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369B1 -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369B1
KR102187369B1 KR1020200103363A KR20200103363A KR102187369B1 KR 102187369 B1 KR102187369 B1 KR 102187369B1 KR 1020200103363 A KR1020200103363 A KR 1020200103363A KR 20200103363 A KR20200103363 A KR 20200103363A KR 102187369 B1 KR102187369 B1 KR 102187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bar
bending frame
branch line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식
Original Assignee
최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식 filed Critical 최경식
Priority to KR1020200103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3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 H04B10/038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using byp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에 구축되어 운영 중인 네트워크 중간에 설치되어 신규 장비가 추가되는 동안에도 통신 선로의 절체 또는 장애가 장시간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설 광케이블의 중간 외피를 탈피하고, 복수의 루즈튜브들 중에서 중간분기로 사용할 루즈튜브만 반으로 절단하는 절단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PASSIVE BYPASS MODULE INSTALLING METHOD}
본 발명은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구축되어 운영 중인 네트워크 중간에 설치되어 신규 장비가 추가되는 동안에도 통신 선로의 절체 또는 장애가 장시간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케이블은 유한한 길이로 제공되기 때문에 전화국과 가입자 빌딩이나 일반 광 가입자 사이의 광 전송선로는 광접속함을 필요로 하며, 광 접속함을 매개로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현장에서 상호 접속된다. 그리고, 광 가입자측의 광 전송 선로에서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광 가입자의 전송 장치와 상호 연결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로부터 광섬유가 광 가입자에게 분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광가입자 빌딩의 건물 내외벽이나 전주나 철주 등에 설치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를 필요로 한다.
광케이블 접속 함체는, 외부 광 선로와 가입자 전송 장치간의 연결 및 분배기능을 수행하는 가입자 종단장치의 하나로서, 인입된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단심의 광 섬유 코드(또는 광 점퍼 코드)의 광섬유와 접속되어 근거리의 광 가입자 전송장치로 분배되며, 광 케이블 내의 나머지 광섬유들은 광 접속된 후 광케이블 형태로 다시 인출됨으로써 장거리 광 가입자 전송장치로 분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광케이블 접속 함체에서 먼거리에 있는 신설 광 가입자 전송장치로 광케이블을 분기하는 경우 신설 비용, 작업성 및 인허가 등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광케이블의 분기작업에 있어서 최적의 지점에서 광케이블을 분기하지 못하고 특정장소까지 불필요하게 인입용 광케이블을 연장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과, 분기 지점에서 외부로 노출된 광섬유(광심선)들의 안정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4037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5431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세하게는 기존에 구축되어 운영 중인 네트워크 중간에 설치되어 신규 장비가 추가되는 동안에도 통신 선로의 절체 또는 장애가 장시간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은, 기설 광케이블의 중간 외피를 탈피하고, 복수의 루즈튜브들 중에서 중간분기로 사용할 루즈튜브만 반으로 절단하는 절단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은, 반으로 절단된 상기 루즈튜브의 외피를 제거한 후, 상기 루즈튜브로부터 분기된 광심선들의 길이 연장을 위해 더미코어들을 접속하는 접속 단계; 익스팬드 보호튜브를 이용하여 상기 광심선들에 접속된 상기 더미코어들 및 더미코어들의 접속점을 보호하는 보호 단계; 반으로 절단된 상기 루즈튜브와 상기 더미코어들이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에 위치되도록 상기 기설 광케이블을 상기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에 장착하는 장착 단계; 및 상기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을 가공 지선(Ground Wire)에 거치시키는 거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은, 내부 공간을 형성되는 함체부와 상기 함체부를 상기 가공 지선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함체부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거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함체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측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공 지선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가 전단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절곡 프레임; 및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회전시키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상부를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가공 지선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레버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켜 주기 위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상부를 관통하고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고정 바아; 및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바아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고정 바아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가공 지선에 밀착되어 상기 가공 지선을 체결하는 밀착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부는, 사용자가 상기 고정 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가공 지선과 밀착되어 상기 가공 지선을 체결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밀착편이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밀착편이 하강함에 따라 전단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된 상기 가공 지선의 상측과 밀착되어 상기 가공 지선을 체결하며, 내측에 안착된 상기 가공 지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단이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상부 체결 바아;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하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체결 바아가 회동함에 따라 전단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된 상기 가공 지선의 하측과 밀착되어 상기 상부 체결 바아와 함께 상기 가공 지선을 체결하며, 내측에 안착된 상기 가공 지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단이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하부 체결 바아; 상부 바아와 하부 바아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체결 바아의 전단과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하부 전단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 힌지; 및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안착되며, 일단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상부 전단을 통해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부 체결 바아의 전단에 체결되며, 다른 일단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하부를 통해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부 바아와 상기 하부 바아의 연결 설치 부위에 체결되며, 상기 상부 체결 바아의 전단이 하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상부 바아와 상기 하부 바아가 직립 되어 상기 하부 체결 바아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바아와 상기 하부 바아의 연결 설치 부위를 잡아 당겨 주는 회동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체결 바아 및 상기 하부 체결 바아가 회동함에 따라 전진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된 상기 가공 지선과 밀착되어 상기 가공 지선을 체결하며, 전단에 안착된 상기 가공 지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전단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후단 체결 바아; "(" 형태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상부 체결 바아의 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후단 체결 바아의 후단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체결 바아가 회동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후단 체결 바아를 전진시켜 주는 상부 지지 프레임; 및 "(" 형태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하부 체결 바아의 후단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후단 체결 바아의 후단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하부 체결 바아가 회동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후단 체결 바아를 전진시켜 주는 하부 지지 프레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은, 내측 후단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바아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을 이용하여 현장의 FDF를 ByPass시켜 장시간 작업에도 장애를 발생시키지 않고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기존의 방법으로 작업시 한 개의 네트워크에 한 개의 장소만 작업이 가능하였던 단점을 극복하여 한 개의 네트워크에 N개의 장소에서 동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에서 사용되는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거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4의 하부 체결 바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하부 지지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은, 우선 기설 광케이블의 중간 외피를 탈피하고, 복수의 루즈튜브들 중에서 중간분기로 사용할 루즈튜브만 반으로 절단한다(S110).
반으로 절단된 루즈튜브의 외피를 제거한 후, 루즈튜브로부터 분기된 광심선들의 길이 연장을 위해 더미코어들을 접속한다(S120).
익스팬드 보호튜브를 이용하여 광심선들에 접속된 더미코어들 및 더미코어들의 접속점을 보호한다(S130).
반으로 절단된 루즈튜브와 더미코어들이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10)에 위치되도록 기설 광케이블을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10)에 장착한다(S140).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10)을 가공 지선(Ground Wire)(W)에 거치시킨다(S150).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은, 도 2 이하에서 후술하는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10)을 이용하여 현장의 FDF를 ByPass시켜 장시간 작업에도 장애를 발생시키지 않고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기존의 방법으로 작업시 한 개의 네트워크에 한 개의 장소만 작업이 가능하였던 단점을 극복하여 한 개의 네트워크에 N개의 장소에서 동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에서 사용되는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10)은, 현장의 FDF를 ByPass시켜주기 위한 구성으로서, 내부 공간을 형성되는 함체부(100)와 함체부(100)를 가공 지선(W)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함체부(10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거치부(200)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10)은, 현장의 FDF를 ByPass시켜 장시간 작업에도 장애를 발생시키지 않고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기존의 방법으로 작업시 한 개의 네트워크에 한 개의 장소만 작업이 가능하였던 단점을 극복하여 한 개의 네트워크에 N개의 장소에서 동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거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다른 거치부(200a)는, 안착 절곡 프레임(210) 및 고정 레버(22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안착 절곡 프레임(210)은, 함체부(100)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측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공 지선(W)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가 전단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 레버(220)는, 안착 절곡 프레임(21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회전시키면 안착 절곡 프레임(210)의 상부를 관통하고 삽입되어 안착 절곡 프레임(210)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가공 지선(W)을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레버(220)는, 손잡이(221), 고정 바아(222) 및 밀착편(223)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221)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되면서 하측에 설치되는 고정 바아(222)를 회전시켜 준다.
고정 바아(222)는, 손잡이(221)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안착 절곡 프레임(210)의 상부를 관통하고 안착 절곡 프레임(2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손잡이(221)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면서 안착 절곡 프레임(2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하강된다.
밀착편(223)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 바아(222)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고정 바아(222)가 하강함에 따라 안착 절곡 프레임(210)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가공 지선(W)에 밀착되어 가공 지선(W)을 체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20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00)는, 사용자가 고정 레버(220)를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되어 안착 절곡 프레임(210)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가공 지선(W)과 밀착되어 가공 지선(W)을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300)는, 상부 체결 바아(310), 하부 체결 바아(320), 지지 힌지(330) 및 회동 와이어(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체결 바아(310)는, 안착 절곡 프레임(210)의 내측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밀착편(223)이 상측에 안착되며, 밀착편(223)이 하강함에 따라 전단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안착 절곡 프레임(210)의 내측에 안착된 가공 지선(W)의 상측과 밀착되어 가공 지선(W)을 체결하며, 내측에 안착된 가공 지선(W)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단(331)이 하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하부 체결 바아(320)는, 안착 절곡 프레임(210)의 내측 하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 체결 바아(310)가 회동함에 따라 전단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안착 절곡 프레임(210)의 내측에 안착된 가공 지선(W)의 하측과 밀착되어 상부 체결 바아(310)와 함께 가공 지선(W)을 체결하며, 내측에 안착된 가공 지선(W)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단(321)이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지지 힌지(330)는, 상부 바아(331)와 하부 바아(332)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하부 체결 바아(320)의 전단과 안착 절곡 프레임(210)의 내측 하부 전단 사이를 지지한다.
회동 와이어(340)는, 안착 절곡 프레임(210)의 내측을 따라 안착되며, 일단(341)이 안착 절곡 프레임(210)의 내측 상부 전단을 통해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부 체결 바아(310)의 전단에 체결되며, 다른 일단(342)이 안착 절곡 프레임(210)의 내측 하부를 통해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부 바아(331)와 하부 바아(332)의 연결 설치 부위에 체결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체결 바아(310)의 전단이 하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이동되어 상부 바아(331)와 하부 바아(332)가 직립 되어 하부 체결 바아(3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부 바아(331)와 하부 바아(332)의 연결 설치 부위를 잡아 당겨 준다.
상술한 바아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체결부(300)는,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단 체결 바아(350), 상부 지지 프레임(360) 및 하부 지지 프레임(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단 체결 바아(350)는, 안착 절곡 프레임(210)의 내측 후단에 상부 지지 프레임(360) 및 하부 지지 프레임(370)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부 체결 바아(310) 및 하부 체결 바아(320)가 회동함에 따라 전진되어 안착 절곡 프레임(210)의 내측에 안착된 가공 지선(W)과 밀착되어 가공 지선(W)을 체결하며, 전단에 안착된 가공 지선(W)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351) 및 하부(352)가 각각 전단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부 지지 프레임(360)은, "(" 형태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부가 상부 체결 바아(310)의 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후단 체결 바아(350)의 후단 상부(35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 체결 바아(310)가 회동됨에 따라 이동되어 후단 체결 바아(350)를 전진시켜 준다.
하부 지지 프레임(370)은, "(" 형태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하부가 하부 체결 바아(320)의 후단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후단 체결 바아(350)의 후단 하부(354)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 체결 바아(320)가 회동됨에 따라 이동되어 후단 체결 바아(350)를 전진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 절곡 프레임(210)은, 내측 후단 상부 및 하부에 도 6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 프레임(360) 및 하부 지지 프레임(370)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바아(H11, H21)가 지지 구조(H1, H2)에 의하여 각각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다른 거치부(200a)는, 함체부(100)를 가공 지선(W)에 안정적으로 체결하여 거치되도록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작업 도중 안정적으로 함체부(100)가 가공 지선(W)에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100: 함체부
200: 거치부
300: 체결부

Claims (2)

  1. 기설 광케이블의 중간 외피를 탈피하고, 복수의 루즈튜브들 중에서 중간분기로 사용할 루즈튜브만 반으로 절단하는 절단 단계;
    반으로 절단된 상기 루즈튜브의 외피를 제거한 후, 상기 루즈튜브로부터 분기된 광심선들의 길이 연장을 위해 더미코어들을 접속하는 접속 단계;
    익스팬드 보호튜브를 이용하여 상기 광심선들에 접속된 상기 더미코어들 및 더미코어들의 접속점을 보호하는 보호 단계;
    반으로 절단된 상기 루즈튜브와 상기 더미코어들이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에 위치되도록 상기 기설 광케이블을 상기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에 장착하는 장착 단계; 및
    상기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을 가공 지선(Ground Wire)에 거치시키는 거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은,
    내부 공간을 형성되는 함체부와 상기 함체부를 상기 가공 지선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함체부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함체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측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공 지선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가 전단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절곡 프레임; 및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회전시키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상부를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가공 지선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레버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켜 주기 위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상부를 관통하고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고정 바아; 및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바아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고정 바아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가공 지선에 밀착되어 상기 가공 지선을 체결하는 밀착편;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사용자가 상기 고정 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가공 지선과 밀착되어 상기 가공 지선을 체결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밀착편이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밀착편이 하강함에 따라 전단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된 상기 가공 지선의 상측과 밀착되어 상기 가공 지선을 체결하며, 내측에 안착된 상기 가공 지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단이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상부 체결 바아;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하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체결 바아가 회동함에 따라 전단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된 상기 가공 지선의 하측과 밀착되어 상기 상부 체결 바아와 함께 상기 가공 지선을 체결하며, 내측에 안착된 상기 가공 지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단이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하부 체결 바아;
    상부 바아와 하부 바아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체결 바아의 전단과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하부 전단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 힌지; 및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안착되며, 일단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상부 전단을 통해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부 체결 바아의 전단에 체결되며, 다른 일단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하부를 통해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상부 바아와 상기 하부 바아의 연결 설치 부위에 체결되며, 상기 상부 체결 바아의 전단이 하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상부 바아와 상기 하부 바아가 직립 되어 상기 하부 체결 바아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바아와 상기 하부 바아의 연결 설치 부위를 잡아 당겨 주는 회동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체결 바아 및 상기 하부 체결 바아가 회동함에 따라 전진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된 상기 가공 지선과 밀착되어 상기 가공 지선을 체결하며, 전단에 안착된 상기 가공 지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전단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후단 체결 바아;
    "(" 형태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상부 체결 바아의 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후단 체결 바아의 후단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체결 바아가 회동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후단 체결 바아를 전진시켜 주는 상부 지지 프레임; 및
    "(" 형태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하부 체결 바아의 후단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후단 체결 바아의 후단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하부 체결 바아가 회동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후단 체결 바아를 전진시켜 주는 하부 지지 프레임;를 포함하는,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
  2. 삭제
KR1020200103363A 2020-08-18 2020-08-18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 KR102187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363A KR102187369B1 (ko) 2020-08-18 2020-08-18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363A KR102187369B1 (ko) 2020-08-18 2020-08-18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369B1 true KR102187369B1 (ko) 2020-12-04

Family

ID=7377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363A KR102187369B1 (ko) 2020-08-18 2020-08-18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3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606B1 (ko) * 2013-04-17 2014-10-23 빛샘전자주식회사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
KR101440376B1 (ko) 2013-02-10 2014-11-04 (주)엠이엘 텔레콤 반사체 내장 광섬유 고정구조물을 구비하는 광섬유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광접속 방법
KR20170095431A (ko) 2016-02-12 2017-08-23 대한광통신 주식회사 광 케이블 어셈블리 일체형 광접속함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376B1 (ko) 2013-02-10 2014-11-04 (주)엠이엘 텔레콤 반사체 내장 광섬유 고정구조물을 구비하는 광섬유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광접속 방법
KR101451606B1 (ko) * 2013-04-17 2014-10-23 빛샘전자주식회사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
KR20170095431A (ko) 2016-02-12 2017-08-23 대한광통신 주식회사 광 케이블 어셈블리 일체형 광접속함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8249B2 (ja) 光ファイバの配置と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KR101369118B1 (ko)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접지 단말기를 갖는 섬유 분배 허브
US4630886A (en) Lightguide distributing unit
US7668432B2 (en) Multi-drop closure systems and methods for fiber optic cabling
EP2344919B1 (en) Variably configurable and modular local convergence point
JPH06508448A (ja) 光ファイバー接続装置
BRPI0718928A2 (pt) Dispositivo de interface de rede.
US9377132B2 (en) Enclosure hanger assembly and cable management system
US20170303011A1 (en) Cable management closure for implementation at distribution points
AU2010356741B2 (en) Optical cable connection casing adapted for operation of guiding and connecting optical cable to branching halfway
KR102187369B1 (ko)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
KR101451606B1 (ko)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
US20230261451A1 (en) Management device for hybrid cable
KR200472023Y1 (ko) 커넥터형 접속함체
KR20170046930A (ko) 인입용 다심광케이블의 가입자 분배기
RU2127014C1 (ru) Кабельный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шкаф
JP2008129166A (ja) 光ファイバ配線系およびスプリッタボックス
KR101070456B1 (ko) 광케이블의 배선 겸용 광단자함 고정 장치
JP2004086060A (ja) 光モジュール及び光成端箱
KR20200000013U (ko) 커넥터형 접속함체
CN205015538U (zh) 一种光纤终端盒
CN217360404U (zh) 便于绕纤的pon终端面板
JP5480759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光ファイバ再接続方法
JP2004054148A (ja) 分岐ケーブル接続部用クロージャ
JP2004029657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末端引込み用接続箱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末端引込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