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401B1 -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401B1
KR101900401B1 KR1020180057672A KR20180057672A KR101900401B1 KR 101900401 B1 KR101900401 B1 KR 101900401B1 KR 1020180057672 A KR1020180057672 A KR 1020180057672A KR 20180057672 A KR20180057672 A KR 20180057672A KR 101900401 B1 KR101900401 B1 KR 101900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istribution line
insulator
wire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제현
Original Assignee
백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제현 filed Critical 백제현
Priority to KR1020180057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전선연결구(20)와; 케이스(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선연결구(2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전선연결구(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이탈방지판(30)과; 케이스(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밀폐하는 커버(40)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케이스와 전선연결구, 이탈방지판 및 커버와 같이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고, 전선연결구에 지중배전선을 각각 삽입한 다음 회전시켜 주면 배전선이 권취되면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므로 연결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이탈방지판의 회전방지공에 전선연결구의 손잡이를 결합해 줌으로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배전선의 무단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다.

Description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Equipment for connecting a underground line with improved safety}
본 발명은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전선에서 분기되는 배전선은 지중전선의 중간부에 연결된 지중 배전선 커넥터에 연결되어, 지중전선을 통해 공급된 고압의 전기를 각 수용가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지중전선의 전기를 배전선으로 전달하는 지중배전선 커넥터는 고압의 전기를 공급하므로 전기를 공급하는 중에 여러 가지 이유로 열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지중전선이나 배전선의 피복이 녹아 쇼트 또는 이에 따른 안전사고 또는 감전사고 또는 화재가 발생하곤 하였다.
특히,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는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립과 설치 및 배전선 연결작업이 상당히 불편하였으며,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어 안전상에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3416호(2011.11.08)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1752호(2012.10.10)
본 발명은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고,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된 배전선의 무단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전방으로 개구된 바디부와, 바디부의 전면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결합공을 구비하는 돌테와, 바디부의 내부 후면에 형성되는 축부와, 바디부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내부와 상호 연통되며 배전선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배전선삽입부로 구성된 케이스;
바디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베어링을 매개로 축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되, 원주면으로 노출되게 나란하게 관통되어 배전선삽입부와 각각 상호 연통되며 배전선의 금속선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전선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권취되는 금속선이 수용될 수 있게 수용홈이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스프링수용홈이 일체로 형성되며, 스프링수용홈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제1요철부가 배열된 도체와,
후면에는 제1요철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1요철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요철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절연체와,
도체와 절연체 사이에 배치되도록 스프링수용홈에 끼워져 절연체를 전방으로 미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전선연결구;
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관통된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손잡이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기준공 및 회전방지공을 갖추고서, 돌테의 내측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이탈방지판;
돌테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이탈방지판의 전방으로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케이스와 전선연결구, 이탈방지판 및 커버와 같이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고, 전선연결구에 지중배전선을 각각 삽입한 다음 회전시켜 주면 배전선이 권취되면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므로 연결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이탈방지판의 회전방지공에 전선연결구의 손잡이를 결합해 줌으로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배전선의 무단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의 단면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의 전선연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합선방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는, 케이스(10)와 전선연결구(20), 이탈방지판(30) 및 커버(4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한 쌍의 배전선(L)을 쉽고 간편하게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된 배전선(L)의 무단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는 커버(40)와 함께 외관을 이루며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재질을 이용해 제조한 것으로서, 바디부(11)와 돌테(12), 축부(13) 및 배전선삽입부(14)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부(11)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태를 이루되, 내부가 전방으로 개구된 수용부(11a)가 일체로 형성되며, 수용부(11a)에는 전선연결구(20)가 전방을 통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바디부(11)의 전면에는 일정두께를 갖으며 전방으로 돌출된 돌테(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결합공(12a)이 일체로 형성되며, 돌테(12)에는 커버(40)가 압입고정된다.
참고로, 상기 결합공(12a)에는 이탈방지판(30)의 결합돌기(31)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축부(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형상의 돌기로서, 바디부(11)의 내부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베어링(B)을 매개로 전선연결구(20)와 상호 결합된다.
상기 배전선삽입부(14)는 바디부(11)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금속선(L1)과 피복(L2)으로 구성된 배전선(L)이 관통되게 끼워진다.
특히, 상기 배전선삽입부(14)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직경을 서로 달리해 단차지게 형성함으로써 배전선(L)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도록 하였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전선삽입부(14)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며, 이와 같이 어긋나게 배치된 배전선삽입부(14)는 각각 전선연결구(20)의 전선삽입부(21a)와 상호 연통된다.
삭제
계속해서, 상기 전선연결구(20)는 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 및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선연결구(20)는 전기가 잘 통하는 도체(21)와,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절연체(22:부도체) 및 스프링(23: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체(21)는 전체적으로 원기둥형태를 이루며, 케이스(10)의 수용부(11a) 내에 삽입되어 베어링(B)을 매개로 축부(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체(21)는 나란하게 관통되어 원주면으로 노출되며 케이스(10)의 배전선삽입부(14)와 상호 연통되는 전선삽입부(21a)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도체(21)는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권취되는 금속선(L1)이 수용되는 수용홈(21b)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도체(21)는 전방으로 통해 내측으로 스프링(23)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가 전방으로 개구된 스프링수용홈(21c)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수용홈(21c)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제1요철부(21d)가 형성된다.
상기 절연체(22)는 도체(21)와 상호 결합되어 도체(21)를 축부(13)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절연체(22)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제1요철부(21d)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요철부(22a)가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잡고 전선연결구(20) 전체를 축부(13)를 중심으로 돌릴 수 있게 손잡이(22b)가 일체로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손잡이(22b)는 이탈방지판(30)의 기준공(32) 또는 회전방지공(33)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진다.
참고로, 제1요철부(21d)와 제2요철부(22a)는 스플라인이다.
상기 스프링(23)은 코일스프링으로서, 도체(21)의 스프링수용홈(21c)에 삽입되어 절연체(22)를 전방으로 미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전선연결구(20)를 회전시키기 위해 절연체(22)를 도체(21)를 향해 가압하게 되면, 스프링(23)이 절연체(22)에 의해 압축되고, 반대로 절연체(22)의 가압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스프링(23)의 복원력에 의해 절연체(22)가 전방으로 밀리게 되면서 이탈방지판(30)의 기준공(32) 또는 회전방지공(33)에 삽입된다.
계속해서, 상기 이탈방지판(30)은 일정한 두께를 갖으며 내부가 전후방으로 관통된 절연재질의 판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돌테(12)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절연체(22)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전선연결구(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탈방지판(30)의 외면(상·하·좌·우)에는 케이스(10)의 결합공(12a)에 대응되는 결합돌기(31)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판(30)의 관통된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손잡이(22b)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기준공(32)과 회전방지공(33)이 일체로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기준공(32)에 손잡이(22b)가 끼워지면 전선연결구(20)의 전선삽입부(21a)와 케이스(10)의 배전선삽입부(14)가 상호 연통되어 배전선(L)을 삽입할 수 있는 세팅상태가 된다.
그리고 배전선(L)을 배전선삽입부(14)를 관통해 전선삽입부(21a)에 삽입한 상태에서 손잡이(22b)를 잡고 전선연결구(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다음 회전방지공(33)에 손잡이(22b)를 끼워 넣게 되면 배전선(L)의 과도한 권취를 제한하면서 케이스(10)를 중심으로 전선연결구(20)가 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커버(40)는 케이스(10)의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설치(압입)되어 케이스(10)의 내부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의 전선연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연결구(20)의 손잡이(22b)를 이탈방지판(30)의 기준공(32)에 끼워 케이스(10)의 배전선삽입부(14)와 전선연결구(20)의 전선삽입부(21a)가 상호 연통되도록 한다.
그 다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선(L)의 금속선(L1)을 배전선삽입부(14)를 관통해 전선삽입부(21a)에 끼워 넣어 전선연결구(20)의 도체(21)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해준다.
그 다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판(30)의 기준공(32)으로부터 손잡이(22b)가 이탈되도록 절연체(22)를 도체(21)를 향해 가압하며, 이에 의해 도체(21)와 절연체(22)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23)은 압축된다.
그 다음, 손잡이(22b)가 회전방지공(33)에 삽입될 때까지 손잡이(22b)를 잡고 반시계방향으로 전선연결구(20)를 회전시켜주게 되면, 금속선(L1)이 도체(21)의 수용홈(21b)에 권취되면서 수용되고, 이때 피복(L2)은 금속선(L1)과 함께 이동되어 배전선삽입부(14)에 자연스럽게 인입되면서 단턱에 걸리게 되며, 이를 도 5c와 같이 도시하였다.
그 다음,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2b)가 회전방지공(33)에 배치되면 스프링(23)의 복원력에 의해 절연체(22)가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자연스럽게 삽입되며, 전선연결구(20)에 의한 배전선(L)의 전기적인 연결작업이 완료된다.
특히, 상기 회전방지공(33)에 손잡이(22b)가 삽입됨에 따라 배전선(L)의 과도한 권취를 제한하면서 케이스(10)를 중심으로 전선연결구(20)가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여 배전선(L)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 커버(40)를 케이스(10)의 돌테(12)에 설치하여 밀폐되도록 한다.
한편, 배전선(L)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방법의 역순으로 실시하게 되면 배전선(L)을 전선연결구(2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케이스 11: 바디부 11a: 수용부
12: 돌테 12a: 결합공 13: 축부
14: 배전선삽입부 20: 전선연결구 21: 도체
21a: 전선삽입부 21b: 수용홈 21c: 스프링수용홈
21d: 제1요철부 22: 절연체 22a: 제2요철부
22b: 손잡이 23: 스프링 30: 이탈방지판
31: 결합돌기 32: 회전방지공 40: 커버
L: 배전선 L1: 금속선 L2: 피복

Claims (1)

  1. 내부가 전방으로 개구된 바디부(11)와, 바디부(11)의 전면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결합공(12a)을 구비하는 돌테(12)와, 바디부(11)의 내부 후면에 형성되는 축부(13)와, 바디부(11)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내부와 상호 연통되며 배전선(L)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배전선삽입부(14)로 구성된 케이스(10);
    바디부(1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베어링(B)을 매개로 축부(1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되, 원주면으로 노출되게 나란하게 관통되어 배전선삽입부(14)와 각각 상호 연통되며 배전선(L)의 금속선(L1)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전선삽입부(21a)가 일체로 형성되고,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권취되는 금속선(L1)이 수용될 수 있게 수용홈(21b)이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스프링수용홈(21c)이 일체로 형성되며, 스프링수용홈(21c)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제1요철부(21d)가 배열된 도체(21)와,
    후면에는 제1요철부(21d)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1요철부(21d)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요철부(22a)가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손잡이(22b)가 일체로 형성된 절연체(22)와,
    도체(21)와 절연체(22) 사이에 배치되도록 스프링수용홈(21c)에 끼워져 절연체(22)를 전방으로 미는 스프링(23)으로 구성된 전선연결구(20);
    결합공(12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31)와, 관통된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손잡이(22b)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기준공(32) 및 회전방지공(33)을 갖추고서, 돌테(12)의 내측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이탈방지판(30);
    돌테(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이탈방지판(30)의 전방으로 배치되는 커버(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20180057672A 2018-05-21 2018-05-21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900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672A KR101900401B1 (ko) 2018-05-21 2018-05-21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672A KR101900401B1 (ko) 2018-05-21 2018-05-21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401B1 true KR101900401B1 (ko) 2018-09-20

Family

ID=6371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672A KR101900401B1 (ko) 2018-05-21 2018-05-21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4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3579A (zh) * 2023-07-18 2023-08-18 国网山东省电力公司夏津县供电公司 一种电力线连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8488A (ja) 2006-10-24 2008-05-0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被覆電線接続器具
KR101738448B1 (ko) 2016-12-16 2017-05-22 주식회사 동진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 박스 전선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8488A (ja) 2006-10-24 2008-05-0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被覆電線接続器具
KR101738448B1 (ko) 2016-12-16 2017-05-22 주식회사 동진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 박스 전선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3579A (zh) * 2023-07-18 2023-08-18 国网山东省电力公司夏津县供电公司 一种电力线连接器
CN116613579B (zh) * 2023-07-18 2023-09-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夏津县供电公司 一种电力线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805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선 트레이
JP6788096B2 (ja) 電気コネクタのためのフェルールアセンブリ
US9876317B2 (en) Replaceable adapter for use with vehicular battery charging system
JP4654274B2 (ja) コンセント
TW201709622A (zh) 插座連接器及其組合
TWI566480B (zh) 充電連接器
WO2001063702A1 (fr) Element de connexion de cable d'alimentation
US6623296B2 (en) Plug socket
US3339168A (en) Airflow-electric coupling for vacuum cleaner
KR101900401B1 (ko) 안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GB2559588A (en) Modular power strips
JP2004214064A (ja) 電源コンセント・プラグ接続セット
WO2011127630A1 (zh) 防爆电连接装置及其插头、插座
KR101900399B1 (ko) 합선방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US5135404A (en) Insulating liner for an electrical plug assembly
KR20190119280A (ko) 고전압 커넥터
WO2008108739A1 (en) Omni-directional power outlet cover
CN110970771B (zh) 充电枪、充电座以及车辆
US1743821A (en) Electric connecter
CN113013696B (zh) 一种自由旋转连接器及信号传输用连接方法
JP4692306B2 (ja) 配線装置
CA1201186A (en) Electrical connector
CN216389982U (zh) 一种自由旋转连接器
KR102654073B1 (ko) 플러그-소켓 조립체
KR102134880B1 (ko)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