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448B1 -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 박스 전선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 박스 전선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448B1
KR101738448B1 KR1020160172360A KR20160172360A KR101738448B1 KR 101738448 B1 KR101738448 B1 KR 101738448B1 KR 1020160172360 A KR1020160172360 A KR 1020160172360A KR 20160172360 A KR20160172360 A KR 20160172360A KR 101738448 B1 KR101738448 B1 KR 101738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wire
switch box
end plates
c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
Priority to KR1020160172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 박스 전선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0)(40); 엔드플레이트(20)(40)의 사이에 적층되는 스페이서(30);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에 형성되는 전선끼움홈(21a)(21b)(31a)(31b)(32a)(32b)(41a)(41b);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에 형성되는 관통구멍(22)(33)(42);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에 형성되는 캠수용실(23)(34)(35)(43); 캠수용실(23)(34)(35)(43)에 삽입되는 원판캠(50)(60); 원판캠(50)(60)을 연결하는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 캠수용실(23)(34)(35)(43)과 전선끼움홈(21a)(21b)(31a)(31b)(32a)(32b)(41a)(41b)의 경계부위에 형성되는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 원판캠(50)(60)에 형성되는 캠돌기부(52a)(52b)(62a)(62b); 원판캠(50)(6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53a)(53b)(63a)(63b); 캠수용실(23)(34)(35)(43)에 형성되는 스토퍼(23c)(23d)(34c)(34d)(35c)(35d)(43c)(43d); 엔드플레이트(20)(40)에 형성되는 핀구멍(24a)(24b)(44a)(44b); 핀구멍(24a)(24b)(44a)(44b)으로 삽입되는 보스(36a)(36b)(37a)(37b);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과 함께 회전되는 스플라인 노브축(70); 스플라인 노브축(70)에 설치되는 회전노브(71); 스플라인 노브축(70)에 형성되는 코어홀(72); 스위치 박스(14)에 결합되는 코어볼트(7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 박스 전선 고정장치{Electric Wire Fixing Device for Apartment House Switch Box}
본 발명은 배전용 스위치 박스의 내부로 인출되어 있는 전선의 단말부가 스위치 박스에 접촉되지 못하도록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데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다른 곳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 박스 전선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 박스는 실내등, 환풍기, 유도등, 외등과 같은 전기기구에 접속된 전선을 스위치와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벽체 내부에 매설된 전선보호관(2)를 통해 포설된 전선(3a)(3b)(3c)(3d)의 끝 부분을 스위치 박스(1)의 내부로 인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선보호관(2)을 통해 스위치 박스(1) 내부로 인출된 전선(3a)(3b)(3c)(3d)은 통상 배선작업을 하기 전까지 스위치 박스(1) 내부에 방치하게 되는데, 이렇게 방치된 전선(3a)(3b)(3c)(3d)은 절단부위를 통해 심선부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노출된 전선(3a)(3b)(3c)(3d)의 심선부가 금속으로 된 스위치 박스(1)에 접촉되면, 스위치 박스(1)로 전기가 통하면서 누전이나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 박스 내부로 인출된 전선의 단부가 스위치 박스에 접촉하지 못하도록 절연하고 고정하는 것이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0670691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는 자석을 이용해서 스위치 박스의 내측벽면에 전선을 고정하도록 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 1은 탈부착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반원홈을 통해 전선으로 물이 스며드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선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후크부가 일방향성을 갖기 때문에 결합시에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간편하게 손으로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후크의 걸림을 해제하는 경우 후크를 벌리기 위해 손톱을 이용하게 되면 손톱부상의 우려가 있고, 부상방지를 위해 일자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게 되면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 1이 갖고 문제를 개선하고자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43287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1044341호(이하, 종래기술 3이라 함)에는 모두 종래기술 1이 갖고 있던 단점인 방수에 대한 취약점을 해결할 수 있었으나 종래기술 2는 전선고정구가 스위치 박스에 영구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스위치 박스에 재사용하는 것이 어렵고, 상하부의 전선고정구를 동시에 벌리고 있어야만 전선의 삽입 또는 탈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더욱이 전선을 고정할 때 모든 전선을 한꺼번에 동시에 고정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고정하게 되면, 전선고정구를 벌리는 순간 앞서 고정했던 전선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 3은 전선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힘을 일방향성을 갖는 탄성지지편과 연질슬리브에 의한 마찰력에 의존해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탄성지지편과 연질슬리브를 몇 번이고 재사용하면 할수록 탄성지지편의 변형과 연질슬리브의 마모가 크게 진행되면서 마찰력이 떨어져 전선이 자중에 의해 밑으로 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70691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287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4434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스위치 박스 내부로 인출된 전선의 심선부가 스위치 박스에 접촉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누전이나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탈부착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 박스 전선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 박스 전선 고정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 엔드플레이트의 사이에 적층되는 스페이서; 엔드플레이트와 스페이서간의 밀착면에 각각 형성되고, 전선의 전후면을 절반씩 분담하여 수용하는 반원형 단면의 곡선 경로로 형성되며, 하단부가 개방된 복수의 전선끼움홈; 엔드플레이트와 스페이서의 중심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구멍; 엔드플레이트와 스페이서 간의 밀착면에 각각 형성되는 원형의 캠수용실; 엔드플레이트와 스페이서의 밀착면에 걸친 채 양측 캠수용실에 각각 절반씩 삽입되는 한 쌍의 원판캠; 스페이서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해 원판캠을 상호 연결하고, 중심에 키홀이 형성되는 내외스플라인 중공축; 캠수용실과 전선끼움홈의 경계부위에 형성되는 전선록킹편; 원판캠의 회전위치에 따라 전선록킹편을 전선끼움홈으로 밀어내거나 전선록킹편으로부터 벗어나고, 원판캠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캠돌기부; 원판캠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 캠수용실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캠돌기부와 걸림돌기의 사이에 위치되어 원판캠의 정지 및 해제 위치의 종료지점을 결정하는 스토퍼; 엔드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는 핀구멍; 스페이서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핀구멍으로 삽입되는 보스; 내외스플라인 중공축으로 삽입되어 내외스플라인 중공축과 함께 회전되는 스플라인 노브축; 스플라인 노브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노브; 스플라인 노브축의 중심에 형성되는 코어홀; 코어홀을 관통해서 스위치 박스에 결합되는 코어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한 쌍의 원판캠 중에 한쪽 원판캠의 중심에 형성되고, 내외스플라인 중공축이 삽입되는 스플라인 구멍; 한 쌍의 원판캠 중에 다른 쪽 원판캠과 내외스플라인 중공축이 만나는 부위에 형성되고, 스페이서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지지되는 원형회전부; 내외스플라인 중공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멈춤홈; 멈춤홈에 설치되어 원판캠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 엔드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스냅링을 수용하는 스냅링 삽입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에 형성된 전선끼움홈(21a)(21b)(31a)(31b)(32a)(32b)(41a)(41b)에 전선(10a)(10b)(12a)(12b)을 삽입한 다음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를 밀착시키고, 코어볼트(73)를 이용해서 스위치 박스(14)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10a)(10b)(12a)(12b)의 탈부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 등을 모두 다른 곳에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전노브(71)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에 의한 전선(10a)(10b)(12a)(12b)의 잠금과 해제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엔드플레이트(20)(40)에 형성된 스냅링 삽입부(25)(45)에 의해 원판캠(50)(60)이 회전될 때 스냅링(5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나의 스페이서(3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원판캠(50)(60)이 스페이서(30)의 양쪽면에 밀착되면서 하나의 뭉치 형태로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과 보관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전선(10a)(10b)(12a)(12b)을 삽입하기 위한 전선끼움홈(21a)(21b)(31a)(31b)(32a)(32b)(41a)(41b)이 곡선형을 이루고 있고,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에 의해 전선(10a)(10b)(12a)(12b)의 피복부를 압박해서 고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10a)(10b)(12a)(12b)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를 밀착시킬 때 스페이서(30)에 형성된 보스(36a)(36b)(37a)(37b)를 엔드플레이트(20)(40)에 형성된 핀구멍(24a)(24b)(44a)(44b)에 일치시켜서 밀착시키면 중심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조립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페이서(30)에 형성된 관통구멍(33)을 통과하는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과 다른 쪽 원판캠(50)에 형성된 스플라인 구멍(56)에 의해 양쪽의 원판캠(50)(60)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스플라인 노브축(70)을 이용해서 복수의 원판캠(50)(60)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가 밀착되면서 서로 면접촉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 사이의 접합면으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가 적층구조로 되어 있고, 그 사이에 전선(10a)(10b)(12a)(12b)을 위치시켜서 고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스페이서(30)의 증설에 따라 고정할 수 있는 전선(10a)(10b)(12a)(12b)의 수를 편리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위치 박스의 내부로 노출된 전선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측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주요부 확대사시도
도 6은 도 4의 주요부 확대사시도
도 7은 도 5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8은 도 6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엔드플레이트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배면측 분리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A-A'선 측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B-B'선 평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C-C'선 정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상태로부터 원판캠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잠금 상태로 전환된 것을 보인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0)(40); 엔드플레이트(20)(40)의 사이에 적층되는 스페이서(30);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 간의 밀착면에 각각 형성되고, 전선(10a)(10b)(12a)(12b)의 전후면을 절반씩 분담하여 수용하는 반원형 단면의 곡선 경로로 형성되며, 하단부가 개방된 복수의 전선끼움홈(21a)(21b)(31a)(31b)(32a)(32b)(41a)(41b)을 포함한다.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와 같이 전기적 부도체인 절연체로 성형되고, 사출성형법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스페이서(30)는, 예를 들면 양면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전선끼움홈(21a)(21b)(31a)(31b)(32a)(32b)(41a)(41b)은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의 중심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구멍(22)(33)(42);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 간의 밀착면에 각각 형성되는 원형의 캠수용실(23)(34)(35)(43);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의 밀착면에 걸친 채 양측 캠수용실(23)(34)(35)(43)에 각각 절반씩 삽입되는 한 쌍의 원판캠(50)(60); 스페이서(30)에 형성된 관통구멍(33)을 통해 원판캠(50)(60)을 상호 연결하고, 중심에 키홀(65)이 형성되는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을 포함한다.
캠수용실(23)(34)(35)(43)의 중심을 관통구멍(22)(33)(42)의 중심과 일치되게 형성하며,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의 외주면과 키홀(65)의 내주면은 키와 키홈이 둘레방향을 따라 반복해서 형성되는 스플라인(spline) 형상으로 성형해서 양쪽 원판캠(50)(60)이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과 키홀(65)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캠수용실(23)(34)(35)(43)과 전선끼움홈(21a)(21b)(31a)(31b)(32a)(32b)(41a)(41b)의 경계부위에 형성되는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 원판캠(50)(60)의 회전위치에 따라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을 전선끼움홈(21a)(21b)(31a)(31b)(32a)(32b)(41a)(41b)으로 밀어내거나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으로부터 벗어나고, 원판캠(50)(6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캠돌기부(52a)(52b)(62a)(62b)를 포함한다.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은, 전선(10a)(10b)(12a)(12b)과 인접한 부위에 톱니를 형성해서 전선(10a)(10b)(12a)(12b)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며, 특히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과 스페이서(30) 간의 연결부위를 잘록하게 형성해서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으로부터 원판캠(50)(60)에 작용되는 탄성저항을 축소시킴으로써 원판캠(50)(60)의 회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캠돌기부(52a)(52b)(62a)(62b)의 한쪽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해서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과 만날 때 부드럽게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을 반경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하며, 캠돌기부(52a)(52b)(62a)(62b)의 다른 쪽 단부는 직각턱의 형태로 형성해서 스토퍼(23c)(23d)(34c)(34d)(35c)(35d)(43c)(43d)에 걸리도록 한다.
본 발명은 원판캠(50)(6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53a)(53b)(63a)(63b); 캠수용실(23)(34)(35)(43)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캠돌기부(52a)(52b)(62a)(62b)와 걸림돌기(53a)(53b)(63a)(63b)의 사이에 위치되어 원판캠(50)(60)의 정지 및 해제 위치의 종료지점을 결정하는 스토퍼(23c)(23d)(34c)(34d)(35c)(35d)(43c)(43d)를 포함한다.
원판캠(50)(6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걸림돌기(53a)(53b)(63a)(63b)와 캠돌기부(52a)(52b)(62a)(62b)가 스토퍼(23c)(23d)(34c)(34d)(35c)(35d)(43c)(43d)의 양쪽의 단부에 번갈아 걸리면서 잠금위치와 해제위치를 일정하게 한다.
본 발명은 엔드플레이트(20)(40)에 각각 형성되는 핀구멍(24a)(24b)(44a)(44b); 스페이서(3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핀구멍(24a)(24b)(44a)(44b)으로 삽입되는 보스(36a)(36b)(37a)(37b)를 포함한다.
핀구멍(24a)(24b)(44a)(44b)과 보스(36a)(36b)(37a)(37b)는, 예를 들면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의 각 밀착면 상하부에 적어도 두 개씩 형성할 수 있으며,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를 적층해서 밀착시킬 때 핀구멍(24a)(24b)(44a)(44b)에 보스(36a)(36b)(37a)(37b)가 끼워지면서 중심을 일치시키는 위치결정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으로 삽입되어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과 함께 회전되는 스플라인 노브축(70); 스플라인 노브축(70)의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노브(71); 스플라인 노브축(70)의 중심에 형성되는 코어홀(72); 코어홀(72)을 관통해서 스위치 박스(14)에 결합되는 코어볼트(73)를 포함한다.
회전노브(71)와 스플라인 노브축(7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노브(71)에 의해 내부에 위치된 원판캠(50)(6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잠금 또는 해제상태로 전환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쌍의 원판캠(50)(60) 중에 한쪽 원판캠(50)의 중심에 형성되고,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이 삽입되는 스플라인 구멍(56); 한 쌍의 원판캠(50)(60) 중에 다른 쪽 원판캠(60)과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이 만나는 부위에 형성되고, 스페이서(30)에 형성된 관통구멍(33)에 지지되는 원형회전부(64);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멈춤홈(54); 멈춤홈(54)에 설치되어 원판캠(50)(60)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51); 엔드플레이트(20)(40)에 형성되어 스냅링(51)을 수용하는 스냅링 삽입부(25)(45)를 포함한다.
원형회전부(64)의 외경은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해서 스페이서(30)에 형성된 관통구멍(33)으로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을 통과시킬 때 상호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못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30)와 원판캠(50)(60)을 제품출하 전에 미리 조립해서 하나의 뭉치 형태로 조립해 두면, 취급이 간편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과 일체로 형성된 한쪽의 원판캠(60)을 스페이서(30)의 배면에 형성된 캠수용실(35)에 끼우면서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과 원형회전부(64)을 스페이서(30)에 형성된 관통구멍(33)으로 삽입한다.
이후 스페이서(30)를 관통해서 반대편으로 돌출된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에 다른 원판캠(50)을 끼우면서 스페이서(30)의 정면에 형성된 캠수용실(34)에 삽입하면, 한 쌍의 원판캠(50)(60)이 스페이서(30)의 양면에 조립된다.
이때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에 형성된 멈춤홈(54)에 스냅링(51)을 끼우면, 원판캠(50)(60)이 스페이서(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 중 부호 16은 스위치 박스(14)에 연결된 전선관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박스(14)에 노출되어 있는 전선(10a)(10b)(12a)(12b)의 단말부를 절연하기 위해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에 각각 형성된 전선끼움홈(21a)(21b)(31a)(31b)(32a)(32b)(41a)(41b)에 전선(10a)(10b)(12a)(12b)을 삽입한 다음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를 모두 밀착시키게 되면, 전선(10a)(10b)(12a)(12b)이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의 밀착면을 경계로 각각 전후방의 전선끼움홈(21a)(21b)(31a)(31b)(32a)(32b)(41a)(41b)에 절반씩 삽입되어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를 밀착시킬 때 스페이서(30)에 형성된 보스(36a)(36b)(37a)(37b)를 엔드플레이트(20)(40)에 형성된 핀구멍(24a)(24b)(44a)(44b)에 일치시켜서 결합하면,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의 조립위치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그 다음 스플라인 노브축(70)을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에 형성된 키홀(65)로 삽입하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라인 노브축(70)이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의 키홀(65)에 결합되는데, 이때 스플라인 노브축(70)에 형성된 코어홀(72)로 코어볼트(73)를 삽입해서 회전노브(71) 및 스플라인 노브축(70)을 스위치 박스(14)에 고정하면,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가 회전노브(71)와 스플라인 노브축(70)에 의해 스위치 박스(14)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코어볼트(73)에 의해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를 스위치 박스(14)에 고정한 후 회전노브(71)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코어볼트(73)를 약간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회전노브(71)를 도 1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력이 스플라인 노브축(70)과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을 통해 원판캠(50)(60)으로 전달되어 한 쌍의 원판캠(50)(60)이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원형회전부(64)가 스페이서(30)에 형성된 관통구멍(33)에 지지되어 있는 원판캠(50)(60)은 부드럽게 회전되며,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에 설치되어 있는 스냅링(51)도 엔드플레이트(20)(40)에 형성된 스냅링 삽입부(25)(45)에 의해 간섭 없이 원활하게 회전된다.
위와 같이 원판캠(50)(60)이 회전될 때 원판캠(50)(60)에 형성되어 있는 캠돌기부(52a)(52b)(62a)(62b)가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에 접촉되면,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이 캠돌기부(52a)(52b)(62a)(62b)에 의해 전선끼움홈(21a)(21b)(31a)(31b)(32a)(32b)(41a)(41b)에 위치된 전선(10a)(10b)(12a)(12b)을 향해 밀리게 되고, 전선(10a)(10b)(12a)(12b)을 향해 탄성변형 되는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은 전선(10a)(10b)(12a)(12b)의 피복부를 압박해서 고정하게 된다.
이후 원판캠(50)(60)에 형성된 걸림돌기(53a)(53b)(63a)(63b)가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에 형성된 스토퍼(23c)(23d)(34c)(34d)(35c)(35d)(43c)(43d)에 걸리면 회전이 정지되면서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다음 느슨하게 풀어져 있던 코어볼트(73)를 다시 타이트하게 조이면, 회전노브(71)와 스플라인 노브축(70)이 코어볼트(73)에 의해 스위치 박스(14)를 향해 전진되면서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가 회전노브(71)에 의해 스위치 박스(14)를 향해 강하게 압축되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절연체로 이루어진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에 형성된 전선끼움홈(21a)(21b)(31a)(31b)(32a)(32b)(41a)(41b)에 전선(10a)(10b)(12a)(12b)이 끼워진 채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10a)(10b)(12a)(12b)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누전사고나 전선(10a)(10b)(12a)(12b)이 스위치 박스(14)에 접촉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전선끼움홈(21a)(21b)(31a)(31b)(32a)(32b)(41a)(41b)이 곡선을 이루고 있고,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이 전선(10a)(10b)(12a)(12b)의 피복부를 강하게 누르고 있기 때문에 전선(10a)(10b)(12a)(12b)이 전선끼움홈(21a)(21b)(31a)(31b)(32a)(32b)(41a)(41b)으로부터 이탈될 염려는 없게 된다.
한편, 전선(10a)(10b)(12a)(12b)을 스위치(도시생략)에 접속하기 위해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먼저 코어볼트(73)를 약간 풀고 회전노브(71)를 도 15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캠돌기부(52a)(52b)(62a)(62b)가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선(10a)(10b)(12a)(12b)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복귀되어 잠금이 해제되며, 캠돌기부(52a)(52b)(62a)(62b)가 스토퍼(23c)(23d)(34c)(34d)(35c)(35d)(43c)(43d)에 걸리는 순간 회전이 정지되면서 해제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코어볼트(73)를 풀어서 스위치 박스(14)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다음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의 사이를 이격시키게 되면, 전선끼움홈(21a)(21b)(31a)(31b)(32a)(32b)(41a)(41b)으로부터 전선(10a)(10b)(12a)(12b)을 인출할 수 있게 되며, 스위치 박스(14)로부터 분리된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 회전노브(71), 코어볼트(73) 등은 모두 다 같이 다른 곳에 재사용할 수 있다.
10a,10b,12a,12b : 전선
14 : 스위치 박스
16 : 전선관
20,40 : 엔드플레이트
30 : 스페이서
21a,21b,31a,31b,32a,32b,41a,41b : 전선끼움홈
22,33,42 : 관통구멍
23,34,35,43 : 캠수용실
23a,23b,34a,34b,35a,35b,43a,43b : 전선록킹편
23c,23d,34c,34d,35c,35d,43c,43d : 스토퍼
24a,24b,44a,44b : 핀구멍
25,45 : 스냅링 삽입부
36a,36b,37a,37b : 보스
50,60 : 원판캠
51 : 스냅링
61 : 내외스플라인 중공축
52a,52b,62a,62b : 캠돌기부
53a,53b,63a,63b : 걸림돌기
54 : 멈춤홈
56 : 스플라인 구멍
64 : 원형회전부
65 : 키홀
70 : 스플라인 노브축
71 : 회전노브
72 : 코어홀
73 : 코어볼트

Claims (2)

  1.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0)(40);
    상기 엔드플레이트(20)(40)의 사이에 적층되는 스페이서(30);
    상기 엔드플레이트(20)(40)와 상기 스페이서(30) 간의 밀착면에 각각 형성되고, 전선(10a)(10b)(12a)(12b)의 전후면을 절반씩 분담하여 수용하는 반원형 단면의 곡선 경로로 형성되며, 하단부가 개방된 복수의 전선끼움홈(21a)(21b)(31a)(31b)(32a)(32b)(41a)(41b);
    상기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의 중심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구멍(22)(33)(42);
    상기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 간의 밀착면에 각각 형성되는 원형의 캠수용실(23)(34)(35)(43);
    상기 엔드플레이트(20)(40)와 스페이서(30)의 밀착면에 걸친 채 양측 상기 캠수용실(23)(34)(35)(43)에 각각 절반씩 삽입되는 한 쌍의 원판캠(50)(60);
    상기 스페이서(30)에 형성된 관통구멍(33)을 통해 상기 원판캠(50)(60)을 상호 연결하고, 중심에 키홀(65)이 형성되는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
    상기 캠수용실(23)(34)(35)(43)과 상기 전선끼움홈(21a)(21b)(31a)(31b)(32a)(32b)(41a)(41b)의 경계부위에 형성되는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
    상기 원판캠(50)(60)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을 상기 전선끼움홈(21a)(21b)(31a)(31b)(32a)(32b)(41a)(41b)으로 밀어내거나 상기 전선록킹편(23a)(23b)(34a)(34b)(35a)(35b)(43a)(43b)으로부터 벗어나고, 상기 원판캠(50)(6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캠돌기부(52a)(52b)(62a)(62b);
    상기 원판캠(50)(6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53a)(53b)(63a)(63b);
    상기 캠수용실(23)(34)(35)(43)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캠돌기부(52a)(52b)(62a)(62b)와 상기 걸림돌기(53a)(53b)(63a)(63b)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원판캠(50)(60)의 정지 및 해제 위치의 종료지점을 결정하는 스토퍼(23c)(23d)(34c)(34d)(35c)(35d)(43c)(43d);
    상기 엔드플레이트(20)(40)에 각각 형성되는 핀구멍(24a)(24b)(44a)(44b);
    상기 스페이서(3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핀구멍(24a)(24b)(44a)(44b)으로 삽입되는 보스(36a)(36b)(37a)(37b);
    상기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으로 삽입되어 상기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과 함께 회전되는 스플라인 노브축(70);
    상기 스플라인 노브축(70)의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노브(71);
    상기 스플라인 노브축(70)의 중심에 형성되는 코어홀(72);
    상기 코어홀(72)을 관통해서 스위치 박스(14)에 결합되는 코어볼트(73);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 박스 전선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원판캠(50)(60) 중에 한쪽 원판캠(50)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이 삽입되는 스플라인 구멍(56);
    한 쌍의 상기 원판캠(50)(60) 중에 다른 쪽 원판캠(60)과 상기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이 만나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30)에 형성된 관통구멍(33)에 지지되는 원형회전부(64);
    상기 내외스플라인 중공축(6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멈춤홈(54);
    상기 멈춤홈(54)에 설치되어 상기 원판캠(50)(60)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51);
    상기 엔드플레이트(20)(40)에 형성되어 상기 스냅링(51)을 수용하는 스냅링 삽입부(25)(45);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 박스 전선 고정장치.
KR1020160172360A 2016-12-16 2016-12-16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 박스 전선 고정장치 KR101738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360A KR101738448B1 (ko) 2016-12-16 2016-12-16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 박스 전선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360A KR101738448B1 (ko) 2016-12-16 2016-12-16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 박스 전선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448B1 true KR101738448B1 (ko) 2017-05-22

Family

ID=59050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360A KR101738448B1 (ko) 2016-12-16 2016-12-16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 박스 전선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44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401B1 (ko) * 2018-01-22 2018-07-25 주식회사 성우이엠이 배전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1900401B1 (ko) 2018-05-21 2018-09-20 백제현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900399B1 (ko) 2018-05-21 2018-09-20 백제현 합선방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900945B1 (ko) 2018-06-01 2018-09-21 경남전설감리(주)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
KR101920203B1 (ko) 2018-07-04 2018-11-21 주식회사 동명전력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1920200B1 (ko) 2018-07-18 2018-11-21 주식회사 동명전력 지중송전선 인입전용 보호함체
KR101927805B1 (ko) 2018-06-07 2018-12-12 서광에너지 주식회사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선 트레이
KR102109528B1 (ko) * 2019-12-18 2020-05-13 (주)서영티이씨 공동주택 전기와 통신선 통합수용 보호덕트의 소음차단과 절연 연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8397A (ja) 2005-09-01 2007-03-15 Optosys Ag ケーブル用パッキン押さえ
KR100845439B1 (ko) 2008-02-05 2008-07-10 주식회사 정우종합기술 공동주택의 배전을 위한 스위치박스의 전선 단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8397A (ja) 2005-09-01 2007-03-15 Optosys Ag ケーブル用パッキン押さえ
KR100845439B1 (ko) 2008-02-05 2008-07-10 주식회사 정우종합기술 공동주택의 배전을 위한 스위치박스의 전선 단말 고정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401B1 (ko) * 2018-01-22 2018-07-25 주식회사 성우이엠이 배전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1900401B1 (ko) 2018-05-21 2018-09-20 백제현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900399B1 (ko) 2018-05-21 2018-09-20 백제현 합선방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900945B1 (ko) 2018-06-01 2018-09-21 경남전설감리(주)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구조물
KR101927805B1 (ko) 2018-06-07 2018-12-12 서광에너지 주식회사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선 트레이
KR101920203B1 (ko) 2018-07-04 2018-11-21 주식회사 동명전력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1920200B1 (ko) 2018-07-18 2018-11-21 주식회사 동명전력 지중송전선 인입전용 보호함체
KR102109528B1 (ko) * 2019-12-18 2020-05-13 (주)서영티이씨 공동주택 전기와 통신선 통합수용 보호덕트의 소음차단과 절연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448B1 (ko)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 박스 전선 고정장치
US6761189B2 (en) Wearing ring
BRPI0709489A2 (pt) corpo de vedação para uma manga de cabo
JP3657048B2 (ja) 安全スイッチ
CA1067169A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means
KR101496235B1 (ko)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통 슬리브 설치 방법
AU2014213714A1 (en) Device for fixing wires
GB2546750A (en) A cable splice closure
JPH0824219B2 (ja) スナップロック結合装置
WO2012142053A2 (en) Protective covers for cable connectors
TWM527332U (zh) 安全帶之扣鎖裝置
JP4704193B2 (ja) 可撓性ケーブルダクト
US20220010904A1 (en) Coupling
KR102004178B1 (ko)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박스 전선 고정장치
KR20160049674A (ko)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JP2004092061A (ja) 組プレートの取付装置
TWI557303B (zh) 絕緣掛鎖結構
GB2259111A (en) Cover fastening
US686355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etal coupling sleeve
JPH0334068Y2 (ko)
IT201800002640A1 (it) Connettore costampato a tenuta stagna e ad assemblaggio assiale
KR101394707B1 (ko) 배터리의 손잡이 고정장치
CN215989072U (zh) 电池安装组件以及开关
GB2083715A (en) An electrical connector
JP2019019610A (ja) ドア用ハンドルユニット、ドアハンドル、並びにドアハンドル取付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