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945B1 -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945B1
KR101900945B1 KR1020180063436A KR20180063436A KR101900945B1 KR 101900945 B1 KR101900945 B1 KR 101900945B1 KR 1020180063436 A KR1020180063436 A KR 1020180063436A KR 20180063436 A KR20180063436 A KR 20180063436A KR 101900945 B1 KR101900945 B1 KR 101900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ble
underground
connecto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권
임채호
Original Assignee
경남전설감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전설감리(주) filed Critical 경남전설감리(주)
Priority to KR1020180063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지중관(P) 사이에 개입되어 상호 연결되는 연결관(100); 연결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받침대(200); 받침대(200)의 상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터소켓(300); 커넥터소켓(4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전케이블(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 및 고정하는 케이블커넥터(400); 연결관(100) 및 지중관(P) 상에 배치되는 보호덮개(500); 연결관(100)에 설치되어 내부로 침투수가 유입되지 않게 밀봉하는 밀봉패드(600); 밀봉패드(600) 상에 설치되어 체결수단을 매개로 연결관(100)에 고정되는 커버(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결관과 받침대, 커넥터소켓, 케이블커넥터, 보호덮개, 밀봉패드 및 커버로 구성되어 지중케이블이 수용된 지중관이 외력(예:포크레인의 버킷)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전선연결구에 배전케이블을 각각 삽입한 다음 회전시켜 주면 배전케이블이 권취되면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므로 연결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마개를 이용해 케이스를 밀폐해 줌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Protection structure for underground power lines}
본 발명은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립되어 배전케이블을 보호하는 지중관이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발전시설로부터 일반 전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전선)을 통한 전력의 송수신이 수반된다.
전통적인 전력의 송수신을 위해 지상의 전봇대를 이용하고 있으나, 일부 필요한 경우에는 지주에 매설하여 전력을 전송하게 된다.
근래에는 산업화 및 정보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전력 사용량과 정보 통신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전력 공급이나 신호 전송을 위한 시설은 더욱 확충될 필요가 있으면서도 안전한 설치상태를 더욱 요구하고 있다.
대체로 전력송수신, 통신 등에 이용되는 선로는 피복의 전선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이러한 전선들은 도시 미관 등 여러가지 이유를 고려하여 지중에 공동구를 형성해 배선하거나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있다.
그리하여 일단 지중에 매설된 전선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장기간 동안 지중에 매설된 상태로 유지되지만, 전선의 보수 및 증설작업, 도로의 포장공사, 그리고 가스관이나 수도관과 같은 다른 지중시설물 공사 등의 후차적인 작업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득이하게 지중선로를 재굴착하지 않을 수 없다.
이때 부주의한 굴착으로 지중의 전선이 손상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지중케이블 보호판(방호판)을 매설된 케이블의 상부에 덮어서 케이블을 보호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7007호(2007.01.04)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0045호(2014.10.06)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9617호(2016.10.20)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3402호(2016.08.26) 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6942호(2015.09.24)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지중관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고, 배전케이블을 쉽고 간편하게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중에 매립된 지중관 사이에 개입되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원주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안착부를 구비하며, 내주면에는 절연재가 도포된 연결관;
연결관의 내주면으로부터 개구부를 향해 수직하게 돌출된 지지바와, 지지바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면에 연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 판재와, 판재의 양단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스토퍼로 구성된 받침대;
판재의 상면에 배치되어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를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판과, 결합돌기를 갖추고서 안착판의 양측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사이드판과, 안착판의 전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전판과, 안착판의 후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후판으로 구성된 커넥터소켓;
내부가 전방으로 개구된 바디부, 바디부의 후방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축부, 바디부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배전케이블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케이블삽입부, 바디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대응되게 끼워지는 결합홈, 바디부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스토퍼, 바디부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가 전방으로 개수된 핀홈으로 이루어진 절연재질의 케이스와,
바디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베어링을 매개로 축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되, 원주면으로 노출되게 나란하게 관통되어 케이블삽입부와 각각 상호 연통되며 배전케이블의 금속선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전선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권취되는 금속선이 수용될 수 있게 수용홈이 일체로 형성된 도체, 도체의 전면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스토퍼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제2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내부가 전방으로 개구된 핀홈이 일체로 형성된 절연체로 이루어진 전선연결구와,
케이스와 전선연결구의 핀홈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케이스를 중심으로 전선연결구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핀과,
케이스의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스의 내부를 밀폐하는 마개로 구성되어 커넥터소켓의 안착판 상에 배치되어 사이드판과 전판 및 후판에 의해 하단부가 감싸지고,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매개로 상호 결합되며, 후판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커넥터소켓에 고정되는 케이블커넥터;
지지바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안착부에 얹혀지는 받침부와, 받침부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연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관 및 지중관의 상부에 배치되는 호형상의 보호부로 구성된 한 쌍의 보호덮개;
받침부에 얹혀져 개구부를 밀봉하는 고무재질의 밀봉패드;
밀봉패드에 얹혀져 볼트를 매개로 연결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밀봉패드와 받침부를 가압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결관과 받침대, 커넥터소켓, 케이블커넥터, 보호덮개, 밀봉패드 및 커버로 구성되어 지중케이블이 수용된 지중관이 외력(예:포크레인의 버킷)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전선연결구에 배전케이블을 각각 삽입한 다음 회전시켜 주면 배전케이블이 권취되면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므로 연결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마개를 이용해 케이스를 밀폐해 줌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에서 받침대와 커넥터소켓 및 케이블커넥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에서 케이블커넥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정면도 및 측단면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에서 받침대와 커넥터소켓 및 케이블커넥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에서 케이블커넥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은, 연결관(100)과 받침대(200), 커넥터소켓(300), 케이블커넥터(400), 보호덮개(500), 밀봉패드(600) 및 커버(7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지중케이블(L)이 수용된 지중관(P)이 외력(예:포크레인의 버킷)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관(100)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금속재질의 관으로, 양단에는 원형의 플런지(1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원주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110)가 마련되며, 개구부(110)가 형성된 내면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된 안착부(120)가 마련되며, 연결관(100)의 내주면에는 절연을 위한 절연재(140)가 도포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이 경우 상기 연결관(100)은 지중에 매립되는 지중관(P) 사이에 개입되어 연결관(100)의 플런지(130)와 지중관(P)의 플런지(P')가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체결수단(볼트와 너트)을 매개로 상호 연통되게 연결된다.
참고로, 상기 플런지(130,P')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침투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재(미도시)가 설치된다.
도 1과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받침대(200)는 지지바(210)와 판재(220) 및 스토퍼(230)로 구성되며, 재질은 금속재이다.
상기 지지바(210)는 연결관(100)의 내주면으로부터 개구부(110)를 향해 수직하게 돌출된다.
일 예로, 상기 지지바(210)의 하단이 연결관(100)의 내주면에 맞대어져 용접을 매개로 연결관(100)에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상기 판재(220)는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지바(21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판재(220)의 상면에는 연결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가이드홈(221)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가이드홈(221)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커넥터소켓(300)가 가이드돌기(311)를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230)는 판재(220)의 양단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가이드홈(22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커넥터소켓(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과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소켓(300)은 케이블커넥터(400)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면서 받침대(200)와 케이블커넥터(400)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소켓(300)은 베이스가 되는 안착판(310)과, 안착판(310)의 양측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사이드판(320)과, 안착판(310)의 전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전판(330), 및 안착판(310)의 후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후판(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판(310)의 하면에는 받침대(200)의 가이드홈(22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31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후판(340)에는 볼트(Bt)가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게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3, 도 5 및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커넥터(400)는 케이스(410)와 케이블연결구(420), 고정핀(430) 및 마개(440)로 구성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커넥터소켓(3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내측으로 인입되는 배전케이블(L)을 전기적으로 연결 및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케이스(410)는 마개(440)와 함께 외관을 이루며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재질로 제조된 것으로서, 바디부(411)와 축부(412), 케이블삽입부(413), 결합홈(414), 제1스토퍼(415) 및 핀홈(416)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부(411)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태를 이루되, 전면에는 일정두께를 갖는 테두리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테두리에 마개(440)가 압입고정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411)에는 전선연결구(420)가 전방을 통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게 내부가 전방으로 개구된 수용부(411a)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축부(412)는 원기둥형상의 돌기로서, 바디부(411)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좀 더 명확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내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띤다.
상기 케이블삽입부(413)는 바디부(411)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금속선(L1)과 피복(L2)으로 구성된 배전케이블(L)이 관통되게 끼워진다.
특히, 상기 케이블삽입부(413)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직경을 서로 달리해 단차지게 형성함으로써 배전케이블(L)의 삽입길이를 제한하도록 하였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삽입부(413)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며, 이와 같이 어긋나게 배치된 케이블삽입부(413)는 각각 전선연결구(420)의 전선삽입부(421a)와 상호 연통된다.
상기 결합홈(414)은 바디부(411)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이 결합홈(414)에 커넥터소켓(300)의 결합돌기(321)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돌기(321)와 결합홈(414)의 상호 결합에 의해 커넥터소켓(300)으로부터 케이블커넥터(400)가 이탈되는 것이 1차적으로 방지되며, 볼트(Bt)에 의한 고정에 의해 커넥터소켓(300)과 케이블커넥터(400)가 완벽하게 일체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 제1스토퍼(415)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411)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일 예로서, 상기 제1스토퍼(415)를 기준으로 왼쪽에 전선연결구(420)의 제2스토퍼(422b)가 배치되어 맞대어지면 배전케이블(L)을 삽입할 수 있는 세팅상태가 되고, 전선연결구(4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스토퍼(415)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제2스토퍼(422b)가 배치되게 맞대어주면 더 이상의 전선연결구(420)의 회전을 제한하여 배전케이블(L)의 과도한 권취를 제한하고 고정핀(430)이 삽입될 수 있게 핀홈(416,422c)을 정렬한다.
상기 핀홈(416)은 바디부(411)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ㄷ’자 형상의 고정핀(430)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전선연결구(420)는 이종(형)재질의 부재를 일체형으로 제작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배전케이블(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 및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선연결구(420)는 전기가 잘 통하는 도체(421)와,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절연체(422:부도체)로 구성된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421)와 절연체(422)는 도체(421)에 형성된 홈부(a)에 절연체(422)에 형성된 돌부(b)가 삽입되어 열융착, 인서트, 접착제 등의 수단을 매개로 상호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상기 도체(421)는 전체적으로 원기둥형태를 이루며, 케이스(410)의 수용부(411a) 내에 삽입되어 베어링(B)을 매개로 축부(4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체(421)는 나란하게 관통되어 원주면으로 노출되며 케이스(410)의 케이블삽입부(413)와 상호 연통되는 전선삽입부(421a)를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도체(421)는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권취되는 금속선(L1:도 7a 참조)이 수용되는 수용홈(421b)을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절연체(422)는 도체(421)의 전면에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절연체(422)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잡고 전선연결구(420) 전체를 축부(412)를 중심으로 돌릴 수 있게 손잡이(422a)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연체(422)의 전면에는 전방과 측방으로 돌출되어 제1스토퍼(415)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제2스토퍼(422b)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연체(422)의 전면에는 고정핀(430)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핀홈(422c)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430)은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을 이루며 케이스(410)와 전선연결구(420)의 핀홈(416,422c)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케이스(410)를 중심으로 전선연결구(42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스토퍼(415)는 제2스토퍼(422b)의 회전을 제한하여 전선연결구(420)에 의한 배전케이블(L)의 과도한 권취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고, 고정핀(430)은 핀홈(416,422c)에 끼워져 전선연결구(420)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전선연결구(420)에 권취된 배전케이블(L)의 풀림을 방지토록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마개(440)는 케이스(410)의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설치(압입)되어 케이스(410)의 내부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마개(440)에 의해 케이스(410)의 내부가 밀폐됨에 따라 침투수와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보호덮개(500)는 연결관(100) 및 지중관(P)의 상부에 배치되어 지중케이블(L)이 수용된 지중관(P)이 외력(예:포크레인의 버킷)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덮개(500)는 받침부(510)와 연장부(520) 및 보호부(530)로 구성되며, 금속재질로 제조된다.
상기 받침부(5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20)의 상면에 얹혀지며, 이후에 설명되는 커버(700)에 의해 가압고정된다.
상기 연장부(520)는 받침부(510)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보호부(530)는 연장부(520)의 상단으로부터 지중관(P)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관(100) 및 지중관(P)의 상부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보호부(530)는 상방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제작하여 포크레인의 버킷과 같은 것이 외력을 가하게 되면 곡면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중관(P)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밀봉패드(600)는 탄성을 갖춘 고무재질의 패드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보호커버(500)의 연장부(510) 상에 얹혀져 연결관(100)의 개구부(110)를 통해 침투수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밀봉(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봉패드(600)는 탄성이 있어 커버(700)에 의해 가압되면 눌려져 퍼지게 되고, 이에 의해 개구부(110)가 더 밀봉됨에 따라 기밀성이 강화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700)는 금속재질로 제조된 곡면형상의 판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개구부(110)에 삽입되어 볼트(Bt)를 매개로 연결관(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밀봉패드(600)와 받침부(510)를 가압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연결구(420)를 케이스(410)의 축부(41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스토퍼(415)의 왼쪽에 제2스토퍼(422b)가 맞대어지게 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배치하게 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10)의 배전선삽입부(413)와 전선연결구(420)의 전선삽입부(421a)는 상호 연통된 구조를 이루게 되며, 이때 배전케이블(L)의 금속선(L1)을 각각의 케이블삽입부(413)를 관통해 전선삽입부(421a)에 끼워 넣어 전선연결구(420)의 도체(421)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해준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배전케이블(L)의 금속선(L1)을 도체(421)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전선연결구(420)의 손잡이(422a)를 잡고 제1스토퍼(415)의 오른쪽에 제2스토퍼(422b)가 맞대어질 때까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면, 금속선(L1)이 도체(421)의 수용홈(421b)에 권취되면서 수용되고, 이때 피복(L2)은 금속선(L1)과 함께 이동되어 케이블삽입부(413)에 자연스럽게 인입되면서 단턱에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선연결구(420)에 의한 배전케이블(L)의 전기적인 연결작업이 완료되면, 배전케이블(L)이 풀리지 않게 케이스(410)와 전선연결구(420)의 핀홈(416,422c)으로 고정핀(430)을 삽입하여 케이스(410)의 축부(412)를 중심으로 전선연결구(42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 다음 마개(440)를 케이스(410)의 전방에 설치하여 밀폐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배전케이블(P)의 연결작업이 완료되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커넥터(400)를 커넥터소켓(300)에 압입하여 결합돌기(321)와 결합홈(414)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한 다음 후판(340)에 볼트(Bt)를 관통되게 체결하여 커넥터소켓(300)과 케이블커넥터(400)가 볼트(Bt)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소켓(300)에 케이블커넥터(400)가 고정되면, 보호덮개(500)의 받침부(510)는 안착부(120)에 얹혀주고, 보호부(530)는 연결관(100) 및 지중관(P)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한 다음 밀봉패드(600)를 개구부(110)에 삽입하여 받침부(510)에 얹혀지게 배치하고, 마지막으로 커버(700)를 개구부(110)에 삽입한 다음 볼트(Bt)를 매개로 연결관(100)과 상호 결합하면 되며, 최종적으로 흙을 덮어 마무리한다.
한편, 배전케이블(L)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방법의 역순으로 실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배전케이블(L)이 당겨질 경우 이에 의해 케이블커넥터(400)가 배전케이블(L)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케이블커넥터(400)의 이동으로 인해 케이블커넥터(400)와 상호 연결된 커넥터소켓(300)이 받침대(20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배전케이블(L)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상쇄시켜 케이블커넥터(400)로부터 배전케이블(L)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배전케이블(L)의 단선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연결관 110: 개구부 120: 안착부
130: 플런지 140: 절연재 200: 받침대
210: 지지바 220: 판재 221: 가이드홈
230: 스토퍼 300: 커넥터소켓 310: 안착판
320: 사이드판 321: 결합돌기 330: 전판
340: 후판 400: 케이블커넥터 410: 케이스
420: 케이블연결구 430: 고정핀 440: 마개
500: 보호덥개 510: 받침부 520: 연장부
530: 보호부 600: 밀봉패드 700: 커버
P: 지중관 P': 플런지 Bt: 볼트
B: 베어링

Claims (1)

  1. 지중에 매립된 지중관(P) 사이에 개입되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원주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110)가 형성되며, 개구부(110)가 형성된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안착부(120)를 구비하며, 내주면에는 절연재(140)가 도포된 연결관(100);
    연결관(100)의 내주면으로부터 개구부(110)를 향해 수직하게 돌출된 지지바(210)와, 지지바(21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면에 연결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221)이 형성된 판재(220)와, 판재(220)의 양단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스토퍼(230)로 구성된 받침대(200);
    판재(220)의 상면에 배치되어 가이드홈(221)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311)를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판(310)과, 결합돌기(321)를 갖추고서 안착판(310)의 양측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사이드판(320)과, 안착판(310)의 전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전판(330)과, 안착판(310)의 후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후판(340)으로 구성된 커넥터소켓(300);
    내부가 전방으로 개구된 바디부(411), 바디부(411)의 후방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축부(412), 바디부(411)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배전케이블(L)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케이블삽입부(413), 바디부(411)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결합돌기(321)가 대응되게 끼워지는 결합홈(414), 바디부(411)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스토퍼(415), 바디부(411)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가 전방으로 개수된 핀홈(416)으로 이루어진 절연재질의 케이스(410)와,
    바디부(41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베어링(B)을 매개로 축부(41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되, 원주면으로 노출되게 나란하게 관통되어 케이블삽입부(413)와 각각 상호 연통되며 배전케이블(L)의 금속선(L1)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전선삽입부(421a)가 일체로 형성되고,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권취되는 금속선(L1)이 수용될 수 있게 수용홈(421b)이 일체로 형성된 도체(421), 도체(421)의 전면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손잡이(422a)가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스토퍼(415)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제2스토퍼(422b)가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내부가 전방으로 개구된 핀홈(422c)이 일체로 형성된 절연체(422)로 이루어진 전선연결구(420)와,
    케이스(410)와 전선연결구(420)의 핀홈(415,422c)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케이스(410)를 중심으로 전선연결구(42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핀(430)과,
    케이스(410)의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스(410)의 내부를 밀폐하는 마개(440)로 구성되어 커넥터소켓(300)의 안착판(310) 상에 배치되어 사이드판(320)과 전판(330) 및 후판(340)에 의해 하단부가 감싸지고, 결합돌기(321)와 결합홈(414)을 매개로 상호 결합되며, 후판(340)을 관통하는 볼트(Bt)에 의해 커넥터소켓(300)에 고정되는 케이블커넥터(400);
    지지바(210)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안착부(120)에 얹혀지는 받침부(510)와, 받침부(510)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20)와, 연장부(520)의 상단으로부터 연결관(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관(100) 및 지중관(P)의 상부에 배치되는 호형상의 보호부(530)로 구성된 한 쌍의 보호덮개(500);
    받침부(510)에 얹혀져 개구부(110)를 밀봉하는 고무재질의 밀봉패드(600);
    밀봉패드(600)에 얹혀져 볼트(Bt)를 매개로 연결관(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밀봉패드(600)와 받침부(510)를 가압하는 커버(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
KR1020180063436A 2018-06-01 2018-06-01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 KR101900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436A KR101900945B1 (ko) 2018-06-01 2018-06-01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436A KR101900945B1 (ko) 2018-06-01 2018-06-01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945B1 true KR101900945B1 (ko) 2018-09-21

Family

ID=6372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436A KR101900945B1 (ko) 2018-06-01 2018-06-01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9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302B1 (ko) * 2019-01-28 2019-05-14 동재감리 주식회사 지중배전라인 분기가 가능한 안전성 향상 연결 커넥터
KR101996494B1 (ko) * 2019-01-25 2019-07-04 (주)기술사사무소한빛기술단 침수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설치기구
KR101996495B1 (ko) * 2019-03-15 2019-07-04 (주)한빛전력기술단 피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KR102038331B1 (ko) * 2019-01-24 2019-10-31 양정모 지중배전선로의 절연형 연결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8488A (ja) 2006-10-24 2008-05-0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被覆電線接続器具
KR101586454B1 (ko) 2015-07-13 2016-01-18 (주)세종기술단 공동주택의 배전선 합선방지용 보호대
KR101738448B1 (ko) 2016-12-16 2017-05-22 주식회사 동진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 박스 전선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8488A (ja) 2006-10-24 2008-05-0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被覆電線接続器具
KR101586454B1 (ko) 2015-07-13 2016-01-18 (주)세종기술단 공동주택의 배전선 합선방지용 보호대
KR101738448B1 (ko) 2016-12-16 2017-05-22 주식회사 동진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 박스 전선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331B1 (ko) * 2019-01-24 2019-10-31 양정모 지중배전선로의 절연형 연결대
KR101996494B1 (ko) * 2019-01-25 2019-07-04 (주)기술사사무소한빛기술단 침수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설치기구
KR101978302B1 (ko) * 2019-01-28 2019-05-14 동재감리 주식회사 지중배전라인 분기가 가능한 안전성 향상 연결 커넥터
KR101996495B1 (ko) * 2019-03-15 2019-07-04 (주)한빛전력기술단 피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945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
KR101185178B1 (ko) 매설용 지중송전 커넥터
KR101795791B1 (ko) 지중송전선로의 전선보호관
KR101448173B1 (ko)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CN102668259A (zh) 用于高压插头插座式连接器的两件式接触元件
KR101920200B1 (ko) 지중송전선 인입전용 보호함체
CN104254949B (zh) 插塞连接器
KR100761338B1 (ko) 지중 전력 케이블 보호관
KR101920203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1435182B1 (ko) 송전,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
KR101046400B1 (ko)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TW200519439A (en) Housing for glass-fiber plug connectors, and a method for laying glass-fiber cables
KR100775849B1 (ko) 전주용 접지판
KR20070076912A (ko) 전선용 결선구
MX2011003830A (es) Conector cable coaxial.
EP2909657B1 (fr) Borne de détection d'un réseau optiquement invisible, installation comprenant une telle borne de détection, et procédé de détection d'un réseau optiquement invisible
KR101900399B1 (ko) 합선방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US20200366075A1 (en) Insulator insert for service entrance cap
KR100731957B1 (ko) 하수관 보호용 복합케이스
KR101900401B1 (ko)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171059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102532797B1 (ko) 지중배전선 보호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 겸용 보호장치
EP2852010A1 (en) Adapter device for industrial electrical sockets
KR101217847B1 (ko) 지중 송전선 보호용 절연관
KR20190046303A (ko) 송변전선로 연결을 위한 접속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