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771B1 - 센서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센서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771B1
KR101290771B1 KR1020110071717A KR20110071717A KR101290771B1 KR 101290771 B1 KR101290771 B1 KR 101290771B1 KR 1020110071717 A KR1020110071717 A KR 1020110071717A KR 20110071717 A KR20110071717 A KR 20110071717A KR 101290771 B1 KR101290771 B1 KR 101290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insert
cable terminal
senso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0929A (ko
Inventor
전영학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to KR1020110071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771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은, 센서가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장착홈이 형성되고, 그 외측 면에 후크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인서트,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인서트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일측이 상기 후크에 걸려서 움직임이 고정되도록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케이블단자, 상기 케이블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케이블, 및 상기 인서트에 상기 센서, 상기 케이블단자, 및 상기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에서 이들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인서트몰딩되는 바디를 포함한다.
따라서, 센서와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케이블단자가 인서트에 형성된 후크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신호감지부(센서)와 신호전달부(케이블)가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되고, 이들의 조립이 쉽고 조립구조가 견고하여 생산성과 조립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케이블단자와 케이블을 견고하게 연결시켜서 조립된 연결구조가 안정되며, 바디를 인서트몰딩한 후에도 이들의 연결구조가 견고해진다.

Description

센서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SENSO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휠 베어링의 회전륜에 장착된 타겟(톤휠 또는 인코더)의 회전속도를 측정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ABS/EPS 등에 적용되는 차량용 센서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에이비에스(Antilock brake system)는 차속에 비례하는 제동거리 및 전후륜의 슬립으로 조향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체 스핀 등의 불가항력으로 발생되는 피해를 최소화시킨다.
이러한 자동차용 에이비에스는, 각 바퀴에 분배되는 제동유압을 제어하여 미끄럼 율을 감소시킴에 따라, 제 동시 차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운전자의지에 따라 조향 능력 유지를 도모할 수 있으며, 제동거리 단축으로 인하여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상기 ABS 장치는 운전자가 주행 중에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해 브레이크페달을 밟을 경우 휠에 전달된 제동력에 의해 감소되는 바퀴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차량의 속도와 비교를 통해 적정한 제동력이 펄스형태로 휠에 전달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바퀴의 잠김을 방지하여 바퀴의 회전속도 감속이 차량의 주행속도보다 더 빨리 감속됨으로써 바퀴가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바퀴의 미끄러짐으로 인한 조형능력 상실 방지 및 차량의 전도 등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른 각종 안전사고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제동시스템인 것이다.
이러한 ABS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 중 차량의 휠에 부착 설치되어 있는 ABS 센서 링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유닛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센서유닛에 전류를 공급하는 케이블과, 이 케이블에 접지되어 바퀴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홀 IC 소자) 및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고정하는 인서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인서트는 별도의 인서트몰딩 공정을 통해서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상기 센서와 상기 케이블 등이 상기 인서트에 장착된 상태에서 바디 내부에 내장된다. 이러한 인서트 사출성형은 상기 인서트를 일정형태의 금형에 위치시킨 후 합성수지를 상기 금형에 주입시키는 공정이다.
한편, 인서트몰딩되는 과정 중에, 신호감지부(hall??ic)와 신호전달부(케이블)가 인서트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거나, 이들 사이에 전기적인 연결구조가 견고하지 못해서 신호가 안정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거나,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제품이 균일하게 조립되지 않아 품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인서트에 신호감지부와 신호전달부가 안정적으로 조립되고, 이들 사이에 전기적인 연결구조가 견고하여 신호가 안정적으로 전달되며, 조립구조가 견고하고 조립이 용이한 센서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은, 센서가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장착홈이 형성되고, 그 외측 면에 후크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인서트,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인서트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일측이 상기 후크에 걸려서 움직임이 고정되도록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케이블단자, 상기 케이블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케이블, 및 상기 인서트에 상기 센서, 상기 케이블단자, 및 상기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에서 이들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인서트몰딩되는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단자에는, 상기 케이블의 일측을 양측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날개가 연장된다.
상기 케이블은, 중심부에 형성되는 도체부와 상기 도체부를 보호하는 피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단자에는, 상기 도체부를 양측에서 고정하기 위한 도체부고정날개 및 상기 피복부를 양측에서 고정하기 위한 피복부고정날개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단자는 상기 인서트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제1,2케이블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인서트의 외측에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2,3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2후크 사이로 상기 제1케이블단자가 상기 인서트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2,3후크 사이로 제2케이블단자가 상기 인서트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된다.
상기 인서트에는 상기 제1,2케이블단자 사이에 격벽이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크를 기준으로 일단부는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인서트에는 상기 케이블의 피복부가 압입되어 고정되는 케이블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의 제조방법은 센서장착홈에 센서가 장착되고, 그 외측에 후크가 형성된 인서트를 준비하는 단계, 한 쪽이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케이블단자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돌기가 상기 후크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케이블단자를 상기 인서트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단자가 상기 후크를 통해서 상기 인서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들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바디를 인서트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단자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날개 사이로 상기 케이블을 위치시키고, 상기 고정날개를 상기 케이블에 밀착시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단자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은, 중심부에 형성되는 도체부와 상기 도체부를 보호하는 피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단자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도체부고정날개 사이로 상기 도체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케이블단자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피복부고정날개 사이로 상기피복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도체부고정날개와 상기 피복부고정날개를 상기 도체부와 상기 피복부에 밀착시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단자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서트에 상기 케이블단자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후크를 가열하면서 상기 인서트 중심방향으로 압착하는 힛스테이킹(HEAT STAKING) 공정으로 상기 케이블단자를 상기 인서트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을 상기 인서트에 형성된 케이블고정홈에 압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은, 센서와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케이블단자가 인서트에 형성된 후크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신호감지부(센서)와 신호전달부(케이블)가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되고, 이들의 조립이 쉽고 조립구조가 견고하여 생산성과 조립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케이블단자와 케이블을 견고하게 연결시켜서 조립된 연결구조가 안정되며, 바디를 인서트몰딩한 후에도 이들의 연결구조가 견고해진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에 구비되는 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에 구비되는 케이블단자와 케이블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에 구비되는 케이블단자와 인서트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에 구비되는 케이블단자, 인서트, 및 케이블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에 구비되는 케이블단자, 인서트, 및 케이블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이 인서트 몰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에 구비되는 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서트(100)에는 센서가 내부에 삽입되는 센서장착홈(120)이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장착홈(120)에 인접해서, 인서트몰딩시 수지가 통과하고, 솔더링(Soldering) 또는 용접(Welding) 등을 수행하기 위한 인서트홀(160)이 형성된다.
상기 인서트홀(160)에 인접해서 상기 인서트(100)의 폭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후크(11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크(110)는 제1후크(110a), 제2후크(110b), 및 제3후크(110c)를 포함하고, 상기 제1,2,3후크(110)는 상기 인서트(100)의 폭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제2후크(110b)가 중심에 형성되고, 그 양측에 상기 제1,3후크(110a, 110c)가 배치된다.
상기 후크(110)를 기준으로 선단부에 상기 센서장착홈(120)이 형성되고, 후단부에 격벽(130), 케이블고정홈(140), 및 케이블가이드홈(15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격벽(130)은 상기 인서트(100)의 중심부에서 후단부를 향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후크(110)가 돌출된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격벽(130)의 후단부 양측에 상기 케이블고정홈(140)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가이드홈(150)은 상기 케이블고정홈(140)과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고정홈(140)에서 상기 케이블가이드홈(150)으로 케이블(220)이 설정각도로 구부러지는 구조는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에 구비되는 케이블단자와 케이블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케이블단자(200)에는 고정돌기(210), 도체부고정날개(250), 및 피복부고정날개(26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210)는 상기 케이블단자(200)의 중심선(CL: center line)을 기준으로 폭방향으로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돌기(210)와 설정거리를 두고 상기 도체부고정날개(250)가 형성되고, 상기 도체부고정날개(250)와 설정거리를 두고 상기 피복부고정날개(260)가 형성된다.
상기 도체부고정날개(250)와 상기 피복부고정날개(260) 사이의 상기 중심선(CL)을 따라서 상기 케이블(220)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220)은 도체부(230)와 상기 도체부(230)를 감싸는 피복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도체부(230)는 상기 도체부고정날개(25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복부(240)는 상기 피복부고정날개(260) 사이에 배치된다.
작업자는 상기 도체부고정날개(250)를 폭방향 외측에서 중심선(CL) 방향으로 구부려서, 상기 도체부(230)를 견고하게 잡아주고, 상기 피복부고정날개(260)를 폭방향 외측에서 중심선(CL) 방향으로 구부려서 상기 피복부(240)를 견고하게 잡아준다.
따라서, 상기 피복부(240)는 상기 피복부고정날개(260)에 의해서 상기 케이블단자(200)에 고정되고, 상기 도체부(230)는 상기 도체부고정날개(250)에 의해서 상기 케이블단자에 고정된다.
도 2와 같이, 상기 케이블(220)과 상기 케이블단자(2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220)과 상기 케이블단자(200)를 상기 인서트(100)에 장착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에 구비되는 케이블단자와 인서트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에 구비되는 케이블단자, 인서트, 및 케이블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인서트(100)에 형성된 상기 제1후크(110a)와 상기 제2후크(110b) 사이에 제1케이블단자(200a)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제1케이블단자(200a)를 상기 케이블(220) 방향으로 밀면, 상기 제1케이블단자(200a)의 상기 고정돌기(210)가 상기 제1,2후크(110a, 110b) 사이에 걸려 길이방향 움직임과 폭방향 움직임이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인서트(100)에 형성된 상기 제2후크(110b)와 상기 제3후크(110c) 사이에 다른 제2케이블단자(200b)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제2케이블단자(200b)를 상기 케이블 방향으로 밀면, 상기 제2케이블단자(200b)의 상기 고정돌기(210)가 상기 제2,3후크(110b, 110c) 사이에 걸려 길이방향 움직임과 폭방향 움직임이 고정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인서트(100)의 상기 센서장착홈(120)에 센서(400)를 장착하고, 상기 센서(400)에서 연장된 센서단자(405)가 상기 인서트(100)의 상부면을 따라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장착홈(120)에 장착되는 상기 센서(400)로는 홀아이씨(Hall iC)가 사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휠의 회전에 의하여 센서링에 발생되는 자장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어떤 종류의 센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220)이 연결된 상기 케이블단자(200)는 상기 후크(110)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케이블단자(200)의 일면과 상기 센서단자(405)의 일면은 서로 밀착되어 밀착면을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인서트홀(160, 도 1)을 통해서 상기 케이블단자(200)와 상기 센서단자(405)를 솔더링(soldering) 또는 웰딩(welding)을 통하여, 이들을 전기적/물리적으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단자(200)와 상기 센서단자(405)를 고정하는 방법은 솔더링(soldering, 납땜)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220)은 상기 케이블고정홈(140)에 압입되어 상기 인서트(100)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고정홈(140)에서 상기 케이블가이드홈(150)을 따라서 구부려지게 배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케이블(220)이 직선으로 펴져서 장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센서(400), 상기 센서단자(405), 상기 케이블단자(200), 및 상기 케이블(22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에 구비되는 케이블단자, 인서트, 및 케이블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후크(110)의 상단부는 히트스테이킹(heat staking)공정을 통해서 별도의 히팅/압착수단(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인서트(100)의 중심방향으로 응착되어, 상기 케이블단자(200)는 상기 인서트(1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에 따라 인서트 몰딩 시 케이블단자(200)와 센서단자(405)가 움직여 그들 사이의 접촉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히트스테이킹공정은 센서유닛의 조립공정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이 인서트 몰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4 및 도 5의 조립된 유닛을 별도의 금형 내에 장착하고, 상기 금형에 수지를 주입하여, 조립된 유닛을 감싸는 바디(600)를 일체로 성형한다. 이를 인서트몰딩이라고 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400), 상기 센서단자(405), 상기 케이블단자(200), 및 상기 케이블(220)이 상기 인서트(100)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센서단자(405)와 상기 케이블단자(2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단자(200)와 상기 케이블(2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600)가 이들을 외측에서 감싸도록 인서트 몰딩됨으로써, 이들의 조립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700에서, 상기 인서트(100)가 제작되어 준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100)에는 상기 센서장착홈(120), 상기 인서트홀(160), 상기 후크(110), 상기 격벽(130), 상기 케이블고정홈(140), 및 상기 케이블가이드홈(150)이 형성된다.
S710에서, 상기 인서트(100)의 상기 센서장착홈(120) 내부에 상기 센서(400)를 장착하고, 상기 센서단자(405)를 상기 인서트(100)의 설정된 위치에 체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센서(400)와 상기 센서단자(405)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100)에 동시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S720에서, 상기 케이블단자(200)에 상기 케이블(220)을 장착하는데, 상기 도체부(230)는 상기 도체부고정날개(250)에 고정되고, 상기 피복부(240)는 상기 피복부고정날개(260)에 고정되며, 이 장착구조는 도 2를 참조로 설명된 내용에 따른다.
S730에서, 상기 인서트(100)에 상기 케이블단자(200)를 장착하는데, 상기 케이블단자(200)의 상기 고정돌기(210)가 상기 후크(110)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며, 이 장착구조는 도 2를 참조로 설명된 내용에 따른다.
아울러, 상기 후크(110)를 히트스테이킹(heat staking)하여 상기 케이블단자(200)를 상기 인서트(100)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단자(200)는 상기 센서단자(4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접촉면(410)을 형성한다.
S740에서, 상기 인서트(100)에 상기 센서(400), 상기 센서단자(405), 상기 케이블단자(200), 및 상기 케이블(220)을 상기 인서트(100)에 체결 또는 고정한 상태에서, 이 조립구조를 별도의 금형에 체결시키고, 이 조립구조를 감싸는 상기 바디(600)를 인서트 몰딩시킨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4)

  1. 센서가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장착홈이 형성되고, 그 외측 면에 후크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인서트;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인서트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일측이 상기 후크에 걸려서 움직임이 고정되도록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케이블단자;
    상기 케이블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케이블; 및
    상기 인서트에 장착된 상기 센서, 상기 케이블단자, 및 상기 케이블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는 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단자에는,
    상기 케이블의 일측을 양측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날개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센서 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케이블은, 중심부에 형성되는 도체부와 상기 도체부를 보호하는 피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단자에는, 상기 도체부를 양측에서 고정하기 위한 도체부고정날개 및 상기 피복부를 양측에서 고정하기 위한 피복부고정날개가 형성되는 센서 유닛.
  5. 제1항에서,
    상기 케이블단자는 상기 인서트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제1,2케이블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인서트의 외측에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2,3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2후크 사이로 상기 제1케이블단자가 상기 인서트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2,3후크 사이로 제2케이블단자가 상기 인서트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6. 제5항에서,
    상기 인서트에는 상기 제1,2케이블단자 사이에 격벽이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7. 제1항에서,
    상기 후크를 기준으로 일단부는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단자의 센서 유닛.
  8. 제1항에서,
    상기 인서트에는 상기 케이블의 피복부가 압입되어 고정되는 케이블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9. 센서장착홈에 센서가 장착되고, 그 외측에 후크가 형성된 인서트를 준비하는 단계;
    한 쪽이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케이블단자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돌기가 상기 후크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케이블단자를 상기 인서트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단자가 상기 후크를 통해서 상기 인서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들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바디를 인서트몰딩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단자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날개 사이로 케이블을 위치시키고, 상기 고정날개를 상기 케이블에 밀착시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단자에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서,
    상기 케이블단자에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그리고 상기 케이블단자는 상기 인서트에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서,
    상기 케이블은, 중심부에 형성되는 도체부와 상기 도체부를 보호하는 피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단자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도체부고정날개 사이로 상기 도체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케이블단자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피복부고정날개 사이로 상기피복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도체부고정날개와 상기 피복부고정날개를 상기 도체부와 상기 피복부에 밀착시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단자에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인서트에 형성된 케이블고정홈에 압입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의 제조방법.
  14. 제9항에서,
    힛스테이킹공정을 통해서 상기 후크를 압착하여 상기 케이블단자를 상기 인서트에 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센서 유닛의 제조방법.
KR1020110071717A 2011-07-20 2011-07-20 센서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90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717A KR101290771B1 (ko) 2011-07-20 2011-07-20 센서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717A KR101290771B1 (ko) 2011-07-20 2011-07-20 센서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929A KR20130010929A (ko) 2013-01-30
KR101290771B1 true KR101290771B1 (ko) 2013-07-29

Family

ID=47839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717A KR101290771B1 (ko) 2011-07-20 2011-07-20 센서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7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542B1 (ko) * 2014-10-10 2016-06-2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088360B1 (ko) * 2019-08-01 2020-03-17 아센텍 주식회사 차량 속도감지 센서 탑재용 인서트
KR102088361B1 (ko) * 2019-08-01 2020-03-17 아센텍 주식회사 차량 속도감지 센서 탑재용 인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533Y1 (ko) 2004-08-19 2004-11-20 이서남 자동차용 스피드센서
JP2008051592A (ja) * 2006-08-23 2008-03-06 Denso Corp 乗員検知センサ
KR20090008511U (ko) * 2008-02-20 2009-08-2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차량의 에이비에스 센서용 홀아이씨 고정홀더
JP2009272188A (ja) 2008-05-08 2009-11-19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の止水構造および止水部の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533Y1 (ko) 2004-08-19 2004-11-20 이서남 자동차용 스피드센서
JP2008051592A (ja) * 2006-08-23 2008-03-06 Denso Corp 乗員検知センサ
KR20090008511U (ko) * 2008-02-20 2009-08-2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차량의 에이비에스 센서용 홀아이씨 고정홀더
JP2009272188A (ja) 2008-05-08 2009-11-19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の止水構造および止水部の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929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7479B2 (ja) 車両用複合ハーネス
KR101290771B1 (ko) 센서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US9831590B2 (en) Molded connector,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connector, and wire harness
JP6287420B2 (ja) 回転検出センサおよびその樹脂成形型
US2017016588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sensor
US11715580B2 (en) Seal mold divided structure for combination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4508816B (zh) 用于为电子装置布线的布线设备
JP2015184094A5 (ko)
JP6858813B2 (ja) ネジ方式で固定されるタイヤ用センサ及びそれを適用したタイヤ
JP2553117Y2 (ja) ブレーキライニング材の摩耗検知用プローブ
JP6202415B1 (ja) センサ部品、センサ、及びセンサの製造方法
US20100116523A1 (en) Electrical line for motor vehicles
KR200447918Y1 (ko) 차량의 에이비에스 센서용 홀아이씨 고정홀더
WO2018070315A1 (ja) 導電路
KR100777708B1 (ko)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의 제조방법
KR101363217B1 (ko)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KR101120697B1 (ko) 센서 헤드용 고정 부재
KR100768699B1 (ko) 자동차용 휠스피드센서와 이의 제조방법
US9742103B2 (en) Connector
KR101386774B1 (ko)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CN216560638U (zh) Abs轮速传感器芯片骨架结构及abs轮速传感器
JP6658700B2 (ja) センサ部品、センサ、及びセンサの製造方法
CN213109639U (zh) 电动车
JP4964109B2 (ja) 回転検出センサ
US11231435B2 (en) Bracket for wheel speed sensor, and wheel speed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