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612A -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612A
KR20180045612A KR1020160140162A KR20160140162A KR20180045612A KR 20180045612 A KR20180045612 A KR 20180045612A KR 1020160140162 A KR1020160140162 A KR 1020160140162A KR 20160140162 A KR20160140162 A KR 20160140162A KR 20180045612 A KR20180045612 A KR 20180045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sensor
contact ring
connector
body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규
기현
김태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0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5612A/ko
Publication of KR20180045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52Manufacturing aspects; Manufacturing of single devices, i.e. of semiconductor magnetic sensor ch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using Hall-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47Housings or packaging of magnetic sensors ; Hol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별도의 고정 브래킷에 장착 결합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로서, 자성체의 운동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단부에 홀 센서 및 자석이 장착되고, 후단부에는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부가 형성되는 센서 바디; 및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센서 바디가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삽입된 상태로 수행되는 오버 몰딩 성형 공정을 통해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부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사출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바디는 상기 커넥터부의 배치 방향이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센서 바디는: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홀 센서 및 자석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이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한 부분으로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후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형성된 코어 돌기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코어 결합홈이 형성되는 코어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바디부의 후단에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코어 결합홈은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방사되는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센서 바디에는 일측이 상기 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커넥터부에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커넥터 연결핀이 장착되고, 상기 바디부(1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코어 결합부(130)에 대하여 상대 회동 조정 가능하게 분리 가능하게 상기 코어 결합부(130)에 연결 장착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에 배치되는 센서칩과, 상기 센서칩에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연결핀은 별도의 전기 접속 수단에 의해 상기 홀 센서의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VEHICULAR MAGNETIC SENSOR}
본 발명은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 바디와 하우징을 오버 몰딩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여 내부 보호 기능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커넥터부가 형성된 센서 바디와 하우징의 상대 배치 각도를 조절하며 일체로 오버 몰딩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 장착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금형을 통해 다양한 종류를 제작할 수 있고, 별도의 금형 제작 및 관리가 불필요하여 제작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센서 바디에 장착되는 홀 센서와 커넥터 연결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대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전기 접속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홀 센서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로 센서 바디 및 커넥터부의 배치 방향만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장착 자유도가 더욱 향상된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데, 차량의 핵심 구동 요소로서의 엔진 및 변속기에 대한 전자적 제어를 포함한 각종 구성 요소는 전자화되었거나 전자화 단계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적 제어를 달성하기 위해 차량에는 여러가지 종류의 각종 센서들이 장착되는데, 특히 감지 대상의 운동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 대상에 대한 작동 상태를 측정하는 마그네틱 센서의 활용이 매우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마그네틱 센서는 자성체의 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 변화를 자석과 홀 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방식으로 차량에서는 변속기의 변속 조작 상태를 감지하는 변속 조작 감지 센서로 활용되거나 또는 차량의 휠 스피드를 측정하기 위한 휠 스피드 센서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그네틱 센서는 활용 대상에 따라 차량의 특정 위치에 장착되는데, 변속 조작 감지 센서의 경우에는 변속 레버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는 컨트롤 핑거의 위치 이동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도록 컨트롤 핑거와 인접하게 장착되며, 휠 스피드 센서의 경우에는 차량 휠과 일체로 회전하는 톤휠의 회전 이동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도록 톤휠과 인접하게 장착된다.
각 마그네틱 센서는 차체에 구비된 별도의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는 방식으로 장착되는데, 해당 장착 위치에는 차량의 종류 등에 따라 마그네틱 센서의 장착 방향이 달라지거나 좌측 및 우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장착되는 등 공간이 비좁아 마그네틱 센서를 장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마그네틱 센서는 그 적용 대상 및 장착 위치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 종류가 증가하여 관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작업자의 실수로 다른 종류의 마그네틱 센서가 장착되는 등 작업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마그네틱 센서의 경우 개별적 장착 위치에 따라 방향 조정이 가능하더라도 내부 구성이 복잡하여 와이어링 내지 기판 등의 조립이 부가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경우 조립성이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급격히 증대되며, 작동 상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선행 기술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768699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 바디와 하우징을 오버 몰딩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여 내부 보호 기능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센서 바디에 장착되는 홀 센서와 커넥터 연결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대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전기 접속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홀 센서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로 센서 바디 및 커넥터부의 배치 방향만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장착 자유도가 더욱 향상된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부가 형성된 센서 바디와 하우징의 상대 배치 각도를 조절하며 일체로 오버 몰딩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 장착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금형을 통해 다양한 종류를 제작할 수 있고, 별도의 금형 제작 및 관리가 불필요하여 제작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별도의 고정 브래킷에 장착 결합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로서, 자성체의 운동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단부에 홀 센서 및 자석이 장착되고, 후단부에는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부가 형성되는 센서 바디; 및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센서 바디가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삽입된 상태로 수행되는 오버 몰딩 성형 공정을 통해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부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사출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바디는 상기 커넥터부의 배치 방향이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센서 바디는: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홀 센서 및 자석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이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한 부분으로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후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형성된 코어 돌기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코어 결합홈이 형성되는 코어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바디부의 후단에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코어 결합홈은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방사되는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센서 바디에는 일측이 상기 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커넥터부에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커넥터 연결핀이 장착되고, 상기 바디부(1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코어 결합부(130)에 대하여 상대 회동 조정 가능하게 분리 가능하게 상기 코어 결합부(130)에 연결 장착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에 배치되는 센서칩과, 상기 센서칩에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연결핀은 별도의 전기 접속 수단에 의해 상기 홀 센서의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일측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결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 수단은 상기 홀 센서의 연결 단자와 상기 커넥터 연결핀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 상대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는 컨택 링(600)일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연결핀(140)은: 상기 커넥터부와 연결되는 제 1 연결 터미널(141)과 상기 제 1 연결 터미널(141)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부와 연결되는 제 2 연결 터미널(143)을 포함하고, 상기 컨택 링(600)은: 상기 제 1 연결 터미널(141)과 접속하는 제 1 컨택 링(610)과, 상기 제 1 컨택 링(610)보다 작은 반경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컨택 링(610)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 연결 터미널(143)과 접속하는 제 2 컨택 링(6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20)는: 상기 커넥터부 측과 연결되는 바디 메인부(121)와, 상기 바디 메인부(121)에 분리 형성되되 상기 바디 메인부(121)에 연결 장착되는 바디 홀더부(123)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 메인부(121)에는 상기 제 1 컨택링(610) 및 상기 제 2 컨택링(620)이 각각 안착되는 바디 메인 제 1 링 안착부(1211)와 바디 메인 제 2 링 안착부(12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터미널(141)의 제 1 연결 터미널 단부(1411)는 상기 제 1 컨택링(610)에 솔더링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결 터미널(143)의 제 2 연결 터미널 단부(1431)는 상기 제 2 컨택링(620)에 솔더링 연결되고, 상기 컨택링(600)의 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제 2 연결 터미널 단부(1431)는 상기 제 1 연결 터미널 단부(1411)보다 더 가까울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있어서, 상기 바디 메인부(121)의 단부에는 상기 바디 홀더부(123)와 체결되기 위한 바디 메인 연결부(1215)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 홀더부(123)의 단부에는 상기 바디 메인 연결부(1215)와 연결되는 바디 홀더 연결부(1233)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있어서, 상기 바디 메인 연결부(1215)와 상기 바디 홀더 연결부(1233)는 상호 억지 끼워 맞춤되는 억지 끼워 맞춤 구조(12151,12331)일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있어서, 상기 바디 메인 연결부(1215)와 상기 바디 홀더 연결부(1233)는 서로 맞물림되는 스플라인 삽입 구조(12153,12333)일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있어서, 상기 바디 홀더부(123)는 상기 자석(400) 및 상기 센서칩(510)의 삽입 수용을 허용하는 바디 홀더 수용부(123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있어서, 상기 바디 홀더 수용부(1231)의 단부에는 상기 센서칩(510)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는 바디 홀더 수용 가이드 홈(12311)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520)는 일단이 각각 상기 센서칩(510)과 연결되는 제 1 연결단자(521) 및 제 2 연결단자(523)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단자(521)는 상기 제 1 컨택 링(610)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촉하고, 상기 제 2 연결단자(523)는 상기 제 2 컨택 링(620)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촉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있어서, 상기 바디 홀더부(123)의 측면에는 상기 제 1 연결단자(521)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523)를 분리 이격시키는 바디 홀더 터미널 가이드(12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에 있어서, 상기 바디 홀더 터미널 가이드(1235)는 상기 제 1 연결단자(521)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523)가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단자를 가압 고정시키는 형태로 열에 의해 소성 가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 바디와 하우징을 오버 몰딩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여 센서의 내부 보호 기능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센서 바디에 장착되는 홀 센서와 커넥터 연결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대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전기 접속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홀 센서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로 센서 바디 및 커넥터부의 배치 방향만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장착 자유도를 더욱 향상시키며 와이어 내지 기판의 배치를 배제시켜 조립성의 향상 및 내구성의 증대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터부가 형성된 센서 바디와 하우징의 상대 배치 각도를 조절하며 일체로 오버 몰딩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 장착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금형을 통해 다양한 종류를 제작할 수 있고, 별도의 금형 제작 및 관리가 불필요하여 제작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 바디에 장착되는 홀 센서에 대해 정위치에 조립되도록 별도의 위치 고정 수단을 센서 바디에 결합함으로써, 홀 센서가 제작 및 운반 과정에서 형태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홀 센서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센싱 기능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제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영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미회전 및 회전 상태의 사시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미회전 및 회전 상태의 부분 분해 사시도 및 상태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통전 경로를 도시한 미회전 및 회전 상태의 상태 사시도,
도 15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바디 메인부 및 바디 홀더부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바디 홀더 터미널 가이드의 구조 및 열가공 이후의 상태 사시도,
도 24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제조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조립 상태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는 변속 조작 감지 센서 또는 휠 스피드 센서 등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차량에 구비된 별도의 고정 브래킷(10)에 장착 결합되는데,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커넥터부의 위치를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센서 바디(100)와 하우징(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 바디(100)는 자성체의 운동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단부에 홀 센서(500) 및 자석(400)이 장착되고, 후단부에는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부(110)가 형성된다.
하우징(200)은 오버 몰딩 성형 공정을 통해 센서 바디(100)의 전단부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센서 바디(1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200)은 차량에 구비된 고정 브래킷(10)에 결합 고정되는데, 센서 바디(100)의 전단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본체부(220)와, 본체부(220)의 외주면에 일측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고정 브래킷(10)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결합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결합부(210)에는 조립홀(211)이 형성되고, 조립홀(211)에는 부시(300)가 결합된다.
즉, 고정 브래킷(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11)이 형성되고, 결합홈(11)의 내부 영역에는 하우징(200)의 본체부(220)가 삽입 관통하도록 관통홀(12)이 형성된다. 하우징(200)은 본체부(220)가 고정 브래킷(10)의 관통홀(12)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결합부(210)가 결합홈(11)에 안착되도록 결합되며, 고정 결합부(210)에 형성된 조립홀(211)을 통해 볼트 결합된다.
이때, 하우징(200)과 센서 바디(100)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우징(200)이 고정 브래킷(10)에 결합되면, 센서 바디(100)의 커넥터부(110)는 일정한 하나의 방향으로 고정 배치된다. 따라서, 장착 위치에 따라 커넥터부(110)의 배치 방향을 다르게 하기 위해서는 배치 방향에 따라 오버 몰딩 금형의 형상을 모두 다르게 제작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센서 바디(100)를 오버 몰딩 금형(30)의 내부 코어에 삽입할 때, 커넥터부(110)의 배치 방향이 변화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치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 몰딩 금형(30)은 상부 금형(31)과 하부 금형(32)으로 분리 형성되고, 내부 코어에는 하우징(200) 형상이 성형되도록 캐비티가 형성되며, 또한 조립홀(211)이 형성되도록 별도의 코어 금형(33)이 구비된다. 상부 금형(31)에는 캐비티 공간에 몰딩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구(34)가 형성된다.
센서 바디(100)는 홀 센서(500) 및 자석(400)이 정상적인 위치에 완전하게 결합된 상태로 오버 몰딩 금형(30)의 내부 코어에 삽입된다. 또한, 센서 바디(100)에는 일측이 홀 센서(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커넥터부(110)에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커넥터 연결 터미널(140)이 장착되는데, 이러한 커넥터 연결 터미널(140) 또한 센서 바디(100)에 정상적인 위치에 완전하게 결합된 상태로 센서 바디(100)가 오버 몰딩 금형(30)의 내부 코어에 삽입된다.
오버 몰딩 금형(30)의 내부 코어에는 코어 돌기(35)가 형성되는데, 센서 바디(100)에는 이러한 코어 돌기(35)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코어 결합홈(131)이 형성되는 코어 결합부(130)가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센서 바디(100)가 오버 몰딩 금형(30)의 내부 코어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도 3의 (b)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31) 및 하부 금형(32)이 밀봉 결합한 상태로 몰딩액이 주입되어 하우징(200) 형상이 센서 바디(100)의 전단부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성형 완료되면, 도 3의 (e) 및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31) 및 하부 금형(32)을 분리하여 하우징(200)과 센서 바디(100)가 일체로 형성된 마그네틱 센서(20)를 분리 배출하는 방식으로 제작 완료된다.
센서 바디(100)는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홀 센서(500) 및 자석(400)이 장착되고 하우징(200)이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바디부(120)와, 바디부(120)의 후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오버 몰딩 금형(30)의 내부 코어에 형성된 코어 돌기(35)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코어 결합홈(131)이 형성되는 코어 결합부(130)를 포함하고, 커넥터부(110)는 바디부(120)의 후단에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코어 결합홈(1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20)의 길이 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방사되는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즉, 원판형의 코어 결합부(130)의 일측면에 코어 결합홈(131)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코어 결합홈(131)은 코어 결합부(13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되는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각 코어 결합홈(131)은 사이각도가 α각도를 이루도록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때, α각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45°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 결합홈(131)의 배치 구조에 대응하여 바디부(120)는 단면 형상이 8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센서 바디(100)는 커넥터부(110)가 수직 배치되도록 코어 결합홈(131)이 오버 몰딩 금형(30)의 코어 돌기(35)에 삽입 결합되거나 또는 커넥터부(110)가 α각도 또는 2α각도 만큼 회전한 상태로 배치되도록 코어 결합홈(131)이 오버 몰딩 금형(30)의 코어 돌기(35)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오버 몰딩 성형 공정이 완료되면, 하우징(200)에 대한 커넥터부(110)의 배치 방향이 수직하거나 α각도 또는 2α각도만큼 각도 변경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는 커넥터부(110)의 배치 방향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금형을 제작할 필요없이 하나의 오버 몰딩 금형을 통해 커넥터부(110)의 다양한 배치 방향을 이룰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가 변속 조작 감지 센서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가 변속 조작 감지 센서로 적용된 경우, 전술한 구조를 통해 커넥터부(110)의 배치 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하기되는 바와 같이 홀센서(500)와 전기 접속 수단(600) 간의 상대 회동 가능한 접속 배치 구조를 통하여, 마그네틱 센서의 장착 자유도가 더욱 향상된다.
도 35는 기어 변속 스위치로 구현되는 경우의 일예이다. 기어 레버의 변속에 따라 컨트롤 핑거(M)의 회동 위치가 변화하고, 각각의 기어 변속 상태인 인기어, 중립, 후진 등의 설정 상태에 따라 컨트롤 핑거(M)와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홀센서(500, 도 5 참조)의 사이 간극의 변화로 전기적 신호 변화를 유도하고 이로 인하여 각 변속 레버의 변속 상태를 감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20)는 센서 바디(100)에 장착되는 홀 센서(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바디(100)의 전단에 배치되는 센서칩(510)과, 센서칩(510)에 연결되는 연결 단자(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 단자(520)는 일단이 센서칩(510)에 연결된 상태로 절곡 형성되어 타단부가 센서 바디(100)의 외주면에 안착 결합되도록 구성되는데, 연결 단자(520)는 제 1 연결 단자(521)와 제 2 연결 단자(523)를 포함하고, 제 1 연결 단자(521)와 제 2 연결 단자(523)는 각각 커넥터 연결 터미널(140)의 제 1 커넥터 연결 터미널(141) 및 제 2 커넥터 연결 터미널(143)과 접속 연결된다.
제 1 커넥터 연결 터미널(141) 및 제 2 커넥터 연결 터미널(143)의 각각의 단부는 제 1 커넥터 연결 터미널 단부(1411)와 제 2 커넥터 연결 터미널 단부(1431)를 형성한다.
제 1 커넥터 연결 터미널 단부(1411)와 제 2 커넥터 연결 터미널 단부(1431)는 각각 하기되는 바와 같이 전기 접속 수단의 구현예인 컨택링(600)의 제 1 컨택링(610) 및 제 2 컨택링(620)과 솔더링 연결되는데, 컨택링(600)의 중심선에 대하여, 제 2 커넥터 연결 터미널 단부(1431)는 상기 제 1 커넥터 연결 터미널 단부(1411)보다 더 가까운 구조를 취한다.
즉, 하기되는 바와 같이 제 1 컨택링(610) 및 제 2 컨택링(620)은 동심 배치 구조이나 차등적 반경 구조로 인하여 제 1 커넥터 연결 터미널 단부(1411)와 제 2 커넥터 연결 터미널 단부(1431)는 컨택링(6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차등적 단차를 구비하도록 절곡되는 구조를 취한다.
또한, 도 5에서 제 1 커넥터 연결 터미널 단부(1411)와 제 2 커넥터 연결 터미널 단부(1431)는 외부로 노출 도시되나 이는 구성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은 센서 바디(100)에 인서트되는 구조를 취하고 제 2 커넥터 연결 터미널(143)의 제 2 커넥터 연결 터미널 단부(1431)가 제 1 커넥터 연결 터미널(141)의 제 1 커넥터 연결 터미널 단부(1411)보다 긴 길이를 갖는 구조를 취하여 제 2 컨택링(620)과의 접속 상태를 용이하게 이루도록 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연결 단자(520)는 센서 바디(100)의 결합된 커넥터 연결 터미널(140)과 솔더링 접합되는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러한 구조에 따라 센서칩(510)에 의해 감지된 신호가 연결 단자(520) 및 커넥터 연결 터미널(140)을 통해 외부 전자 기기로 전송되는데, 본 발명의 홀 센서(500)의 연결 단자(520)는 전기 접속 수단(600)에 의해 커넥터 연결 터미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 접속 수단(600)은 홀 센서(500)의 연결 단자(520)와 커넥터 연결 터미널(1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 상대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수단(600)은 환형 링 타입의 컨택링(600)으로 구현된다.
컨택 링(600)은 홀 센서(500)의 연결 단자(520)와 커넥터 연결 터미널(1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 상대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센서 바디(100)가 회전된 상태로 오버 몰딩 금형에 삽입되는 경우에도, 홀 센서(500)는 커넥터 연결 터미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대 회전하며 기준 위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컨택링(6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택 링(610)과, 제 2 컨택 링(620)을 포함한다. 제 1 컨택 링(610)은 제 1 커넥터 연결 터미널(141)과 접속한다.
제 2 컨택 링(620)은 제 1 컨택 링(610)보다 작은 반경을 구비하고, 제 1 컨택 링(610)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 2 커넥터 연결 터미널(143)과 접속한다.
한편, 바디부(120)는 바디 메인부(121)와, 바디 홀더부(123)를 구비한다. 바디 메인부(121)는 커넥터부(110) 측과 연결되고, 바디 홀더부(123)는 바디 메인부(121)에 분리 형성되되 바디 메인부(121)에 연결 장착된다. 바디 메인부(121)와, 바디 홀더부(123)는 서로 분리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바디 메인부(121)에는 제 1 컨택링(610) 및 제 2 컨택링(620)이 각각 안착되는 바디 메인 제 1 링 안착부(1211)와 바디 메인 제 2 링 안착부(1213)이 형성된다. 바디 메인 제 1 링 안착부(1211)와 바디 메인 제 2 링 안착부(1213)는 제 1 컨택링(610) 및 제 2 컨택링(620)의 상이한 반경 차이로 인하여 양자가 단차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바디 메인 제 1 링 안착부(1211)는 커넥터부(110) 측의 반경이 큰 위치를 그리고 바디 메인 제 2 링 안착부(1213)는 바디 메인부(121)의 단부 측으로 반경이 작은 위치를 형성한다.
바디 메인부(121)의 단부에는 바디 홀더부(123)와 체결되기 위한 바디 메인 연결부(1215)가 구비되고, 바디 홀더부(123)의 단부에는 바디 메인 연결부(1215)와 연결되는 바디 홀더 연결부(1233)를 구비한다.
바디 메인부(121)와 바디 홀더부(123)는 분리 가능한 구조를 취하는데, 바디 메인부(121)의 단부에 형성되는 바디 메인 연결부(1215)와 바디 홀더부(123)의 바디 홀더 연결부(1233)는 서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디 메인부(121)의 단부에 형성되는 바디 메인 연결부(1215)와 바디 홀더부(123)의 바디 홀더 연결부(1233)는 억지 끼워 맞춤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메인 연결부(1215)와 바디 홀더 연결부(1233)는 서로 맞물리는 외경 내지 내경을 구비하되, 양자는 서로 억지 끼워 맞춤되는 구조를 취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버몰딩 공정 과정시 사출압 등에 의하여 바디 메인부(121)와 바디 홀더부(12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바디 메인부(121)의 단부에 형성되는 바디 메인 연결부(1215)와 바디 홀더부(123)의 바디 홀더 연결부(1233)는 억지 끼워 맞춤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일정 각도로 회동 결합시키는 스플라인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메인 연결부(1215)와 바디 홀더 연결부(1233)는 서로 맞물리는 요철 내지 요홈 형상의 스플라인 구조를 형성하여 양자는 끼워 맞춤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 이와 같은 요철 형상의 스플라인 끼워 맞춤되는 구조를 취하여,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버몰딩 공정 과정시 사출압 등에 의하여 바디 메인부(121)와 바디 홀더부(123)가 분리 내지 상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라인 구조의 바디 메인 연결부(1215)와 바디 홀더 연결부(1233)가 체결되어, 도 6에서와 같이 바디 메인부(121)와 바디 홀더부(123)간의 사이각이 -θ를 형성하거나, 도 7에서와 같이 사이각이 영이거나, 또는 도 8에서와 같이 +θ의 값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가능한 형상의 바디 홀더부(123)는 바디 홀더 수용부(1231)를 구비하는데, 바디 홀더 수용부(1231)에는 자석(400) 및 센서칩(510)이 삽입 수용될 수 있다. 바디 홀더 수용부(1231)는 바디 홀더부(123)의 선단에 형성되는데, 바디 홀더 수용부(1231)에는 먼저 자석(400)이 삽입 배치되고, 그런 후, 홀 센서(500)의 센서칩(510)이 바디 홀더 수용 가이드 홈(12311)를 거쳐 바디 홀더 수용부(1231)내로 진입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진입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바디 홀더 수용 가이드 홈(12311)는 바디 홀더부(123)의 선단부의 측부에 형성되고 바디 홀더 수용부(1231)와 연통한다.
한편,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연결 단자(520)는 제 1 연결 단자(521)와 제 2 연결 단자(523)를 포함하고, 제 1 연결 단자(521)와 제 2 연결 단자(523)는 각각 커넥터 연결 터미널(140)의 제 1 커넥터 연결 터미널(141) 및 제 2 커넥터 연결 터미널(143)과 접속 연결되는데, 이들 사이에는 전기 접속 수단으로서의 컨택링(600)이 배치되고
제 1 연결 단자(521)와 제 2 연결 단자(523)의 단부는 궁극적으로 컨택링(600)과 솔더링 연결된 후,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솔더링 공정을 통하여 위치 유지 상태 확보를 이룰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과 도 11 및 도 12에는 바디 메인부(121)와 바디 홀더부(123)의 미회전 및 회전 상태에서의 연결 단자와 컨택링 간의 솔더링이 이루어진 상태의 사시도 및 장착 상태 사시도가 도시된다.
이와 같이, 바디 메인부(121)와 바디 홀더부(123) 간의 설계 사양에 따른 다양한 상대 회전 각도 설정이 이루어지고, 양자 간의 맞춤 상태 형성이 이루어진 후, 오버 몰딩의 공정 전에 연결 단자(520)와 컨택링(600) 간의 솔더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커넥터 연결 터미널(141,143)과 컨택링(600) 간의 솔더링은 이미 선행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연결 단자(520)와 컨택링(600) 간의 솔더링시 함게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도 13 및 도 14에는 바디 메인부(121)와 바디 홀더부(123) 간의 미회전 및 회전 상태에서의 전기적 소통 경로가 도시된다.
즉, 도 13에는 바디 메인부(121)와 바디 홀더부(123) 간의 미회전 상태의 통전 경로가 도시되는데, 미회전 상태의 경우 커넥터 연결 터미널과 연결 단자(520)는 각각이 직접 솔더링 연결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를 도면 부호로 도시하면, 제 2 커넥터 연결 터미널(143)-제 2 컨택링(620)-제2 연결 단자(523)-센서칩(510)-제 1 연결 단자(521)-제 1 컨택링(610)-제 1 커넥터 연결 단자(141)의 통전 경로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통전 경로를 최소화하여 저항 요소의 개입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반면, 도 14에는 바디 메인부(121)와 바디 홀더부(123) 간의 회전 상태의 통전 경로가 도시되는데, 도면 부호로 도시하면, 제 2 커넥터 연결 터미널(143)-제 2 컨택링(620)-제2 연결 단자(523)-센서칩(510)-제 1 연결 단자(521)-제 1 컨택링(610)-제 1 커넥터 연결 단자(141)의 통전 경로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다양한 차종에 대하여 개별화된 사출을 위한 금형 제조를 방지하여 제조 원가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제조성을 향상시키며 내구 연한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또 한편, 바디 홀더부(123)의 측면에는 제 1 연결단자(521) 및 제 2 연결단자(523)를 분리 이격시키는 바디 홀더 터미널 가이드(12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바디 홀더부(123)의 측면에는 바디 홀더 터미널 가이드(1235)가 더 구비되고, 제 1 연결 단자(521)와 제 2 연결 단자(523)의 사이에 바디 홀더 터미널 가이드(1235)가 배치되도록 제 1 연결 단자(521)와 제 2 연결 단자(523)를 위치시킨다.
바디 홀더 터미널 가이드(1235)를 통하여 제 1 연결 단자(521)와 제 2 연결 단자(523)의 사이 간극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분리되는 구성을 취한다. 이때, 바디 홀더 터미널 가이드(1235)는 핫스탬핑 공정을 통하여 고온 가압되어 소성 변형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홀더 터미널 가이드(1235)는 제 1 연결단자(521) 및 제 2 연결단자(523)가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핫 스탬핑 공정을 통하여 연결 단자(520)가 삽입 가이드된 상태에서 연결 단자(520)를 가압 고정시키는 형태로 열에 의해 소성 가공되어 고정 리브 형태로 열변형된 바디 홀더 터미널 가이드 리브(1235a, 도 23)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연결 단자(520)는 바디 홀더부(123)에 대하여 안정적인 위치 고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구체적 구조에 대하여 기술하였는데, 이러한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를 제조하는 전체적 공정에 대하여 도 24 내지 도 34에 도시된다.
먼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연결 터미널(140)이 준비된다. 그런 후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커넥터 연결 터미널(140)은 제 1 커넥터 연결 터미널(141) 및 제 2 커넥터 연결 터미널(143)을 포함하는데, 초기 상태(A)의 경우 커넥터 연결부(142)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고(도 25 A1), 도 24에서와 같이 센서 바디(100)의 바디 메인부(120)의 1차 몰딩 공정 이후, 외부로 노출된 커넥터 연결부(142)가 절단 제거되어 제 1 커넥터 연결 터미널(141)과 제 2 커넥터 연결 터미널(143)은 서로 분리 도전 라인으로 형성된다(도 25 A2).
그런 후,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메인부(120)에 컨택 링(600)이 삽입 배치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홀더부(130)의 바디 홀더 수용부(1231)에 자석(400)이 삽이 배치된다.
그런 후,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메인부(120)와 바디 홀더부(130)는 서로 정렬되고, 바디 메인부(120)와 바디 홀더부(130)는 서로 맞물림된다(도 30).
그런 후, 홀 센서(500)가 바디 홀더부(130) 측에 위치 준비되고(도 31 (a)), 도 31 (b)에서의 제 1 커넥터 연결 터미널(141)와 제 1 컨택링(610), 제 1 연결 단자(521)와 제 1 컨택링(610), 제 2 커넥터 연결 터미널(143)와 제 2 컨택링(620), 제 2 연결 단자(523)와 제 2 컨택링(620)이 솔더링 연결된다(도 31 (c)).
그런 후, 경우에 따라 바디 홀더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바디 홀더 터미널 가이드(1235)가 핫스탬핑되어 고정 리브 장착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도 32).
그런 후, 부싱(300)이 위치한 상태에서 제2차 인서트 사출되어 전체적인 센서 바디 구조가 오버 몰딩될 수 있다(도 33). 그런 후, 소정의 마그네타이징 공정을 통하여 자석(40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치된 자성체를 자화시켜 최종적인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의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도 34 참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고정 브래킷 20: 마그네틱 센서
30: 오버 몰딩 금형 35: 코어 돌기
100: 센서 바디 110: 커넥터부
120: 바디부 130: 코어 결합부
131: 코어 결합홈 140: 커넥터 연결 터미널
200: 하우징 210: 고정 결합부
220: 본체부 400: 자석
500: 홀 센서 510: 센서칩
520: 연결 단자 600: 전기 접속 수단

Claims (14)

  1. 차량에 구비된 별도의 고정 브래킷에 장착 결합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로서, 자성체의 운동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단부에 홀 센서 및 자석이 장착되고, 후단부에는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부가 형성되는 센서 바디; 및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센서 바디가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삽입된 상태로 수행되는 오버 몰딩 성형 공정을 통해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부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사출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바디는 상기 커넥터부의 배치 방향이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센서 바디는: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홀 센서 및 자석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이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한 부분으로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후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오버 몰딩 금형의 내부 코어에 형성된 코어 돌기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코어 결합홈이 형성되는 코어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바디부의 후단에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코어 결합홈은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방사되는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센서 바디에는 일측이 상기 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커넥터부에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커넥터 연결핀이 장착되고,
    상기 바디부(1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코어 결합부(130)에 대하여 상대 회동 조정 가능하게 분리 가능하게 상기 코어 결합부(130)에 연결 장착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에 배치되는 센서칩과, 상기 센서칩에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연결핀은 별도의 전기 접속 수단에 의해 상기 홀 센서의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일측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 수단은 상기 홀 센서의 연결 단자와 상기 커넥터 연결핀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 상대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는 컨택 링(6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연결핀(140)은:
    상기 커넥터부와 연결되는 제 1 연결 터미널(141)과
    상기 제 1 연결 터미널(141)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부와 연결되는 제 2 연결 터미널(143)을 포함하고,
    상기 컨택 링(600)은:
    상기 제 1 연결 터미널(141)과 접속하는 제 1 컨택 링(610)과,
    상기 제 1 컨택 링(610)보다 작은 반경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컨택 링(610)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 연결 터미널(143)과 접속하는 제 2 컨택 링(6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트 센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20)는:
    상기 커넥터부 측과 연결되는 바디 메인부(121)와,
    상기 바디 메인부(121)에 분리 형성되되 상기 바디 메인부(121)에 연결 장착되는 바디 홀더부(123)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 메인부(121)에는 상기 제 1 컨택링(610) 및 상기 제 2 컨택링(620)이 각각 안착되는 바디 메인 제 1 링 안착부(1211)와 바디 메인 제 2 링 안착부(12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트 센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터미널(141)의 제 1 연결 터미널 단부(1411)는 상기 제 1 컨택링(610)에 솔더링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결 터미널(143)의 제 2 연결 터미널 단부(1431)는 상기 제 2 컨택링(620)에 솔더링 연결되고,
    상기 컨택링(600)의 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제 2 연결 터미널 단부(1431)는 상기 제 1 연결 터미널 단부(1411)보다 더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트 센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메인부(121)의 단부에는 상기 바디 홀더부(123)와 체결되기 위한 바디 메인 연결부(1215)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 홀더부(123)의 단부에는 상기 바디 메인 연결부(1215)와 연결되는 바디 홀더 연결부(12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트 센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메인 연결부(1215)와 상기 바디 홀더 연결부(1233)는 상호 억지 끼워 맞춤되는 억지 끼워 맞춤 구조(12151,123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트 센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메인 연결부(1215)와 상기 바디 홀더 연결부(1233)는 서로 맞물림되는 스플라인 삽입 구조(12153,1233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트 센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홀더부(123)는
    상기 자석(400) 및 상기 센서칩(510)의 삽입 수용을 허용하는 바디 홀더 수용부(12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트 센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홀더 수용부(1231)의 단부에는 상기 센서칩(510)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는 바디 홀더 수용 가이드 홈(1231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트 센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520)는 일단이 각각 상기 센서칩(510)과 연결되는 제 1 연결단자(521) 및 제 2 연결단자(523)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단자(521)는 상기 제 1 컨택 링(610)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촉하고,
    상기 제 2 연결단자(523)는 상기 제 2 컨택 링(620)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트 센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홀더부(123)의 측면에는 상기 제 1 연결단자(521)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523)를 분리 이격시키는 바디 홀더 터미널 가이드(12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트 센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홀더 터미널 가이드(1235)는 상기 제 1 연결단자(521)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523)가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단자를 가압 고정시키는 형태로 열에 의해 소성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KR1020160140162A 2016-10-26 2016-10-26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KR20180045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162A KR20180045612A (ko) 2016-10-26 2016-10-26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162A KR20180045612A (ko) 2016-10-26 2016-10-26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612A true KR20180045612A (ko) 2018-05-04

Family

ID=6219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162A KR20180045612A (ko) 2016-10-26 2016-10-26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56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5862A1 (de) 2018-04-19 2019-10-24 Hyundai Motor Company Struktur zum Montieren eines Einlassstromsteuerventils
CN115128522A (zh) * 2022-07-26 2022-09-30 苏州佳祺仕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霍尔探头的封装结构、检测设备及封装精度管控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5862A1 (de) 2018-04-19 2019-10-24 Hyundai Motor Company Struktur zum Montieren eines Einlassstromsteuerventils
CN115128522A (zh) * 2022-07-26 2022-09-30 苏州佳祺仕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霍尔探头的封装结构、检测设备及封装精度管控方法
CN115128522B (zh) * 2022-07-26 2023-11-21 苏州佳祺仕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霍尔探头的封装结构、检测设备及封装精度管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9352B2 (ja) 磁界センサ
US6737863B2 (en) Rotation detect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11447180B2 (en) Sensor device for a steering system of a vehicle
US11187601B2 (en) Sensor device
KR20180045612A (ko)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US11131593B2 (en) Sensor device
JP3711951B2 (ja) センサ構造及びセンサの製造方法
KR101229459B1 (ko) 차량용 센서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US7683609B2 (en) Method of producing a rotation detection sensor
US20090183558A1 (en) Cam/crank sensor that allows for multiple orientations of a plastic over-molded bracket relative to a molded sensor terminal assembly
KR101386774B1 (ko)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KR20180041206A (ko) 자동차용 전기 부품 장착형 측정 센서
CN102667411B (zh) 旋转角传感器系统与其制造方法
JP2019139874A (ja) 車両搭載機器のコネクタ構造
KR101864433B1 (ko) 회전체 검출 센서 구조물
US11248937B2 (en) Holder for a sensor unit
KR20190048760A (ko) 차량용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20150076957A1 (en)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tor
CN218470048U (zh) 一种扭矩传感器
EP1178319B1 (en) Speed sensor integrated into a bearing cap
JP6153146B1 (ja) 回転センサ
WO2024111039A1 (ja) インサート成形品およびセンサ装置
CN219495107U (zh) 一种整体注塑型凸轮轴位置传感器装置
KR101240026B1 (ko) 제조가 용이한 회전 각도 센서
JP7420306B2 (ja) トルク検出装置用ヨーク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