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774B1 -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774B1
KR101386774B1 KR1020120120280A KR20120120280A KR101386774B1 KR 101386774 B1 KR101386774 B1 KR 101386774B1 KR 1020120120280 A KR1020120120280 A KR 1020120120280A KR 20120120280 A KR20120120280 A KR 20120120280A KR 101386774 B1 KR101386774 B1 KR 101386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onnector
hall sensor
vehicle
sens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규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0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02K1/148Sectional co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관한 것으로, 센서 바디와 하우징을 오버 몰딩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여 내부 보호 기능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커넥터부가 형성된 센서 바디와 하우징의 상대 배치 각도를 조절하며 일체로 오버 몰딩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 장착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금형을 통해 다양한 종류를 제작할 수 있고, 별도의 금형 제작 및 관리가 불필요하여 제작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센서 바디에 장착되는 홀 센서와 커넥터 연결핀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대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전기 접속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홀 센서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로 센서 바디 및 커넥터부의 배치 방향만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장착 자유도가 더욱 향상된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 바디와 하우징을 오버 몰딩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여 내부 보호 기능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커넥터부가 형성된 센서 바디와 하우징의 상대 배치 각도를 조절하며 일체로 오버 몰딩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 장착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금형을 통해 다양한 종류를 제작할 수 있고, 별도의 금형 제작 및 관리가 불필요하여 제작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센서 바디에 장착되는 홀 센서와 커넥터 연결핀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대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전기 접속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홀 센서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로 센서 바디 및 커넥터부의 배치 방향만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장착 자유도가 더욱 향상된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데, 차량의 핵심 구동 요소로서의 엔진 및 변속기에 대한 전자적 제어를 포함한 각종 구성 요소는 전자화되었거나 전자화 단계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적 제어를 달성하기 위해 차량에는 여러가지 종류의 각종 센서들이 장착되는데, 특히 감지 대상의 운동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 대상에 대한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마그네틱 센서의 활용이 매우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마그네틱 센서는 자성체의 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 변화를 자석과 홀 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방식으로 차량에서는 변속기의 변속 조작 상태를 감지하는 변속 조작 감지 센서로 활용되거나 또는 차량의 휠 스피드를 측정하기 위한 휠 스피드 센서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그네틱 센서는 활용 대상에 따라 차량의 특정 위치에 장착되는데, 변속 조작 감지 센서의 경우에는 변속 레버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는 컨트롤 핑거의 위치 이동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도록 컨트롤 핑거와 인접하게 장착되며, 휠 스피드 센서의 경우에는 차량 휠과 일체로 회전하는 톤휠의 회전 이동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도록 톤휠과 인접하게 장착된다.
각 마그네틱 센서는 차체에 구비된 별도의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는 방식으로 장착되는데, 해당 장착 위치에는 차량의 종류 등에 따라 마그네틱 센서의 장착 방향이 달라지거나 좌측 및 우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장착되는 등 공간이 비좁아 마그네틱 센서를 장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마그네틱 센서는 그 적용 대상 및 장착 위치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 종류가 증가하여 관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작업자의 실수로 다른 종류의 마그네틱 센서가 장착되는 등 작업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 기술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768699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 바디와 하우징을 오버 몰딩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여 내부 보호 기능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부가 형성된 센서 바디와 하우징의 상대 배치 각도를 조절하며 일체로 오버 몰딩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 장착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금형을 통해 다양한 종류를 제작할 수 있고, 별도의 금형 제작 및 관리가 불필요하여 제작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서 바디에 장착되는 홀 센서와 커넥터 연결핀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대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전기 접속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홀 센서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로 센서 바디 및 커넥터부의 배치 방향만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장착 자유도가 더욱 향상된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서 바디에 장착되는 홀 센서에 대해 정위치에 조립되도록 별도의 위치 고정 수단을 센서 바디에 결합함으로써, 홀 센서가 제작 및 운반 과정에서 형태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홀 센서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센싱 기능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별도의 고정 브래킷에 장착 결합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있어서, 자성체의 운동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단부에 홀 센서 및 자석이 장착되고, 후단부에는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부가 형성되는 센서 바디; 및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센서 바디가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삽입된 상태로 수행되는 오버 몰딩 성형 공정을 통해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부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사출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바디는 상기 커넥터부의 배치 방향이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다수개의 배치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이때, 상기 센서 바디는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홀 센서 및 자석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이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후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형성된 코어 돌기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코어 결합홈이 형성되는 코어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바디부의 후단에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코어 결합홈은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방사되는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일측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바디에는 일측이 상기 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커넥터부에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커넥터 연결핀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에 배치되는 센서칩과, 상기 센서칩에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연결핀은 별도의 전기 접속 수단에 의해 상기 홀 센서의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접속 수단은 상기 홀 센서의 연결 단자와 상기 커넥터 연결핀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바디와 상기 홀 센서 간의 상호 상대 회동 각이동 배치를 가능하게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접속 수단은 양단이 각각 상기 홀 센서의 연결 단자와 상기 커넥터 연결핀에 솔더링 접합되는 전선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접속 수단은 상기 센서 바디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FPCB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FPCB 기판의 폭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커넥터 연결핀과 솔더링 접합될 수 있도록 커넥터 접점 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FPCB 기판의 폭 방향 타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홀 센서의 연결 단자와 솔더링 접합될 수 있도록 홀 센서 접점 단자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홀 센서 접점 단자는 상기 홀 센서의 연결 단자의 상대 회전 이동시 상기 홀 센서의 연결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바디의 외주면에는 일측에 스냅핏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FPCB 기판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스냅핏 돌기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스냅핏 조립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에 배치되는 다각형 센서칩과, 상기 센서칩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되는 접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연결핀은 상기 접점 단자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 바디의 외주면에 안착 고정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커넥터부에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바디부의 전단에 배치되는 센서칩과, 상기 센서칩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 안착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연결 단자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 단자를 가압 고정하는 위치 고정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고정 수단은 상기 연결 단자가 삽입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리브는 상기 연결 단자가 삽입 가이드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단자를 가압 고정시키는 형태로 열에 의해 소성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고정 수단은 상기 연결 단자를 가압 고정하도록 내주면이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 밀착 접촉되는 형태로 상기 바디부의 전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링 형태의 고정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 바디와 하우징을 오버 몰딩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여 센서의 내부 보호 기능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터부가 형성된 센서 바디와 하우징의 상대 배치 각도를 조절하며 일체로 오버 몰딩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 장착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금형을 통해 다양한 종류를 제작할 수 있고, 별도의 금형 제작 및 관리가 불필요하여 제작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 바디에 장착되는 홀 센서와 커넥터 연결핀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대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전기 접속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홀 센서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로 센서 바디 및 커넥터부의 배치 방향만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장착 자유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 바디에 장착되는 홀 센서에 대해 정위치에 조립되도록 별도의 위치 고정 수단을 센서 바디에 결합함으로써, 홀 센서가 제작 및 운반 과정에서 형태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홀 센서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센싱 기능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제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바디의 방향 전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업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바디의 배치 방향 변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가 변속 조작 감지 센서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가 휠 스피드 센서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바디의 형상 및 조립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바디와 홀 센서에 대한 상대 회전 동작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와 위치 고정 수단에 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와 커넥터 연결핀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제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바디의 방향 전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업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는 변속 조작 감지 센서 또는 휠 스피드 센서 등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차량에 구비된 별도의 고정 브래킷(10)에 장착 결합되는데,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커넥터부의 위치를 다양한 배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센서 바디(100)와 하우징(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 바디(100)는 자성체의 운동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단부에 홀 센서(500) 및 자석(400)이 장착되고, 후단부에는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부(110)가 형성된다.
하우징(200)은 오버 몰딩 성형 공정을 통해 센서 바디(100)의 전단부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센서 바디(1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200)은 차량에 구비된 고정 브래킷(10)에 결합 고정되는데, 센서 바디(100)의 전단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본체부(220)와, 본체부(220)의 외주면에 일측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고정 브래킷(10)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결합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결합부(210)에는 조립홀(211)이 형성되고, 조립홀(211)에는 부시(300)가 결합된다.
즉, 고정 브래킷(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11)이 형성되고, 결합홈(11)의 내부 영역에는 하우징(200)의 본체부(220)가 삽입 관통하도록 관통홀(12)이 형성된다. 하우징(200)은 본체부(220)가 고정 브래킷(10)의 관통홀(12)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결합부(210)가 결합홈(11)에 안착되도록 결합되며, 고정 결합부(210)에 형성된 조립홀(211)을 통해 볼트 결합된다.
이때, 하우징(200)과 센서 바디(100)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우징(200)이 고정 브래킷(10)에 결합되면, 센서 바디(100)의 커넥터부(110)는 일정한 하나의 방향으로 고정 배치된다. 따라서, 장착 위치에 따라 커넥터부(110)의 배치 방향을 다르게 하기 위해서는 배치 방향에 따라 오버 몰딩 금형의 형상을 모두 다르게 제작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센서 바디(100)를 오버 몰딩 금형(30)의 내부 코어에 삽입할 때, 커넥터부(110)의 배치 방향이 변화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치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 몰딩 금형(30)은 상부 금형(31)과 하부 금형(32)으로 분리 형성되고, 내부 코어에는 하우징(200) 형상이 성형되도록 캐비티가 형성되며, 또한 조립홀(211)이 형성되도록 별도의 코어 금형(33)이 구비된다. 상부 금형(31)에는 캐비티 공간에 몰딩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구(34)가 형성된다.
센서 바디(100)는 홀 센서(500) 및 자석(400)이 정상적인 위치에 완전하게 결합된 상태로 오버 몰딩 금형(30)의 내부 코어에 삽입된다. 또한, 센서 바디(100)에는 일측이 홀 센서(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커넥터부(110)에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커넥터 연결핀(140)이 장착되는데, 이러한 커넥터 연결핀(140) 또한 센서 바디(100)에 정상적인 위치에 완전하게 결합된 상태로 센서 바디(100)가 오버 몰딩 금형(30)의 내부 코어에 삽입된다.
오버 몰딩 금형(30)의 내부 코어에는 코어 돌기(35)가 형성되는데, 센서 바디(100)에는 이러한 코어 돌기(35)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코어 결합홈(131)이 형성되는 코어 결합부(130)가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센서 바디(100)가 오버 몰딩 금형(30)의 내부 코어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도 3의 (b)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31) 및 하부 금형(32)이 밀봉 결합한 상태로 몰딩액이 주입되어 하우징(200) 형상이 센서 바디(100)의 전단부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성형 완료되면, 도 3의 (e) 및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31) 및 하부 금형(32)을 분리하여 하우징(200)과 센서 바디(100)가 일체로 형성된 마그네틱 센서(20)를 분리 배출하는 방식으로 제작 완료된다.
센서 바디(100)는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홀 센서(500) 및 자석(400)이 장착되고 하우징(200)이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바디부(120)와, 바디부(120)의 후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오버 몰딩 금형(30)의 내부 코어에 형성된 코어 돌기(35)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코어 결합홈(131)이 형성되는 코어 결합부(130)를 포함하고, 커넥터부(110)는 바디부(120)의 후단에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코어 결합홈(131)은 도 2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20)의 길이 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방사되는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즉, 원판형의 코어 결합부(130)의 일측면에 코어 결합홈(131)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코어 결합홈(131)은 코어 결합부(13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되는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각 코어 결합홈(131)은 사이각도가 α각도를 이루도록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때, α각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45°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 결합홈(131)의 배치 구조에 대응하여 바디부(120)는 단면 형상이 8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센서 바디(1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110)가 수직 배치되도록 코어 결합홈(131)이 오버 몰딩 금형(30)의 코어 돌기(35)에 삽입 결합되거나 또는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110)가 α각도 또는 2α각도 만큼 회전한 상태로 배치되도록 코어 결합홈(131)이 오버 몰딩 금형(30)의 코어 돌기(35)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오버 몰딩 성형 공정이 완료되면, 하우징(200)에 대한 커넥터부(110)의 배치 방향이 도 5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거나 α각도 또는 2α각도만큼 각도 변경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는 커넥터부(110)의 배치 방향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금형을 제작할 필요없이 하나의 오버 몰딩 금형을 통해 커넥터부(110)의 다양한 배치 방향을 이룰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가 변속 조작 감지 센서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가 변속 조작 감지 센서로 적용된 경우, 전술한 구조를 통해 커넥터부(110)의 배치 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마그네틱 센서의 장착 자유도가 더욱 향상된다.
이때, 센서 바디(1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연결핀(140), 홀 센서(500) 및 자석(400)이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로 오버 몰딩 금형에 삽입되기 때문에, 센서 바디(100)의 삽입 배치 방향이 변화하게 되면, 홀 센서(500)의 배치 방향 또한 변화하게 된다. 이때, 코어 결합홈(131)이 바디부(120)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방사되는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기 때문에, 홀 센서(500)의 배치 방향 또한 바디부(120)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변속 조작 감지 센서는 각각 단순히 컨트롤 핑거와 같은 자성체(M)와의 근접 거리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식으로 홀 센서(500)의 배치 방향이 변화된다고 하더라도 센서의 작동 상태와는 전혀 무관하다.
도 6에는 변속 레버의 후진단 조작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이 도시되고, 도 7에는 변속 레버의 각 변속단 조작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이 도시되는데, 이는 모두 바디부(120)의 길이 방향에 따른 홀 센서(500)와 자성체(M)와의 거리에 따라 센싱값이 결정되므로, 홀 센서(500)의 배치 방향 변화와는 무관하게 정상적인 센싱 기능이 수행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가 휠 스피드 센서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바디의 형상 및 조립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바디와 홀 센서에 대한 상대 회전 동작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와 위치 고정 수단에 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센서가 휠 스피드 센서로 적용된 상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110)의 배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브래킷(10)은 톤휠과 같은 자성체(M)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 배치되기 때문에, 고정 브래킷(10)에 결합되는 하우징(200) 부분은 고정 브래킷(10)의 배치 방향에 대응하여 일정하게 배치되고, 하우징(200)과 일체로 형성되는 센서 바디(100)를 회전시킨 상태로 오버 몰딩 성형함으로써, 커넥터부(110)의 배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센서 바디(1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홀 센서(500) 또한 회전하게 되는데, 마그네틱 센서가 휠 스피드 센서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홀 센서(500)의 회전 이동은 정상적인 센싱 기능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휠 스피드 센서에 적용되는 홀 센서(500)는 2개의 프로브를 통한 자기력 변화의 차이를 이용하여 자성체(M)의 이동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이 경우 홀 센서(500)가 센서 바디(100)와 함께 바디부(120)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여 장착면, 정상적인 센싱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따라서, 센서 바디(100)를 회전시켜 오버 몰딩 금형에 삽입하는 경우, 이때 홀 센서(500)의 위치는 회전하지 않고 기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즉 센서 바디와 홀 센서 간에는 상호 상대 회동 각도를 이루도록 각회동 이동 배치되어야 한다.
센서 바디(100)에 장착되는 홀 센서(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바디(100)의 전단에 배치되는 센서칩(510)과, 센서칩(510)에 연결되는 연결 단자(5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연결 단자(520)는 일단이 센서칩(510)에 연결된 상태로 절곡 형성되어 타단부가 센서 바디(100)의 외주면에 안착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 단자(520)는 센서 바디(100)의 결합된 커넥터 연결핀(140)과 솔더링 접합되는 등의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러한 구조에 따라 센서칩(510)에 의해 감지된 신호가 연결 단자(520) 및 커넥터 연결핀(140)을 통해 외부 전자 기기로 전송된다.
이때, 홀 센서(500)의 연결 단자(520)는 별도의 전기 접속 수단(600)에 의해 커넥터 연결핀(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전기 접속 수단(600)은 홀 센서(500)의 연결 단자(520)와 커넥터 연결핀(1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 상대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센서 바디(100)가 회전된 상태로 오버 몰딩 금형에 삽입되는 경우에도, 홀 센서(500)는 커넥터 연결핀(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대 회전하며 기준 위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접속 수단(6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각각 홀 센서(500)의 연결 단자(520)와 커넥터 연결핀(140)에 솔더링 접합(S)되는 전선 케이블(610)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도 8의 (a)에서 (c) 상태로 센서 바디(10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홀 센서(500)는 커넥터 연결핀(140)과 상대 회전 이동하며 기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홀 센서(500)는 오버 몰딩 형성되는 하우징(200)에 대해 상대 이동 구속된 상태로 일정한 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전기 접속 수단(6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바디(10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FPCB 기판(6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PCB 기판(620)은 폭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커넥터 연결핀(140)과 솔더링 접합(S)될 수 있도록 커넥터 접점 단자(621)가 돌출 형성되고, 폭 방향 타측 가장자리에는 홀 센서(500)의 연결 단자(520)와 솔더링 접합(S)될 수 있도록 홀 센서 접점 단자(622)가 돌출 형성되며, 홀 센서 접점 단자(622)는 홀 센서(500)의 연결 단자(520)의 상대 회전 이동시 홀 센서(500)의 연결 단자(520)와 선택적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FPCB 기판(6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스크류(T)를 이용하여 센서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바디(100)의 외주면에는 일측에 스냅핏 돌기(150)가 형성되고, FPCB 기판(62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스냅핏 돌기(15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스냅핏 조립홀(623)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FPCB 기판(620)이 스냅핏 결합 방식으로 용이하게 센서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도 12의 (a) 상태에서 (c) 상태로 센서 바디(100)가 회전하는 경우, 홀 센서(500)는 모두 동일한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FPCB 기판(620)은 커넥터 접점 단자(621)와 커넥터 연결핀(140)이 접합된 상태로 센서 바디(100)와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FPCB 기판(620)에는 다수개의 홀 센서 접점 단자(622)가 형성되기 때문에, FPCB 기판(620)이 회전하더라도 또 다른 홀 센서 접점 단자(622)에 의해 홀 센서(500)의 연결 단자(520)가 연결되므로, 센서 바디(100)가 회전하더라도 홀 센서(500)와의 커넥터 연결핀(140)과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홀 센서(500)는 바디부(120)의 전단에 배치되는 센서칩(510)과, 센서칩(510)에 연결되어 바디부(120)의 외주면에 안착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 단자(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때, 바디부(120)에는 도 10,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단자(520)가 바디부(120)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연결 단자(520)를 가압 고정하는 위치 고정 수단(700)이 구비될 수 있다.
위치 고정 수단(700)은 연결 단자(520)를 가압 고정하도록 내주면이 바디부(120)의 외주면에 밀착 접촉되는 형태로 바디부(120)의 전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링 형태의 고정 슬리브(7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슬리브(710)는 홀 센서(500)가 바디부(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연결 단자(520)가 바디부(120)에 밀착 접촉되도록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20)의 전단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위치 고정 수단(7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단자(520)가 삽입 가이드될 수 있도록 바디부(12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 리브(7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리브(720)는 연결 단자(520)가 삽입 가이드된 상태에서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단자(520)를 가압 고정시키는 형태로 열에 의해 소성 가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고정 수단(700)을 통해 홀 센서(500)의 정위치가 보장될 수 있어, 마그네틱 센서의 운반이나 조립 작업중에도 홀 센서(500)의 위치가 고정되어 더욱 정확한 센싱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와 커넥터 연결핀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에서는 홀 센서(500)가 센서칩(510)과 연결 단자(520)의 형태로 구성되고, 커넥터 연결핀(140)은 센서 바디(100)에 고정 결합된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센서(500)는 센서 바디(100)의 전단에 배치되는 다각형 센서칩(510)과, 센서칩(510)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되는 접점 단자(5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커넥터 연결핀(140)은 접점 단자(53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센서 바디(100)의 전단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접점부(141)와, 접점부(141)에 연결되어 센서 바디(100)의 외주면에 안착 고정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연결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42)는 끝단이 커넥터부(110)에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즉, 커넥터 연결핀(140)을 센서 바디(100)의 전단까지 길게 연장 형성하여 홀 센서(500)의 센서칩(510)과 직접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술한 별도의 전기 접속 수단이 불필요하다. 즉, 커넥터 연결핀(140)과 홀 센서(500)의 상대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의 전기 접속 수단 없이도 커넥터 연결핀(140)과 홀 센서(500)의 센서칩(510)을 직접 연결함으로써, 홀 센서(500)와 커넥터 연결핀(140)의 상대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센서(500)를 고정상태로 유지시킨 상태로 센서 바디(100)를 회전시키더라도 커넥터 연결핀(140)과 홀 센서(500)의 전기적 연결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기 접속 수단이 불필요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고정 브래킷 20: 마그네틱 센서
30: 오버 몰딩 금형 35: 코어 돌기
100: 센서 바디 110: 커넥터부
120: 바디부 130: 코어 결합부
131: 코어 결합홈 140: 커넥터 연결핀
200: 하우징 210: 고정 결합부
220: 본체부 400: 자석
500: 홀 센서 510: 센서칩
520: 연결 단자 600: 전기 접속 수단
610: 전선 케이블 620: FPCB 기판
700: 위치 고정 수단 710: 고정 슬리브
720: 고정 리브

Claims (13)

  1. 차량에 구비된 별도의 고정 브래킷에 장착 결합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있어서, 자성체의 운동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단부에 홀 센서 및 자석이 장착되고, 후단부에는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부가 형성되는 센서 바디; 및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센서 바디가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삽입된 상태로 수행되는 오버 몰딩 성형 공정을 통해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부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사출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바디는 상기 커넥터부의 배치 방향이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다수개의 배치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센서 바디는,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홀 센서 및 자석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이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후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형성된 코어 돌기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코어 결합홈이 형성되는 코어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바디부의 후단에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코어 결합홈은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방사되는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센서 바디에는 일측이 상기 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커넥터부에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커넥터 연결핀이 장착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에 배치되는 센서칩과, 상기 센서칩에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연결핀은 별도의 전기 접속 수단에 의해 상기 홀 센서의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 접속 수단은 상기 홀 센서의 연결 단자와 상기 커넥터 연결핀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바디와 상기 홀 센서 간의 상호 상대 회동 각이동 배치를 가능하게 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일측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 수단은
    양단이 각각 상기 홀 센서의 연결 단자와 상기 커넥터 연결핀에 솔더링 접합되는 전선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 수단은
    상기 센서 바디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FPCB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FPCB 기판의 폭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커넥터 연결핀과 솔더링 접합될 수 있도록 커넥터 접점 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FPCB 기판의 폭 방향 타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홀 센서의 연결 단자와 솔더링 접합될 수 있도록 홀 센서 접점 단자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홀 센서 접점 단자는 상기 홀 센서의 연결 단자의 상대 회전 이동시 상기 홀 센서의 연결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바디의 외주면에는 일측에 스냅핏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FPCB 기판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스냅핏 돌기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스냅핏 조립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10. 차량에 구비된 별도의 고정 브래킷에 장착 결합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있어서, 자성체의 운동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단부에 홀 센서 및 자석이 장착되고, 후단부에는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부가 형성되는 센서 바디; 및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센서 바디가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삽입된 상태로 수행되는 오버 몰딩 성형 공정을 통해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부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사출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바디는 상기 커넥터부의 배치 방향이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다수개의 배치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센서 바디는,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홀 센서 및 자석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이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후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형성된 코어 돌기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코어 결합홈이 형성되는 코어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바디부의 후단에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코어 결합홈은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방사되는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센서 바디에는 일측이 상기 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커넥터부에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커넥터 연결핀이 장착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에 배치되는 다각형 센서칩과, 상기 센서칩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되는 접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연결핀은 상기 접점 단자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 바디의 외주면에 안착 고정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커넥터부에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11. 차량에 구비된 별도의 고정 브래킷에 장착 결합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있어서, 자성체의 운동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단부에 홀 센서 및 자석이 장착되고, 후단부에는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부가 형성되는 센서 바디; 및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센서 바디가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삽입된 상태로 수행되는 오버 몰딩 성형 공정을 통해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부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사출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바디는 상기 커넥터부의 배치 방향이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다수개의 배치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센서 바디는,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홀 센서 및 자석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이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후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형성된 코어 돌기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코어 결합홈이 형성되는 코어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바디부의 후단에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코어 결합홈은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방사되는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바디부의 전단에 배치되는 센서칩과, 상기 센서칩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 안착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연결 단자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 단자를 가압 고정하는 위치 고정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수단은
    상기 연결 단자가 삽입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리브는 상기 연결 단자가 삽입 가이드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단자를 가압 고정시키는 형태로 열에 의해 소성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수단은
    상기 연결 단자를 가압 고정하도록 내주면이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 밀착 접촉되는 형태로 상기 바디부의 전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링 형태의 고정 슬리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KR1020120120280A 2012-10-29 2012-10-29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KR101386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280A KR101386774B1 (ko) 2012-10-29 2012-10-29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280A KR101386774B1 (ko) 2012-10-29 2012-10-29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774B1 true KR101386774B1 (ko) 2014-04-21

Family

ID=5065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280A KR101386774B1 (ko) 2012-10-29 2012-10-29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7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65705A (zh) * 2014-08-19 2016-03-02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一种车用雷达安装支架
CN105644452A (zh) * 2014-11-12 2016-06-08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一种车用雷达安装支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1206A (ja) * 1999-01-29 2000-08-11 Yazaki Corp 回転検出センサ及び該回転検出センサの製造方法
KR20050107130A (ko) * 2004-05-07 2005-11-11 이서남 자동차용 스피드센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1206A (ja) * 1999-01-29 2000-08-11 Yazaki Corp 回転検出センサ及び該回転検出センサの製造方法
KR20050107130A (ko) * 2004-05-07 2005-11-11 이서남 자동차용 스피드센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65705A (zh) * 2014-08-19 2016-03-02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一种车用雷达安装支架
CN105365705B (zh) * 2014-08-19 2017-11-14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一种车用雷达安装支架
CN105644452A (zh) * 2014-11-12 2016-06-08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一种车用雷达安装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9352B2 (ja) 磁界センサ
US9689711B2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US11447180B2 (en) Sensor device for a steering system of a vehicle
KR101657980B1 (ko) 로터리 엔코더를 구비하는 전기 모터용 키트
US20020180424A1 (en) Rotation detect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20110241659A1 (en) Device for detecting a rotational angle of a rotatable part
KR101386774B1 (ko)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US11131593B2 (en) Sensor device
EP2958196B1 (en) Cable with molded resin
US9523592B2 (en) Rotation detector
US20110273854A1 (en) Magnetic Field Sensor
KR20180045612A (ko)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JP5035746B2 (ja) 回転検出装置
JP2010203910A (ja) 電流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US11536594B2 (en) Sensor component, pre-assembly arrangement for a sensor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sensor component
KR101864433B1 (ko) 회전체 검출 센서 구조물
JP2018513533A (ja) 電子的な制御装置
JP4916986B2 (ja) 回転検出センサ
KR101240026B1 (ko) 제조가 용이한 회전 각도 센서
KR20190048760A (ko)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20100059654A1 (en) Protective holder for hall-based speed sensor
KR20230099438A (ko)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JP4281537B2 (ja) 回転検出センサ装置
CN107923770B (zh) 磁场检测装置
KR200358827Y1 (ko) 마그네틱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