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280A - 고전압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전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280A
KR20190119280A KR1020180042523A KR20180042523A KR20190119280A KR 20190119280 A KR20190119280 A KR 20190119280A KR 1020180042523 A KR1020180042523 A KR 1020180042523A KR 20180042523 A KR20180042523 A KR 20180042523A KR 20190119280 A KR20190119280 A KR 20190119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igh voltage
connector
terminals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5976B1 (ko
Inventor
이승현
장문규
전진웅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2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97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interlocked with contact members or counterpar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측 커넥터와의 체결 방향과 케이블 연결방향이 수직하고 고전압 단자가 복수 개의 단자로 구성되는 경우 고전압 단자간의 조립성 및 접촉성을 향상시키고, 고전압 단자간의 분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전압 커넥터{HIGH VOLTAGE CONNECTOR}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기기측 커넥터와의 체결 방향과 케이블 연결방향이 수직하고 고전압 단자가 복수 개의 단자로 구성되는 경우 고전압 단자간의 조립성 및 접촉성을 향상시키고, 고전압 단자간의 분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 인버터 및 모터 등이 구비되며, 이와 같은 구성들을 케이블과 고전압 전력 공급용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고전압 커넥터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전압 커넥터는 주행중 진동과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체결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특히, 기기측 커넥터와 케이블이 연결되는 고전압 커넥터에서 커넥터간 체결방향과 케이블의 연결방향이 다른 경우, 예를 들면 직교하는 방향인 경우에는 고전압 단자가 복수 개의 부품으로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전압 단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자는 물리적 조립상태 이외에도 전기적 연결상태의 보장을 위하여 와셔 또는 스프링 등이 개재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판스프링 등을 단자 사이에 개재하여 접촉성을 보장하였으나, 시간에 따라 단자간 접촉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조립과정에서 특수 공구 등의 사용이 요구되어 작업성이 좋지 않았다.
또한, 단자 사이에 판스프링 등을 밴딩하여 배치하는 경우, 스프링 등이 쉽게 분리 또는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기기측 커넥터와의 체결 방향과 케이블 연결방향이 수직하고 고전압 단자가 복수 개의 단자로 구성되는 경우 고전압 단자간의 조립성 및 접촉성을 향상시키고, 고전압 단자간의 분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커넥터로 구성되는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를 구성하며, 기기측 커넥터에 체결되고 케이블이 연결되는 고전압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 개의 고전압 단자; 상기 고전압 단자가 장착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을 수용하는 아우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고전압 단자는 각각 상기 기기측 커넥터의 고전압 단자가 접속되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와 조립되며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 단자 및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상호 로킹하는 스프링 접속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접속편은 링형상으로 구성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전압 단자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단자는 제2 단자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1 단자와 'ㄱ'자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고전압 단자를 구성하는 제2 단자 하부에 형성된 접속홈에 삽입되어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자의 선단은 상기 기기측 커넥터의 고전압 단자가 삽입되는 접속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단자의 후단은 상기 제2 단자의 상부에 형성된 접속홀에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 접속편은 상기 제1 단자의 후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단자의 상단에 형성된 접속홀 내주면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전압 단자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단자의 후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단자의 상단에 형성된 접속홀 내주면 양측에 상기 스프링 접속편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호 로킹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커넥터의 체결 또는 분리에 따라 접속 또는 접속 해제되어 상기 고전압 단자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며 폐회로를 구성하는 인터록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 의하면, 기기측 커넥터와 고전압 커넥터의 체결 방향과 케이블 연결방향이 수직하고 고전압 단자가 복수 개의 단자로 구성되는 경우, 고전압 단자를 구성하는 단자 사이에 스프링 접속편을 구비하여 단자간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 의하면, 링 형상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스프링 접속편이 고전압 단자를 구성하는 제1 단자의 안착홈에 안착되어 그 위치가 결정된 상태로 상기 제1 단자의 후단이 상기 제2 단자의 체결홀에 삽입되면 상기 스프링 접속편의 외주 영역이 체결홀 내주면의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의 상호 로킹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 의하면, 별도의 특수 공구 없이도 고전압 단자의 조립을 수행할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 의하면, 스프링 접속편을 링 형상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하여 탄성에 의한 접촉성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커넥터의 체결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커넥터의 분리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고전압 단자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전압 단자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고전압 단자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커넥터의 체결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커넥터의 분리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력용 접속장치(1)를 구성하는 커넥터는 기기측에 장착되는 커넥터(200)와 체결되는 케이블(180)이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100)는 인터록 단자 및 전력용 고전압 단자를 구비하며 도 1에 도시된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1)를 구성한다.
본 발의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1)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제1 및 기기측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한 쌍의 커넥터(100, 200)를 고전압 커넥터(100) 및 기기측 커넥터(200)로 지칭한다.
본 발의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1)를 구성하는 고전압 커넥터(100)는 고전압 전력용 케이블(180)이 연결되는 커넥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전압 커넥터(100)와 체결되는 기기측 커넥터(200)는 기기, 예를 들면, 베터리, 인버터 또는 모터 등에 장착되는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고전압 전력용 케이블(180)은 고전압 커넥터(100)의 리어홀더(160)를 통해 고전압 커넥터(100)의 전력 공급용 고전압 단자(도 2의 130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1)를 구성하는 고전압 커넥터(100)와 기기측 커넥터(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전압 전력이 커넥터의 고전압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상태에서 갑자기 양 커넥터(100, 200)가 분리되는 경우, 아크 등이 발생되어 부품을 손상시키거나 안전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력 접속장치(1)는 인터록 단자(140, 240)의 접속 해제에 의한 전력 차단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전압 커넥터(100)와 체결되는 상기 기기측 커넥터(200)는 기기의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고, 기기측 커넥터(200)의 아우터 하우징(210)이 볼트(b) 등의 체결수단으로 기기측 하우징(w)에 고정될 수 있도록 플랜지(2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60)는 볼트(b) 등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기측 커넥터(200)의 아우터 하우징(210)은 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전압 커넥터(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180)과 아우터 하우징(110)을 통해 상기 기기측 커넥터(200)의 하우징으로 접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100)는 좌우로 한 쌍의 고전압 단자(130a, 130b)가 구비되며, 기기측 커넥터(200) 역시 고전압 커넥터(100)의 고전압 단자와 접속되는 한 쌍의 고전압 단자(230a, 230b)가 구비된다.
그러나 각각의 고전압 커넥터는 전력 종류에 따라 고전압 단자의 개수 및 연결되는 케이블의 개수가 증감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커넥터(100, 200)에 구비되는 각각의 고전압 단자(130, 230)는 그 형태에 따라 수형(male type) 단자 또는 암형(female type) 단자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고전압 커넥터(100)의 고전압 단자(130a, 130b)는 암형(female type) 단자로 구성되며, 기기측 커넥터(200)의 고전압 단자(230a, 230b)는 수형(male type) 단자인 실시예로 도시되나, 고전압 단자(130a, 130b)를 수형 단자로 구성하고 고전압 단자(230a, 230b)를 암형 단자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고전압 커넥터(100)의 고전압 단자(130a, 130b)와 기기측 커넥터(200)의 고전압 단자(230a, 230b)는 각각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이너 하우징에 내부에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고전압 커넥터(100)의 이너 하우징(135)는 각각의 고전압 단자(130a, 130b)를 보호함과 동시에 커넥터의 장착과정을 안내하기 위한 원기둥 형태의 가이드부(135a, 135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기측 커넥터(200)는 고전압 커넥터(100)의 한 쌍의 원기둥 형태의 가이드부(135a, 135b)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235a, 235b)가 구비된 이너 하우징(235)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상기 고전압 커넥터(100)의 내부 하우징에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부(135a, 135b)는 고전압 커넥터(100) 및 기기측 커넥터(200)의 장착과정에서 상기 기기측 커넥터(200)의 이너 하우징(235)의 수용부(235a, 235b) 내측으로 안내되며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하우징(135, 235)에 내부, 각각의 고전압 단자(130a, 130b) 및 기기측 커넥터(200)의 고전압 단자(230a, 230b) 사이에 각각의 인터록 단자(140, 24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100)와 기기측 커넥터(200)는 각각 인터록 단자(140, 240)와 전력용 고전압 단자(130, 230)를 구비하며, 양 커넥터(100, 200)의 분리시 양 커넥터(100, 200)의 인터록 단자(140, 240)의 접속이 먼저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고전압 커넥터(100)와 기기측 커넥터(200)에 구비되는 인터락 단자들(140, 240)은 각각 고전압 단자(130a, 130b)와 고전압 단자(230a, 230b) 상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그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상기 기기측 커넥터(200)가 기기측(전력의 공급측) 커넥터인 경우, 상기 고전압 커넥터(100)의 인터록 단자(140)는 폐회로를 구성하면 된다. 반면, 상기 기기측 커넥터(200)의 인터록 단자(240)는 인터록 접속여부를 판단하여 전력 공급 또는 차단을 위한 전력 차단회로 또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단자의 접속 상태에 따라 고전압 단자를 통한 전력공급을 차단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커넥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전압 단자는 커넥터의 체결과정에서 인터록 단자보다 먼저 상기 기기측 커넥터(200)의 고전압 단자에 접속되고, 커넥터의 분리과정에서 상기 인터록 단자(140, 240)보다 나중에 상기 기기측 커넥터(200)의 고전압 단자(130, 23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인터록 단자(140, 240)의 접속 및 해제에 따라 전력 공급 시점과 전력 차단 시점이 고전압 단자의 접속이 완료된 후 및 분리 전이 되도록 각각의 단자의 접속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인터록 단자(140, 240)의 접속 해제에 따라 고전압 단자(130, 230)로의 전력이 차단되는 시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분리속도와 무관하게 아크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기기 측에 장착되는 상기 기기측 커넥터(200)의 인터록 단자(240)는 기기 내부의 전력 차단회로와 연결되고, 양 커넥터(100, 200)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고전압 커넥터(100)의 인터록 단자(140)와 접속이 먼저 해제되면 기기측 커넥터(200)의 고전압 단자(230a, 230b)로 공급되는 전력 등을 차단하여 고전압 커넥터(100)와 기기측 커넥터(200)의 고전압 단자들이 분리되기 전에 고전압 단자들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전압 커넥터(100) 측에 장착되는 인터록 단자(140)는 단순 폐회로만 형성하면 되므로 하나의 일체형 단자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전력 공급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인터록 단자의 구성이 상호 변경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100)는 한 쌍의 커넥터로 구성되는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를 구성하며, 기기측 커넥터에 체결되고 케이블이 연결되는 고전압 커넥터에 있어서, 상호 조립되는 2개의 단자를 구비하는 고전압 단자(130, 도 4 참조); 상기 고전압 단자(130)가 장착되는 이너 하우징(150); 상기 이너 하우징(150)을 수용하는 아우터 하우징(11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전압 단자(130)는 상기 기기측 커넥터의 고전압 단자가 접속되는 제1 단자(131a, 131b), 상기 제1 단자(131a, 131b)와 조립되며 케이블(180)이 연결되는 제2 단자(133a, 133b) 및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개재 개재되어 상기 제1 단자(131a, 131b)와 상기 제2 단자(133a, 133b)를 상호 로킹하는 스프링 접속편(132a, 132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는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커넥터의 체결 또는 분리에 따라 접속 또는 분리되어 상기 고전압 단자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며 폐회로를 구성하는 인터록 단자(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100)는 기기측 커넥터와 체결방향과 전력 케이블(180)의 연결방향이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80)은 수직하게 고전압 커넥터(100)에 연결되고 고전압 커넥터(100)는 기기측 커넥터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되어 케이블 연결방향과 커넥터 체결방향이 수직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 연결방향과 커넥터 체결방향이 다른 경우, 케이블(180)을 90도 밴딩하여 커넥터 내부에서 고전압 단자와 연결시키거나 고전압 단자를 'ㄱ'로 구성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케이블(180)을 90도로 밴딩하여 커넥터 내부에서 연결하는 방법은 전기차용 전력 케이블(180)의 두께 등을 고려하는 경우 작업이 쉽지 않고, 고전압 단자를 'ㄱ' 자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커넥터 조립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고전압 단자를 복수 개의 단자로 분할 구성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커넥터(100)의 고전압 단자를 제1 단자(131a, 131b) 및 제2 단자(133a, 133b)로 분할 구성하고 커넥터의 조립과정에서 고전압 단자 역시 조립되는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100)를 구성하는 고전압 단자는 상기 기기측 커넥터의 고전압 단자가 접속되는 제1 단자(131a, 131b), 상기 제1 단자(131a, 131b)와 조립되며 케이블(180)이 연결되는 제2 단자(133a, 133b)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제1 단자(131a, 131b)와 상기 제2 단자(133a, 133b)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접속편(132a, 13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100)의 고전압 단자를 구성하며 상호 제1 단자(131a, 131b) 및 제2 단자(133a, 133b) 사이에 스프링 접속편(132a, 132b)을 구비하는 이유는 조립 상태에서의 제1 단자(131a, 131b) 및 제2 단자(133)의 접촉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단자 등에 적용되는 탄성 접촉편은 판 스프링 등을 밴딩 또는 절곡하는 구조가 채용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단자를 구성하는 제1 단자(131a, 131b) 및 제2 단자(133a, 133b)에 적용되는 스프링 접속편(132a, 132b)은 링형상으로 구성된 코일 스프링 구조가 채용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종래의 밴딩된 판스프링 구조의 스프링 접속편(132a, 132b)은 시간에 따라 탄성력이 저하되고 안정적인 접촉상태를 보장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스프링 접속편(132a, 132b)을 밴딩된 판스프링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형상이 유지되는 경우라면 탄성력이 쉽게 저하되지 않고 연결하는 대상 사이에 전기적 연결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단자를 구성하는 제1 단자(131a, 131b)는 커넥터의 전방에서 이너 하우징을 매개로 아우터 하우징(110)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고, 제2 단자(133a, 133b)는 하부에서는 케이블(180)과 접속되며 수직 방향으로 아우터 하우징(1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제1 단자(131a, 131b)는 가이드부가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 접속편(132)은 제1 단자(131a, 131b) 후단에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 접속편(132a, 132b)이 장착된 제1 단자(131a, 131b)는 아우터 하우징(110)에 수직하게 하방에서 삽입되어 장착된 제2 단자(133a, 133b)와 조립되어 고전압 단자의 조립이 완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전압 커넥터(100)의 아우터 하우징(110)에는 기기측 커넥터의 장착을 위한 장착력 제공 및 장착상태의 로킹을 위한 레버부재(12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100)의 고전압 단자 관련 부품들은 각각 삽입 또는 안착되어 조리되는 구조를 채용하여 별도의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조립이 가능하며, 작업 숙련도를 크게 요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접속편(132)이 개재된 고전압 단자를 도 4 이하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100)의 고전압 단자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전압 단자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고전압 단자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고전압 단자는 고전압 커넥터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이나 설명을 위하여 하우징 등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전압 단자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단자(131)는 제2 단자(133)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단자(133)는 상기 제1 단자(131)와 'ㄱ'자 형태로 연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는 커넥터간 체결방향과 케이블 연결방향이 차이나기 때문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180)의 도체부는 상기 고전압 단자를 구성하는 제2 단자(133) 하부에 형성된 접속홈(도 6의 133h 참조)에 삽입되어 접속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자(131)의 선단은 상기 기기측 커넥터의 고전압 단자가 삽입되는 접속홈(131h)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단자(131)의 후단은 상기 제2 단자(133)의 상부에 형성된 접속홀(133p)에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 접속편(132)은 상기 제1 단자(131)의 후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단자(133)의 상단에 형성된 접속홀 내주면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131)가 제2 단자(133)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한 이유는 전력 케이블(180)에 장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단자간 분리 현상을 막기 위함이다. 만일, 상기 제2 단자(133)의 상단이 제1 단자(131)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케이블(180)이 당겨지면 제2 단자(133)의 삽입상태가 해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접속편(132)은 상기 제1 단자(131)의 후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단자(133)의 상단에 형성된 접속홀 내주면 사이에 장착되기 위하여, 상기 고전압 단자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단자(131)의 후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단자(133)의 상단에 형성된 접속홀(133p) 내주면 양측에 상기 스프링 접속편(132)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자(131)의 후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단자(133)의 상단에 형성된 접속홀(133p) 내주면에 각각 안착홈(131g 등)이 구비됨이 도시된다.
각각의 안착홈에는 상기 스프링 접속편(132)의 외측영역과 내측 영역의 일부가 각각 안착되어 조립 상태에서 스프링 접속편(132)의 위치 결정 기능과 이탈 방지 기능 및 제1 단자와 제2 단자의 조립시 상호 로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 접속편(132)이 상기 제1 단자(131)의 후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단자(133)의 상단에 형성된 접속홀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접속편(132)의 위치가 결정되고 분리가 방지됨과 함께 각각의 단자가 조립상태에서 상호 로킹되어 조립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스프링 접속편(132)은 제1 단자(131)의 안착홈에 안착되어 위치가 결정된 상태로 상기 제1 단자(131)의 후단이 상기 제2 단자의 체결홀에 삽입되면 상기 스프링 접속편(132)의 외주 영역이 체결홀 내주면의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 단자(131)와 제2 단자(133)의 상호 로킹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전압 단자의 조립과정은 별도의 체결부재의 체결과정이 불필요하고 별도의 특수 공구 없이도 작업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작업성 역시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전압 커넥터(100)의 고전압 단자(130)의 조립구조에 의하면, 기기측 커넥터와 고전압 커넥터(100)의 체결 방향과 케이블(180) 연결방향이 수직하고 고전압 단자(130)가 복수 개의 단자(131, 133)로 구성되는 경우, 고전압 단자를 구성하는 단자(131, 133) 사이에 스프링 접속편(132)을 구비하여 단자(131, 133) 간 접촉성을 향상시키고, 스프링 접속편(132)을 링 형상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하여 탄성에 의하여 지지되는 접촉성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고, 더 나아가 고전압 단자를 구성하는 단자 간의 분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고전압 커넥터
110 : 아우터 하우징
130 : 고전압 단자
132 : 스프링 접속편
140 : 인터록 단자
200 : 기기측 커넥터

Claims (7)

  1. 한 쌍의 커넥터로 구성되는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를 구성하며, 기기측 커넥터에 체결되고 케이블이 연결되는 고전압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 개의 고전압 단자;
    상기 고전압 단자가 장착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을 수용하는 아우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고전압 단자는 각각 상기 기기측 커넥터의 고전압 단자가 접속되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와 조립되며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 단자 및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상호 로킹하는 스프링 접속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접속편은 링형상으로 구성된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단자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단자는 제2 단자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1 단자와 'ㄱ'자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고전압 단자를 구성하는 제2 단자 하부에 형성된 접속홈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의 선단은 상기 기기측 커넥터의 고전압 단자가 삽입되는 접속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단자의 후단은 상기 제2 단자의 상부에 형성된 접속홀에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 접속편은 상기 제1 단자의 후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단자의 상단에 형성된 접속홀 내주면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단자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단자의 후단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단자의 상단에 형성된 접속홀 내주면 양측에 상기 스프링 접속편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호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커넥터의 체결 또는 분리에 따라 접속 또는 접속 해제되어 상기 고전압 단자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며 폐회로를 구성하는 인터록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KR1020180042523A 2018-04-12 2018-04-12 고전압 커넥터 KR102555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523A KR102555976B1 (ko) 2018-04-12 2018-04-12 고전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523A KR102555976B1 (ko) 2018-04-12 2018-04-12 고전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280A true KR20190119280A (ko) 2019-10-22
KR102555976B1 KR102555976B1 (ko) 2023-07-14

Family

ID=6842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523A KR102555976B1 (ko) 2018-04-12 2018-04-12 고전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9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180A (ko) *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유라 퓨즈 통합형 전장부품
US11688979B2 (en) 2020-12-28 2023-06-27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or assembly
US12003064B2 (en) 2020-09-17 2024-06-04 Yura Co., Ltd. Electronic part with integrated fu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516A (ko) * 2012-06-19 2013-12-3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
US20150340805A1 (en) * 2014-05-23 2015-11-2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Electrical connector
CN206585111U (zh) * 2017-03-21 2017-10-24 成都晨风绿能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弯角连接装置及应用该装置的大电流连接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516A (ko) * 2012-06-19 2013-12-3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
US20150340805A1 (en) * 2014-05-23 2015-11-2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Electrical connector
CN206585111U (zh) * 2017-03-21 2017-10-24 成都晨风绿能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弯角连接装置及应用该装置的大电流连接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180A (ko) *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유라 퓨즈 통합형 전장부품
US12003064B2 (en) 2020-09-17 2024-06-04 Yura Co., Ltd. Electronic part with integrated fuse
US11688979B2 (en) 2020-12-28 2023-06-27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or assembly
US11978983B2 (en) 2020-12-28 2024-05-07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or assembly for use in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976B1 (ko)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5641A (en) Modular drawer connector
JP6760147B2 (ja) シールド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CN108475889B (zh) 大功率电连接器
KR10167392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20190020906A (ko) 고전압 커넥터
EP0706237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guide means for a mating connector
JPH0226348B2 (ko)
US11088486B2 (en) Shield terminal and shield connector
US11646522B2 (en)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CN110867705B (zh) 电源连接器
KR102555976B1 (ko) 고전압 커넥터
KR102114743B1 (ko) 회로 차단 장치
KR101794340B1 (ko) 차량용 커넥터
US10910752B2 (en) Large current terminal and connector
KR100790339B1 (ko)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암형 커넥터 및 그 암형 커넥터에접속되는 수형 커넥터
KR101479078B1 (ko) 커넥터
KR102463690B1 (ko)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
KR20180066925A (ko) 고전압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
KR20180045216A (ko) 커넥터
JPWO2020100731A1 (ja) コネクタ
EP3349318B1 (en) Surge protection device base
KR102492963B1 (ko)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CN109586121B (zh) 插头装置以及配电系统
KR20230038585A (ko) 차폐 연결부를 구비한 원형 플러그 커넥터
KR102550876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