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235B1 -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통 슬리브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통 슬리브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235B1
KR101496235B1 KR20140081062A KR20140081062A KR101496235B1 KR 101496235 B1 KR101496235 B1 KR 101496235B1 KR 20140081062 A KR20140081062 A KR 20140081062A KR 20140081062 A KR20140081062 A KR 20140081062A KR 101496235 B1 KR101496235 B1 KR 101496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fixing member
main body
buckl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1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7Plugs to close openings in forms'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 슬리브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설치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보다 용이하게 설치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가 관통 슬리브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통 슬리브 설치 방법{FIXING APPARATUS FOR SLEEVE AND INSTALLING METHOD FOR THE SLEEVEY BY THE SAME}
본 발명은 관통 슬리브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설치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보다 용이하게 설치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가 관통 슬리브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옹벽을 시공할 때, 전기 배관 등을 위하여 벽체 내에 중공의 관로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관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중공 관로 형성 위치에 관통 슬리브(S)를 설치한다.
이러한 관통 슬리브(S)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F)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 에 슬리브 고정 부재(10)를 이용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S)를 고정한다.
상기 종래의 슬리브 고정 부재(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F)의 삽입공(F1)에 삽입되는 핀(P1)이 형성되는 고정핀(P)과 상기 관통 슬리브(S) 내부에 삽입되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인 삽입부(14)와 상기 삽입부(14)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 슬리브(S)를 파지하는 버클(13)을 포함한다.
즉, 상기 고정핀(P)을 거푸집(F)에 장착한 후 상기 삽입부(14) 내부로 상기 고정핀(P)이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14)는 관통 슬리브(S)에 삽입되고 버클(13)이 상기 관통 슬리브(S)를 파지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S)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후, 상기 거푸집(F)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거푸집(F)을 해체한다. 이 때, 상기 거푸집(F) 해체 시, 상기 고정핀(P)이 상기 삽입부(14)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로 형성된 옹벽에 상기 관통 슬리브(S)에 의해 전기 배관 등을 위한 중공 관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슬리브 고정 부재(10)의 경우 고정핀(P)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핀(P)이 삽입부(14)에 삽입된 후 고정핀(P)과 삽입부(14)사이에 빈 공간이 생겨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관통 슬리브(S) 내부로 침투하여 전기 배관 등을 위한 중공 관로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슬리브 고정 부재 및 버클에 의한 관통 슬리브 고정 방법과 관련 설치 방법 자체는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일본 공개 특허 제1978-119422호 일본 공개 특허 제1998-110529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0952991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31744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약부가 형성되는 본체에 거푸집에 삽입되는 삽입 바아를 형성하여 관통 슬리브 내부에 콘크리트가 들어가지 않는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통 슬리브 설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체 형상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관통 슬리브(S) 주위를 파지하는 버클(140)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110)의 일 측면 중앙 일 부분에는 거푸집(F)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거푸집(F)에 삽입되는 삽입 바아(13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 바아(130)가 형성되는 본체(1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 바아(130) 주위로 연약부(120)가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버클(140)은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에 고정되는 고정부(141)와,
상기 고정부(141) 일 측 끝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부(141)의 타 측 끝부분과 결합되는 가동부(142)와,
상기 고정부(141)와 가동부(142) 끝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고정 걸림부(143) 및 가동 걸림부(144)로 구성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걸림부(143)와 가동 걸림부(144)의 끝 부분 외주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파지부(145) 및 제2 파지부(14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지부(145)의 상기 제2 파지부(146)와의 대향면에는, 고정 걸림부(143) 및 가동 걸림부(144)의 결합 시, 상기 가동 걸림부(144)의 상면을 누름 가압하는 누름부(145a)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에 일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고정 걸림부(143) 및 가동 걸림부(144)의 결합 시, 상기 가동 걸림부(144)는 상기 고정 걸림부(143)의 상부에 적층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본체(110) 일 측면이 요홈되어 상기 관통 슬리브(S)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바아(130)는 쐐기 형상 또는 세레이션(serration) 형태 중 어느 하나로 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관통 슬리브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삽입 바아(130)가 거푸집(F)에 삽입되는 한편 버클(140)이 관통 슬리브(S)를 파지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S)가 거푸집(F)사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제1단계(S110)와, 상기 거푸집(F)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단계(S120)와, 상기 거푸집(F)을 해체하는 한편 상기 연약부(120)로 둘러싸인 본체(110) 일 부분을 제거하는 제3단계(S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 설치 방법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제1단계(S110)는 상기 관통 슬리브(S) 양 측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100)의 삽입 바아(130)를 양 측 거푸집(F)에 각각 삽입하는 단계(S111)와, 상기 각 고정 부재(100)의 본체(110)에 관통 슬리브(S)를 각각 삽입한 후 버클(140)을 잠금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S) 양 측을 고정하는 단계(S112)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10)는 상기 관통 슬리브(S) 양 측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100) 중 하나의 고정 부재(100)의 삽입 바아(130)를 일 측 거푸집(F)에 삽입하는 단계(S113)와, 상기 삽입 바아(130)가 형성되는 본체(110)에 관통 슬리브(S)를 삽입한 후 버클(140)을 잠금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S) 일 측을 고정하는 단계(S114)와, 상기 고정 부재(100) 중 나머지 고정 부재(100)의 본체(110)에 상기 관통 슬리브(S) 타 측을 삽입하는 단계(S115)와, 상기 나머지 고정 부재(100)를 타 측 거푸집(F)에 삽입하는 단계(S116)와, 상기 나머지 고정 부재(100)의 버클(140)을 잠금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S) 타 측을 고정하는 단계(S117)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통 슬리브 내부에 콘크리트가 들어가지 않아 중공 관로가 막히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정 부재를 설명하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에서 박리부가 분리되는 것을 설명하는 일부 단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관통 슬리브를 고정하는 한편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옹벽에 중공 관로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누름부가 부가된 상태의 도면으로, 풀림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이 잠금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에 누름부가 부가된 상태의 도면으로, 풀림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이 잠금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에서 박리부가 분리되는 것을 설명하는 일부 단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관통 슬리브를 고정하는 한편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옹벽에 중공 관로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100)는 도 2 및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판체 형상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관통 슬리브(S) 주위를 파지하는 버클(1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110)의 일 측면 중앙 일 부분에는 거푸집(F)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거푸집(F)에 삽입되는 삽입 바아(13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 바아(130)가 형성되는 본체(1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 바아(130) 주위로 링 형상인 연약부(1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110)는 삽입 바아(130)가 거푸집(F)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편 버클(140)에 의해 관통 슬리브(S)를 파지하므로 상기 관통 슬리브(S)가 중공 관로가 형성되기 위한 특정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F) 해체 시 상기 연약부(120)로 둘러싸인 본체(110) 부분이 분리되므로 상기 관통 슬리브(S)의 양 측이 개방되어 중공 관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가 상기 본체(110)에 막혀 관통 슬리브(S)에 들어가지 못하므로 종래와 같은 중공 관로의 막힘 형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 후,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연약부(120)로 둘러싸인 본체(110) 부분이 분리되고, 이에 의해 관통 슬리브(S)의 양 측이 개방되어 중공 관로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약부(12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 중 삽입 바아(130)가 형성되는 측면에 링 형상과 같이 형성되고, 상기 연약부(120)로 둘러 쌓인 박리부(160)가 상기 연약부(120)의 파괴에 의해 상기 본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약부(120)는 상기 본체(110)보다 강도가 낮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약부(120)의 두께는 상기 본체(1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되 노치 형태(예를 들어 단면이 V자 형태)로 형성하여 강도를 낮추는 것도 가능하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푸집(F) 해체 시, 상기 삽입 바아(130)가 거푸집(F)과 같이 해체 되면 상기 연약부(120)의 파괴에 의해 박리부(160)가 본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물론 거푸집(F) 해체 후, 상기 삽입 바아(130)가 본체(110)에 잔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삽입 바아(130)를 망치 등을 이용하여 타격하면 상기 연약부(120)가 파괴되어 상기 박리부(160)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도 2 내지 4에서 상기 연약부(120)가 링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박리부(160)가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연약부(120)가 다른 형상인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삽입 바아(13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 형상(130A)인 것도 가능하고 도 2의 원내 도면과 같이 쐐기 형상(130B)을 가져 거푸집(F)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버클(140)은 상기 관통 슬리브(S)를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에 고정되는 고정부(141)와, 상기 고정부(141) 일 측 끝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부(141)의 타 측 끝부분과 결합되는 가동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동부(142)가 상기 고정부(141)의 끝부분에서 회동하여 펼쳐지거나 또는 본체(110) 외주연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부(141)와 상호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41)의 끝부분을 탄성 재질로 형성하면 상기 가동부(142)를 회동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널리 알려진 핀 결합 구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141)와 가동부(142)가 상호 잠금되어 관통 슬리브(S)를 파지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141)와 가동부(142)에는 각각 걸림부(143,144)를 포함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걸림부(143,144)는 상호 결합되어 잠금될 수 있는 형상인 한, 어떠한 형상이라도 사용가능하나, 도시된 바와 같이 끝부분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인접한 곳에 걸림홈을 형성하여 걸림턱과 걸림홈이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141)와 가동부(142) 일 측에 판체 형상으로 형성된 제1파지부(145) 및 제2파지부(146)를 형성하여 보다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 부재(100)는 판체 형상의 본체(110)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본체(110) 일 측면이 요홈되어 상기 관통 슬리브(S)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 중 상기 관통 슬리브(S)가 배치되는 방향의 측면에 요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요홈부에 상기 관통 슬리브(S)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상기 관통 슬리브(S)를 상기 본체(110)에 삽입한 후 버클(140)로 잠금하여 보다 용이하게 상기 관통 슬리브(S)를 본체(11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요홈부의 반경과 상기 버클(140)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의 반경이 동일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본체(110)에 요홈부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관통 슬리브(S)가 본체(110)와 접촉된 상태에서 버클(140)에 의해 감싸져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8 및 도 9에서 보듯이, 상기한 실시예 1의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100)는, 상기 고정 걸림부(143) 및 가동 걸림부(144)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가동 걸림부(144)의 상면을 누름 가압하는 누름부(14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누름부(145a)는 상기 제1 파지부(145)의 상기 제2 파지부(146)와의 대향면에, 상기 제1 파지부(145)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누름판(145a′)과, 상기 누름판(145a′)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누름돌기(145a″)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 걸림부(143) 및 가동 걸림부(144)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가동 걸림부(144)의 상면을 누름돌기(145a″)에 의해 눌러줌으로써 고정 걸림부(143) 및 가동 걸림부(144)가 결합관계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 바아(130)는 앞서와 달리, 세레이션(serration,130C) 형태로 될 수 있다. 즉, 바아 형태의 외주면에 마치 기어 이빨처럼 길이방향으로 돌기를 다수 형성하여, 이를 거푸집(F)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100)를 이용하여 관통 슬리브(S)를 설치하는 방법(S100)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삽입 바아(130)를 거푸집(F)에 삽입되는 한편 버클(140)이 관통 슬리브(S)를 파지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S)가 거푸집(F)사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제1단계(S110)를 수행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삽입 바아(130)를 거푸집(F)에 삽입하여 상기 본체(110)를 고정한다. 상기 본체(110)에는 관통 슬리브(S)가 설치되는데 상기 관통 슬리브(S)는 상기 본체(110)에 접한 상태에서 버클(140)에 의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요홈부에 삽입된 후 버클(140)에 의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1단계(S110)에 의해 관통 슬리브(S)가 거푸집(F)사이에서 고정되면 상기 거푸집(F)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단계(S120)를 수행한다.
상기 제2단계(S120)에서, 콘크리트가 도면상 하부 방향으로 투입되어 타설되는데, 본 발명의 본체(110)가 관통 슬리브(S)를 막고 있으므로 상기 콘크리트가 관통 슬리브(S) 내부로 들어가지 않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 슬리브(S)로 형성되는 중공 관로 내부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S120) 수행 후, 상기 거푸집(F)을 해체하는 한편 상기 연약부(140)로 둘러싸인 본체(110) 일 부분을 제거하는 제3단계(S130)를 수행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단계(S130)에서는 거푸집(F)을 도면상 좌우측 방향으로 분리하여 해체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거푸집(F)이 분리되면서, 상기 거푸집(F)에 삽입되어 있는 본체의 삽입 바아가 상기 거푸집(F)과 같이 분리되면서 상기 연약부의 파괴 및 박리부의 이탈 현상이 발생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슬리브의 양 측이 개방되게 된다.
물론 상기 거푸집(F)의 분리에 의해 상기 연약부가 파괴되지 않는 경우 망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삽입 바아를 타격함에 의해 연약부를 파괴하여 박리부를 이탈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 제1단계(S110)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상기 관통 슬리브(S) 양 측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100)의 삽입 바아(130)를 양 측 거푸집(F)에 각각 삽입하는 단계(S111)와, 상기 각 고정 부재(100)의 본체(110)에 관통 슬리브(S)를 각각 삽입한 후 버클(140)을 잠금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S) 양 측을 고정하는 단계(S112)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고정 부재(100)를 양 측 거푸집(F)에 먼저 장착한 후 상기 고정 부재(100)사이에 관통 슬리브(S)를 설치하고 마지막으로 버클(140)을 잠금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S)를 고정하는 것이다.
물론 고정 부재(100) 중 하나의 고정 부재(100)를 먼저 거푸집(F)에 먼저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1단계(S110)는 상기 관통 슬리브(S) 양 측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100) 중 하나의 고정 부재(100)의 삽입 바아(130)를 일 측 거푸집(F)에 삽입하는 단계(S113)와, 상기 삽입 바아(130)가 형성되는 본체(110)에 관통 슬리브(S)를 삽입한 후 버클(140)을 잠금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S) 일 측을 고정하는 단계(S114)와, 상기 고정 부재(100) 중 나머지 고정 부재(100)의 본체(110)에 상기 관통 슬리브(S) 타 측을 삽입하는 단계(S115)와, 상기 나머지 고정 부재(100)를 타 측 거푸집(F)에 삽입하는 단계(S116)와, 상기 나머지 고정 부재(100)의 버클(140)을 잠금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S) 타 측을 고정하는 단계(S117)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도 6에서 좌측의 고정 부재(100)를 좌측 거푸집(F)에 먼저 삽입하는 단계(S113)를 수행한 후, 상기 좌측의 고정 부재(100)의 본체(110)에 관통 슬리브(S)를 삽입한 후 버클(140)를 잠금하는 단계(S114)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후, 도면상 우측의 고정 부재(100)의 본체(110)에 관통 슬리브(S)의 우측을 삽입하는 단계(S115)와, 도면상 우측의 고정 부재(100)를 도면상 우측의 거푸집(F)에 삽입하는 단계(S116)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 후, 도면상 우측 고정 부재(100)의 버클(140)을 잠금하여 관통 슬리브(S)의 우측을 고정하는 단계(S117)를 수행하는 것이다.
실시예2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200)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관통 슬리브(S)를 파지하는 버클(240)과, 상기 본체(210)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판체 형상인 삽입 디스크(230)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 디스크(230)의 일 측에는 거푸집(F)에 삽입되는 삽입 바아(231)가 돌출되는 것이다.
즉, 실시예1에서는 연약부의 파괴로 박리부가 분리되었으나, 본 실시예2의 경우 탈부착 방식의 삽입 디스크(230) 및 상기 삽입 디스크(230)에 돌출되어 거푸집(F)에 삽입되는 삽입 바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210)는 링 형상을 가져 일 측방향에서는 상기 삽입 디스크(230)가 삽입되고 타 측 방향에서는 버클(240)이 형성되는 한편 관통 슬리브(S)가 장치된 후 상기 버클(240)의 잠김에 의해 상기 관통 슬리브(S)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관통 슬리브(S)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상기 본체(210)와 맞닿은 상태에서 버클(240)에 의해 둘러 쌓여 잠금되거나 혹은 상기 본체(210)에 형성된 요홈부에 삽입된 후 버클(240)에 의해 잠금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삽입 바아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버클(240)의 경우 실시예1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 한편, 도 10 및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한 실시예 2의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200)는, 상기 고정 걸림부(243) 및 가동 걸림부(244)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가동 걸림부(244)의 상면을 누름 가압하는 누름부(24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누름부(245a)는 제1 파지부(245)의 제2 파지부(246)와의 대향면에, 상기 제1 파지부(245)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누름판(245a′)과, 상기 누름판(245a′)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누름돌기(245a″)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 걸림부(243) 및 가동 걸림부(244)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가동 걸림부(244)의 상면을 누름돌기(245a″)에 의해 눌러줌으로써 고정 걸림부(243) 및 가동 걸림부(244)가 결합관계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술한 고정 부재(200)를 이용하여 관통 슬리브를 설치하는 방법(S200)에 대해 도 7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관통 슬리브(S)의 양 측에 배치되는 삽입 디스크(230)의 삽입 바아를 거푸집(F) 양 측에 각각 삽입하는 제1단계(S210)를 수행한다.
즉, 상기 제1단계(S210)에 의해 상기 삽입 디스크(230)를 거푸집(F)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본체(210)를 배치하되, 상기 본체(210) 내부에 상기 삽입 디스크(230)를 삽입 하도록 하는 제2단계(S220)와, 상기 관통 슬리브(S) 양 측을 상기 본체(210) 내부 타 측에 배치 하는 제3단계(S230)를 수행한다.
즉, 도면상 좌측에 있는 고정 부재(200)의 경우 본체(210)의 좌측 방향으로 부터 삽입 디스크(230)가 삽입되게 하고 상기 본체(210)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관통 슬리브(S)의 좌측 부분이 배치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 슬리브(S)는 상기 본체(210)의 우측에 접하게 하거나 혹은 상기 본체(210)의 우측 방향에서 본체(210) 내부로 삽입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상기 각 본체(210)의 버클(240)을 잠금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S) 양 측을 고정하는 제4단계(S240)를 수행한 후, 상기 거푸집(F)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5단계(S250)를 수행한다.
상기 제5단계(S250)에 의해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기 거푸집(F)을 해체하는 단계(S260)를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삽입 디스크(230)는 상기 거푸집(F)과 같이 해체되어 본체(210)로부터 이탈되고 이에 의해 관통 슬리브(S)의 양 측이 개방되어 중공 관로가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100 : 고정 부재 110 : 본체
120 : 연약부 130 : 삽입 바아
140 : 버클 160 : 박리부
200 : 고정 부재 210 : 본체
230 : 삽입 디스크 240 : 버클
S : 관통 슬리브

Claims (10)

  1. 판체 형상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관통 슬리브(S) 주위를 파지하는 버클(140)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110)의 일 측면 중앙 일 부분에는 거푸집(F)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거푸집(F)에 삽입되는 삽입 바아(13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 바아(130)가 형성되는 본체(1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 바아(130) 주위로 연약부(120)가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버클(140)은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에 고정되는 고정부(141)와,
    상기 고정부(141) 일 측 끝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부(141)의 타 측 끝부분과 결합되는 가동부(142)와,
    상기 고정부(141)와 가동부(142) 끝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고정 걸림부(143) 및 가동 걸림부(144)로 구성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걸림부(143)와 가동 걸림부(144)의 끝 부분 외주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파지부(145) 및 제2 파지부(14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지부(145)의 상기 제2 파지부(146)와의 대향면에는, 고정 걸림부(143) 및 가동 걸림부(144)의 결합 시, 상기 가동 걸림부(144)의 상면을 누름 가압하는 누름부(145a)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걸림부(143) 및 가동 걸림부(144)의 결합 시, 상기 가동 걸림부(144)는 상기 고정 걸림부(143)의 상부에 적층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 일 측면이 요홈되어 상기 관통 슬리브(S)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바아(130)는 쐐기 형상 또는 세레이션(serration) 형태 중 어느 하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
  6. 삭제
  7. 제1, 2, 4,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관통 슬리브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삽입 바아(130)가 거푸집(F)에 삽입되는 한편 버클(140)이 관통 슬리브(S)를 파지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S)가 거푸집(F)사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제1단계(S110)와,
    상기 거푸집(F)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단계(S120)와,
    상기 거푸집(F)을 해체하는 한편 상기 연약부(120)로 둘러싸인 본체(110) 일 부분을 제거하는 제3단계(S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 설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S110)는 상기 관통 슬리브(S) 양 측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100)의 삽입 바아(130)를 양 측 거푸집(F)에 각각 삽입하는 단계(S111)와,
    상기 각 고정 부재(100)의 본체(110)에 관통 슬리브(S)를 각각 삽입한 후 버클(140)을 잠금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S) 양 측을 고정하는 단계(S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 설치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S110)는 상기 관통 슬리브(S) 양 측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100) 중 하나의 고정 부재(100)의 삽입 바아(130)를 일 측 거푸집(F)에 삽입하는 단계(S113)와,
    상기 삽입 바아(130)가 형성되는 본체(110)에 관통 슬리브(S)를 삽입한 후 버클(140)을 잠금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S) 일 측을 고정하는 단계(S114)와,
    상기 고정 부재(100) 중 나머지 고정 부재(100)의 본체(110)에 상기 관통 슬리브(S) 타 측을 삽입하는 단계(S115)와,
    상기 나머지 고정 부재(100)를 타 측 거푸집(F)에 삽입하는 단계(S116)와,
    상기 나머지 고정 부재(100)의 버클(140)을 잠금하여 상기 관통 슬리브(S) 타 측을 고정하는 단계(S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 설치 방법.
  10. 삭제
KR20140081062A 2014-03-03 2014-06-30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통 슬리브 설치 방법 KR101496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4960 2014-03-03
KR1020140024960 2014-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235B1 true KR101496235B1 (ko) 2015-02-26

Family

ID=52594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1062A KR101496235B1 (ko) 2014-03-03 2014-06-30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통 슬리브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2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499B1 (ko) * 2016-08-03 2018-02-01 고의환 슬라이더형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KR101846481B1 (ko) * 2016-10-05 2018-04-06 고의환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KR101901803B1 (ko) * 2017-03-14 2018-09-27 필립산업 (주)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KR102030792B1 (ko) * 2019-07-16 2019-10-10 신동열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
KR102031643B1 (ko) * 2019-07-15 2019-10-14 박경환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4466A (ja) * 1993-11-12 1995-08-22 Ooike:Kk コンクリート埋設物、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耐久性の型枠
KR100952991B1 (ko) * 2009-08-19 2010-04-16 김대현 슬리브 파이프 홀더
KR101317440B1 (ko) * 2013-04-11 2013-10-18 김윤수 관통슬리브 고정구조체 및 그 설치방법
KR20140000615U (ko) * 2012-07-18 2014-01-29 하철상 길이조절이 용이한 관통슬리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4466A (ja) * 1993-11-12 1995-08-22 Ooike:Kk コンクリート埋設物、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耐久性の型枠
KR100952991B1 (ko) * 2009-08-19 2010-04-16 김대현 슬리브 파이프 홀더
KR20140000615U (ko) * 2012-07-18 2014-01-29 하철상 길이조절이 용이한 관통슬리브
KR101317440B1 (ko) * 2013-04-11 2013-10-18 김윤수 관통슬리브 고정구조체 및 그 설치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499B1 (ko) * 2016-08-03 2018-02-01 고의환 슬라이더형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KR101846481B1 (ko) * 2016-10-05 2018-04-06 고의환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KR101901803B1 (ko) * 2017-03-14 2018-09-27 필립산업 (주)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KR102031643B1 (ko) * 2019-07-15 2019-10-14 박경환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
KR102030792B1 (ko) * 2019-07-16 2019-10-10 신동열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235B1 (ko)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통 슬리브 설치 방법
TW201039937A (en) Quick clamping assembly for driving a knockout punch
US2424759A (en) Strain-relief bushing
NZ554570A (en) A ferrule support with head to engage to formwork via head, and finger on other end being push fit into ferrule
WO2017039199A1 (ko)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
KR101247379B1 (ko) 콘크리트맨홀 거푸집
JP6998815B2 (ja) インサートの取付用治具およびスリーブ、インサートの取付方法
WO2014139228A1 (zh) 一种混凝土模板锁扣装置
JP2019204650A (ja) 充電コネクタ
CA2984737C (en) Forming apparatus
KR20150106014A (ko) 단열재 시공용 파스너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KR200474654Y1 (ko) 철근 배근용 스페이서
US3643909A (en) Plastic plugs for use in concrete forms
KR20160133952A (ko) 보강재 삽입구가 내장된 옹벽 페이싱 부재
JP3201391U (ja) ベルト結束用補助具
JP6742127B2 (ja) 貫通孔形成用型枠及び貫通孔形成方法
US10731365B2 (en) Apparatus for securing a coping form
US10486274B2 (en) Tapered extraction device
KR20190001817U (ko) 거푸집 간격유지 고정장치
JP3041258U (ja) 光ファイバプラグの脱着治具
KR20190133842A (ko) 고무 케이블타이
KR200148469Y1 (ko) 자동차 도어의 레귤레이터 핸들의 장착구조
KR100475461B1 (ko)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구
JP6557096B2 (ja) ボイド管固定具
KR20150002998U (ko) 피씨강선 인장을 위한 보수용 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