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217B1 -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217B1
KR101363217B1 KR1020110135688A KR20110135688A KR101363217B1 KR 101363217 B1 KR101363217 B1 KR 101363217B1 KR 1020110135688 A KR1020110135688 A KR 1020110135688A KR 20110135688 A KR20110135688 A KR 20110135688A KR 101363217 B1 KR101363217 B1 KR 101363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ensor
coupling portion
wheel speed
spe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8141A (ko
Inventor
한창규
전민석
이석우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5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2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68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9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speed sensor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2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using Hall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60Y2400/3032Wheel 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차량 휠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제품으로 제작하지 않고 단순히 센서 바디와 하우징의 결합 각도를 변경하며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차량 휠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제품으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작이 용이하고, 특정 위치의 차량 휠에 대한 전용 제품으로 별도로 제작 관리할 필요가 없어 부품 관리가 용이하며,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당 장착 위치에 따라 센서 바디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Wheel Speed Sens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차량 휠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제품으로 제작하지 않고 단순히 센서 바디와 하우징의 결합 각도를 변경하며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차량 휠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제품으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작이 용이하고, 특정 위치의 차량 휠에 대한 전용 제품으로 별도로 제작 관리할 필요가 없어 부품 관리가 용이하며,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당 장착 위치에 따라 센서 바디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미끄러운 노면에서 제동을 하게 되면 타이어가 록(lock)되어 타이어가 노면에서 미끄러지면서 제동 거리가 늘어나게 되고, 방향성을 상실하여 차량이 전복되거나 회전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하여 ABS(anti-lock 또는 anti-skid brake system)가 장착되는데, ABS는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때 자동차가 전복되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차가 주행중에 차륜이 브레이크에 의해 완전히 잠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ABS는 4개의 차륜이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감속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차륜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휠스피드 센서가 필요하다. 휠 스피드 센서는 차량 휠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톤휠(tonewheel)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톤휠은 차량 휠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며, 휠 스피드 센서는 톤휠이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유도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차량 휠의 회전수로 환산하여 차량 휠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ABS는 이와 같이 감지된 차륜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각 차륜의 감속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ABS에 구비되는 휠 스피드 센서는 톤휠의 유도 자기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자석과 홀 센서가 장착되는 형태로 구성되는데, 톤휠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차량에 구비되는 별도의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이때, 톤휠이 장착되는 차량 휠의 인접한 공간에는 휠 스피드 센서를 장착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좌측 및 우측 휠에 장착되는 휠 스피드 센서가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각각 별도로 제작 및 관리되어야 하므로, 설치 및 관리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차량 휠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제품으로 제작하지 않고 단순히 센서 바디와 하우징의 결합 각도를 변경하며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차량 휠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제품으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작이 용이하고, 특정 위치의 차량 휠에 대한 전용 제품으로 별도로 제작 관리할 필요가 없어 부품 관리가 용이하며,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당 장착 위치에 따라 센서 바디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 바디와 하우징을 용착산을 용융하는 초음파 용착 공정을 통해 접합시킴으로써, 내부 부품에 대한 방수 기능 및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더욱 정확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서 바디에 장착되는 홀 센서에 대해 정위치에 조립되도록 별도의 가압 블록을 센서 바디에 결합함으로써, 홀 센서가 제작 및 운반 과정에서 형태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홀 센서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정확한 휠 스피드를 감지할 수 있는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휠과 일체로 회전하는 톤휠을 통해 차량 휠의 회전 스피드를 감지하도록 별도의 고정 브래킷에 장착 결합되는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에 있어서, 상기 톤휠에 의한 자기장 변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단부에 자석 및 홀 센서가 장착되고, 후단부에는 별도의 커넥터 바디가 삽입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센서 바디; 및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부가 삽입 수용되며,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바디와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센서 바디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회전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센서 바디는 전단부에 상기 자석 및 홀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커넥터 바디가 삽입 체결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후단에 상기 바디부와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후단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바디부의 전단에 배치되는 센서칩과, 상기 센서칩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연결 단자가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밀착 접촉되도록 상기 연결 단자를 가압하는 가압 블록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센서 바디의 돌출 결합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삽입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결합부 및 삽입 결합부는 상기 센서 바디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한 횡단면의 형상이 서로 대응되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결합부 및 삽입 결합부에는 각각 용착산 및 용착홈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센서 바디 및 하우징은 초음파 용착기를 통해 상기 용착산을 용융시키는 초음파 용착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삽입 결합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고정 결합부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브래킷을 관통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전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별도의 너트가 상기 나사산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삽입 결합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고정 결합부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삽입 결합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센서 바디의 돌출 결합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삽입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결합부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 결합부는 상기 돌출 결합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출 결합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 방지되도록 상기 돌출 결합부와 맞물림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바디의 바디부에는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원통형 필러 몰딩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삽입 결합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고정 결합부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차량 휠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제품으로 제작하지 않고 단순히 센서 바디와 하우징의 결합 각도를 변경하며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차량 휠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제품으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작이 용이하고, 특정 위치의 차량 휠에 대한 전용 제품으로 별도로 제작 관리할 필요가 없어 부품 관리가 용이하며,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당 장착 위치에 따라 센서 바디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 바디와 하우징을 용착산을 용융하는 초음파 용착 공정을 통해 접합시킴으로써, 내부 부품에 대한 방수 기능 및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더욱 정확한 성능을 가질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 바디에 장착되는 홀 센서에 대해 정위치에 조립되도록 별도의 가압 블록을 센서 바디에 결합함으로써, 홀 센서가 제작 및 운반 과정에서 형태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홀 센서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정확한 휠 스피드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설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하우징과 센서 바디에 대한 다양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하우징과 센서 바디에 대한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가압 블록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하우징과 센서 바디에 대한 다양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하우징과 센서 바디에 대한 다양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하우징과 센서 바디에 대한 다양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설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하우징과 센서 바디에 대한 다양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하우징과 센서 바디에 대한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가압 블록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20)는 차량 휠과 일체로 회전하는 톤휠(10)을 통해 차량 휠의 회전 스피드를 감지하도록 별도의 고정 브래킷(100)에 장착 결합되는데, 센서 바디(200)와 하우징(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 바디(200)는 톤휠(10)에 의한 자기장 변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단부에 자석(201) 및 홀 센서(202)가 장착되고, 후단부에는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별도의 커넥터 바디(400)가 삽입 체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하우징(30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센서 바디(200)의 전단부가 삽입 수용되며, 고정 브래킷(100)에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하우징(300)은 내부에 센서 바디(200)가 삽입된 상태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100)에 고정 결합되며, 센서 바디(200)의 자석(201) 및 홀 센서(202)가 톤휠(10)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이에 따라 톤휠(1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 변화 신호를 감지하여 차량 휠의 회전 스피드를 감지한다.
이때, 센서 바디(200)와 하우징(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바디(200)가 하우징(300) 내부에 삽입되는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회전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하우징(300) 내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20)는 서로 다른 차량 휠에 각각 장착되는 경우, 별도의 제품으로 제작하지 않고 단순히 센서 바디(200)와 하우징(300)의 결합 상태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휠과 우측 휠에 적용되는 휠 스피드 센서의 경우, 종래 기술에서는 그 장착 구조상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별개로 제작되어 해당 휠에 인접하게 각각 장착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휠 스피드 센서(20)는 하나의 동일한 구조로 제작되며, 단순히 하우징(300)에 결합되는 센서 바디(200)의 결합 각도를 변경하여 좌측 휠 및 우측 휠에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금형이 필요하지 않아 제작이 용이하고, 좌측 및 우측 전용으로 별도로 제작 관리할 필요가 없어 부품 관리가 용이하며,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좌우측 오조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바디(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에 자석(201) 및 홀 센서(202)가 장착되며 하우징(300)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디부(210)와, 커넥터 바디(400)가 삽입 체결되도록 바디부(210)의 후단에 바디부(210)와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커넥터부(220)와, 하우징(300)과 결합되도록 바디부(210)의 후단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 결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홀 센서(202)는 바디부(210)의 전단에 배치되는 센서칩(202a)과, 센서칩(202a)에 연결되어 바디부(21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 단자(202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바디부(210)의 상면에는 이러한 홀 센서(202)의 연결 단자(202b)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별도의 연결핀(203)이 장착되며, 이러한 연결핀(203)은 커넥터부(220)로 연장되어 커넥터 바디(4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커넥터 바디(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디부(21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단자(202b)가 바디부(210)의 상면에 밀착 접촉되도록 연결 단자(202b)를 가압하는 가압 블록(204)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홀 센서(202)의 정위치 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즉,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칩(202a)에 연결되는 연결 단자(202b)는 제조 과정이나 운반 과정 중에 절곡 상태가 직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직각을 벗어난 상태로 변형될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 바디부(210)에 안착되면, 센서칩(202a)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톤휠(10)에 대한 정확한 자기장 변화 신호를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압 블록(204)이 결합되면, 연결 단자(202b)의 절곡 상태가 직각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단자(202b)를 바디부(210)의 상면에 밀착 가압하게 되므로, 센서칩(202a)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며, 이에 따라 톤휠(10)에 대한 정확한 자기장 변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바디(200)의 바디부(210)가 삽입 수용되도록 중공 원통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단에는 센서 바디(200)의 돌출 결합부(230)가 삽입 결합되도록 삽입 결합부(320)가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300)의 삽입 결합부(320) 및 센서 바디(200)의 돌출 결합부(230)는 센서 바디(200)가 하우징(300)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한 횡단면의 형상이 서로 대응되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삽입 결합부(320) 및 돌출 결합부(230)는 횡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도 17 내지 도 20에서 후술한다.
이와 같이 삽입 결합부(320) 및 돌출 결합부(230)가 서로 대응되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다각형 형태에 따라 센서 바디(200)와 하우징(300)의 상호 결합 각도가 일정 상태로 가이드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결합부(320) 및 돌출 결합부(230)가 서로 대응되는 8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라면, 센서 바디(200)는 하우징(300)에 대해 도 3의 (a)와 같이 커넥터부(220)가 하향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고, 이 상태를 기준으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45°회전한 상태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45°회전한 상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하우징(300)에 대한 센서 바디(200)의 삽입되는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한 결합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휠 스피드 센서(20)로 여러 지점의 차량 휠에 장착할 수 있으며, 특히, 삽입 결합부(320) 및 돌출 결합부(230)의 다각형 형태에 따라 결합 각도에 대한 변경 각도를 일정 간격으로 가이드할 수 있어 각도 변경을 더욱 정확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결합부(230)에는 용착산(231)이 형성되고, 삽입 결합부(320)에는 용착산(231)에 대응되는 용착홈(321)이 형성되며, 용착산(231)이 용착홈(3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초음파 용착기를 통해 용착산(231)을 초음파 용착시키는 방식으로 돌출 결합부(230)와 삽입 결합부(3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 용착 공정에 의해 하우징(300)과 센서 바디(200)의 결합 부위는 방수 처리되므로, 내부의 홀 센서(202) 및 자석과 같은 부품이 보호된다.
또한, 하우징(300)에는 하우징(300)이 고정 브래킷(100)에 고정 결합되도록 삽입 결합부(320)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고정 결합부(310)가 형성되는데, 고정 결합부(310)는 하우징(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결합부(310)에는 고정 브래킷(100)에 볼트 결합을 위한 결합홀(311)이 형성되고, 고정 브래킷(100)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결합부(310)가 안착 결합될 수 있도록 안착 결합부(120)가 형성되고, 안착 결합부(120)의 일측에는 하우징(300)이 관통 삽입되도록 관통홀(110)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300)은 고정 결합부(310)가 안착 결합부(120)에 안착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 브래킷(100)에 결합되며, 이를 통해 위치 고정되게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하우징(300)은 고정 브래킷(100)에 일정한 각도 상태로 고정 결합되는데, 하우징(300)에 대한 센서 바디(200)의 결합 각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휠 스피드 센서의 차량 휠에 대한 장착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센서 바디(200)의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220)가 좌측 방향을 향하도록 센서 바디(200)와 하우징(300)을 결합하여 고정 브래킷(100)에 결합시킬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220)가 우측 방향을 향하도록 센서 바디(200)와 하우징(300)을 결합하여 고정 브래킷(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하우징과 센서 바디에 대한 다양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휠 스피드 센서(20)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센서 바디(200)가 하우징(300) 내부에 삽입되는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회전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하우징(300) 내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므로, 여기서는 설명의 중복 방지를 위해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휠 스피드 센서는 하우징(300)을 고정 브래킷(100)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 결합부가 구비되지 않는 구조이며, 다만, 고정 브래킷(100)을 관통하는 하우징(300)의 외주면 전단부에 나사산(330)이 형성되는 구조로서, 별도의 너트(140)를 나사산(330)에 체결함에 따라 하우징(300)이 고정 브래킷(100)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때, 너트(140)에 의한 체결력 향상을 위해 별도의 O-링(34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휠 스피드 센서는 하우징(300)에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 결합부(320)가 형성되고, 센서 바디(200)에 돌출 결합부(230)가 형성되며, 삽입 결합부(320) 및 돌출 결합부(230)는 서로 대응되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바디(200)의 결합 각도를 다각형 형태에 따른 회전 각도 만큼씩 회전시켜가며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220)가 좌측 방향을 향하거나 우측 방향을 향하도록 휠 스피드 센서를 고정 브래킷(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 브래킷(100)에 형성되는 안착 결합부(130)는 하우징(300)의 삽입 결합부(320)가 안착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삽입 결합부(320)의 다각형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하우징과 센서 바디에 대한 다양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휠 스피드 센서(20)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센서 바디(200)가 하우징(300) 내부에 삽입되는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회전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하우징(300) 내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므로, 여기서는 설명의 중복 방지를 위해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휠 스피드 센서(20)의 하우징(300)에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 결합부(310)가 결합되는데, 이때, 고정 결합부(310)는 하우징(300)의 삽입 결합부(320)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우징(300)과 분리 형성된다. 고정 결합부(310)에는 삽입 결합부(320)와 나사 결합되도록 스크류(S)가 관통하는 관통홀(312)가 형성되며, 삽입 결합부(320)에는 이러한 고정 결합부(310)가 나사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나사홀(322)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휠 스피드 센서는 삽입 결합부(320)와 돌출 결합부(230)에 의한 하우징(300)과 센서 바디(200)의 결합 각도 조절 뿐만 아니라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결합부(310)의 결합 각도 또한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결합부(310)에는 삽입 결합부(32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 결합부(320)의 다각형 형태에 대응되는 관통 결합부(315)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220)가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도록 휠 스피드 센서를 고정 브래킷(100)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는 센서 바디(200)와 하우징(300)에 대한 결합 각도 조절 및 하우징(300)의 고정 결합부(310)의 결합 각도 조절을 통해 모두 달성할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하우징과 센서 바디에 대한 다양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휠 스피드 센서(20)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센서 바디(200)가 하우징(300) 내부에 삽입되는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회전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하우징(300) 내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므로, 여기서는 설명의 중복 방지를 위해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휠 스피드 센서(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300)에 삽입 결합부(320)가 형성되고, 센서 바디(200)에 돌출 결합부(230)가 형성되는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결합부(230)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삽입 결합부(320)는 돌출 결합부(230)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삽입 결합부(320)의 내주면에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결합부(2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 방지되도록 돌출 결합부(230)와 맞물림되는 결합 돌기(350)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휠 스피드 센서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달리 센서 바디(200)가 하우징(300)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스피드 센서는 고정 브래킷(100)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부(220)가 좌측, 하측 및 우측 방향을 향하도록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휠 스피드 센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바디(200)의 바디부(210)에 바디부(210)의 외주면을 감싸며 하우징(300)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원통형 필러 몰딩(250)이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바디부(210)에 장착된 홀 센서(202) 및 자석 등을 보호할 수 있고, 센서 바디(200)의 더욱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톤휠 100: 고정 브래킷
200: 센서 바디 201: 자석
202: 홀 센서 202a: 센서칩
202b: 연결 단자 210: 바디부
220: 커넥터부 230: 돌출 결합부
250: 필러 몰딩 300: 하우징
310: 고정 결합부 320: 삽입 결합부
330: 나사산 400: 커넥터 바디

Claims (12)

  1. 차량 휠과 일체로 회전하는 톤휠을 통해 차량 휠의 회전 스피드를 감지하도록 별도의 고정 브래킷에 장착 결합되는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에 있어서, 상기 톤휠에 의한 자기장 변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단부에 자석 및 홀 센서가 장착되고, 후단부에는 별도의 커넥터 바디가 삽입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센서 바디; 및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센서 바디의 전단부가 삽입 수용되며,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바디와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센서 바디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회전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센서 바디는, 전단부에 상기 자석 및 홀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커넥터 바디가 삽입 체결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후단에 상기 바디부와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후단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바디부의 전단에 배치되는 센서칩과, 상기 센서칩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연결 단자가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밀착 접촉되도록 상기 연결 단자를 가압하는 가압 블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센서 바디의 돌출 결합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삽입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결합부 및 삽입 결합부는 상기 센서 바디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한 횡단면의 형상이 서로 대응되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결합부 및 삽입 결합부에는 각각 용착산 및 용착홈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센서 바디 및 하우징은 초음파 용착기를 통해 상기 용착산을 용융시키는 초음파 용착 방식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삽입 결합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고정 결합부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을 관통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전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별도의 너트가 상기 나사산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삽입 결합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고정 결합부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삽입 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센서 바디의 돌출 결합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삽입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결합부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 결합부는 상기 돌출 결합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출 결합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 방지되도록 상기 돌출 결합부와 맞물림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바디의 바디부에는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원통형 필러 몰딩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 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삽입 결합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고정 결합부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KR1020110135688A 2011-12-15 2011-12-15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KR101363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688A KR101363217B1 (ko) 2011-12-15 2011-12-15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688A KR101363217B1 (ko) 2011-12-15 2011-12-15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141A KR20130068141A (ko) 2013-06-25
KR101363217B1 true KR101363217B1 (ko) 2014-02-14

Family

ID=4886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688A KR101363217B1 (ko) 2011-12-15 2011-12-15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2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661A1 (ko) * 2018-10-05 2020-04-09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차량용 센싱 장치, 휠 베어링 조립체 및 차량용 센싱 장치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5176B2 (en) * 2019-09-25 2022-11-01 Deere & Company Wheel speed sens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504U (ko) * 1996-12-20 1998-09-15 오상수 차량용 휠속도 감지센서
KR20010037021A (ko) * 1999-10-13 2001-05-07 권태웅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8588A (ko) * 2008-07-16 2010-0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휠스피드센서 조립체
KR20100062613A (ko) * 2008-12-02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휠 스피드 센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504U (ko) * 1996-12-20 1998-09-15 오상수 차량용 휠속도 감지센서
KR20010037021A (ko) * 1999-10-13 2001-05-07 권태웅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8588A (ko) * 2008-07-16 2010-0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휠스피드센서 조립체
KR20100062613A (ko) * 2008-12-02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휠 스피드 센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661A1 (ko) * 2018-10-05 2020-04-09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차량용 센싱 장치, 휠 베어링 조립체 및 차량용 센싱 장치의 제조방법
KR20200039395A (ko) * 2018-10-05 2020-04-16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차량용 센싱 장치, 휠 베어링 조립체 및 차량용 센싱 장치의 제조방법
US20210221172A1 (en) * 2018-10-05 2021-07-22 Iljin Global Co.,Ltd Sensing device for vehicle, wheel bearing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nsing device for vehicle
KR102490076B1 (ko) * 2018-10-05 2023-01-19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차량용 센싱 장치, 휠 베어링 조립체 및 차량용 센싱 장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141A (ko)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68008A1 (ja) ケーブルハーネス
JP6239760B2 (ja) 中間射出成形部品を保持することによるセンサ製造
JP6287420B2 (ja) 回転検出センサおよびその樹脂成形型
JP5655826B2 (ja) 回転検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184094A5 (ko)
KR101363217B1 (ko)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CN109073670A (zh) 车轮转速传感器及用于组装车轮转速传感器的紧固系统
US9523592B2 (en) Rotation detector
US7683609B2 (en) Method of producing a rotation detection sensor
JP2020112406A (ja) 回転速センサ
US20160146631A1 (en) Rotation angle detecting device
KR101290771B1 (ko) 센서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JP4856711B2 (ja) 歩行者保護システムのためのセンサ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
US11148749B2 (en) Supporting system for a phonic wheel sensor
KR20160100305A (ko) 사출 성형된 탄성 캡슐부를 갖는 기계적으로 과결정된 방식으로 설치된 회전 속력 센서
JP5589793B2 (ja) 荷重センサ、センサ付きハブユニット及び車両
KR101770195B1 (ko) 휠 속도 센서
JP2009186392A (ja) 転がり軸受ユニットの状態量測定装置
JP7420017B2 (ja) 回転検出装置
US11231435B2 (en) Bracket for wheel speed sensor, and wheel speed sensor
KR101882247B1 (ko) 차량자세제어장치의 모터조립체
KR101392390B1 (ko) 차량용 휠 스피드 센서
JP7275660B2 (ja) 自動車用ブレーキ制御システム
KR100643319B1 (ko) 차량용 센서 고정장치
US10134516B2 (en) Sensor 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