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043B1 - 가설부재 세움이 - Google Patents

가설부재 세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043B1
KR102075043B1 KR1020180041506A KR20180041506A KR102075043B1 KR 102075043 B1 KR102075043 B1 KR 102075043B1 KR 1020180041506 A KR1020180041506 A KR 1020180041506A KR 20180041506 A KR20180041506 A KR 20180041506A KR 102075043 B1 KR102075043 B1 KR 102075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coupling
hole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318A (ko
Inventor
채다인
Original Assignee
(주)동은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은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동은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180041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04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3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only fixed at one of the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only fixed at one of the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설부재 세움이에 관한 것으로, 가설부재의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유닛, 일측이 상기 수직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유닛과 삽입 결합되며, 결합홀을 포함하는 결합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결합유닛을 결합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하부로부터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결합유닛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수직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설부재 세움이{SUPPORT STRUCTURE OF TEMPORARY MEMBERS}
본 발명은 가설부재 세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공사는 철골조, 철근콘크리트 등 각종 구조시스템에 따라 기둥, 보, 슬래브 등을 구축하여 건물의 뼈대를 형성하는 골조공사와, 골조공사 완료 후 완성된 골조의 외부표면에 타일, 석재, 커튼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등 각종 마감재를 시공하여 건물의 외벽을 장식하는 마감공사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통상 아파트, 빌딩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내외 벽체 및 기둥 등을 성형할 때,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시간 동안 상기 콘크리트가 원하는 형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의 양생에 의해 콘크리트가 일정한 강성을 갖기 전까지 거푸집의 하부를 바닥면 상에 지지시키는 동바리가 사용된다. 이러한 동바리는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을 연직방향으로 지지하고, 콘크리트의 양생 시, 콘크리트의 처짐이나 균열을 방지하여 안전한 구조의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동바리 등의 가설부재는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수직재와, 수직재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재와, 수직재와 수직재 사이를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가새(gusset) 등으로 이루어진다. 동바리 등의 가설부재는 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수직재, 수평재, 가새, 및 클램프 등을 현장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설치가 완성되면 수직재와 수평재들이 서로 교차되는 격자형태를 이룬다. 이에 관해서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136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동바리 등의 가설부재는 복수의 수직재, 수평재, 및 가새를 현장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클램프로 서로 연결하여 설치함에 따라 설치작업에 따른 작업인력 및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동바리 등의 가설부재는 해체작업이 설치작업의 역순으로 이루어져 해체작업 또한 작업인력 및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시공현장에서는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에 따른 작업인력 및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지지부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설부재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가설부재 세움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는 가설부재의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유닛, 일측이 상기 수직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유닛과 삽입 결합되며, 결합홀을 포함하는 결합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결합유닛을 결합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하부로부터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결합유닛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수직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이 관통되는 지지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가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부가 상기 지지홀부 및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면, 상기 결합유닛이 상기 지지유닛 쪽으로 당겨져, 상기 결합유닛이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지지유닛의 말단을 결합시켜 상기 가설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수직부재와 접촉되는 일단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유닛이 삽입 결합되는 지지홈부와, 상기 지지홈부에 인접하며 상기 고정유닛이 삽입 결합되는 지지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홈부는 대칭되게 좌우로 제1 및 제2 지지홈부가 배치되며, 상기 지지홀부는 대칭되게 상하로 제1 및 제2 지지홀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지지유닛과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지지홈부와 삽입 결합되는 돌출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수직부재를 그립하는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는 갈고리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된 부분이 상기 제2 지지홈부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홀부에 걸리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가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부가 상기 지지홀부 및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삽입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직부재를 그립하게 되어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수직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가변부의 하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하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절곡된 부분이 상기 결합유닛의 결합홀에 걸쳐 있어 상기 결합유닛과 상기 수직부재의 분리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는 상기 하측부는 고정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홀과 결합되어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지지유닛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은, 일단이 상기 수직부재와 접촉되며 벤딩된 부분을 포함하는 절곡지지부, 및 일단이 상기 수직부재와 접촉되고,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절곡지지부와 결합되는 수평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은 일단이 상기 절곡지지부와 결합되고,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수평지지부와 결합되는 수직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유닛의 가변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져 지지홀부 및 결합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면, 결합유닛이 지지유닛 쪽으로 당겨지게 되어 결합유닛이 수직부재와 지지유닛의 말단을 용이하게 결합시켜 가설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역으로, 고정유닛이 지지홀부 및 결합홀을 관통하여 삽입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면, 고정유닛과 지지홀부 및 결합홀의 삽입 결합이 헐거워져 결합유닛이 수직부재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수직부재와 지지유닛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결합유닛 및 지지유닛이 용이하게 수직부재와 분리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는 절곡지지부 및 수평지지부와 결합하여 지지유닛의 구조를 보강함으로써 가설부재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결합유닛의 돌출부와 그립부는 제1 및 제2 지지홈부와 각각 삽입 결합되어 결합유닛이 지지홈부를 슬라이드하며 X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립부는 갈고리 형태를 포함하여 수직부재의 원기둥 형태에 대응하여 수직부재를 안정적으로 그립할 수 있다.
고정유닛과 결합유닛이 지지유닛과 결합되는 구조가 간단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이 높고,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공현장에서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에 따른 작업인력 및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분리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 일실시예의 지지유닛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 일실시예의 결합유닛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 일실시예의 고정유닛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 일실시예의 수직부재와 결합된 개략적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 일실시예의 수직부재와 결합된 개략적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 일실시예의 수직부재와 분리된 개략적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 일실시예의 수직부재와 분리된 개략적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9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900)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결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900)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분리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900) 일실시예의 지지유닛(100)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900)는 지지유닛(100), 결합유닛(200), 고정유닛(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가설부재는 동바리나 거푸집 등 공사중 임시로 설치되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설부재 세움이(900)는 가설부재를 지지하는 구조물을 뜻한다.
가설부재 세움이(900)는 가설부재의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재(10)를 지지하는 지지유닛(100), 일측이 수직부재(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유닛(100)과 삽입 결합되며, 결합홀(211)을 포함하는 결합유닛(200), 및 지지유닛(100)과 결합홀(211)을 관통하여 지지유닛(100)과 결합유닛(200)을 결합시키는 고정유닛(300)을 포함하며, 고정유닛(300)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하부로부터 결합홀(211)을 관통하면서 결합유닛(200)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지유닛(100)과 수직부재(1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지지유닛(100)은 수직부재(10)와 접촉되는 일단에 위치되며 결합유닛(200)이 삽입 결합되는 지지홈부(110)와, 지지홈부(110)에 인접하며 고정유닛(300)이 삽입 결합되는 지지홀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홈부(110)는 대칭되게 좌우로 제1 및 제2 지지홈부(111, 112)가 배치되며, 지지홀부(120)는 대칭되게 상하로 제1 및 제2 지지홀부(121, 12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유닛(100)은 일단이 수직부재(10)와 접촉되며 벤딩된 부분(151)을 포함하는 절곡지지부(150), 및 일단이 수직부재(10)와 접촉되고,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절곡지지부(150)와 결합되는 수평지지부(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유닛(100)은 일단이 절곡지지부(150)와 결합되고,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수평지지부(160)와 결합되는 수직지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또는 도 6 및 도 7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유닛(100)은 가설부재의 상하(Z축 방향)로 연장된 수직부재(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홈부(110), 지지홀부(120), 절곡지지부(150), 수평지지부(160), 및 수직지지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홈부(110)는 수직부재(10)와 접촉되는 지지유닛(100)의 일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결합유닛(20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제1 지지홈부(111)와 제2 지지홈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지지홈부(110)는 후술하는 절곡지지부(150)의 일단과 후술하는 수평지지부(160)의 일단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지지홈부(110)는 ZX 평면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좌우로 제1 지지홈부(111)와 제2 지지홈부(112)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홀부(120)는 지지홈부(110)에 인접하여 지지유닛(100)에 배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고정유닛(30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제1 지지홀부(121)와 제2 지지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지지홀부(120)는 후술하는 절곡지지부(150)의 일단에 배치되는 지지홈부(110)와 후술하는 수평지지부(160)의 일단에 배치되는 지지홈부(11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지지홀부(120)는 XY 평면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상하로 제1 지지홀부(121)와 제2 지지홀부(12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절곡지지부(150)는 일단이 수직부재(10)와 접촉되며 벤딩된 부분(151)을 포함하는 것으로, 수직부재(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수직부재(10)와 접촉되는 일측에 지지홈부(110)와 지지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지지부(160)는 일단이 수직부재(10)와 접촉되고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절곡지지부(150)와 결합되는 것으로, 수직부재(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수직부재(10)와 접촉되는 일측에 지지홈부(110)와 지지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지지부(170)는 일단이 절곡지지부(150)와 결합되고 상하(Z축 방향)로 연장되어 타단이 수평지지부(160)와 결합되는 것으로, 절곡지지부(150) 및 수평지지부(160)와 결합되어 지지유닛(100)의 구조를 보강함으로써 가설부재를 효율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900) 일실시예의 결합유닛(200) 사시도이다.
결합유닛(200)은, 지지유닛(100)과 결합되는 본체부(210), 본체부(210)로부터 돌출되며 제1 지지홈부(111)와 삽입 결합되는 돌출부(220), 및 본체부(210)로부터 연장되며 수직부재(10)를 그립하는 그립부(230)를 포함하며, 그립부(230)는 갈고리 형태를 포함하며, 본체부(210)로부터 연장된 부분이 제2 지지홈부(112)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결합유닛(200)은 일측이 수직부재(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유닛(100)과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유닛(100)과 수직부재(10)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체부(210), 돌출부(220), 그립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10)는 지지유닛(100)과 결합되는 것으로, 결합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본체부(210)는 절곡지지부(150)의 일측이나 수평지지부(160)의 일측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결합홀(211)은 본체부(210)에 위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고정유닛(300)과 결합유닛(20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고정유닛(300)이 삽입되어 결합유닛(200)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220)는 본체부(210)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 제1 지지홈부(111)와 삽입 결합되어 결합유닛(200)과 지지유닛(10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립부(230)는 본체부(210)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수직부재(10)를 그립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그립부(230)는 본체부(210)로부터 XY 평면상에서 돌출부(220)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지지홈부(112)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도 6 또는 도 7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그립부(230)는 갈고리 형태를 포함하여 수직부재(10)의 원기둥 형태에 대응하여 수직부재(10)를 안정적으로 그립할 수 있다.
결합유닛(200)의 돌출부(220)와 그립부(230)는 제1 및 제2 지지홈부(111, 112)와 각각 삽입결합되어 결합유닛(200)이 지지홈부(110)를 슬라이드하며 X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900) 일실시예의 고정유닛(300) 사시도이다.
고정유닛(300)은, 지지홀부(120)에 걸리는 머리부(310), 및 머리부(310)의 하측에 위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가변부(320)를 포함하며, 가변부(320)가 지지홀부(120) 및 결합홀(211)을 관통하여 삽입됨에 따라 그립부(230)가 수직부재(10)를 그립하게 되어 지지유닛(100)과 수직부재(10)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고정유닛(300)은 가변부(320)의 하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하측부(330)를 더 포함하며, 고정유닛(300)은 절곡된 부분이 결합유닛(200)의 결합홀(211)에 걸쳐 있어 결합유닛(200)과 수직부재(10)의 분리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으며, 하측부(330)는 고정홀(331)을 포함하며, 고정홀(331)과 결합되어 고정유닛(300)이 지지유닛(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유닛(300)은 지지홀부(120)와 결합홀(211)을 관통하는 것으로, 지지유닛(100)과 결합유닛(20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머리부(310), 가변부(320), 및 하측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머리부(310)는 고정유닛(30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지지홀부(120)에 걸리게 되어 고정유닛(300)이 지지홀부(120)로 삽입되어 아래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변부(320)는 머리부(310)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져 가변부(320)가 결합홀(211)을 관통하여 삽입되면 그립부(230)가 수직부재(10)를 그립하게 되어 지지유닛(100)과 수직부재(1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 또는 도 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하측부(330)는 가변부(320)의 하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으로, 절곡된 부분이 결합홀(211)에 걸쳐 있는 경우 가변부(320)가 결합홀(211)을 관통하지 않게 되어 결합유닛(200)과 수직부재(10)의 분리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고정홀(33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또는 도 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결합핀부(400)는 하측부(330)에 위치되는 고정홀(331)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유닛(300)이 지지유닛(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결합핀부(400)는 고정유닛(300)이 제2 지지홀부(122)에 삽입 결합된 후 고정홀(331)에 삽입되어 고정유닛(300)이 지지유닛(100)을 이탈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900)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900) 일실시예의 수직부재(10)와 결합된 개략적인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900) 일실시예의 수직부재(10)와 결합된 개략적인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900) 일실시예의 수직부재(10)와 분리된 개략적인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부재 세움이(900) 일실시예의 수직부재(10)와 분리된 개략적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본 발명은 고정유닛(300)의 가변부(320)가 지지홀부(120) 및 결합홀(211)을 관통하여 삽입되면, 결합유닛(200)이 지지유닛(100) 쪽으로 당겨져, 결합유닛(200)이 수직부재(10)와 지지유닛(100)의 말단을 결합시켜 가설부재를 지지하는 가설부재 세움이(9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역으로 고정유닛(300)이 지지홀부(120) 및 결합홀(211)을 관통하여 삽입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면, 고정유닛(300)과 지지홀부(120) 및 결합홀(211)의 삽입 결합이 헐거워져 결합유닛(200)이 수직부재(10)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수직부재(10)와 지지유닛(100)의 결합이 해제되어 결합유닛(200) 및 지지유닛(100)이 수직부재(10)와 분리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170)는 절곡지지부(150) 및 수평지지부(160)와 결합하여 지지유닛(100)의 구조를 보강함으로써 가설부재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결합유닛(200)의 돌출부(220)와 그립부(230)는 제1 및 제2 지지홈부(111, 112)와 각각 삽입 결합되어 결합유닛(200)이 지지홈부(110)를 슬라이드하며 X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립부(230)는 갈고리 형태를 포함하여 수직부재(10)의 원기둥 형태에 대응하여 수직부재(10)를 안정적으로 그립할 수 있다. 고정유닛(300)과 결합유닛(200)이 지지유닛(100)과 결합되는 구조가 간단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이 높고,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시공현장에서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에 따른 작업인력 및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수직부재 100 : 지지유닛
110 : 지지홈부 111 : 제1 지지홈부
112 : 제2 지지홈부 120 : 지지홀부
121 : 제1 지지홀부 122 : 제2 지지홀부
150 : 절곡지지부 160 : 수평지지부
170 : 수직지지부 200 : 결합유닛
210 : 본체부 211 : 결합홀
220 : 돌출부 230 : 그립부
300 : 고정유닛 310 : 머리부
320 : 가변부 330 : 하측부
331 : 고정홀 400 : 결합핀부
900 : 가설부재 세움이

Claims (11)

  1. 가설부재의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유닛;
    일측이 상기 수직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유닛과 삽입 결합되며, 결합홀을 포함하는 결합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결합유닛을 결합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하부로부터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결합유닛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수직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가설부재 세움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이 관통되는 지지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가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부가 상기 지지홀부 및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면, 상기 결합유닛이 상기 지지유닛 쪽으로 당겨져, 상기 결합유닛이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지지유닛의 말단을 결합시켜 상기 가설부재를 지지하는 가설부재 세움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수직부재와 접촉되는 일단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유닛이 삽입 결합되는 지지홈부와, 상기 지지홈부에 인접하며 상기 고정유닛이 삽입 결합되는 지지홀부를 포함하는 가설부재 세움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부는 대칭되게 좌우로 제1 및 제2 지지홈부가 배치되며,
    상기 지지홀부는 대칭되게 상하로 제1 및 제2 지지홀부가 배치되는 가설부재 세움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지지유닛과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지지홈부와 삽입 결합되는 돌출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수직부재를 그립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가설부재 세움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갈고리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된 부분이 상기 제2 지지홈부와 삽입 결합되는 가설부재 세움이.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홀부에 걸리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가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부가 상기 지지홀부 및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삽입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직부재를 그립하게 되어 상기 지지유닛과 상기 수직부재를 결합시키는 가설부재 세움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가변부의 하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하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절곡된 부분이 상기 결합유닛의 결합홀에 걸쳐 있어 상기 결합유닛과 상기 수직부재의 분리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가설부재 세움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측부는 고정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홀과 결합되어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지지유닛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핀부를 더 포함하는 가설부재 세움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일단이 상기 수직부재와 접촉되며 벤딩된 부분을 포함하는 절곡지지부; 및
    일단이 상기 수직부재와 접촉되고,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절곡지지부와 결합되는 수평지지부;를 포함하는 가설부재 세움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일단이 상기 절곡지지부와 결합되고,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수평지지부와 결합되는 수직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가설부재 세움이.
KR1020180041506A 2018-04-10 2018-04-10 가설부재 세움이 KR102075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506A KR102075043B1 (ko) 2018-04-10 2018-04-10 가설부재 세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506A KR102075043B1 (ko) 2018-04-10 2018-04-10 가설부재 세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318A KR20190118318A (ko) 2019-10-18
KR102075043B1 true KR102075043B1 (ko) 2020-02-10

Family

ID=68462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506A KR102075043B1 (ko) 2018-04-10 2018-04-10 가설부재 세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0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6403A (ja) 2009-02-26 2010-09-09 Tatsuo Ono 先行手摺
JP2017214732A (ja) 2016-05-31 2017-12-07 株式会社国元商会 脚立倒れ防止用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8499A (ja) * 1995-12-01 1997-06-17 Shinko Kigyo Kk 仮設支柱支持用サポートスタンド
KR100903442B1 (ko) * 2007-07-24 2009-06-18 김기수 안전 난간의 지지 구조물
JP3201716U (ja) * 2015-10-13 2015-12-24 株式会社三共 仮設足場用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6403A (ja) 2009-02-26 2010-09-09 Tatsuo Ono 先行手摺
JP2017214732A (ja) 2016-05-31 2017-12-07 株式会社国元商会 脚立倒れ防止用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201716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318A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37810B (zh) 预制柱的制作方法、柱梁的装配方法
CN109537811B (zh) 预制柱的制作方法、柱梁的装配方法
KR102029907B1 (ko) 시스템 동바리
KR10093774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WO2017219063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crete floor in a multistorey building
CN113931313A (zh) 超高层核心筒水平结构施工方法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CN106193402A (zh) 桁架梁集成式楼面模块及其安装方法
KR102075043B1 (ko) 가설부재 세움이
KR20110105489A (ko)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KR102011988B1 (ko) 트러스 거더 탈착식 데크플레이트
CN111636553B (zh) 一种装配式阳台结构及施工工艺
CN212642113U (zh) 模板支撑系统和施工结构
CN211447283U (zh) 主楼和裙房的连接梁
JP3426492B2 (ja) 柱梁主筋先組中空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ユニットおよびこの柱ユニットを用いた柱構築方法
CN209413302U (zh) 带有施工平台的可移动式侧墙模板支撑系统
CN112922142A (zh) 一种装配式建筑连廊及其施工工艺
KR100848081B1 (ko) 조립형 갱폼의 지지부 연장 설치 구조
CN206693491U (zh) 一种带钢筋定位骨架结构的空心保温砌块
KR101697361B1 (ko) 조립식 기둥과 보 및 슬라브의 연결구조
KR200409486Y1 (ko) 조립식 철 구조물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KR100653226B1 (ko) 슬래브 거푸집용 가설빔
JP4445366B2 (ja) タワークレーン架台設置部の補強方法
CN109577632B (zh) 一种悬吊式脚手架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