사출 금형 작업시 홀더(4)의 임의적 위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끼움돌부(32)가 끼움홀부(36)에 끼워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 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의 하부금형에 홀더를 장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의 하부금형에 홀더를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금형에 홀더를 장착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하부금형 4: 홀더
10: 캐비티 20: 돌기부재
30: 고정부 32: 끼움돌부
33: 목부 34: 헤드부
36: 끼움홀부 38: 지지블록

Claims (5)

  1. 홀더를 장착하도록 하부금형에 함몰 형성된 캐비티;
    상기 홀더의 측부위에 연장 형성된 돌기부재; 및
    상기 캐비티에 상기 돌기부재를 견고하게 고정 장착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캐비티의 바닥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끼움돌부; 및
    상기 끼움돌부 각각을 억지 수용하도록 상기 돌기부재의 하측 둘레면에 형성된 끼움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홀더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부는,
    상기 캐비티의 바닥에서 연장되며, 상기 끼움홀부의 내측면에 접하는 목부; 및
    상기 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끼움홀부에 탄성적으로 강제 삽입되고, 상기 돌기부재의 내측에 걸리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상기 돌기부재 하측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끼움돌부의 양측에 지지블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
KR1020090055643A 2009-06-22 2009-06-22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 KR101024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643A KR101024313B1 (ko) 2009-06-22 2009-06-22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643A KR101024313B1 (ko) 2009-06-22 2009-06-22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293A KR20100137293A (ko) 2010-12-30
KR101024313B1 true KR101024313B1 (ko) 2011-03-23

Family

ID=43511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643A KR101024313B1 (ko) 2009-06-22 2009-06-22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3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6611A (ja) * 1996-02-29 1997-09-09 Nippon Seiko Kk 回転速度検出装置付転がり軸受ユニットのセンサ取付部
JP2003262644A (ja) 2002-03-08 2003-09-19 Fuji Heavy Ind Ltd 車輪速度センサの取付構造
JP2009008598A (ja) 2007-06-29 2009-01-15 Jtekt Corp 回転検出センサ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6611A (ja) * 1996-02-29 1997-09-09 Nippon Seiko Kk 回転速度検出装置付転がり軸受ユニットのセンサ取付部
JP2003262644A (ja) 2002-03-08 2003-09-19 Fuji Heavy Ind Ltd 車輪速度センサの取付構造
JP2009008598A (ja) 2007-06-29 2009-01-15 Jtekt Corp 回転検出センサ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293A (ko)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4058B2 (ja) 車両のabsブレーキ装置内の流体圧を制御するための、平行な平面内にか、又は同一平面に配置されるダイヤフラムを備えるダイヤフラム弁を備える圧力制御弁装置
WO2012111801A1 (ja) ブレーキペダルの踏力推定装置、ブレーキペダルの踏力推定方法、及び車両の制動制御装置
JP7153743B2 (ja) 電動ブレーキ装置
CN107054335B (zh) 用于操控车辆中的驻车制动器的方法
CN101580060A (zh) 具有短轴的电磁阀
KR101024313B1 (ko) 휠 스피드센서용 홀더의 고정장치
US20220024429A1 (e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KR100777708B1 (ko)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제조방법
JP7411783B2 (ja) 電動ブレーキ装置および電動ブレーキ制御装置
KR100736716B1 (ko)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와 이의 성형장치
US20040144199A1 (en) Pedal structure for motor vehicles
KR102150751B1 (ko) 디스크 브레이크 및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조 방법
KR100905065B1 (ko) 자동차용 휠 스피드센서와 그의 금형
KR100768699B1 (ko)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와 이의 제조방법
KR102264094B1 (ko) 차량 자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10057455A (ko) 스피드센서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EP4206048A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JP7468990B2 (ja)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及び、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の製造方法
KR101549038B1 (ko) 이탈력 조절 구조를 갖는 러스트 커버
KR20110057425A (ko) 스피드센서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00434B1 (ko) 휠 스피드센서의 성형장치
CN108367739B (zh) 车辆的制动控制装置
KR101033325B1 (ko) 휠 스피드 센서 장치
WO2008146998A1 (en) Automobile abs tone wheel sensor and manufacture method
KR100887740B1 (ko) 자동차용 이형 색상의 고무 보조매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