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643B1 -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643B1
KR102031643B1 KR1020190085195A KR20190085195A KR102031643B1 KR 102031643 B1 KR102031643 B1 KR 102031643B1 KR 1020190085195 A KR1020190085195 A KR 1020190085195A KR 20190085195 A KR20190085195 A KR 20190085195A KR 102031643 B1 KR102031643 B1 KR 102031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fixing
support pipe
wall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환
Original Assignee
박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환 filed Critical 박경환
Priority to KR1020190085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05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5Fulle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10Esters of organic acids, i.e. acylates
    • C08L1/12Cellulose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hlorop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2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3/00Compositions of natural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3/04Ros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관통 슬리브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의 직경이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직경이 상이한 관통 슬리브를 호환하여 고정할 수 있고, 슬리브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옹벽시공시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벽체를 관통하는 파이프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ADHERE EQUIPMENT OF SLEEVE FOR BREAST WALL}
본 발명은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통 슬리브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의 직경이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직경이 상이한 관통 슬리브를 호환하여 고정할 수 있고, 슬리브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옹벽시공시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벽체를 관통하는 파이프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는 각종 전기의 배선 및 가스설비의 배관용 통공, 소방설비의 배관용 통공을 벽체 및 옹벽 부위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관통 슬리브를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건축물의 벽면 옹벽에 관통하는 배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거푸집 내측으로 일정한 직경과 길이를 갖는 단일의 파이프형 건축용 관통 슬리브를 사용한다.
상기 건축용 관통슬리브는 일반적으로 거푸집 속에 먼저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 속에 매설하게 된다. 또한, 근래에는 상기 관통 슬리브가 콘크리트 타설 시 정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거푸집에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종래의 슬리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매설되는 원통형의 슬리브 몸체(101)와, 이 슬리브 몸체(101)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벽체를 이루는 거푸집(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된 원판형의 고정브라켓트(102) 및, 이 고정브라켓트(102)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거푸집(200)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ㄱ자형을 이루는 고정편(1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슬리브(100)는 콘크리트 타설전에 거푸집(200)의 사이에 고정설치되어 파이프의 통로를 이루도록 한 것으로, 상기 슬리브 몸체(101)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고정브라켓트(102)와 고정편(103)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트(102)와 고정편(103)이 거푸집(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시공하면, 시공된 벽체에 파이프가 지나갈 수 있는 슬리브(100)가 설치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슬리브는 슬리브 몸체(101)의 고정하는 고정브라켓트(102)의 직경을 조절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슬리브 몸체의 직경에 따라 각각의 슬리브 몸체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브라켓을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슬리브는 그 위치를 조절하여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시공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슬리브(100)의 위치를 옮기고자 할 때 그 해체와 조립이 불편하기 때문에 벽체의 시공시 유지 및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관통 슬리브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의 직경이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직경이 상이한 관통 슬리브를 호환하여 고정할 수 있는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그 목적은 슬리브를 원하는 설치 높이로 조절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옹벽시공시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벽체를 관통하는 파이프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거푸집 사이에 설치되어 벽체에 매설되는 원통형의 슬리브를 고정시키기 위한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슬리브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는 원통형태를 이루도록 상단이 각각 내부가 중공으로 마련된 중심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원통형의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 고정부의 끝단부에는 외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의 끝단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하단이 상기 중심축의 중앙부분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파이프와; 일단부 저면에 상기 지지파이프의 상단이 결합되고 중앙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판과; 양단 상측으로 상기 슬라이딩판의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중앙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 및 관통공을 통해 박힘되는 못을 통해 거푸집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중심축을 통해 삽입되고 거푸집에 고정되어 중심축을 거푸집에 지지고정시키는 고정못과;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슬리브의 양단부를 밀폐하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는 거푸집 내에 설치되는 슬리브의 직경에 따라 슬리브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의 직경이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고정부재를 통해 직경이 상이한 다양한 슬리브를 호환하여 고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브라켓에서 슬라이딩판이 끼움되는 좌우 위치 및 지지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하여 슬리브가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옹벽 시공시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벽체를 관통하는 파이프의 위치에 따라 그 설치위치를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어 벽체의 시공성을 월등히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못을 통해 거푸집에 고정부재가 견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거푸집을 통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고정부재에 고정된 슬리브가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정위치에서 이동하거나 뒤틀리지 않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가 벽체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가 슬리브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가 슬리브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는 거푸집(1) 사이에 설치되어 벽체에 매설되는 원통형의 슬리브(S)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부재(10), 지지파이프(20), 슬라이딩판(30), 고정브라켓(40), 고정못(50) 및 뚜껑(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S)는 원통형상의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거푸집(1)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벽체에 매설된다.
상기 고정부재(10)는 상기 슬리브(S)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S)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는 원통형태를 이루도록 상단이 각각 내부가 중공(13a)으로 마련된 중심축(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원통형의 제1고정부(11) 및 제2 고정부(12)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10)는, 슬리브(S)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슬리브(s)의 양단부를 지지 고정하고, 제1 고정부(11) 및 제2 고정부(12)가 중심축(1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리브(S)의 외면을 양측에서 감싸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부(11) 및 제2 고정부(12)의 상단에는 회동링부(11a, 12a)가 형성되어 상기 중심축(13)에 끼워진 다음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부(11)의 끝단부에는 외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걸림홈(11b)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12)의 끝단부에는 상기 걸림홈(11b)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기(12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 고정부의 걸림돌기(12b)가 제1 고정부의 걸림홈(11b)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슬리브(S)의 직경에 맞게 고정부재가 원형을 이루면서 슬리브(S)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슬리브(S)의 직경에 따라 슬리브(S)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0)의 직경이 변화되기 때문에, 고정부재(10)를 통해 직경이 상이한 슬리브(S)를 호환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파이프(20)는 하단이 상기 중심축(13)의 중앙부분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파이프(20)는 슬리브(S)가 거푸집의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일정한 높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10)의 상측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슬라이딩판(30)은 일단부 저면에 상기 지지파이프(20)의 상단이 결합되고 중앙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공(31)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40)은 양단 상측으로 상기 슬라이딩판(30)의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레일홈(41)이 형성되고, 중앙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공(31)과 대응되는 관통공(42)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31) 및 관통공(42)을 통해 박힘되는 못(A)를 통해 거푸집(1)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판(30) 및 고정브라켓(40)의 구성에 의해, 고정브라켓(40)에서 슬라이딩판(30)을 슬라이딩시켜 좌우 위치를 조절한 다음, 슬라이딩판의 체결공(31) 및 고정브라켓의 관통공(42)에 못(A)을 삽입시켜 거푸집(1)의 상면에 박혀 고정되게 함으로써 슬라이딩판(30) 및 고정브라켓(40)이 거푸집(1)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거푸집(1)에 설치되는 슬리브(S)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1)에 설치되는 슬리브(S)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파이프(20)는 하단이 상기 중심축(13)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공(21a)이 순차적으로 관통 형성되는 하부지지파이프(21)와, 상단이 상기 슬라이딩판(30)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측으로 상기 하부지지파이프(2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끼움공(21a)과 대응되는 고정공(22a)이 순차적으로 관통 형성되는 상부지지파이프(2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파이프(22)에서 하부지지파이프(21)를 상하 슬라이딩시켜 지지파이프(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한 다음, 끼움공(21a)과 이에 대응되는 고정공(22a)에 고정핀(P)을 삽입하여 상부지지파이프(22)와 하부지지파이프(21)가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시키면, 거푸집(1)에 설치되는 슬리브(S)의 상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못(50)은 상기 중심축(13)을 통해 삽입되고 거푸집(1)에 고정되어 중심축(13)을 거푸집(1)에 지지 고정시키게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못(50)은 상기 중심축(13)의 내부를 관통하여 그 단부가 거푸집(1)의 내측에 박혀 고정됨으로써 중심축(13)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0)가 거푸집(1)의 내측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못(50)을 통해 고정된 고정부재(10)는 상기 거푸집(1)을 통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할 때, 고정부재에 고정된 슬리브(S)가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정위치에서 이동하거나 뒤틀리지 않게 한다.
상기 뚜껑(60)은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슬리브의 양단부를 밀폐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뚜껑(60)은 슬리브(S)의 시공시 슬리브(S) 내부로 콘크리트가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60)은 콘크리트 시공이 끝나면 손가락으로 툭툭 쳐서 슬리브(S)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특히, 상기 뚜껑(60)은 콘크리트 타설시 슬리브 내부로 물이나 콘크리트가 흘러들어가지 않게 슬리브의 양단부를 완벽하게 밀폐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뚜껑(60)은 BWS(Bentonite Water Stop, 벤토나이트 수팽창 지수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BWS는 물과 접촉하였을 때 체적의 16배에 달하는 고팽창성을 지닌 소디움 벤토나이트를 압축 성형한 후 그 둘레면을 그물망사로 막아 일정치수가 되게 가공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BWS는 독특한 수화팽창 능력 때문에 계면에서의 씰링성을 강화시키게 되는데, 예컨대 물과 접촉하는 순간 급속히 팽창하면서 완벽한 씰링성을 유지하게 된다. 나아가, 수화팽창에 의해 1차적인 지수(止水) 기능을 수행하면서 슬리브 계면에 생긴 균열이나 공극이 있을 경우 균열과 공극까지 채워지면서 씰링하는 자체 보수(Self-Sealing) 기능까지 구현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뚜껑(60)의 경우, 성형되는 소디움 벤토나이트는 화학적 특성을 변화시키기 않으면서 점결시키는 점결성이 있으므로 연성과 내구성 및 압축변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소디움 벤토나이트에 클로로프렌 고무 7.5중량%와, 트랜스-1,2-에틸렌 디카르복실산 2.5중량%와, 폴리아미드아민(Poly amide-amine) 2.5중량% 및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2.5중량%를 더 혼합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때, 클로로프렌 고무는 친수성 고분자로 성형성을 좋게 하면서 압축시 변형력을 좋게 하고, 탄성력이 있어 변형시 끊어짐을 방지하여 완벽한 씰링 기능을 강화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트랜스-1,2-에틸렌 디카르복실산(C4H4O4)은 입자간 엉김현상을 방지하고 분산안정성을 부여하며, 인장력과 굴곡강도를 향상시켜 압축 변형을 쉽게 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폴리아미드아민은 내열, 내한성을 유지하면서 지수기능을 강화시키는데 유리한 작용을 하므로 첨가한다.
또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는 셀룰로오스를 구성하는 파라노스(pyranose) 고리로 인해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게 되므로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슬리브에서 뚜껑(60)의 지수(止水)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슬리브에 뚜껑을 결합하여 슬리브를 밀봉한 상태로 수조에 담궜다. 그리고, 수밀성 테스트를 위해 이 상태로 5일간 방치하였다. 5일이 경과한 다음, 슬리브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하였다. 육안으로 확인결과, 슬리브 내부로 침수가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지수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13)을 기준으로 제1 고정부(11) 및 제2 고정부(12)를 회동시켜, 상기 제2 고정부의 걸림돌기(12b)가 제1 고정부의 걸림홈(11b)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줌으로써 슬리브(S)의 직경에 맞게 고정부재가 원형을 이루면서 슬리브(S)를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거푸집(1) 내에 설치되는 슬리브(S)의 직경에 따라 슬리브(S)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0)의 직경이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고정부재(10)를 통해 직경이 상이한 슬리브(S)를 호환하여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40)에서 슬라이딩판(30)이 끼움되는 좌우 위치 및 지지파이프(20)의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리브(S)가 거푸집(1)에 설치될 때 그 위치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S)를 거푸집(1) 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조절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옹벽 시공시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벽체를 관통하는 파이프의 위치에 따라 그 설치위치를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벽체의 시공성을 월등히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못(50)을 통해 거푸집(1)에 고정부재(10)가 견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1)을 통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1) 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할 때, 고정부재에 고정된 슬리브(S)가 콘크리트(C)의 하중에 의해 정위치에서 이동하거나 뒤틀리지 않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와 슬리브(S)의 사이에는 쿠션고무패드(70)가 개재되어 슬리브의 진동, 충격 및 소음을 감쇠시키고, 절연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쿠션고무패드(70)는 클로로프렌의 중합체로 된 고분자 화합물인 폴리클로로프렌(polychloroprene)을 사용한다. 상기 폴리클로로프렌은 내구성·내오존성·내열성·내약품성이 우수한 소재이다. 이와 같은 쿠션고무패드(70)는 방진 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진동, 충격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키게 되고, 과도 진동, 서징 및 요동이 방지되므로, 절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쿠션고무패드(70)는 콘크리트(C) 타설시 반복되는 수축 팽창, 충격 완충 작용시 발생되는 발열에 따른 경화와 그로 인한 열화에 의해 탄성완충력이 상실되는 피로한계가 짧아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과황산 암모늄 2.5중량%와, 0.5㎛ 입도를 갖는 순지트(shungite) 분말 5.0중량%와, 붕산 2.5중량%와, PEBAX(Polyether-block-amide) 3.0중량%와, 라텍스 에멀젼 4.0중량%와, 실리콘유 0.2중량%와, 폴리카르복시산소다염 4.5중량%와, 모레큐라시브스 2.5중량%와, 로진 1.5중량% 및 나머지 폴리클로로프렌으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과황산 암모늄(Ammonium Persulfate)은 산도를 조절하여 내산화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열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순지트는 규산염과 풀러렌이 주로 함유된 천연 광물로서, 특히 흑연 미세 결정이 다량 포함된 광물의 분말이다.
이러한 흑연 미세 결정은 내열성을 강화시키고 열팽창율을 줄여 방진패드의 고무성분이 열화되고 수없는 반복 굴신시 유발되는 급격한 피로강도 저하를 방지한다. 이에 더하여, 풀러렌(fullerene)을 60% 이상 함유된 순지트를 사용할 경우 탄소의 3번째 동소체인 플러렌의 천연 항산화작용에 의한 곰팡이 등의 세균 증식이나 활성을 자체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오염도 방지하고 장수명화를 달성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붕산은 붕소를 중심원자로 하는 산소산의 염으로서, 흑연 미세 결정과의 결합에 의해 내산화성이 강화되어 하중과 압력이 걸려도 극히 적은 변형을 유지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열화를 억제하고, 고온에서의 변형이 적으며, 화학적으로도 내식성 및 내마모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PEBAX(Polyether-block-amide)는 저온에서도 경도변화가 작고 내피로성이 뛰어나며 비중이 작아 성형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흡습성이 낮고, 내굴곡 피로성, 내후성, 유연성, 내크립성, 접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라텍스 에멀젼은 연화점을 높이며 신도는 크게 하고 고온에서 점도를 증가시켜 내열성 및 마모 저항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실리콘유는 상기 라텍스 에멀젼이 에멀젼 상태로 배합되기 때문에 기포 생성에 따른 성형 불량 문제가 야기될 수 있으므로 이를 없애기 위해 소량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폴리카르복시산소다염은 액상의 고성능 분산제로서 조색성 및 점도안정성이 우수하며, 본 발명에서는 성형시 비균일 분산에 따른 핀홀 생성, 주름 발생 등 성형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모레큐라시브스(Molecular Sieves)는 극히 낮은 수증기 분압하에서 거의 포화 흡착량에 가까운 흡착용량을 갖는 강력한 흡습성과 3차원 망목구조 세공 결정 구조의 특성을 이용하여 방음성, 흡음성, 충격완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로진(Rosin)은 송진을 수증기로 증류하여 테레빈유를 제거한 다음에 남는 담황색 또는 갈색의 투명한 액체로서 성분간 결합성을 강화시키면서 점도를 조절하며 라텍스 에멀젼의 분산성을 높이고, 성형시 바인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폴리클로로프렌은 위에서 설명한 베이스 수지이다.
이렇게 성형된 쿠션고무패드(70) 샘플에 대해 열화저항성을 테스트하였다. 테스트는 샘플에 10kg의 충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분당 20회전하는 타바(impact bar)로 샘플 상단을 타격하였으며, 이 과정은 2개월간 지속하였다.
2개월 후 샘플 표면에서의 열화, 즉 경화 발생여부, 크랙 발생여부, 탄성복귀력 저하 여부를 돋보기와 누름기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경화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탄성복귀력도 정상상태를 유지하고 있었고, 변색도 없었으며, 크랙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고정부재 11: 제1 고정부
12: 제2 고정부 20: 지지파이프
30: 슬라이딩판 40: 고정브라켓
50: 고정못 60: 뚜껑
70: 고무쿠션패드 A: 못
P: 고정핀 S: 슬리브

Claims (4)

  1. 거푸집 사이에 설치되어 벽체에 매설되는 원통형의 슬리브를 고정시키기 위한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슬리브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는 원통형태를 이루도록 상단이 각각 내부가 중공으로 마련된 중심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원통형의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 고정부의 끝단부에는 외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의 끝단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하단이 상기 중심축의 중앙부분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파이프와;
    일단부 저면에 상기 지지파이프의 상단이 결합되고 중앙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판과;
    양단 상측으로 상기 슬라이딩판의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중앙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 및 관통공을 통해 체결되는 못를 통해 거푸집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중심축을 통해 삽입되고 거푸집에 고정되어 중심축을 거푸집에 지지고정시키는 고정못과;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슬리브의 양단부를 밀폐하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슬리브의 사이에는 쿠션고무패드 개재되어 슬리브의 진동, 충격 및 소음을 감쇠시키고, 절연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쿠션고무패드는 과황산 암모늄 2.5중량%와, 0.5㎛ 입도를 갖는 순지트(shungite) 분말 5.0중량%와, 붕산 2.5중량%와, PEBAX(Polyether-block-amide) 3.0중량%와, 라텍스 에멀젼 4.0중량%와, 실리콘유 0.2중량%와, 폴리카르복시산소다염 4.5중량%와, 모레큐라시브스 2.5중량%와, 로진 1.5중량% 및 나머지 폴리클로로프렌으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파이프는 하단이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공이 순차적으로 관통 형성되는 하부지지파이프와, 상단이 상기 슬라이딩판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측으로 상기 하부지지파이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끼움공과 대응되는 고정공이 순차적으로 관통 형성되는 상부지지파이프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지지파이프에서 하부지지파이프를 상하 슬라이딩시켜 지지파이프의 전체 길이를 조절한 다음, 끼움공과 이에 대응되는 고정공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상부지지파이프와 하부지지파이프가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소디움 벤토나이트를 압축 성형한 후 그 둘레면을 그물망사로 막아 일정치수가 되게 가공된 BWS(Bentonite Water Stop)으로 구성되는 데,
    상기 뚜껑은 소디움 벤토나이트에 클로로프렌 고무 7.5중량%와, 트랜스-1,2-에틸렌 디카르복실산 2.5중량%와, 폴리아미드아민(Poly amide-amine) 2.5중량% 및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2.5중량%를 더 혼합하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
  4. 삭제
KR1020190085195A 2019-07-15 2019-07-15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 KR102031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195A KR102031643B1 (ko) 2019-07-15 2019-07-15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195A KR102031643B1 (ko) 2019-07-15 2019-07-15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643B1 true KR102031643B1 (ko) 2019-10-14

Family

ID=6817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195A KR102031643B1 (ko) 2019-07-15 2019-07-15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6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372B1 (ko) * 2023-10-12 2024-04-16 원진기술산업주식회사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947Y1 (ko) * 2004-01-05 2004-08-11 한상조 벤토나이트 수팽창 지수재
KR20080087603A (ko) * 2007-03-27 2008-10-01 이은석 중공 파이프용 가설 고정구
KR100879734B1 (ko) * 2007-09-10 2009-01-20 (주) 통일화학 배관용 슬리브
JP3180821U (ja) * 2012-10-26 2013-01-10 株式会社東海建商 スリーブ固定具
KR101496235B1 (ko) * 2014-03-03 2015-02-26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통 슬리브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947Y1 (ko) * 2004-01-05 2004-08-11 한상조 벤토나이트 수팽창 지수재
KR20080087603A (ko) * 2007-03-27 2008-10-01 이은석 중공 파이프용 가설 고정구
KR100879734B1 (ko) * 2007-09-10 2009-01-20 (주) 통일화학 배관용 슬리브
JP3180821U (ja) * 2012-10-26 2013-01-10 株式会社東海建商 スリーブ固定具
KR101496235B1 (ko) * 2014-03-03 2015-02-26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관통 슬리브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통 슬리브 설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372B1 (ko) * 2023-10-12 2024-04-16 원진기술산업주식회사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643B1 (ko)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
NO337100B1 (no) Sementblanding og fremgangsmåte for å tette i en borebrønn
US6520261B1 (en) Thermal insulation material for subsea equipment
KR20100033424A (ko) 구조 엔지니어링을 위한 슬라이딩 베어링 및 슬라이딩 베어링을 위한 재료
KR102030792B1 (ko)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
CN106380825B (zh) 一种用于拼镶环换能器的聚氨酯透声橡胶
RU2606437C2 (ru) Смоля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уб на основе жесткого упвх, обладающая высокой прочностью и сопротивлением гидростатическому давлению, и трубы из жесткого упвх
KR101176823B1 (ko) 분말수지 및 폴리파이버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EP1632538A2 (en) Cryogenetic insulation
KR101751186B1 (ko)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 보수방법
JP6145399B2 (ja) タイルの補修方法及び注入剤
KR102100807B1 (ko) 댐퍼 내장형 에어스프링
FR3075918B1 (fr) Caisson isolant pour une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caisson
KR101673581B1 (ko) Frp 바와 목자재를 이용한 목조 건축물용 보수/보강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1051469B1 (ko)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초장력 철근의 제조방법
JP2007084400A (ja) コンクリート補強用材料
CN106747056B (zh) 一种超高应变高强度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175189B1 (ko) 건축물 바닥 잭업시스템
KR101606840B1 (ko) 구조물 보강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Belarbi et al. Effect of contamination on reinforcing bar-concrete bond
CN110951173A (zh) 一种用于制备阻尼芯柱的组合物及阻尼芯柱、阻尼隔震支座
KR101751187B1 (ko) 초조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용 콘크리트 단면 보수방법
CN111056768A (zh) 耐低温沥青混凝土及其制备方法
JP2611283B2 (ja) 免震用高ロスゴム組成物
KR20170090665A (ko)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철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