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307B1 - 건물 외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외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307B1
KR101948307B1 KR1020180062216A KR20180062216A KR101948307B1 KR 101948307 B1 KR101948307 B1 KR 101948307B1 KR 1020180062216 A KR1020180062216 A KR 1020180062216A KR 20180062216 A KR20180062216 A KR 20180062216A KR 101948307 B1 KR101948307 B1 KR 101948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ga
frame unit
block
build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용
문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원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원데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원데크
Priority to KR1020180062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 E04F21/183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for setting a plurality of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외벽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지상에서 제1,2조립대에서 프레임유니트를 기립시키고, 기립된 프레임유니트의 전면에 복수의 장식패널을 상,하로 적층시키도록 결합시킨 메가블록으로 번갈아 제작한 후에, 번갈아 제작된 메가블록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순차적으로 건물 외벽에 상,하 및 좌,우 연결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측 메가블록을 하측 메가블록에 적층시키는 과정에서 상,하측 메가블록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측 메가블록의 적층 하중에 의해 하측 메가블록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건물 외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 외벽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OUTER WALL}
본 발명은 건물 외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 외벽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지상에서 제1,2조립대에서 프레임유니트를 기립시키고, 기립된 프레임유니트의 전면에 복수의 장식패널을 상,하로 적층시키도록 결합시킨 메가블록으로 번갈아 제작한 후에, 번갈아 제작된 메가블록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순차적으로 건물 외벽에 상,하 및 좌,우 연결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측 메가블록을 하측 메가블록에 적층시키는 과정에서 상,하측 메가블록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측 메가블록의 적층 하중이 하측 메가블록을 파손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건물 외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을 장식하기 위해 장식패널을 커튼월 형태로 마감시공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장식패널로 화강암이나 대리석 등을 사각평판의 형상으로 가공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식패널을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이 있으며, 그중 습식공법은 건물외벽과 패널의 후면에 각각 시멘트 몰탈을 발라 패널의 건물외벽에 직접 시공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간편하나 시멘트 몰탈의 양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점과 패널이 건물외벽에서 떨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건식공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건식공법은 건물외벽에 패널을 시공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패널을 직접 볼트체결로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건물외벽에 장식패널과 지지프레임을 볼트체결에 의해 고정하는 경우 볼트가 외부로 돌출되어 외관상 미감을 해칠 수 있으며, 장식패널과 지지프레임을 일일이 볼트체결로 고정하여야 함에 따라 작업이 어려운 것이다.
또한, 볼트체결시 장식패널이 파손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하지만, 석재 또는 금속재의 판 구조물은 자체 하중이 무거운 관계로 취급이 까다롭고, 벽면이 완성된 건물의 바깥쪽에서 시공해야 하므로 고층 빌딩의 경우에는 장시간의 고공작업을 수반한다.
더욱이, 건물의 벽면에 판 구조물을 고정하는 고정구는 벽면의 앵커볼트에 선(先) 고정된 후, 볼트와 너트 등으로 판 구조물이 후(後) 고정되는 단순한 구조를 나타내는 바, 벽면과 판 구조물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서 볼트 및 너트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까다롭고, 한번 시공된 후에는 외벽 전체를 들어내지 않는 한 부분적인 수선 및 교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존의 외벽시공과 수선에는 많은 노력이 소요되며, 고공작업 등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요소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기존 건물 외벽의 시공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2218호 "건물의 외벽시공장치"(등록일자 : 2008.08.0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석재 또는 금속의 판 구조물을 이용하여 층 간 슬래브 또는 벽면이 갖추어진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건물의 외벽시공장치로서, 상기 슬래브의 측면 또는 상기 벽면에 삽입된 앵커볼트를 통해 상기 슬래브의 측면 또는 상기 벽면을 따라 고정되는 제 1 브래킷과; 상기 제 1 브래킷에 고정되어 상기 슬래브의 측면 또는 상기 벽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외향 돌출되는 고정빔과; 상기 고정빔에 고정되어 수평하게 배열되는 가로빔과; 상기 가로빔의 외측으로 고정되어 수직하게 배열되고,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공 및 외면 길이방향을 따르는 슬릿 형상의 개구부를 갖춘 세로빔과; 헤드의 단축 방향 길이가 상기 개구부의 폭보다 작고 장축 방향 길이가 상기 개구부의 폭보다 커서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제 1 볼트 및 여기에 체결되는 제 1 너트를 통해 상기 세로빔의 외면을 따라 긴밀하게 고정되는 고정단 및 이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상기 세로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단으로 이루어진 엘보형상의 제 2 브래킷을 포함하여, 상기 판 구조물은 상기 제 2 브래킷의 지지단에 상하가 지지되어 상기 건물의 외벽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건물의 외벽시공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기존 건물 외벽의 시공방법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0062호 "현장용접 없이 시공 가능한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외벽시공방법"(등록일자 : 2009.05.2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엘보 형태의 제 1 및 제 2 브래킷이 저면과 상면을 따라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 1 브래킷에 관통 체결되는 건물 벽면의 앵커볼트인 제 1 볼트 및 여기에 체결되는 제 1 너트를 통해 상기 건물 벽면을 따라 수평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가로빔과; 길이방향을 향하는 중공 및 외면 길이방향을 향하는 슬릿 형상의 개구부가 관통된 복수의 세로빔과;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결합홀이 관통된 채 상기 세로빔의 외면과 측면을 따라 밀착되는 결합단 및 이의 말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 2 브래킷에 밀착되는 밀착단으로 이루어진 밴드 형태를 나타내어, 상기 밀착단 및 상기 제 2 브래킷을 관통하는 제 2 볼트 및 여기에 체결되는 제 2 너트와 상기 결합홀 및 개구부를 관통해서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제 3 볼트 및 여기에 체결되는 제 3 너트를 통해 상기 가로빔의 외면에 상기 복수의 세로빔을 수직하게 고정하는 복수의 제 3 브래킷과; 상기 개구부를 관통해서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제 4 볼트 및 여기에 체결되는 제 4 너트를 통해 상기 각 세로빔 외면을 따라 고정되는 엘보 형태의 제 4브래킷에 의해 상하의 적어도 4개소가 지지되어 상기 벽면에 대면 고정되는 복수의 판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 건물 외벽에 장식패널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높이에 따라 구분되는 저층부와 중층부 및 고층부 크레인을 이용하여 각각의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장식패널을 들어올린 후에 건물의 외벽에 고정된 구조물인 프레임유니트에 상,하로 적층되도록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건물 높이에 따라 복수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하나씩 장식패널을 들어올리는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건물의 외벽에 장식패널을 설치할 경우 장식패널과 결합된 프레임유니트의 일부위가 건물 기둥과 설치 간섭되어 장식패널과 프레임유니트의 고정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건물 기둥과의 연결작업시 작업자의 추락 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프레임유니트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용접작업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휨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장식패널을 건물 외벽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좌,우 편차로 인해 연결조인트 부위에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프레임유니트와 장식패널이 결합되어 조립된 메가블록을 상,하로 적층시키는 과정에서 상측 메가블록과 하측 메가블록의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고, 상측 메가블록의 하중이 하측에 전달되면서 하부 메가블록을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2218호 "건물의 외벽시공장치"(등록일자 : 2008.08.07)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0062호 "현장용접 없이 시공 가능한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외벽시공방법"(등록일자 : 2009.05.22)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건물 외벽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지상에서 제1,2조립대에서 프레임유니트를 기립시키고, 기립된 프레임유니트의 전면에 복수의 장식패널을 상,하로 적층시키도록 결합시킨 메가블록으로 번갈아 제작한 후에, 번갈아 제작된 메가블록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순차적으로 건물 외벽에 상,하 및 좌,우 연결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측 메가블록을 하측 메가블록에 적층시키는 과정에서 상,하측 메가블록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측 메가블록의 적층 하중에 의해 하측 메가블록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건물 외벽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y축 방향 메가블록의 연결시 서로 연결되는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들 사이에 틈새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건물 기둥에 대한 결합 부위 간섭을 예방하여 연결작업이 간편해지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건물 외벽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유니트를 용접작업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미리 제작하는 유니트제작단계와; 건물 외벽 시공현장의 지상에서 제1,2조립대를 기립 설치하는 조립준비단계와; 상기 제1,2조립대에 미리 제작된 프레임유니트를 각각 세워서 가결합하는 유니트조립단계와; 상기 제1,2조립대에 설치된 프레임유니트에 각각 장식패널을 상,하로 적층시키고 볼팅 결합시켜 상기 프레임유니트에 장식패널이 조립된 메가블록으로 제작하는 블록제작단계와; 상기 제1,2조립대에서 번갈아 제작되는 메가블록 중 프레임유니트의 가결합상태를 해제하고 선 제작된 메가블록을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건물 외벽에 조립되도록 결합시키는 제1조립단계; 상기 제1,2조립대에서 후 제작된 메가블록을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상기 건물 외벽에 조립된 메가블록의 상측 또는 좌,우측으로 연결되도록 조립하여 결합시키는 제2조립단계; 및 상기한 유니트조립단계, 블록제작단계 및 제2조립단계를 상기 건물 외벽의 시공이 완료되기 전까지 반복 수행하는 반복수행단계;를 구비하되, 상기 제2조립단계는 선제작되어 상기 건물 외벽에 조립된 메가블록의 좌,우 측면 중 일측면에 상기 후제작된 메가블록이 조립되는 과정에서 측방향 오차 보정을 위해 상기 선,후 제작된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 좌,우 양측에서 제1,2연결볼트를 이용하여 연결파스너를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된 연결볼트에 걸려서 결합되도록 상기 선,후 제작된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 사이에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필러부재 중 적합한 두께를 갖는 필러부재를 선택하여 개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니트제작단계는 용접작업시 휨 변형을 방지하도록 프레임유니트의 선단부를 정렬시키도록 고정앵글이 구비되고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제작지그에 격자 형태의 프레임유니트를 각각 밀착시키고, 상기 제작지그에 밀착된 상태의 프레임유니트에 일정 간격마다 바이스를 고정시킨 후에 용접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제2조립단계는 선제작되어 건물 외벽에 조립된 메가블록의 상측에서 상기 후 제작된 메가블록을 적층시키는 과정은 상기 선 제작된 하측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 선단부 중 좌,우 양측의 선단부에 돌출 형성된 슬리브가 상기 후 제작된 상측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의 중공 내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2조립단계는 상기 하측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 측면에 돌출되는 제1스톱퍼부재에 상기 상측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 하단에 볼팅 결합되고 하단부가 하측으로 돌출된 확장조인트가 접촉되어 상기 상,하측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들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결합시키고, 상기 상,하측 메가블록의 결합이 완료된 후에 확장조인트와 제1스톱퍼부재를 분해하고 상측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 하단부에 상,하측 열팽창 여유 공간을 갖도록 수직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간극플레이트를 볼팅 결합시키고, 상기 장공을 통과하여 하측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장공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제2스톱퍼부재를 결합시켜, 상기 상,하측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들이 상기 장공의 길이만큼 상,하측 열팽창 여유공간을 가지도록 된 것이다.
상기 프레임유니트는 복수개가 서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종방향프레임과, 상기 종방향프레임을 연결하는 횡방향프레임으로 구성되어 격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용접하는 것이다.
상기 제2조립단계는 상기 건물 외벽에 조립된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 중 외측에 위치한 프레임유니트를 연결파스너의 제1연결공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제1연결볼트로 건물 바닥이나 빔구조물에 가고정시키고, 상기 가고정된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측에 측방향으로 연결되는 다른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가 밀착되도록 연결될 경우 상기 제2연결볼트를 상기 연결파스너의 제2연결공에 관통시켜 측방향으로 메가블록과 다른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들을 볼트 체결방식으로 후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조립단계 또는 제2조립단계에서 상기 건물의 외벽에 시공되는 상기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 중 건물 기둥과 간섭되는 부위의 고정을 위해 상기 건물 기둥과 간섭되는 프레임유니트의 종방향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건물 기둥과 간섭되지 않는 거리에 보조종방향프레임을 위치하도록 배치시켜 상기 보조종방향프레임이 건물의 외벽 또는 빔구조물에 연결파스너로 고정되도록 된 것이다.
상기 건물의 외벽에 시공되는 상기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에 결합되는 연결파스너를 건물 외벽 바닥이나 빔구조물에 결합파스너를 매개로 고정시키되, 상기 연결파스너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2결합공을 천공시키고, 상기 결합파스너에 폭방향으로 슬라이딩공을 천공시키며, 상기 슬라이딩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2결합공 중 하나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구비하여서, 상기 프레임유니트의 고정시 상기 연결파스너에 대한 길이방향 오차 보정 폭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높이별로 다른 복수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을 시공하는 스틱공법에 비해, 지상에서 제1,2조립대에 프레임유니트들이 가조립된 후에, 가조립된 프레임유니트에 장식패널이 적층되어 구성된 메가블록으로 제1,2조립대 상에서 번갈아 선 제작한 후에, 번갈아 제작된 메가블록을 순차적으로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건물 외벽에 시공하는 메가블록 시공방식이므로 시공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측 메가블록을 하측 메가블록에 적층시키는 과정에서 상,하측 메가블록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측 메가블록의 적층 하중이 하측 메가블록을 파손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메가블록을 상,하 적층시키는 과정에서 슬리브를 이용하여 정위치 적층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확장조인트와 제1스톱퍼부재를 이용하여 상측 메가블록이 하측 메가블록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강동작될 경우, 상기 제1스톱퍼부재에 확장조인트의 끼움홈이 안착되면서 상,하측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상태로 적층시킴으로써, 상기한 간극으로 인해 상,하측 메가블록의 적층 결합시 x축 방향 오차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하측 메가블록이 적층 결합된 후에는 확장조인트와 제1스톱퍼부재를 다시 분해하여 상,하측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로부터 분리한 후에 상측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 하단부에 상,하측 열팽창 여유 공간을 갖도록 수직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간극플레이트를 볼팅 결합시키고, 상기 장공을 통과하여 하측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장공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제2스톱퍼부재를 결합시켜서, 상기 상,하측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들이 상기 장공의 길이만큼 상,하측 x축 방향으로 열팽창 여유공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후 제작되어 y축 방향으로 연결된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 사이의 틈새 공간 내에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필러부재 중 적합한 두께를 갖는 필러부재를 선택하여 개재시킴에 따라, 메인블록들을 가로 방향으로 연결시킬 때 y축 방향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시공되는 메가블록의 프레임유니트에 결합되는 연결파스너를 건물 외벽 바닥이나 빔구조물에 결합파스너를 매개로 고정시키되, 연결파스너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2결합공을 천공시키고, 결합파스너에 폭방향으로 슬라이딩공을 천공시키며, 슬라이딩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2결합공 중 하나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구비함에 따라, 프레임유니트의 고정시 연결파스너에 대한 길이방향 오차 보정 폭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외벽 시공중에 건물기둥과 프레임유니트의 종방향프레임이 간섭될 경우, 보조종방향프레임이 형성된 프레임유니트를 배치하여 보조종방향프레임에 결합파스너를 건물 바닥이나 빔구조물에 고정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게 되므로, 건물 기둥과 간섭되는 부위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 시공방법의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제1,2조립대에 각각 프레임유니트가 기립되어 가조립되고, 장식패널이 가조립된 프레임유니트에 상,하 적층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프레임유니트의 용접시 제작지그 상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프레임유니트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프레임 유니트들의 x축 방향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필러부재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연결파스너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상,하측 프레임 유니트들의 y축 방향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 제1스톱퍼부재에 확장조인트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 간극플레이트와 제2스톱퍼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 제1,2,3메가블록의 시공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 시공방법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레임유니트(200)를 용접작업으로 서로 다른 폭을 갖도록 제작하는 유니트제작단계(S1)와; 건물 외벽 시공현장의 지상에서 제1,2조립대(10,20)를 기립 설치하는 조립준비단계(S2)와; 상기 제1,2조립대(10,20)에 미리 제작된 프레임유니트(200)를 각각 세워서 설치하는 유니트조립단계(S3)와; 상기 제1,2조립대(10,20)에 설치된 프레임유니트(200)에 각각 장식패널(300)을 상,하로 적층시키고 볼팅 결합시켜 메가블록(100)으로 제작하는 블록제작단계(S4)와; 상기 제1,2조립대(10,20)에서 번갈아 제작되는 메가블록(100) 중 선 제작된 메가블록(100)을 크레인(40)으로 인양하여 건물 외벽에 조립되도록 결합시키는 제1조립단계(S5); 상기 제1,2조립대(10,20)에서 후 제작된 메가블록(100)을 크레인(40)으로 인양하여 상기 건물 외벽에 조립된 메가블록(100)의 상측 또는 좌,우측으로 연결되도록 조립하여 결합시키는 제2조립단계(S6); 및 상기한 유니트조립단계(S3), 블록제작단계(S4) 및 제2조립단계(S6)를 상기 건물 외벽의 시공이 완료되기 전까지 반복 수행하는 반복수행단계(S7);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조립대(10,20)에서 선조립된 메가블록(100)을 제1메가블록(100a)이라 칭하고, 상기 제1,2조립대(10,20)에서 후제작되어 상기 제1메가블록(100a)의 측면에 y축 방향으로 연결되는 메가블록(100)을 제2메가블록(100b)이라 칭하며, 상기 제1메가블록(100a)의 상측에 x축 방향으로 연결되는 후제작된 메가블록(100)을 제3메가블록(100c)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4a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유니트(200)는 복수개가 서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종방향프레임(210)과, 상기 종방향프레임(210)을 연결하는 횡방향프레임(220)으로 구성되어 격자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유니트(200)의 종방향프레임(210)은 중공을 갖는 각형파이프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유니트제작단계(S1)는 일정한 폭을 갖도록 용접작업을 수행하여 복수의 종방향프레임(210)과, 상기 종방향프레임(210)들을 연결하는 횡방향프레임(22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유니트(200)는 도 4b에서와 같이, 건물 기둥과 간섭되는 것을 고려하여 건물 기둥과 간섭되는 종방향프레임(210)과 근접된 위치에 평행한 보조종방향프레임(230)이 배치된 것을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한 용접작업시 휨 변형을 방지하도록 프레임유니트(200)의 선단부를 정렬시키도록 고정앵글(410)이 구비되고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제작지그(400)에 격자 형태의 프레임유니트(200)를 각각 밀착시키고, 상기 제작지그(400)에 밀착된 상태의 프레임유니트(200)에 일정 간격마다 바이스(450)를 고정시킨 후에 용접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제작지그(400)는 상기 프레임유니트(200)의 좌,우 양측면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는 측면앵글(420)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앵글(420)의 선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프레임유니트(200)의 선단부를 정렬시키기 위한 고정앵글(410)이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유니트(200)는 상기 제작지그(400)에 안착되면서 종방향프레임(210)의 선단부가 고정앵글(410)에 접촉되어 정렬된 후에, 상기 종방향프레임(210)의 일정 간격마다 바이스(450)를 물려서 용접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용접작업시 휨 변형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장식패널(300)은 직사각형 판넬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유니트(200)의 전면에 상,하 적층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2조립대(10,20)는 골조 프레임 형태로 구성되고,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는 지그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유니트(200)는 상기 제1,2조립대(10,20)의 전면에 세워지도록 지지된 후에, 고정파스너를 매개로 가 조립된다.
그리고, 제1,2조립대(10,20)에 설치된 프레임유니트(20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장식패널(3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조립됨에 따라 프레임유니트(200)와 장식패널(300)이 일체로 결합된 메가블록(1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장식패널(300)의 결합은 윈치(30)에 의해 와이어로 상,하 승강동작되고, 리프터(50)에 의해 작업자가 승강되어 원하는 높이에서 윈치(30)와 와이어에 의해 승강되는 장식패널(300)을 프레임유니트(200)에 적층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메가블록(100)은 크레인(40)으로 인양되기 전에 제1,2조립대(10,20)와의 분리를 위해 프레임유니트(200)와 고정파스너의 결합상태를 해제한다.
이후에, 상기 제1,2조립대(10,20)에서 프레임유니트(200)의 전면에서 복수의 장식패널(300)이 상,하로 적층되어 결합됨에 따라 완성된 메가블록(100)들은 제1,2조립대(10,20)에서 번갈아 순차적으로 조립이 완료되며, 이에 따라 선 조립된 메가블록(100)이 먼저 크레인(40)으로 인양되어 건물의 외벽에 시공하는 제1조립단계(S5)를 수행한다.
이어서, 번갈아 조립되는 과정에서 후 조립된 메가블록(100)은 건물의 외벽에 시공되어 선 조립된 메가블록(100)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거나, 좌,우측 중 하나에 연결되도록 조립되는 제2조립단계(S6)를 거치게 된다.
상기한 제2조립단계(S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제작되어 건물 외벽에 조립된 제1메가블록(100a)의 상측에서 상기 후제작된 제3메가블록(100c)을 적층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선 제작된 제1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 선단부 중 좌,우 양측의 선단부에 돌출 형성된 슬리브(250)가 상기 후 제작된 제3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의 중공 내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3메가블록(100c)과 제1메가블록(100a)의 적층작업시 좌,우 양측의 슬리브(250)가 제3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 중공 내에 삽입될 경우 적층 가능하게 되며, 이로 인해 용이하게 제3메가블록(100c)과 제1메가블록(100a)을 상,하로 적층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조립단계(S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 측면에 돌출되는 제1스톱퍼부재(510)에 상기 제3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 하단에 볼팅 결합되고 하단부가 하측으로 돌출된 확장조인트(520)가 접촉되어 상기 제1,3메가블록(100a,100c)의 프레임유니트(200)들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확장조인트(520)는 사각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며, 상단부가 제1메가블록(100a)의 프레임유니트(200) 측면에 볼팅 결합되고, 하단부가 제1메가블록(100a)의 프레임유니트(200)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하단에 상기 제1스톱퍼부재(510)와의 결합을 위한 오목한 홈 형태의 끼움홈(52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끼움홈(525)은 상기 제1스톱퍼부재(510)와의 결합시 진입성이 향상되도록 하측의 폭이 상측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y축 방향 적층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제3메가블록(100c)이 제1메가블록(100a)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강동작될 경우, 상기 제1스톱퍼부재(510)에 확장조인트(520)의 끼움홈(525)이 안착되면서 제1,3메가블록(100a,100c)의 프레임유니트(20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상태로 적층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간극은 제1,3메가블록(100a,100c)의 적층 결합시 y축 방향 오차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제1스톱퍼부재(510)에 확장조인트(520)가 결합되어 제1,3메가블록(100a,100c)이 적층 결합된 후에는 확장조인트(520)와 제1스톱퍼부재(510)를 다시 분해하여 제1,3메가블록(100a,100c)의 프레임유니트(200)로부터 분리한 후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메가블록(100c)의 프레임유니트(200) 하단부에 상,하측 열팽창 여유 공간을 갖도록 수직방향으로 장공(532)이 형성된 간극플레이트(530)를 볼팅 결합시키고, 상기 장공(532)을 통과하여 제1메가블록(100a)의 프레임유니트(20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장공(532)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제2스톱퍼부재(540)를 결합시켜서, 상기 상,하측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들이 상기 장공(532)의 길이만큼 상,하측 열팽창 여유공간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2조립단계(S6)에서는 상기 건물 외벽에 조립된 메가블록(100a)의 프레임유니트(200) 중 외측에 위치한 프레임유니트(200)를 연결파스너(610)의 제1연결공(613)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제1연결볼트(640)로 건물 바닥이나 빔구조물에 가고정시키고, 상기 가고정된 제1메가블록(100a)의 프레임유니트(200)측에 측방향으로 연결되는 다른 제2메가블록(100b)의 프레임유니트(200)가 밀착되도록 연결될 경우 상기 제2연결볼트(650)를 상기 연결파스너(610)의 제2연결공(615)에 관통시켜 측방향으로 메가블록(100)과 다른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들을 볼트 체결방식으로 후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업자의 제1,2메가블록(100a,100b)의 조립작업시 건물 내에서 가까운 제1연결공(613)에 제1연결볼트(640)를 이용하여 제1메가블록(100a)를 캔틸레버방식으로 가고정시킨 상태에서 제2연결볼트(650)를 이용하여 제2메가블록(100b)를 제1메가블록(100a)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2연결공(615)에 체결하여 후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상기 제2조립단계(S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제작되어 상기 건물 외벽에 조립된 제1메가블록(100a)의 좌,우 측면 중 일측면에 상기 후 제작된 제2메가블록(100b)이 조립되는 과정에서 측방향 오차 보정을 위해 선,후 제작되고 좌,우측으로 배치되는 제1,2메가블록(100a,100b)의 프레임유니트(200) 사이의 측방향 오차 보정을 위해 상기 선,후 제작된 제1,2메가블록(100a,100b)의 프레임유니트(200) 좌,우 양측에서 제1,2연결볼트(640,650)를 이용하여 연결파스너(610)를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된 제1,2연결볼트(640,650)에 걸려서 결합되도록 상기 선,후 제작되고 좌,우측으로 배치되는 제1,2메가블록(100a,100b)의 프레임유니트(200) 사이에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필러부재(550) 중 적합한 두께를 갖는 필러부재(550)를 선택하여 개재시키고, 상기 제1,2메가블록(100a,100b)의 프레임유니트(200) 좌,우 양측에서 연결파스너(610)와 제1,2연결볼트(640,65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한 필러부재(550)가 좌,우측 제1,2메가블록(100a,100b)의 프레임유니트(200) 사이에 개재됨에 따라 측방향(y축 방향) 조립 오차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러부재(550)는 다양한 두께의 것을 구비하여 좌,우측으로 결합되는 제1,2메가블록(100a,100b)의 프레임유니트(200)들 사이의 틈새 간극에 적합한 두께를 선택하여 제1,2연결볼트(640,650)에 걸어서 상기 틈새 간극 내에 개재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필러부재(550)는 하측으로부터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2연결볼트(640,650)가 수용되는 복수의 걸림홈(552)이 형성되고, 일측면 테두리에 손잡이(554)가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조립단계(S5) 또는 제2조립단계(S6)에서 상기 건물의 외벽에 시공되는 상기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 중 건물 기둥과 간섭되는 부위의 고정을 위해 상기 건물 기둥과 간섭되는 프레임유니트(200)의 종방향프레임(210)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건물 기둥과 간섭되지 않는 거리에 보조종방향프레임(230)을 위치하도록 배치시켜 보조종방향프레임(230)을 건물의 외벽 또는 빔구조물에 연결파스너(610)로 고정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물의 외벽에 시공되는 상기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에 결합되는 연결파스너(610)를 건물 외벽 바닥이나 빔구조물에 결합파스너(620)를 매개로 고정시키되, 상기 연결파스너(610)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2결합공(612,614)을 천공시키고, 상기 결합파스너(620)에 폭방향으로 슬라이딩공(625)을 천공시키며, 상기 슬라이딩공(625)을 관통하여 상기 제1,2결합공(612,614) 중 하나에 체결되는 체결볼트(630)를 구비하여서, 상기 체결볼트(630)가 슬라이딩공(625) 내에서 폭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제1,2결합공(612,614)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유니트(200)의 고정시 상기 연결파스너(610)에 대한 길이방향 오차 보정 폭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높이별로 다른 복수의 크레인(40)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을 시공하는 스틱공법에 비해, 지상에서 제1,2조립대(10,20)에 프레임유니트(200)들이 가조립된 후에, 가조립된 프레임유니트(200)에 장식패널(300)이 적층되어 구성된 메가블록(100)으로 제1,2조립대(10,20)상에서 번갈아 선 제작한 후에, 번갈아 제작된 메가블록(100)을 순차적으로 크레인(40)으로 들어올려 건물 외벽에 시공하는 메가블록(100) 시공방식이므로 시공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3메가블록(100)을 제1메가블록(100)에 적층시키는 과정에서 제1,3메가블록(100a,100c)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3메가블록(100c)의 적층 하중에 의해 제1메가블록(100a)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메가블록(100a)의 상측에 제3메가블록(100c)을 적층시킬 경우, 슬리브(250)와 제1스톱퍼부재(510)에 결합되는 확장조인트(520)로 인해 상,하 x축 방향 조립 오차를 간편하게 보정할 수 있으며, 상기한 제1스톱퍼부재(510)에 확장조인트(520)가 결합되어 제1,3메가블록(100a,100c)이 적층 결합된 후에는 확장조인트(520)와 제1스톱퍼부재(510)를 다시 분해하여 제1,3메가블록(100a,100c)의 프레임유니트(200)로부터 분리한 후에 제3메가블록(100c)의 프레임유니트(200) 하단부에 상,하측 열팽창 여유 공간을 갖도록 수직방향으로 장공(532)이 형성된 간극플레이트(530)를 볼팅 결합시키고, 상기 장공(532)을 통과하여 제1메가블록(100a)의 프레임유니트(20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장공(532)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제2스톱퍼부재(540)를 결합시켜서, 상기 제1,3메가블록(100a,100c)의 프레임유니트(200)들이 상기 장공(532)의 길이만큼 상,하측 열팽창 여유공간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 주로 상측의 제3메가블록(100c)이 열팽창되어 하측으로 팽창 이동하게 되며, 간극플레이트(530)가 결합된 제3메가블록(100c)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간극플레이트(530)의 장공(532)이 제2스톱퍼부재(540)에 가이드되어 하강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제2메가블록(100b)을 제1메가블록(100a)의 측면에 연결시킬 때, 제1메가블록(100a)의 프레임유니트(200)와 제2메가블록(100b)의 프레임유니트(200)를 연결파스너(610)와 제1,2연결볼트(640,650)를 이용하여 측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측방향 조립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필러부재(550)를 개재시키도록 결합한다.
또한, 상기 제1메가블록(100a)과 제3메가블록(100c)의 상,하 적층시에는 상기 제1메가블록(100a)의 프레임유니트(200) 상단에 슬리브(250)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250)가 상기 제3메가블록(100c)의 프레임유니트(200) 중공 내에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물 외벽 시공 현장의 지상에서 제1,2작업대를 기립 설치시킨 후에, 제1,2작업대에 프레임유니트(200)를 각각 가결합시키고 프레임유니트(200)에 각각 장식패널(300)을 상,하로 적층시켜 메가블록(100)으로 제작하는 과정에서 번갈아 제작하여 순차적으로 건물 외벽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크레인(40)으로 순차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메가블록(100)을 상,하 적층시키는 과정에서 슬리브(250)를 이용하여 정위치 적층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확장조인트(520)와 제1스톱퍼부재(510)를 이용하여 제3메가블록(100c)이 제1메가블록(100a)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강동작될 경우, 상기 제1스톱퍼부재(510)에 확장조인트(520)의 끼움홈(525)이 안착되면서 제1,3메가블록(100a,100c)의 프레임유니트(20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상태로 적층시킴으로써, 상기한 간극으로 인해 제1,3메가블록(100a,100c)의 적층 결합시 x축 방향 오차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3메가블록(100a,100c)이 적층 결합된 후에는 확장조인트(520)와 제1스톱퍼부재(510)를 다시 분해하여 제1,3메가블록(100a,100c)의 프레임유니트(200)로부터 분리한 후에 제3메가블록(100c)의 프레임유니트(200) 하단부에 상,하측 열팽창 여유 공간을 갖도록 수직방향으로 장공(532)이 형성된 간극플레이트(530)를 볼팅 결합시키고, 상기 장공(532)을 통과하여 제1메가블록(100a)의 프레임유니트(20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장공(532)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제2스톱퍼부재(540)를 결합시켜서, 상기 제1,3메가블록(100a,100c)의 프레임유니트(200)들이 상기 장공(532)의 길이만큼 상,하측 x축 방향으로 열팽창 여유공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후 제작되어 y축 방향으로 연결된 제1,2메가블록(100a,100b)의 프레임유니트(200) 사이의 틈새 공간 내에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필러부재(550) 중 적합한 두께를 갖는 필러부재(550)를 선택하여 개재시킴에 따라, 메가블록(100)들을 가로 방향으로 연결시킬 때 y축 방향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시공되는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에 결합되는 연결파스너(610)를 건물 외벽 바닥이나 빔구조물에 결합파스너(620)를 매개로 고정시키되, 연결파스너(610)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2결합공(612,614)을 천공시키고, 결합파스너(620)에 폭방향으로 슬라이딩공(625)을 천공시키며, 슬라이딩공(625)을 관통하여 상기 제1,2결합공(612,614) 중 하나에 체결되는 체결볼트(630)를 구비함에 따라, 제1,2결합공(612,614)중 하나에 관통되는 상기 체결볼트(630)가 관통위치에 따라 연결파스너(610)와 결합파스너(620)의 결합위치가 달라지게 되므로, 제1,2결합공(612,614)의 간격과 슬라이딩공(625)의 폭 간격을 합한 간격만큼 프레임유니트(200)의 고정시 연결파스너(610)에 대한 길이방향 오차 보정 폭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외벽 시공중에 건물기둥과 프레임유니트(200)의 종방향프레임(210)이 간섭될 경우, 보조종방향프레임(230)이 형성된 프레임유니트(200)를 배치하여 보조종방향프레임(230)에 결합파스너(620)를 건물 바닥이나 빔구조물에 고정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게 되므로, 건물 기둥과 간섭되는 부위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제1조립대 20 : 제2조립대
30 : 윈치 40 : 크레인
50 : 리프터 100 : 메가블록
100a,100b,100c : 제1,2,3메가블록
200 : 프레임유니트 210 : 종방향프레임
220 : 횡방향프레임 230 : 보조종방향프레임
250 : 슬리브 300 : 장식패널
400 : 제작지그 410 : 고정앵글
420 : 측면앵글 450 : 바이스
510 : 제1스톱퍼부재 520 : 확장조인트
525 : 끼움홈 530 : 간극플레이트
532 : 장공 540 : 제2스톱퍼부재
550 : 필러부재 552 : 걸림홈
554 : 손잡이 610 : 연결파스너
612,614 : 제1,2결합공 613,615 : 제1,2연결공
615 : 제1,2연결볼트 620 : 결합파스너
625 : 슬라이딩공 630 : 체결볼트
640 : 제1연결볼트 650 : 제2연결볼트

Claims (8)

  1. 프레임유니트(200)를 용접작업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미리 제작하는 유니트제작단계(S1)와;
    건물 외벽 시공현장의 지상에서 제1,2조립대(10,20)를 기립 설치하는 조립준비단계(S2)와;
    상기 제1,2조립대(10,20)에 미리 제작된 프레임유니트(200)를 각각 세워서 가결합하는 유니트조립단계(S3)와;
    상기 제1,2조립대(10,20)에 설치된 프레임유니트(200)에 각각 장식패널(300)을 상,하로 적층시키고 볼팅 결합시켜 상기 프레임유니트(200)에 장식패널(300)이 조립된 메가블록(100)으로 제작하는 블록제작단계(S4)와;
    상기 제1,2조립대(10,20)에서 번갈아 제작되는 메가블록(100) 중 프레임유니트(200)의 가결합상태를 해제하고 선 제작된 메가블록(100)을 크레인(40)으로 인양하여 건물 외벽에 조립되도록 결합시키는 제1조립단계(S5);
    상기 제1,2조립대(10,20)에서 후 제작된 메가블록(100)을 크레인(40)으로 인양하여 상기 건물 외벽에 조립된 메가블록(100)의 상측 또는 좌,우측으로 연결되도록 조립하여 결합시키는 제2조립단계(S6); 및
    상기한 유니트조립단계(S3), 블록제작단계(S4) 및 제2조립단계(S6)를 상기 건물 외벽의 시공이 완료되기 전까지 반복 수행하는 반복수행단계(S7);를 구비하되,
    상기 제2조립단계(S6)는 선제작되어 상기 건물 외벽에 조립된 메가블록(100)의 좌,우 측면 중 일측면에 상기 후제작된 메가블록(100)이 조립되는 과정에서 측방향 오차 보정을 위해 상기 선,후 제작된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 좌,우 양측에서 제1,2연결볼트(640,650)를 이용하여 연결파스너(610)를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된 제1,2연결볼트(640,650)에 걸려서 결합되도록 상기 선,후 제작된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 사이에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필러부재(550) 중 적합한 두께를 갖는 필러부재(550)를 선택하여 개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제작단계(S1)는 용접작업시 휨 변형을 방지하도록 프레임유니트(200)의 선단부를 정렬시키도록 고정앵글(410)이 구비되고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제작지그(400)에 격자 형태의 프레임유니트(200)를 각각 밀착시키고,
    상기 제작지그(400)에 밀착된 상태의 프레임유니트(200)에 일정 간격마다 바이스(450)를 고정시킨 후에 용접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단계(S6)는 선제작되어 건물 외벽에 조립된 메가블록(100)의 상측에서 상기 후 제작된 메가블록(100)을 적층시키는 과정은 상기 선 제작된 하측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 선단부 중 좌,우 양측의 선단부에 돌출 형성된 슬리브(250)가 상기 후 제작된 상측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의 중공 내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시공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단계(S6)는 상기 하측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 측면에 돌출되는 제1스톱퍼부재(510)에 상기 상측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 하단에 볼팅 결합되고 하단부가 하측으로 돌출된 확장조인트(520)가 접촉되어 상기 상,하측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들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결합시키고,
    상기 상,하측 메가블록(100)의 결합이 완료된 후에 확장조인트(520)와 제1스톱퍼부재(510)를 분해하고 상측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 하단부에 상,하측 열팽창 여유 공간을 갖도록 수직방향으로 장공(532)이 형성된 간극플레이트(530)를 볼팅 결합시키고, 상기 장공(532)을 통과하여 하측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장공(532)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제2스톱퍼부재(540)를 결합시켜,
    상기 상,하측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들이 상기 장공(532)의 길이만큼 상,하측 열팽창 여유공간을 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시공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니트(200)는 복수개가 서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종방향프레임(210)과, 상기 종방향프레임(210)을 연결하는 횡방향프레임(220)으로 구성되어 격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시공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단계(S6)는 상기 건물 외벽에 조립된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 중 외측에 위치한 프레임유니트(200)를 연결파스너(610)의 제1연결공(613)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제1연결볼트(640)로 건물 바닥이나 빔구조물에 가고정시키고,
    상기 가고정된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측에 측방향으로 연결되는 다른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가 밀착되도록 연결될 경우 상기 제2연결볼트(650)를 상기 연결파스너(610)의 제2연결공(615)에 관통시켜 측방향으로 메가블록(100)과 다른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들을 볼트 체결방식으로 후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시공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단계(S5) 또는 제2조립단계(S6)에서 상기 건물의 외벽에 시공되는 상기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 중 건물 기둥과 간섭되는 부위의 고정을 위해 상기 건물 기둥과 간섭되는 프레임유니트(200)의 종방향프레임(210)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건물 기둥과 간섭되지 않는 거리에 보조종방향프레임(230)을 위치하도록 배치시켜 상기 보조종방향프레임(230)이 건물의 외벽 또는 빔구조물에 연결파스너(610)로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시공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외벽에 시공되는 상기 메가블록(100)의 프레임유니트(200)에 결합되는 연결파스너(610)를 건물 외벽 바닥이나 빔구조물에 결합파스너(620)를 매개로 고정시키되,
    상기 연결파스너(610)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2결합공(612,614)을 천공시키고,
    상기 결합파스너(620)에 폭방향으로 슬라이딩공(625)을 천공시키며,
    상기 슬라이딩공(625)을 관통하여 상기 제1,2결합공(612,614) 중 하나에 체결되는 체결볼트(630)를 구비하여서, 상기 프레임유니트(200)의 고정시 상기 연결파스너(610)에 대한 길이방향 오차 보정 폭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시공방법.
KR1020180062216A 2018-05-30 2018-05-30 건물 외벽 시공방법 KR101948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216A KR101948307B1 (ko) 2018-05-30 2018-05-30 건물 외벽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216A KR101948307B1 (ko) 2018-05-30 2018-05-30 건물 외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307B1 true KR101948307B1 (ko) 2019-02-15

Family

ID=6536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216A KR101948307B1 (ko) 2018-05-30 2018-05-30 건물 외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30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2065A (zh) * 2020-04-24 2020-08-07 广州市新茵园林绿化管理有限公司 耐候钢板景观墙施工方法
KR102296724B1 (ko) 2020-12-28 2021-09-02 주식회사 신원데크 건물 외벽 시공용 지그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틸팅방식 건물의 외벽 시공방법
CN114161051A (zh) * 2021-11-11 2022-03-11 河南沃克曼建设工程有限公司 垃圾焚烧发电厂立式锅炉基础施工组合平台及施工方法
CN114215233A (zh) * 2021-11-23 2022-03-22 北京建工四建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复杂双曲面幕墙结构及其定位施工方法
KR20220069206A (ko) * 2020-11-19 2022-05-27 주식회사 광스틸메탈 건축용 구조체의 시공 방법
CN115229370A (zh) * 2022-06-30 2022-10-25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控制格构钢柱焊接质量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211B1 (ko) * 2006-09-06 2007-05-23 원병욱 내/외장재 패널 및 그 시공방법
JP2017214739A (ja) * 2016-05-31 2017-12-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建物ユニッ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211B1 (ko) * 2006-09-06 2007-05-23 원병욱 내/외장재 패널 및 그 시공방법
JP2017214739A (ja) * 2016-05-31 2017-12-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建物ユニットの製造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2065A (zh) * 2020-04-24 2020-08-07 广州市新茵园林绿化管理有限公司 耐候钢板景观墙施工方法
KR20220069206A (ko) * 2020-11-19 2022-05-27 주식회사 광스틸메탈 건축용 구조체의 시공 방법
KR102656281B1 (ko) * 2020-11-19 2024-04-11 주식회사 광스틸메탈 건축용 구조체의 시공 방법
KR102296724B1 (ko) 2020-12-28 2021-09-02 주식회사 신원데크 건물 외벽 시공용 지그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틸팅방식 건물의 외벽 시공방법
CN114161051A (zh) * 2021-11-11 2022-03-11 河南沃克曼建设工程有限公司 垃圾焚烧发电厂立式锅炉基础施工组合平台及施工方法
CN114161051B (zh) * 2021-11-11 2024-02-13 河南沃克曼建设工程有限公司 垃圾焚烧发电厂立式锅炉基础施工组合平台及施工方法
CN114215233A (zh) * 2021-11-23 2022-03-22 北京建工四建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复杂双曲面幕墙结构及其定位施工方法
CN115229370A (zh) * 2022-06-30 2022-10-25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控制格构钢柱焊接质量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307B1 (ko) 건물 외벽 시공방법
JP6728309B2 (ja) モジュラービルディングユニット、並びに、これの建設及び搬送方法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CN109642424B (zh) 用于预制的体积建筑模块的连接系统和方法
KR101711614B1 (ko) 철골기둥과 철골 보의 접합구조
CN111719855A (zh) 用于楼板模板的连接条
JP2021529275A (ja) 建築用システム足場
JP6667940B2 (ja) 外壁の外壁パネル・柱割付け構造および割付け施工方法
JP7250712B2 (ja) バルコニー装置
JP6271399B2 (ja) 外壁パネルの取付け構造
JP6177759B2 (ja) 大判化外壁パネル
JP7050430B2 (ja) 外壁パネル、外壁構造および外壁施工方法
KR101959068B1 (ko) 외벽 시공용 지그구조물
JP6755102B2 (ja) 外壁パネルの地組架台および外壁面材の施工方法
CN213709966U (zh) 一种装配式预制混凝土外墙挂板干式连接结构
JP7334388B2 (ja) 支柱支持構造
JP6713144B1 (ja) 昇降式作業足場用の連結金具および設置方法
JP4541837B2 (ja) 鋼製フレーム付alc版による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及びその施工法
JPH1046668A (ja) ユニット式建物のユニット物取付構造
KR102386983B1 (ko) 외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 시공 방법
JP4116586B2 (ja) 構造物用ブラケット
JP2024013210A (ja) 連結柱ユニットおよび建物の施工方法
JP6393073B2 (ja) 外壁パネルフレームを用いた外壁構造
JP2019157530A (ja) ユニット建物及びユニット建物の構築方法
JP6251758B2 (ja) ユニットハウ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