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372B1 -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372B1
KR102657372B1 KR1020230135619A KR20230135619A KR102657372B1 KR 102657372 B1 KR102657372 B1 KR 102657372B1 KR 1020230135619 A KR1020230135619 A KR 1020230135619A KR 20230135619 A KR20230135619 A KR 20230135619A KR 102657372 B1 KR102657372 B1 KR 102657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lamp
bracket
sleev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5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균
Original Assignee
원진기술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진기술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진기술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35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3Re-usable forms
    • E04G15/065Re-usable forms with mechanical means to modify the 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벽체 성형 공간의 상부에 배치된 천정 슬래브에 결합되어 벽체 성형 공간의 상부에서 벽체 성형 공간에 슬리브 본체를 배치할 수 있고, 슬리브 본체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 및 이의 시공 방법을 개시한다.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 및 이의 시공 방법은 건축물의 시공 시 벽체가 형성될 벽체 성형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형의 슬리브 본체 및 일부분은 벽체 성형 공간의 상부에 배치된 천정 슬래브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은 슬리브 본체에 결합되어 벽체 성형 공간에 배치된 슬리브 본체를 지지하는 슬리브 지그를 포함하고, 슬리브 지그는 상하 방향을 따라 신축되면서 슬리브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 및 이의 시공 방법{Penetrating sleeve with improved construction convenien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시공 시 벽체에 설치되는 관통 슬리브는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 벽체를 형성할 철근에 임시 거치되어 고정된다.
이때, 관통 슬리브는 철사를 통해 철근에 고정되거나, 격자형태로 제작된 별도의 잔여 철근들을 통해 철근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고정 방식들은 관통 슬리브가 철근에 완전히 고정되지 못하여 콘크리트의 타설중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관통 슬리브가 유동되면서 설정 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고정 방식들은 작업자가 사다리 등의 구조물에 올라선 상태에서 관통 슬리브를 철근에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하지 못하고, 시공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관통 슬리브는 건축물의 시공 시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임시 고정된 위치를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러나, 종래의 관통 슬리브 시공 방식은 관통 슬리브의 위치를 수정할 경우 관통 슬리브를 고정하고 있는 철사나, 격자형 철근구조물 등을 탈거한 후 위치를 조정하고 다시 철근에 결합해야함에 따라, 시공이 불편하고, 시공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018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 성형 공간의 상부에 배치된 천정 슬래브에 결합되어 벽체 성형 공간의 상부에서 벽체 성형 공간에 슬리브 본체를 배치하여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리브 본체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는 건축물의 시공 시 벽체가 형성될 벽체 성형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형의 슬리브 본체; 및 일부분은 상기 벽체 성형 공간의 상부에 배치된 천정 슬래브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슬리브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벽체 성형 공간에 배치된 상기 슬리브 본체를 지지하는 슬리브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지그는 상하 방향을 따라 신축되면서 상기 슬리브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리브 지그는, 상기 천정 슬래브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거치 브라켓; 상기 거치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조작공구에 의해 구동되는 소켓너트; 상기 소켓너트에 체결되고, 상기 소켓너트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소켓너트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소켓너트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소켓너트의 내부로 수납되는 승강볼트; 상기 승강볼트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볼트에 의해 승강되는 연결 브라켓; 상기 슬리브 본체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슬리브 본체를 지지하는 관형의 클램프; 및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클램프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 브라켓에 의해 승강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 브라켓은, 상기 천정 슬래브에 결합되어 상기 천정 슬래브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1 브라켓부; 상기 제1 브라켓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벽체 성형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소켓너트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2 브라켓부; 및 상기 제2 브라켓부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내부에 상기 소켓너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너트는, 상기 승강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홈; 상기 소켓너트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 유닛이 결합되는 베어링 결합홈; 및 상기 소켓너트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조작공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승강볼트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홈; 및 상기 커넥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커넥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 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일부분은 상기 제2 결합홈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클램프 결합구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클램프를 연결하는 연결 샤프트; 및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클램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클램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클램프의 유동을 제한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체 성형 공간을 중심으로 상기 슬리브 지그에 대향 배치되어, 일부분은 상기 천정 슬래브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슬리브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슬리브 본체를 지지하는 가이드 지그; 및 상기 슬리브 지그와 상기 가이드 지그를 연결하고, 상기 슬리브 지그와 상기 가이드 지그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가변형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지그는 상하 방향을 따라 신축되면서 상기 슬리브 본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지그는, 상기 천정 슬래브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보조 거치 브라켓; 상기 보조 거치 브라켓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가이드 부시; 상기 가이드 부시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부시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가이드 부시의 내부로 수납되는 승강샤프트; 상기 가이드 부시의 내부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승강샤프트 외면을 지지하고, 상기 승강샤프트가 이동되면 구름운동을 수행하여 상기 승강샤프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볼; 상기 승강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샤프트에 의해 승강되는 보조 연결 브라켓; 상기 슬리브 본체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슬리브 본체를 지지하는 관형의 보조 클램프; 및 상기 보조 연결 브라켓과 상기 보조 클램프를 연결하고, 상기 보조 연결 브라켓에 의해 승강되는 보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거치 브라켓은, 상기 천정 슬래브에 결합되어 상기 천정 슬래브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1 보조 브라켓부; 및 상기 제1 보조 브라켓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벽체 성형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부시를 지지하는 제2 보조 브라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연결 브라켓은, 상기 승강샤프트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보조 결합홈; 및 상기 보조 커넥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보조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클램프는, 상기 보조 커넥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클램프 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커넥터는, 일부분은 상기 제2 보조 결합홈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보조 클램프 결합구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연결 브라켓과 상기 보조 클램프를 연결하는 보조 연결 샤프트; 및 상기 보조 연결 브라켓과 상기 보조 클램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 연결 브라켓과 상기 보조 클램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보조 클램프의 유동을 제한하는 보조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형 연결부는, 일단부는 상기 제2 브라켓부에 형성된 제1-1 연결부 결합홈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보조 브라켓부에 형성된 제1-1 보조 연결부 결합홈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브라켓부와 상기 제2 보조 브라켓부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절첩 또는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제1 링크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연결 브라켓에 형성된 제1-2 연결부 결합홈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보조 연결 브라켓에 형성된 제1-2 보조 연결부 결합홈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보조 연결 브라켓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절첩 또는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의 시공 방법은 슬리브 본체의 외면에 관형의 클램프 및 보조 클램프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클램프를 슬리브 지그에 결합하고, 상기 보조 클램프를 가이드 지그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클램프 및 상기 보조 클램프에 지지된 상기 슬리브 본체를 벽체 성형 공간에 배치하고, 상기 벽체 성형 공간의 폭에 대응하여 가변형 연결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 천정 슬래브의 상면에 거치 브라켓과, 보조 거치 브라켓을 거치하고,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거치 브라켓과 상기 보조 거치 브라켓을 상기 천정 슬래브에 고정하는 단계; 및 조작공구를 상기 슬리브 지그에 결합하고, 상기 조작공구를 통해 상기 슬리브 지그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 상기 슬리브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벽체 성형 공간의 상부에 배치된 천정 슬래브에 결합되는 슬리브 지그를 이용하여 벽체 성형 공간의 상부에서 벽체 성형 공간으로 슬리브 본체를 배치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사다리나 받침대 등을 이용하여 철근에 관통 슬리브를 철사로 임시 고정하는 종래의 고정 방식에 비해 시공성이 향상되고,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 지그에 슬리브 본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고정되므로, 콘크리트의 타설 후에도 슬리브 본체가 설정 위치를 이탈하거나, 틀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 지그를 통해 신속히 슬리브 본체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므로, 작업의 지연을 방지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가 벽체 성형 공간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 브라켓 및 소켓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거치 브라켓 및 가이드 부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연결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가 벽체 성형 공간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1000)(이하 '관통 슬리브(1000)'라 함)는 관형의 슬리브 본체(1)와, 슬리브 본체(1)를 지지하는 슬리브 지그(2)를 포함한다.
슬리브 본체(1)는 건축물의 시공 시 벽체가 형성될 벽체 성형 공간(WS)의 상부에 배치된다.
슬리브 본체(1)는 축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 본체(1)는 관형의 고정부와, 고정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의 크기를 가지며, 고정부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관형의 가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슬리브 본체(1)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슬리브 지그(2)는 일부분이 벽체 성형 공간(WS)의 상부에 배치된 천정 슬래브(S)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이 슬리브 본체(1)에 결합되어 벽체 성형 공간(WS)에 배치된 슬리브 본체(1)를 지지한다.
슬리브 지그(2)는 조작공구(T)에 의해 작동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신축되면서 슬리브 본체(1)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슬리브 지그(2)는 거치 브라켓(21), 소켓너트(22), 승강볼트(23), 연결 브라켓(24), 클램프(25) 및 커넥터(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 브라켓 및 소켓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거치 브라켓(21)은 천정 슬래브(S)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소켓너트(22)를 지지할 수 있다.
거치 브라켓(21)은 천정 슬래브(S)에 결합되어 천정 슬래브(S)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1 브라켓부(211)와, 제1 브라켓부(21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벽체 성형 공간(WS)에 배치되고, 소켓너트(22)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2 브라켓부(212)와, 제2 브라켓부(212)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내부에 소켓너트(2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 유닛(213)을 포함할 수 있다.
소켓너트(22)는 거치 브라켓(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조작공구(T)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소켓너트(22)는 축방향을 따라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승강볼트(23)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홈(221)과, 소켓너트(22)의 외면에 형성되어 베어링 유닛(213)이 결합되는 베어링 결합홈(222)과, 소켓너트(22)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조작공구(T)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 헤드(2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헤드(223)는 육각 형상의 다면체로 형성되고, 조작공구(T)는 내부에 육각 형상의 다면체가 수용되는 소켓을 가질 수 있다.
승강볼트(23)는 소켓너트(22)에 체결될 수 있다.
승강볼트(23)는 소켓너트(22)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상하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어 소켓너트(22)의 외부로 돌출되고, 소켓너트(2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하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어 소켓너트(22)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볼트(23)는 육각 또는 원형의 헤드와, 헤드로부터 연장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샤프트 몸체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결 브라켓(24)은 승강볼트(23)의 단부에 결합되고, 승강볼트(23)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24)은 승강볼트(23)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홈(241)과, 커넥터(26)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홈(24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홈(241)은 연결 브라켓(24)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2 결합홈(242)은 연결 브라켓(24)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램프(25)는 슬리브 본체(1)의 외면에 결합되어 슬리브 본체(1)를 지지할 수 있다.
클램프(25)는 슬리브 본체(1)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할 수 있는 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램프(25)는 커넥터(26)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 결합구(25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프 결합구(251)는 커넥터(26)가 클램프(25)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슬롯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26)는 연결 브라켓(24)과 클램프(25)를 연결하고, 연결 브라켓(24)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커넥터(26)는 일부분이 제2 결합홈(242)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이 클램프 결합구(251)에 결합되어 연결 브라켓(24)과 클램프(25)를 연결하는 연결 샤프트(261) 및 연결 브라켓(24)과 클램프(25)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 브라켓(24)과 클램프(25)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클램프(25)의 유동을 제한하는 탄성부재(26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관통 슬리브(1000)는 가이드 지그(3) 및 가변형 연결부(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지그(3)는 벽체 성형 공간(WS)을 중심으로 슬리브 지그(2)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지그(3)의 일부분은 천정 슬래브(S)에 결합되고, 가이드 지그(3)의 다른 일부분은 슬리브 본체(1)에 결합되어 슬리브 본체(1)를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지그(3)는 상하 방향을 따라 신축되면서 슬리브 본체(1)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거치 브라켓 및 가이드 부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 지그(3)는 보조 거치 브라켓(31), 가이드 부시(32), 승강샤프트(33), 가이드 볼(34), 보조 연결 브라켓(35), 보조 클램프(36) 및 보조 커넥터(37)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거치 브라켓(31)은 천정 슬래브(S)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가이드 부시(32)를 지지할 수 있다.
보조 거치 브라켓(31)은 천정 슬래브(S)에 결합되어 천정 슬래브(S)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1 보조 브라켓부(311) 및 제1 보조 브라켓부(31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벽체 성형 공간(WS)에 배치되고, 가이드 부시(32)를 지지하는 제2 보조 브라켓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시(32)는 보조 거치 브라켓(31)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승강샤프트(33)를 지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승강샤프트(33)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부시(32)의 내부에는 승강샤프트(33)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샤프트(33)는 가이드 부시(32)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승강샤프트(33)는 가이드 부시(32)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가이드 부시(32)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샤프트(33)는 가이드 부시(3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와, 후술할 보조 연결 브라켓(35)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볼(34)은 가이드 부시(32)의 내부에 복수로 배치되어 승강샤프트(33) 외면을 지지하고, 승강샤프트(33)가 이동되면 구름운동을 수행하여 승강샤프트(33)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볼(34)은 가이드 부시(32)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연결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보조 연결 브라켓(35)은 승강샤프트(33)의 단부에 결합되고, 승강샤프트(33)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보조 연결 브라켓(35)은 승강샤프트(33)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보조 결합홈(351)과, 보조 커넥터(37)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보조 결합홈(3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조 클램프(36)는 슬리브 본체(1)의 외면에 결합되어 슬리브 본체(1)를 지지할 수 있다.
보조 클램프(36)는 슬리브 본체(1)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할 수 있는 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보조 클램프(36)는 보조 커넥터(37)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클램프 결합구(36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클램프 결합구(361)는 보조 커넥터(37)가 보조 클램프(36)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슬롯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보조 커넥터(37)는 보조 연결 브라켓(35)과 보조 클램프(36)를 연결하고, 보조 연결 브라켓(35)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보조 커넥터(37)는 일부분은 제2 보조 결합홈(352)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은 보조 클램프 결합구(361)에 결합되어 보조 연결 브라켓(35)과 보조 클램프(36)를 연결하는 보조 연결 샤프트(371) 및 보조 연결 브라켓(35)과 보조 클램프(36) 사이에 배치되어 보조 연결 브라켓(35)과 보조 클램프(36)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보조 클램프(36)의 유동을 제한하는 보조 탄성부재(37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변형 연결부(4)는 슬리브 지그(2)와 가이드 지그(3)를 연결하고, 슬리브 지그(2)와 가이드 지그(3)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변형 연결부(4)는 제1 링크부재(41) 및 제2 링크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링크부재(41)는 제2 브라켓부(212)와 제2 보조 브라켓부(312)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링크부재(41)의 일단부는 제2 브라켓부(212)에 형성된 제1-1 연결부 결합홈(212A)에 결합되고, 제1 링크부재(41)의 타단부는 제2 보조 브라켓부(312)에 형성된 제1-1 보조 연결부 결합홈(312A)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링크부재(41)는 제2 브라켓부(212)와 제2 보조 브라켓부(312)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절첩 또는 전개되는 다관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링크부재(42)는 연결 브라켓(24)과 보조 연결 브라켓(35)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 링크부재(42)의 일단부는 연결 브라켓(24)에 형성된 제1-2 연결부 결합홈(243)에 결합되고, 제2 링크부재(42)의 타단부는 보조 연결 브라켓(35)에 형성된 제1-2 보조 연결부 결합홈(353)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링크부재(42)는 연결 브라켓(24)과 보조 연결 브라켓(35)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절첩 또는 전개되는 다관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의 시공 방법(이하 '관통 슬리브 시공 방법'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관통 슬리브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관통 슬리브(1000)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슬리브 본체(1)의 외면에 관형의 클램프(25) 및 보조 클램프(36)를 결합한다(S110).
슬리브 본체(1)에 클램프(25) 및 보조 클램프(36)가 결합되면, 클램프(25)를 슬리브 지그(2)에 결합하고, 보조 클램프(36)를 가이드 지그(3)에 결합한다(S120).
클램프(25)와 보조 클램프(36)가 결합되면, 클램프(25) 및 보조 클램프(36)에 지지된 슬리브 본체(1)를 벽체 성형 공간(WS)에 배치하고, 벽체 성형 공간(WS)의 폭에 대응하여 가변형 연결부(4)의 길이를 조절한다(S130).
가변형 연결부(4)의 길이가 조절되면, 천정 슬래브(S)의 상면에 거치 브라켓(21)과, 보조 거치 브라켓(31)을 거치하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거치 브라켓(21)과 보조 거치 브라켓(31)을 천정 슬래브(S)에 고정한다(S140).
거치 브라켓(21)과 보조 거치 브라켓(31)이 천정 슬래브(S)에 고정되면, 조작공구(T)를 슬리브 지그(2)에 결합하고, 조작공구(T)의 조작을 통해 슬리브 지그(2)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 슬리브 본체(1)의 높이를 조절한다(S150).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벽체 성형 공간(WS)의 상부에 배치된 천정 슬래브(S)에 결합되는 슬리브 지그(2)를 이용하여 벽체 성형 공간(WS)의 상부에서 벽체 성형 공간(WS)으로 슬리브 본체(1)를 배치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사다리나 받침대 등을 이용하여 철근에 관통 슬리브(1000)를 철사로 임시 고정하는 종래의 고정 방식에 비해 시공성이 향상되고,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 지그(2)에 슬리브 본체(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고정되므로, 콘크리트의 타설 후에도 슬리브 본체(1)가 설정 위치를 이탈하거나, 틀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 지그(2)를 통해 신속히 슬리브 본체(1)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므로, 작업의 지연을 방지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관통 슬리브
1. 슬리브 본체
2. 슬리브 지그
21. 거치 브라켓
211. 제1 브라켓부
212. 제2 브라켓부
212A. 제1-1 연결부 결합홈
213. 베어링 유닛
22. 소켓너트
221. 체결홈
222. 베어링 결합홈
223. 조작 헤드
23. 승강볼트
24. 연결 브라켓
241. 제1 결합홈
242. 제2 결합홈
243. 제1-2 연결부 결합홈
25. 클램프
251. 클램프 결합구
26. 커넥터
261. 연결 샤프트
262. 탄성부재
3. 가이드 지그
31. 보조 거치 브라켓
311. 제1 보조 브라켓부
312. 제2 보조 브라켓부
312A. 제1-1 보조 연결부 결합홈
32. 가이드 부시
33. 승강샤프트
34. 가이드 볼
35. 보조 연결 브라켓
351. 제1 보조 결합홈
352. 제2 보조 결합홈
353. 제1-2 보조 연결부 결합홈
36. 보조 클램프
361. 보조 클램프 결합구
37. 보조 커넥터
371. 보조 연결 샤프트
372. 보조 탄성부재
4. 가변형 연결부
41. 제1 링크부재
42. 제2 링크부재
T. 조작공구
WS. 벽체 성형 공간
S. 천정 슬래브

Claims (3)

  1. 건축물의 시공 시 벽체가 형성될 벽체 성형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형의 슬리브 본체; 및
    일부분은 상기 벽체 성형 공간의 상부에 배치된 천정 슬래브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슬리브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벽체 성형 공간에 배치된 상기 슬리브 본체를 지지하는 슬리브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지그는 상하 방향을 따라 신축되면서 상기 슬리브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리브 지그는,
    상기 천정 슬래브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거치 브라켓;
    상기 거치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조작공구에 의해 구동되는 소켓너트;
    상기 소켓너트에 체결되고, 상기 소켓너트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소켓너트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소켓너트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소켓너트의 내부로 수납되는 승강볼트;
    상기 승강볼트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볼트에 의해 승강되는 연결 브라켓;
    상기 슬리브 본체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슬리브 본체를 지지하는 관형의 클램프; 및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클램프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 브라켓에 의해 승강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 브라켓은,
    상기 천정 슬래브에 결합되어 상기 천정 슬래브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1 브라켓부;
    상기 제1 브라켓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벽체 성형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소켓너트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2 브라켓부; 및
    상기 제2 브라켓부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내부에 상기 소켓너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너트는,
    상기 승강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홈;
    상기 소켓너트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 유닛이 결합되는 베어링 결합홈; 및
    상기 소켓너트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조작공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승강볼트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홈; 및
    상기 커넥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커넥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 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일부분은 상기 제2 결합홈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클램프 결합구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클램프를 연결하는 연결 샤프트; 및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클램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클램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클램프의 유동을 제한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
  2. 삭제
  3. 삭제
KR1020230135619A 2023-10-12 2023-10-12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657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5619A KR102657372B1 (ko) 2023-10-12 2023-10-12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5619A KR102657372B1 (ko) 2023-10-12 2023-10-12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372B1 true KR102657372B1 (ko) 2024-04-16

Family

ID=9088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5619A KR102657372B1 (ko) 2023-10-12 2023-10-12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3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702B1 (ko) * 2012-09-24 2014-03-10 하철상 자동으로 길이조절이 되면서 견고한 고정설치가 되는 관통슬리브
KR101901803B1 (ko) 2017-03-14 2018-09-27 필립산업 (주)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KR102031643B1 (ko) * 2019-07-15 2019-10-14 박경환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702B1 (ko) * 2012-09-24 2014-03-10 하철상 자동으로 길이조절이 되면서 견고한 고정설치가 되는 관통슬리브
KR101901803B1 (ko) 2017-03-14 2018-09-27 필립산업 (주)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KR102031643B1 (ko) * 2019-07-15 2019-10-14 박경환 벽체 옹벽용 관통 슬리브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7094B2 (ja) レールガイド式クライミングシステム
CN100354195C (zh) 折叠式顶部弯曲装置
KR101948307B1 (ko) 건물 외벽 시공방법
KR200384393Y1 (ko) 건축용 고하중 서포트
KR102657372B1 (ko) 시공 편의성을 개선한 관통 슬리브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73982B1 (ko)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
CN110259087B (zh) 脚手架支撑结构及脚手架支撑系统
JP2010084367A (ja) 高所作業台
KR102118725B1 (ko) 작업대 지지 장치
CN207960496U (zh) 便于安装钻具的自起吊式卧式钻机
KR20060037137A (ko) 건축용 서포트의 간격유지장치
US818005A (en) Telescopic trestle.
CN113605676A (zh) 一种建筑用附着式脚手架
JPH1130089A (ja) 法面さく孔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装置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JP6152411B1 (ja) 足場における単管接続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る足場
JP3121487U (ja) ローリングタワー
KR101796853B1 (ko) 서포트 길이 연장용 익스텐더
JP2010070946A (ja) 床支持ボルトおよび床支持装置
CN205973549U (zh) 可调扶墙
KR200370427Y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CN217537954U (zh) 一种用于斜撑杆体的伸缩装置
KR102075043B1 (ko) 가설부재 세움이
KR200388764Y1 (ko) 타워크레인의 벽체고정용 연결대
JP2020045700A (ja) 床束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