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216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216A
KR20180045216A KR1020160139072A KR20160139072A KR20180045216A KR 20180045216 A KR20180045216 A KR 20180045216A KR 1020160139072 A KR1020160139072 A KR 1020160139072A KR 20160139072 A KR20160139072 A KR 20160139072A KR 20180045216 A KR20180045216 A KR 20180045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connector
wire
outer housing
rea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3691B1 (ko
Inventor
이광무
심희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9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69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는, 복수의 와이어가 장착되는 이너하우징; 상기 이너하우징을 감싸는 아웃터하우징; 상기 이너하우징의 후방단 및 아웃터하우징의 후방단에 결합되는 리어홀더; 및 복수의 와이어를 감싸고, 단부가 상기 리어홀더에 결합되는 편조차폐선;을 포함하고, 상기 편조차폐선의 단부는 상기 리어홀더에 의해 상기 리어홀더의 후방단 및 상기 아웃터하우징의 후방단에 벤딩되게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와이어를 일괄적으로 감싸는 편조차폐선을 커넥터의 후방 측에 매우 간편하게 조립할 뿐만 아니라 편조차폐선의 고정력을 대폭 강화함으로써 편조차폐선의 이탈(빠짐)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기적인 성질을 가진 부품들의 연결을 견고하게 이어주면서 전기적인 성능을 유지하는 매개체로서, 자동차 등의 여러 기술분야에서 전기 배선인 전선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커넥터는 자동차 부품에서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에 구성되는 부품으로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는 터미널과 이를 보호하는 하우징을 결속하여 전류가 손실 없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자동차 등의 여러 기술분야에서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장부품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다수의 전선을 한번에 연결할 수 있도록 고전압 커넥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전압 커넥터는 주로 전기자동차, 연료전지 차량, 하이브리드 차량 등에 적용되며, 주로 암형 커넥터(female connector)와 수형 커넥터(male connector) 등과 같이 커넥터들을 결합 내지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전압 커넥터는 고전압을 처리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당히 많은 전자파가 발생되기 때문에, 전자파 차폐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전자파를 차폐하는 방식으로는 개별 와이어에 쉴드가 내설된 개별차폐 구조와, 비차폐된 복수의 와이어를 감싸는 편조차폐선(braided shield)를 이용한 일괄 차폐하는 구조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편조차폐선을 이용한 일괄 차폐구조는 복수의 비차폐 와이어를 다발 형태로 집합한 후에 편조차폐선(braided shield)로 일괄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일괄 차폐구조는 편조차폐선의 단부가 평탄한 상태로(straightly) 커넥터의 후방(rear) 가장자리 외면을 감싸도록 위치시킨 후에 이어 클램프(ear clamp) 등과 같은 별도의 클램프를 압착함으로써 편조차폐선을 커넥터 측에 접촉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편조차폐선의 설치 이전에 복수의 와이어를 수용하는 와이어 홀더(wire holder)를 커넥터의 후방 내측에 조립하는 공정이 선결된다.
요컨대, 종래의 일괄 차폐구조는 와이어 홀더를 커넥터에 조립한 후에 클램프의 압착을 통해 편조차폐선의 단부를 커넥터의 후방 측에 접속 및 고정하는 조립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일괄 차폐구조는 와이어 홀더의 조립 및 클램프의 압착 등과 같이 최소 2개의 조립공정과 설비 등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그 조립방식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를 상승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클램프의 압착에 의해서만 커넥터의 후방을 평탄하게 감싸는 편조차폐선의 단부를 고정함에 따라 편조차폐선의 고정력이 취약하여 임의의 외력에 의해 쉽게 빠질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일괄 차폐구조는 와이어 홀더가 상부 하프셀 및 하부 하프셀이 상하방향으로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편조차폐선을 장착하기 위한 조립부품의 갯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져 전체적인 조립공정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제조단가 등이 높아지는 단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복수의 와이어를 일괄적으로 감싸는 편조차폐선을 커넥터의 후방 측에 매우 간편하게 조립할 뿐만 아니라 편조차폐선의 고정력을 대폭 강화함으로써 편조차폐선의 이탈(빠짐)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는,
복수의 와이어가 장착되는 이너하우징;
상기 이너하우징을 감싸는 아웃터하우징;
상기 이너하우징의 후방단 및 아웃터하우징의 후방단에 결합되는 리어홀더; 및
복수의 와이어를 감싸고, 단부가 상기 리어홀더에 결합되는 편조차폐선;을 포함하고,
상기 편조차폐선의 단부는 상기 리어홀더에 의해 상기 리어홀더의 후방단 및 상기 아웃터하우징의 후방단에 벤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이너하우징의 후방단에 끼움결합되는 제1피팅부 및 상기 아웃터하우징의 후방단에 끼움결합되는 제2피팅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제1피팅부 및 상기 제2피팅부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편조차폐선의 단부는 상기 이너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의 끼움홈부에 의해 끼움결합되는 제1결합단부와, 상기 아웃터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의 제2피팅부에 의해 끼움결합되는 제2결합단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단부는 상기 제2결합단부에 벤딩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부에는 상기 편조차폐선의 제1결합단부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너하우징의 후방단에는 상기 리어홀더가 끼움결합되는 끼움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하우징의 후방단에는 상기 리어홀더가 끼움결합되는 끼움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와이어를 일괄적으로 감싸는 편조차폐선을 커넥터의 후방 측에 매우 간편하게 조립할 뿐만 아니라 편조차폐선의 고정력을 대폭 강화함으로써 편조차폐선의 이탈(빠짐)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어홀더가 이너하우징 및 아웃터하우징의 후방단에 끼워질 때, 편조차폐션의 제1결합단부 및 제2결합부가 리어홀더의 끼움홈부, 이너하우징의 끼움보스, 아웃터하우징의 끼움보스에 의해 2중으로 끼움결합됨으로써 편조차폐선의 고정력이 대폭 강화될 수 있고, 종래와 달리 클램프의 압착공정 등이 필요하지 않아 그 조립공정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와이어 홀더에 와이어 및 편조차폐선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와이어 홀더에 와이어 및 편조차폐선을 조립한 후에 와이어에 와이어 시일 및 단자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후방에 와이어 홀더, 와이어 및 편조차폐선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와이어(13)가 장착되는 이너하우징(20, inner housing) 및 아웃터하우징(30, outer hous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하우징(20)는 복수의 와이어(13)가 개별적으로 수용되는 복수의 와이어 수용부(21)를 가지고, 각 수용부(21)의 전방단(front end)에는 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각 와이어(13)의 단부에는 단자(14)가 마련되고, 각 와이어(13)가 각 와이어 수용부(21)에 수용되어 장착됨에 따라 와이어(13)의 단자(14)가 이너하우징(20)의 개구(22)에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커넥터(10)에 대응 커넥터(associated connector)가 결합되면 대응 커넥터의 단자가 개구(22)를 통해 와이어(13)의 단자(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너하우징(20)의 외면에는 실링부재(23)가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실링부재(23)에 의해 커넥터(10)의 방수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이너하우징(20)의 후방 내부에는 각 와이어(13)의 외면을 실링하는 와이어 실링(24)이 장착되고, 이러한 와이어 실링(24)에 의해 각 수용부(21)에 수용되는 와이어(13)에 대한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너하우징(20)의 후방단(rear end)에는 끼움보스(25, fitting boss)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끼움보스(25)에는 후술하는 리어홀더(50)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아웃터하우징(30)은 이너하우징(20)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아웃터하우징(30)의 내측면 일측에는 차폐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쉴드컨택트(38, shield contact)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커넥터(10)에 대응 커넥터(associated connector)가 결합되면 대응 커넥터와 본 발명의 커넥터(10) 사이의 전기적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웃터하우징(30)의 후방단(rear end)에는 끼움보스(35, fitting boss)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끼움보스(35)에는 후술하는 리어홀더(50)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아웃터하우징(30)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차폐하우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아웃터하우징(30)의 외면에는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레버(40)가 마련되고, 레버(40)는 록킹위치 및 해제위치 사이로 피벗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록킹위치는 본 발명의 커넥터(10)에 대응 커넥터가 결합될 때 대응 커넥터 및 아웃터하우징(30)의 결합된 상태를 록킹하는 위치이고, 해제위치는 대응 커넥터 및 아웃터하우징(30)의 결합된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대응 커넥터가 아웃터하우징(30)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위치이다.
이에, 본 발명의 커넥터(10)에 대응 커넥터가 결합될 때 레버(40)가 록킹위치로 피벗하면 대응 커넥터 및 아웃터하우징(30)의 결합상태가 록킹될 수 있고, 레버(40)가 해제위치로 피벗하면 대응 커넥터 및 아웃터하우징(30)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아웃터하우징(30)의 상면에는 레버(40)를 록킹하는 결합위치와 레버(40)와의 록킹을 해제하는 분리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록(slide lock, 43)과, 슬라이드 록(43)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슬라이드 록(43)을 분리위치에서 결합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4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레버(40)에는 록킹위치에서 레버(40) 및 슬라이드 록(43)을 고정하는 커넥터 위치 확보부재(48, CPA;Connector Posiotion Assurance)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위치 확보부재(48)를 통해 레버(40)가 록킹위치에 안정되게 위치하여 대응 커넥터가 임의 외력에 의해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너하우징(20)의 후방단 및 아웃터하우징(30)의 후방단에는 리어 홀더(50, rear holder)가 설치될 수 있다.
리어홀더(50)는 이너하우징(20)에 장착되는 와이어(13)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13)의 움직임을 최소화될 경우, 차량에서 발생한 진동이 와이어(13)로 전달되어 전기적 접촉이 해제됨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와이어(13)를 이너하우징(2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커넥터(10)와 단자의 전기적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리어홀더(50)는 각 와이어(13)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53)을 가진 단일체(one piece)로 구성될 수 있다. 삽입공(53)의 내경은 와이어(13)의 외경에 대응하는 치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와이어(13)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리어홀더(50)는 이너하우징(20)의 후방단(rear end) 내부에 끼워지는 제1피팅부(51) 및 아웃터하우징(30)의 후방단(rear end) 내면에 끼워지는 제2피팅부(52)를 가질 수 있다.
제1피팅부(51)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제1피팅부(51)는 이너하우징(20)의 끼움보스(25)의 내경면에 끼워질 수 있다.
제2피팅부(52)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제2피팅부(52)는 아웃터하우징(30)의 끼움보스(35)의 내경면에 끼워짐으로써 리어홀더(50)는 이너하우징(20)의 후방단과 아웃터하우징(30)의 후방단을 밀봉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피팅부(51) 및 제2피팅부(52)는 연결부(56)를 통해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피팅부(51)와 제2피팅부(52) 사이에는 편조차폐선(60, braided shield)의 결합단부(61)가 끼워지는 끼움홈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홈부(54)에 의해 제1피팅부(51) 및 제2피팅부(52)는 반경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제1피팅부(51) 및 제2피팅부(52)가 환형으로 형성되면, 이에 대응하여 끼움홈부(54)가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부(54)에는 편조차폐선(60)의 제1결합단부(61) 및 이너하우징(20)의 끼움보스(25)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끼움홈부(54)는 제1피팅부(51)에 면하는 제1면(54a)과, 제2피팅부(52)에 면하는 제2면(54b)과, 연결부(56)에 면하는 제3면(54c)에 의해 정의(defined)될 수 있다. 끼움홈부(54)의 제1면(54a)은 이너하우징(20)의 끼움보스(25)의 내경면과 접촉하고, 끼움홈부(54)의 제2면(54b)은 후술하는 편조차폐션(60)의 제1결합단부(61)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편조차폐션(60)은 복수의 와이어(13)를 일괄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편조차폐선(60)의 일단에는 리어 홀더(50), 이너하우징(20) 및 아웃터하우징(3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결합단부(61, 62)가 마련될 수 있다. 편조차폐선(60)의 결합단부(61, 62)는 리어홀더(50)에 의해 이너하우징(20)의 후방단 및 아웃터하우징(30)의 후방단에 벤딩되게 결합됨으로써 2중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결합단부(61, 62)는 제1결합단부(61) 및 제1결합단부(61)에 대해 연결된 제2결합단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단부(61)는 제2결합단부(62)에서 벤딩되어 리어홀더(50)의 끼움홀부(54)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제1결합단부(61)의 길이는 끼움홀더(54)의 제2면(54b)의 길이와 동일할 수도 있으며, 제1결합단부(61)의 길이는 끼움홀더(54)의 제2면(54b)의 길이 보다 약간 짧거나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단부(61)는 이너하우징(20)의 끼움보스(25)와 함께 리어홀더(50)의 끼움홈부(5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너하우징(20)의 끼움보스(25)의 내경면에는 리어홀더(50)의 제1피팅부(51)가 끼움결합되고, 이에 제1결합단부(61)는 이너하우징(20)의 끼움보스(25)의 외경면과 리어홀더(50)의 끼움홈부(54)의 제2면(54b) 사이에 개재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결합단부(61)는 이너하우징(20)의 끼움보스(25)의 외경면과 접촉하는 접촉면과 리어홀더(50)의 끼움홈부(54)의 제2면(54b)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이를테면, 제1결합단부(61)는 2개의 접촉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2개의 접촉면에 의해 제1결합단부(61)는 이너하우징(20)의 끼움보스(25)와 끼움홈부(54)의 제2면(54b) 사이에서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결합단부(62)는 아웃터하우징(30)의 끼움보스(35)의 내경면과 제2피팅부(52)의 외경면 사이에 개재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결합단부(62)는 아웃터하우징(30)의 끼움보스(35)의 내경면과 접촉하는 접촉면과 제2피팅부(52)의 외경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이를테면, 제2결합단부(62)는 2개의 접촉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2개의 접촉면에 의해 제2결합단부(62)는 아웃터하우징(30)의 끼움보스(35)와 제2피팅부(52) 사이에서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어홀더(50)가 이너하우징(20) 및 아웃터하우징(30)의 후방단에 끼워질 때, 편조차폐션(60)의 제1결합단부(61) 및 제2결합부(62)가 리어홀더(50)의 끼움홈부(54), 이너하우징(20)의 끼움보스(25), 아웃터하우징(30)의 끼움보스(35)에 의해 2중으로 끼움결합됨으로써 편조차폐선(60)의 고정력이 대폭 강화될 수 있고, 종래와 달리 클램프의 압착공정 등이 필요하지 않아 그 조립공정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리어홀더(50)의 끼움홈부(54)에는 제2결합단부(62)에서 벤딩되어 연결된 제1결합단부(61)가 끼워짐에 따라 제1결합단부(51) 및 제2결합단부(5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특히 제1결합단부(61)는 이너하우징(20)의 끼움보스(25)의 외경면과 접촉함과 더불어 끼움홈부(54)의 제2면(54b)과 접촉함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접촉면을 가질 수 있고, 제2결합단부(62)는 제2피팅부(52)의 외면과 접촉함과 더불어 아웃터하우징(30)의 끼움보스(35)의 내경면과 접촉함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요컨대, 제1결합단부(61) 및 제2결합단부(62)가 벤딩되어 리어홀더(50), 이너하우징(20) 및 아웃터하우징(3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4개의 접촉면을 가짐으로써 그 고정력이 대폭 강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의 조립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복수의 와이어(13)를 일괄적으로 감싸는 편조차폐선(60)을 리어홀더(50) 측에 끼워넣으면, 도 6과 같이 복수의 와이어(13)가 리어홀더(50)의 삽입공(53, 도 3 및 도 4 참조)에 삽입됨과 더불어 편조차폐선(60)의 제1 및 제2 결합단부(61, 62)가 리어홀더(50) 측에 가결합될 수 있다. 그 이후에 와이어(13)의 외면에 와이어 실링(24)을 조립하고, 와이어(13)의 단부에 단자(14)를 압착하여 조립한다.
그런 다음에, 복수의 와이어(13)가 조립된 이너하우징(20)을 아웃터하우징(30) 내에 조립한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편조차폐선(60)이 가결합된 리어홀더(50)를 커넥터(10)의 아웃터하우징(30)의 후방단에 끼워넣으면, 도 3 및 도 4와 같이 편조차폐션(60)의 제1결합단부(61) 및 제2결합단부(62)가 리어홀더(50)의 끼움홈부(54), 이너하우징(20)의 끼움보스(25), 아웃터하우징(30)의 끼움보스(35)에 의해 2중으로 끼움결합됨으로써 커넥터(1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커넥터
20: 이너하우징
30: 아웃터하우징
40: 레버
50: 리어홀더
51: 제1피팅부
52: 제2피팅부
60: 편조차폐선
61: 제1결합단부
62: 제2결합단부

Claims (8)

  1. 복수의 와이어가 장착되는 이너하우징;
    상기 이너하우징을 감싸는 아웃터하우징;
    상기 이너하우징의 후방단 및 아웃터하우징의 후방단에 결합되는 리어홀더; 및
    복수의 와이어를 감싸고, 단부가 상기 리어홀더에 결합되는 편조차폐선;을 포함하고,
    상기 편조차폐선의 단부는 상기 리어홀더에 의해 상기 리어홀더의 후방단 및 상기 아웃터하우징의 후방단에 벤딩되게 결합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이너하우징의 후방단에 끼움결합되는 제1피팅부 및 상기 아웃터하우징의 후방단에 끼움결합되는 제2피팅부를 가지는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제1피팅부 및 상기 제2피팅부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부를 가지는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편조차폐선의 단부는 상기 이너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의 끼움홈부에 의해 끼움결합되는 제1결합단부와, 상기 아웃터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의 제2피팅부에 의해 끼움결합되는 제2결합단부를 가지는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단부는 상기 제2결합단부에 벤딩되게 연결되는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부에는 상기 편조차폐선의 제1결합단부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의 후방단에는 상기 리어홀더가 끼움결합되는 끼움보스가 형성되는 커넥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하우징의 후방단에는 상기 리어홀더가 끼움결합되는 끼움보스가 형성되는 커넥터.
KR1020160139072A 2016-10-25 2016-10-25 커넥터 KR102463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072A KR102463691B1 (ko) 2016-10-25 2016-10-25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072A KR102463691B1 (ko) 2016-10-25 2016-10-25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216A true KR20180045216A (ko) 2018-05-04
KR102463691B1 KR102463691B1 (ko) 2022-11-07

Family

ID=6219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072A KR102463691B1 (ko) 2016-10-25 2016-10-25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6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100B1 (ko) 2019-11-13 2021-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KR20230084892A (ko) * 2021-12-06 2023-06-13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EP4312313A1 (en) 2022-07-28 2024-01-31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ferrule and a crimp por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ble therewit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800A (ko) * 2006-10-24 2008-04-2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및 실드커넥터 세트
KR20100104029A (ko) * 2009-03-16 2010-09-29 타이코에이엠피(유) 차폐용 편조선의 쉘커버
JP2014180072A (ja) * 2013-03-13 2014-09-25 Sumitomo Wiring Syst Ltd ホルダ及びこれを用いた編組線の端末接続構造
JP2016146282A (ja) * 2015-02-09 2016-08-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800A (ko) * 2006-10-24 2008-04-2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및 실드커넥터 세트
KR20100104029A (ko) * 2009-03-16 2010-09-29 타이코에이엠피(유) 차폐용 편조선의 쉘커버
JP2014180072A (ja) * 2013-03-13 2014-09-25 Sumitomo Wiring Syst Ltd ホルダ及びこれを用いた編組線の端末接続構造
JP2016146282A (ja) * 2015-02-09 2016-08-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100B1 (ko) 2019-11-13 2021-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KR20230084892A (ko) * 2021-12-06 2023-06-13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EP4312313A1 (en) 2022-07-28 2024-01-31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ferrule and a crimp por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ble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691B1 (ko)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9491B2 (en) Live portion protection structure and connector
US9472893B1 (en) Connector
US8858258B2 (en) Two-part contact element for high-voltage plug-and-socket connector
JP5797283B2 (ja) 高電圧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9293878B2 (en) Waterproof connector comprising a rear holder with engaging portions
US9281627B2 (en) Device connector with improved operability when connecting harness-side terminals and device-side terminals
JP4015372B2 (ja) 電線のシールド構造
US20100261364A1 (en) Fluidproof conn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9592775B2 (en) Wiring harness protector fixing structure
EP3200287B1 (en) Connector
JP2015103460A (ja) コネクタ
US9270049B2 (en) Waterproof connector
CN108780955A (zh) 包括至少一个插头连接器的插头连接装置
JP2011018579A (ja) コネクタ
KR20180045216A (ko) 커넥터
JP5585106B2 (ja) コネクタ装置
WO2020235416A1 (ja) コネクタ
JP2018133278A (ja) 充電インレット
JP5999440B2 (ja) コネクタ
US10446976B2 (en) Shield connector and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JP5170013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150004828A (ko) 신속 일방향 연결 시스템
KR101448031B1 (ko) 와이어하네스의 커넥터 체결구조
CN110754019A (zh) 连接器
CN116097527A (zh) 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