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305A - 사출 성형된 탄성 캡슐부를 갖는 기계적으로 과결정된 방식으로 설치된 회전 속력 센서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된 탄성 캡슐부를 갖는 기계적으로 과결정된 방식으로 설치된 회전 속력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305A
KR20160100305A KR1020167016030A KR20167016030A KR20160100305A KR 20160100305 A KR20160100305 A KR 20160100305A KR 1020167016030 A KR1020167016030 A KR 1020167016030A KR 20167016030 A KR20167016030 A KR 20167016030A KR 20160100305 A KR20160100305 A KR 20160100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housing
data line
rotational speed
p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맨프레드 골
울리히 슈래더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filed Critical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ublication of KR2016010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3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47Hubs characterised by functional integration of oth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8Arrangement of bea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6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amplitude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65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amplitude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by using dynamo-electro tachometers or electric genera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측정되는 변수(12)에 종속하는 센서 신호(62)를 출력하는 센서(10)로서, - 연결점(66)에서 데이터 라인(5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측정 픽업 하우징(64)에 수용되고, 측정되는 상기 변수(12)에 종속하는 상기 센서 신호(62)를 상기 데이터 라인(56)에 공급하여, 상기 센서 신호(62)를 상기 데이터 라인(56)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측정 픽업(54), - 적어도 상기 연결점(66)에서 상기 측정 픽업 하우징(64)과 상기 데이터 라인(56)을 수용하고 유연한 물질로 제조된 설치 하우징(68), 및 - 상기 설치 하우징(68)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설치 하우징(68)을 센서 홀더(26)에 고정하는 고정 요소(72)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픽업 하우징(64)과 상기 고정 요소(72)는 서로 반대쪽에 놓여 있는 상기 설치 하우징(68)의 2개의 측면들에 배열된, 상기 센서(10)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사출 성형된 탄성 캡슐부를 갖는 기계적으로 과결정된 방식으로 설치된 회전 속력 센서{ROTATIONAL SPEED SENSOR WHICH IS INSTALLED IN A MECHANICALLY OVERDETERMINED MANNER WITH AN ELASTIC INJECTION-MOULDED ENCAPSULATION}
본 발명은 측정되는 변수에 종속되는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및 이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WO 2010/037 810 A1은 측정되는 변수에 종속되는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개시한다. 이 센서는, 연결점에서 데이터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측정되는 변수에 종속되는 센서 신호를 데이터 라인에 공급하여, 센서 신호를 데이터 라인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설계된 측정 픽업을 포함한다. 나아가, 적어도 연결점에서 측정 픽업과 데이터 라인을 수용하는 설치 하우징이 "전사 몰딩"으로 알려진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의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려진 센서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개선은 종속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측정되는 변수에 종속되는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는, 연결점에서 데이터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측정 픽업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측정되는 변수에 종속하는 센서 신호를 상기 데이터 라인에 공급하여, 상기 센서 신호를 상기 데이터 라인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계된 측정 픽업(measurement pickup), 적어도 연결점에서 상기 측정 픽업 하우징과 상기 데이터 라인을 수용하고 유연한 물질(flexible material)로 제조된 설치 하우징, 및 상기 설치 하우징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설치 하우징을 센서 수용부에 고정하는 고정 요소(fastening 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픽업 하우징과 상기 고정 요소는 상기 설치 하우징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배열된다.
이 경우에, 상기 유연한 물질은 특정 탄성 계수(modulus of elasticity)를 갖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물질의 유연성은 또한 압축 설정에 의해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이것은 특정 시간 기간에 걸쳐 그리고 미리 지정된 온도에서 특정 부하에서 변형된 후 남아 있는 물질의 잔류 변형이다. 사용되는 테스트 방법은, 예를 들어, ASTM D395일 수 있다.
상기 제시된 센서는, 상기 센서가, 휠 회전 속력 센서로서, 상기 고정 요소와 상기 설치 하우징에 의해 차량의 액슬 몸체에 고정되어 상기 액슬 몸체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 휠의 휠 회전 속력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것에 기초한다. 이 경우에, 상기 설치 하우징에 사용되는 물질은,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와 같은 강성의 물질이어서, 상기 측정 픽업 하우징과 그리하여 상기 측정 픽업이 기계적인 부하를 받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하여 상기 기계적인 부하에 의해 측정되는 변수에 부정확하게 종속된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시된 센서는, 상기 센서가 액슬 몸체 내 휠 베어링에 대해 미리 결정된 설치 공차를 갖고 이 강성의 설치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측정 픽업 하우징이 상기 휠 베어링과 오버랩되지 않아서 기계적인 응력이 상기 설치 하우징에 인가되고 이에 기계적인 응력이 상기 측정 픽업에 작용한다는 것에 기초한다. 이런 종류의 기계적인 응력은, 예를 들어, 다른 부품의 온도 변동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의 수명에 걸쳐 최대 2백만 번에 이를 수 있는 부하의 변화를 설치 하우징이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측정 픽업과 송신기 요소 사이의 공기 갭이 설치 공차로 인해 증가되지만, 이것은 상기 센서 신호의 공차 범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측정 픽업의 판독 범위를 제한한다.
여기서, 상기 제시된 센서는 상기 측정 픽업 하우징 그 자체가 일반적으로 강성의 물질로 제조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이 강성의 물질은 상기 전술한 기계적인 부하로부터 측정 픽업을 보호한다. 그리하여, 상기 설치 하우징은 예를 들어 차량에서 상기 제시된 센서의 설치된 상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기계적인 부하를 흡수하여, 상기 기계적인 부하가 상기 측정 픽업 하우징에 그리고 그리하여 상기 측정 픽업에 미치지 않게 하는 유연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센서는 설치 공차 없이 설치될 수 있는 것에 의해, 전술한 공기 갭이 감소될 수 있어서 상기 측정 픽업의 판독 범위가 증가될 수 있고 상기 센서 신호의 공차 범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제시된 센서의 일 개선에서, 상기 유연한 물질은 저비용으로 획득되고 대량으로 처리될 수 있는 엘라스토머이다.
상기 제시된 센서의 특정 개선에서, 상기 엘라스토머는 적어도 80의 쇼어 A 경도를 구비하고, 그리하여, 전술한 탄성율에 더하여, 다른 기계적인 부하에 대하여 충분한 크기의 저항을 제공하기에 적절하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엘라스토머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특정 온도로부터 시작하여 유연하게 처리되어 설치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일 수 있다.
상기 제시된 센서의 다른 개선에서, 상기 설치 하우징은 봉(rod) 형상으로 상기 데이터 라인 주위로 데이터 라인의 방향으로 측정 픽업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센서가,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의 전술한 액슬 몸체에 고정되면, 상기 센서는 상기 차량의 액슬 몸체의 외부측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설치 하우징의 봉-형상 설계로 인해, 개구를 통해 액슬 몸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시된 센서의 추가적인 개선에서, 적어도 하나의 벤딩 그루브(bending groove)가 상기 설치 하우징에 형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벤딩 그루브는 상기 설치 하우징이 바람직한 벤딩 방향을 구비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바람직한 벤딩 방향은, 상기 설치 하우징이 상기 고정 요소와 상기 측정 픽업 하우징에 위치된 제시된 센서의 2개의 장착점들 사이의 기계적인 부하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한정되어야 한다. 이런 방식으로, 설치 하우징이 상기 측정 픽업 하우징에 대하여 바람직한 기계적인 부하를 흡수하는 것이 더 증가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측정 픽업 하우징과 그리하여 상기 측정 픽업에 기계적인 부하가 더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에, 2개 이상의 벤딩 그루브가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치 하우징에 형성된다.
상기 제시된 센서의 바람직한 개선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 주위로 축방향으로 대칭 방식으로 놓이고 상기 센서 수용부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크러싱 리브(crushing rib)가 상기 설치 하우징에 형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센서 수용부에 탄성 물질이 상기 센서 수용부를 핀치(pinching)하는 것에 의해 보강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센서는, 상기 핀치되고 보강된 설치 하우징에 의해 상기 센서 수용부에 안정적인 방식으로 유지된다.
상기 제시된 센서의 특히 바람직한 개선에서, 상기 크러싱 리브가 상기 벤딩 그루브와 상기 고정 요소 사이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술한 기계적인 부하가 또한 상기 벤딩 그루브에 작용하고 상기 측정 픽업 하우징에 그리고 상기 측정 픽업에 미치지 않게 하는 것이 보장된다.
전술한 기계적인 부하가 상기 측정 픽업 하우징에 그리고 그리하여 상기 측정 픽업에 미치지 않게 부하를 편향시키는 공정을 더 개선시키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은 상기 제시된 센서의 적어도 연결점의 구역에서 유연할 수 있다.
상기 제시된 센서의 특히 바람직한 개선에서, 전술한 방식으로 강성이도록 유리하게 설계된 측정 픽업 하우징은, 합성 수지, 특히 에폭시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에 따라, 차량은 섀시에 고정된 액슬 몸체, 휠 베어링에 의해 상기 액슬 몸체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된 휠, 및 상기 제시된 센서들 중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의 고정 요소와 측정 픽업 하우징은 상기 액슬 몸체 또는 상기 휠 베어링의 요소에 대응하여 고정되고, 상기 요소는 상기 액슬 몸체에 대해 제 위치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성, 특징 및 장점과 본 발명이 구현되는 방식은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구동 동적 제어부(driving dynamics control)를 구비하는 차량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차량에서 휠 현가 장치를 통한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휠 현가 장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 속력 센서를 통한 개략 단면도;
도 4는 대안적인 회전 속력 센서의 개략도; 및
도 5는 추가적인 대안적인 회전 속력 센서의 개략도.
본 도면에서 동일한 기술적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제공되고 단 한번만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그 자체로 알려진 구동 동적 제어부를 구비하는 차량(2)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 구동 동적 제어부의 상세는, 예를 들어, DE 10 2011 080 789 A1에서 찾아볼 수 있다.
차량(2)은 섀시(4)와, 휠 현가 장치(5)에 의해 이 섀시(4)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각각 유지되는 4개의 휠(6)을 포함한다. 각 휠(6)은 고정된 위치에서 섀시(4)에 고정된 브레이크(8)에 의해 섀시(4)에 대해 감속되어, 더 도시되지 않은 도로에 있는 차량(2)의 움직임이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알려진 방식으로, 차량(2)의 휠(6)은 도로에서 그립(grip)을 상실할 수 있고, 차량(2)은, 예를 들어, 언더조향 또는 오버조향의 결과 임의의 더 도시되지 않은 조향 휠에 의해 미리 지정된 궤도로부터 심지어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그 자체로 알려진 ABS(anti-lock braking system)와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와 같은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회피된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2)은 이를 위해 휠(6)에 회전 속력 센서(10)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속력 센서는 휠(6)의 회전 속력(12)을 검출한다. 차량(2)은 차량(2)에 관한 구동 동적 데이터(16)를 검출하는 관성 센서(14)를 더 구비하고, 이 데이터로부터, 예를 들어, 피치 율(pitch rate), 롤 율(roll rate), 요우 율(yaw rate), 측방향 가속, 길이방향 가속 및/또는 수직 가속이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검출된 회전 속력(12)과 구동 동적 데이터(16)에 기초하여, 제어기(18)는,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알려진 방식으로, 차량(2)이 도로에서 미끄러지는지(sliding) 또는 심지어 전술한 미리 지정된 궤도로부터 벗어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 자체로 알려진 제어기 출력 신호(20)로 이에 반응할 수 있다. 제어기 출력 신호(20)는 이후 작동 디바이스(22)에 의해 사용되어, 이에 의해 작동 신호(24)에 의해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미리 지정된 궤도로부터 벗어나는지 여부와 미끄러지는지 여부에 반응하여 브레이크(8)와 같은 제어 작동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8)는, 예를 들어, 그 자체로 알려진 차량(2)의 엔진 제어기에 통합될 수 있다. 제어기(18)와 작동 디바이스(22)는 공통 제어 디바이스의 형태일 수도 있고, 전술한 엔진 제어기에 선택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휠 회전 속력 센서(10)를 사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되도록 의도되지만, 본 발명은 임의의 원하는 전자 장치에 구현되고, 특히, 자기장 센서, 가속 센서, 회전율 센서, 구조에 기인한 음향 센서 또는 온도 센서와 같은 임의의 원하는 센서에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의 차량(2)에 있는 휠 현가 장치(5)들 중 하나를 통한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휠 현가 장치(5)는, 휠(6)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가능하게는 조향 장치에 의해 편향될 수 있도록 섀시(4)에 고정된 액슬 몸체(26)를 구비한다. 수용 개구(28)는 액슬 몸체(26)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휠 현가 장치(5)에 대응하여 배열된 회전 속력 센서(10)는 상기 수용 개구를 통해 라우팅(routed)된다. 상기 회전 속력 센서(10)는 나중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회전 속력 센서(10)는 나사(30)에 의해 액슬 몸체(26)에 고정된다.
액슬 몸체(26)는 회전 축(32) 주위에 동심으로 이어지는 내부 보어(bore)(34)를 구비하고, 이 내부 보어에는 휠 베어링(36)이 유지된다. 휠 베어링(36)은 본 실시예에서 2세대 휠 베어링으로 설계된다. 이런 종류의 휠 베어링은, 예를 들어, DE 195 37 808 A1에 기술적으로 관련된 방식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 휠 베어링의 기능은 이하 본문에서 더 설명되지 않는다.
휠 베어링(36)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액슬 몸체(26)의 내부 보어(34)에 유지되는 외부 링(38)을 포함하고, 또 롤러 요소(42)에 의해 내부 링에 대해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유지되는 내부 링(40)을 포함한다. 휠 플랜지(44)는 내부 링(40)에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휠(6)은 나사(30)에 의해 고정된 방식으로 상기 휠 플랜지에 유지될 수 있다.
휠 플랜지(44)와 축방향으로 반대쪽에 위치된 휠 베어링(36) 측면에는, 액슬 몸체(26)의 내부 보어(34)가 캡(48)에 의해 커버되어, 센서(10)가 삽입되는 공간(50)이 형성된다. 이 공정에서, 회전 속력 센서(10)는, 회전 속력 센서(10)에서 평가될 수 있는 송신기 자기장을 여기(excite)시키는, 도 3에 도시된 인코더(52)를 일반적으로 구비하는 내부 링(40)에 매우 가까이에서 축방향으로 라우팅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인코더(52)는 회전 속력 센서(10)에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도 2의 휠 현가 장치(5)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 속력 센서(10)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회전 속력 센서(10)는, 본 실시예에서, 핀(58)과, 이 핀(58)에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60)로 설계된, 측정 픽업(54)과 데이터 라인(56)을 구비한다. 데이터 케이블(60)은 제어기(18)에 연결될 수 있는 한편, 핀(58)은 측정 픽업(54)에서 종료되는 것에 의해, 회전 속력(12)을 운반하는 회전 속력 신호(62)가, 측정 픽업(54)으로부터, 핀(58)과 데이터 케이블(60)을 통해, 제어기(18)로 전달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속력(12)이 처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측정 픽업(54)은,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강성의 측정 픽업 하우징(64)에 수용된다. 핀(58)은 이 측정 픽업 하우징(64) 중에서 라우팅된다. 핀(58), 데이터 케이블(60), 및 측정 픽업 하우징(64)은 데이터 케이블(60)이 핀(5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적 연결점(66)에서 설치 하우징(68)에 의해 둘러싸인다. 설치 하우징은, 예를 들어, 데이터 케이블(60)과 측정 픽업 하우징(64) 주위에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열가소성 물질은 적어도 80의 쇼어 A 경도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 설치 하우징(68)은 고정 요소(72)를 라우팅하는 지지판(70)을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고정 요소를 통해 나사(30)를 라우팅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동시에, 지지판(70)은 공간(50)으로부터 보았을 때 액슬 몸체(28)의 외부 측면에 지지되는 것에 의해, 나사(30)가 나사 결합된 후 회전 속력 센서(10)가 액슬 몸체(28)에 고정 유지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56)을 라우팅하는 봉-형상 돌출부(74)는, 연결판(70)으로부터, 수용 개구(28)를 통해, 데이터 라인(56)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봉-형상 돌출부(74)는 또한 측정 픽업 하우징(64)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이 경우에, 봉-형상 돌출부(74)는 수용 개구(28)의 반대쪽에 위치된 측에 있는 연결판(70)으로부터 더 연장될 수 있다.
벤딩 그루브(76)가 수용 개구(28) 측에 있는 봉-형상 돌출부(74)에 형성되고, 상기 벤딩 그루브는 이 지점에서 봉-형상 돌출부(74)를 약화시켜서, 이 봉-형상 돌출부가 이 지점에서 보다 용이하게 굴곡될 수 있게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 속력 센서(10)는 차량(2)에서 2개의 기계적인 고정점을 구비한다. 먼저, 회전 속력 센서(10)는 연결판(70)에 의해 액슬 몸체(26)에 고정된다. 나아가, 회전 속력 센서(10)는 측정 픽업 하우징(64)에 의해 휠 베어링(36)의 외부 링(38)에 견고히 지지된다. 휠 베어링(36)의 외부 링(38)이, 예를 들어, 열에 의해 볼륨 변동하는 것으로 인해 이동하면, 회전 속력 센서(10)는 열에 의해 볼륨 변동하는 것으로 인해 봉-형상 돌출부(74)의 벤딩 그루브(76)에서 기본적으로 변형된다. 측정 픽업(54)은 강성의 측정 픽업 하우징(64)으로 인해 주로 기계적인 응력 없게 유지된다.
봉-형상 돌출부(74)의 수용 개구(28)에 회전 속력 센서(10)를 견고히 유지하기 위하여, 연결판(70)에 부착되는 구역에 봉-형상 돌출부(74)에 칼라(collar)(77)가 형성되고, 상기 칼라는 봉-형상 돌출부(74)의 주변에 놓인 복수의 크러싱 리브(78)와 축방향으로 인접한다. 봉-형상 돌출부(74)가 수용 개구(28)에 삽입될 때, 회전 속력 센서(10)는 칼라(77)에 의해 초기에 방사방향으로 센터링된다. 봉-형상 돌출부(74)가 수용 개구(28)에 더 삽입되면, 크러싱 리브(78)는 핀치에 의해 변형되는 것에 의해, 회전 속력 센서(10)가 수용 개구(28) 내 액슬 몸체(26)에 또한 견고히 지지된다. 나아가, 크러싱 리브(78)는, 예를 들어, 액슬 몸체(26)가 열에 의해 볼륨 변동하는 것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액슬 몸체(26)로부터의 기계적인 응력을 흡수하여, 회전 속력 센서(10)의 전체 탄성 효과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크러싱 리브(78)가 봉-형상 돌출부(74)에서 축방향으로 라우팅되고, 상기 봉-형상 돌출부의 주변에 놓일 수 있는 반면, 벤딩 그루브(76)가, 예를 들어, 내부 링(38) 쪽을 향하는 방향(80)으로 그리고 봉-형상 돌출부(74)에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제일 먼저 봉-형상 돌출부(74)의 안정성이 높은 것을 보장함과 동시에 봉-형상 돌출부(74)에 높은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 속력 센서(10)의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상기 회전 속력 센서는, 차량(2) 내 요소들이 열에 의해 볼륨 변동하는 일 없이 그리고 측정 픽업(54)에 기계적인 부하를 야기하여 회전 속력 신호(62)에서 측정된 회전 속력(12)을 부정확하게 하는, 회전 속력 센서(10)에 대한 부하 변동을 야기함이 없이, 차량(2)의 여러 점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차량(2)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3의 회전 속력 센서(10)에 대한 대안적인 회전 속력 센서(1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의 회전 속력 센서는 4개의 벤딩 그루브(76) 대신에 6개의 벤딩 그루브(76)를 구비한다. 봉-형상 돌출부의 유연성은 이런 방식으로 더 증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추가적인 대안적인 회전 속력 센서(1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의 회전 속력 센서(10)는 실질적으로 도 4의 회전 속력 센서(10)에 대응하지만, 여기서는 케이블 대신에 플러그 수용부(80)에 의해 핀(58)과 전기 접촉이 이루어지고, 더 도시되지 않은 플러그가 상기 플러그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는 이후 제어기(18)로 이어지는 대응하는 데이터 케이블에 연결될 수 있다.

Claims (10)

  1. 측정되는 변수(12)에 종속하는 센서 신호(62)를 출력하는 센서(10)로서,
    - 연결점(66)에서 데이터 라인(5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측정 픽업 하우징(64)에 수용되고, 측정되는 상기 변수(12)에 종속하는 상기 센서 신호(62)를 상기 데이터 라인(56)에 공급하여, 상기 센서 신호(62)를 상기 데이터 라인(56)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설계된 측정 픽업(54),
    - 적어도 상기 연결점(66)에서 상기 측정 픽업 하우징(64)과 상기 데이터 라인(56)을 수용하고 유연한 물질로 제조되는 설치 하우징(68), 및
    - 상기 설치 하우징(68)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설치 하우징(68)을 센서 수용부(26)에 고정하는 고정 요소(72)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픽업 하우징(64)과 상기 고정 요소(72)는 상기 설치 하우징(68)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배열되는, 센서(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물질은 엘라스토머인, 센서(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는 적어도 80의 쇼어 A 경도를 구비하는, 센서(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하우징(68)은 상기 측정 픽업 하우징(64)으로부터 봉(rod) 형상으로 상기 데이터 라인(56) 주위에 상기 데이터 라인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센서(10).
  5.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벤딩 그루브(bending groove)(76)가 상기 설치 하우징(68)에 형성되는, 센서(10).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라인(56) 주위에 축방향으로 대칭 방식으로 놓이고 상기 센서 수용부(28)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크러싱 리브(crushing rib)(78)가 상기 설치 하우징(68)에 형성되는, 센서(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러싱 리브(78)는 상기 벤딩 그루브(76)와 상기 고정 요소(72) 사이에 형성된, 센서(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라인(56)은 적어도 상기 연결점(66)의 구역에서 유연한, 센서(1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픽업 하우징(64)은 합성 수지, 특히 에폭시 수지로 형성된, 센서(10).
  10. 차량(2)으로서, 섀시(4)에 고정된 액슬 몸체(26), 휠 베어링(36)에 의해 상기 액슬 몸체(26)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된 휠(6), 및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센서(10)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의 고정 요소(72)와 측정 픽업 하우징(64)은 상기 액슬 몸체(26) 또는 상기 휠 베어링(36)의 요소(38)에 대응하여 고정되고, 상기 요소는 상기 액슬 몸체(26)에 대해 제 위치에 고정된, 차량(2).
KR1020167016030A 2013-12-16 2014-10-08 사출 성형된 탄성 캡슐부를 갖는 기계적으로 과결정된 방식으로 설치된 회전 속력 센서 KR201601003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26045.8 2013-12-16
DE102013226045.8A DE102013226045A1 (de) 2013-12-16 2013-12-16 Mechanisch überbestimmt verbauter Drehzahlsensor mit elastischer Umspritzung
PCT/EP2014/071587 WO2015090664A1 (de) 2013-12-16 2014-10-08 Mechanisch überbestimmt verbauter drehzahlsensor mit elastischer umspritz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305A true KR20160100305A (ko) 2016-08-23

Family

ID=5169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030A KR20160100305A (ko) 2013-12-16 2014-10-08 사출 성형된 탄성 캡슐부를 갖는 기계적으로 과결정된 방식으로 설치된 회전 속력 센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60770B2 (ko)
EP (1) EP3084354B1 (ko)
KR (1) KR20160100305A (ko)
CN (1) CN106030252B (ko)
DE (1) DE102013226045A1 (ko)
WO (1) WO20150906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566A1 (ko) * 2021-06-30 2023-01-05 주식회사 만도 휠 스피드 센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28067B2 (ja) * 2018-05-31 2022-03-02 日立金属株式会社 磁気検出センサ、回転検出センサ及びセンサ付きケーブル
CN113884119A (zh) * 2021-11-01 2022-01-04 五度智能科技(徐州)有限公司 一种智能仪器仪表自适应可观察防护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37351A (en) * 1983-03-18 1984-10-03 Muriel Millicent Alexander Proximity detector
DE3642770C2 (de) 1986-12-15 1997-01-09 Teves Gmbh Alfred Induktivgeber
DE4405438C2 (de) 1994-02-21 2002-02-07 Mannesmann Vdo Ag Drehzahlgeber
DE4436523B4 (de) * 1994-10-13 2007-04-26 Siemen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nischen Gerätes und Drehzahlsensor mit einer elektronischen Schaltung
DE19515622C2 (de) * 1995-04-28 2000-06-08 Telefunken Microelectron Steuermodul von Kraftfahrzeugen
DE19537808C2 (de) 1995-10-11 2002-04-25 Fag Automobiltechnik Ag Radlagerung
JP3433051B2 (ja) * 1997-06-26 2003-08-04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回転検出装置
JP3714204B2 (ja) * 2001-06-29 2005-11-09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検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R2837926B1 (fr) * 2002-03-27 2004-05-28 Siemens Vdo Automotive Procede de fabrication d'un capteur de vitesse d'une roue et capteur correspondant
AU2003287202A1 (en) * 2002-11-26 2004-06-18 Parker-Hannifin Corporation Tubular polymeric composites for tubing and hose constructions
JP2004198240A (ja) 2002-12-18 2004-07-15 Denso Corp センサ装置
EP1443331A3 (en) 2003-02-03 2005-10-12 Denso Corporation Sensor device and ceramic package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s
DE102004011100A1 (de) * 2004-03-06 2005-09-22 Robert Bosch Gmbh Bewegungssens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wegungssensors
DE102005027767A1 (de) 2005-06-15 2006-12-28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iertes magnetisches Sensorbauteil
DE102007050988A1 (de) * 2007-10-25 2009-04-30 Robert Bosch Gmbh Sensor, insbesondere zur Drehzahlerfass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DE202008004908U1 (de) * 2008-04-09 2008-09-04 Pepperl + Fuchs Gmbh Sensor
DE102008064047A1 (de) 2008-10-02 2010-04-0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ensorelement und Trägerelement zur Herstellung eines Sensors
DE102008064046A1 (de) 2008-10-02 2010-04-0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chwindigkeits-Sensorelementes
KR200456132Y1 (ko) * 2009-01-13 2011-10-13 (주) 래트론 필름층 및 수지층으로 보호되는 센서 소자
DE102009000428A1 (de) * 2009-01-27 2010-07-2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ensors
DE102009028963A1 (de) * 2009-08-28 2011-03-03 Robert Bosch Gmbh Anschlussanordnung für eine Sensoranordnung und Sensoranordnung
WO2012020069A1 (de) 2010-08-10 2012-02-1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und system zur regelung der fahrstabilität
DE102010063614B4 (de) * 2010-12-21 2024-05-08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ensorbaugruppe
DE102011002741A1 (de) * 2011-01-17 2012-07-19 Zf Friedrichshafen Ag Sensormodu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ensormoduls
DE102011003239B4 (de) * 2011-01-27 2023-06-07 Zf Friedrichshafen Ag Sensormodul, Montageelemen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ensormoduls
JP5765974B2 (ja) * 2011-03-04 2015-08-19 株式会社ミツバ スタータ
DE102012206959A1 (de) * 2011-06-03 2012-12-06 Denso Corporation Magneterfassungsvorrichtung
DE102011081016A1 (de) * 2011-08-16 2013-02-21 Robert Bosch Gmbh Sensormodu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ensormoduls
DE102011081012A1 (de) * 2011-08-16 2013-03-07 Endress + Hauser Gmbh + Co. Kg System zur Bestimmung und/oder Überwachung mindestens einer Prozessgröße
JP5655826B2 (ja) * 2012-08-24 2015-01-21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検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2216563A1 (de) * 2012-09-17 2014-03-20 Robert Bosch Gmbh Senso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ensorvorrichtung zur Unterbringung in einer galvanischen Zelle
CN103175598B (zh) * 2013-03-18 2015-09-09 梅特勒-托利多(常州)精密仪器有限公司 柱式弹性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566A1 (ko) * 2021-06-30 2023-01-05 주식회사 만도 휠 스피드 센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226045A1 (de) 2015-06-18
EP3084354B1 (de) 2018-07-25
CN106030252A (zh) 2016-10-12
US10060770B2 (en) 2018-08-28
CN106030252B (zh) 2019-02-19
EP3084354A1 (de) 2016-10-26
US20160282154A1 (en) 2016-09-29
WO2015090664A1 (de)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28213B (zh) 踏板装置及其制备方法
KR100900365B1 (ko) 선회 각도 센서를 가진 볼 조인트
US7523656B1 (en) Tire sensor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JP2018087816A (ja) 自動車シャシーセンサ
US10953578B2 (en) Sensor production by holding the intermediate injection-molded part
US8626413B2 (en) Tire module and method for sensing wheel state variables and/or tire state variables
US10059319B2 (en) Actuating unit for a hydraulic brake system
CN101965271A (zh) 卡扣式气门嘴上的壳体紧固件
US8176799B2 (en) State measuring apparatus for rolling bearing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1688880B (zh) 旋转检测传感器
US20160146847A1 (en) Vehicle wheel speed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20160100305A (ko) 사출 성형된 탄성 캡슐부를 갖는 기계적으로 과결정된 방식으로 설치된 회전 속력 센서
JP2004177411A (ja) 変形状態における力を測定するために装着された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US20210221172A1 (en) Sensing device for vehicle, wheel bearing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nsing device for vehicle
US7207423B2 (en) Acceleration sensor for motor vehicles
KR20200067579A (ko) 센서 디바이스
JP5458497B2 (ja) 転がり軸受ユニットの状態量測定装置
KR20210009735A (ko) 복수의 센싱부를 갖는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CN101646947B (zh) 旋转检测传感器
CN113939437B (zh) 用于商用车的车轮转数传感器
CN113924232B (zh) 用于商用车的车轮转数传感器
KR101770195B1 (ko) 휠 속도 센서
JP2012108025A (ja) 荷重センサ
KR100940737B1 (ko) 자동차용 휠 스피드 센서
KR101220290B1 (ko) 차량용 휠 속도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