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100B1 -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100B1
KR102200100B1 KR1020190144670A KR20190144670A KR102200100B1 KR 102200100 B1 KR102200100 B1 KR 102200100B1 KR 1020190144670 A KR1020190144670 A KR 1020190144670A KR 20190144670 A KR20190144670 A KR 20190144670A KR 102200100 B1 KR102200100 B1 KR 102200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pa member
seed plate
connector assembly
lock release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삼균
서정호
전한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4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육안으로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의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호 결합되는 커넥터들의 완전 체결 여부를 명확하게 표시하여 커넥터들의 조립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조립체는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로 구성된다.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는 각각 하우징과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의 하우징이 기계적으로 완전 체결될 때, 피메일커넥터 단자와 메일커넥터 단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는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의 조립후 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 부재의 이동 여부에 따라 커넥터 조립체의 완전 체결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는 피메일커넥터(6)와 메일커넥터(7)의 조립후 CPA 부재(8)를 피메일커넥터(6)의 소정 위치에서 더 삽입되도록 이동시킨 후 CPA 부재(8)의 돌출 여부에 따라 커넥터 조립체의 완전 체결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는, CPA 부재(8)가 피메일커넥터(6)의 소정 위치에서 정상적으로 이동되면 커넥터 조립체가 완전 체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CPA 부재(8)가 피메일커넥터(6)의 소정 위치에서 정상적으로 이동되지 못하여 상기 소정 위치에 돌출된 상태가 되면 커넥터 조립체가 불완전 체결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런데 상기 커넥터 조립체가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 위치 또는 조립 방향에 따라 커넥터 조립체의 완전 체결 여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커넥터 조립체가 차량 내측에 위치하게 되거나 또는 차량내 주변부품들에 의해 CPA 부재(8)가 가려지는 경우 CPA 부재(8)의 돌출 여부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곤란하며, 이 경우 작업자가 커넥터 조립체의 체결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커넥터 조립체의 체결 상태를 육안으로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공개특허 제2018-00452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육안으로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의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메일 하우징이 구비된 메일 커넥터 및 상기 메일 하우징과 체결되는 피메일 하우징이 구비된 피메일 커넥터로 구성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씨 플레이트 장착부와 CPA 부재 장착부가 구비된 피메일 하우징; 상기 CPA 부재 장착부에 삽입되어 가조립되고, 상기 메일 하우징과 피메일 하우징이 완전 체결될 때 상기 CPA 부재 장착부에 완전 조립가능한 상태가 되는 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 부재; 상기 씨 플레이트 장착부에 구비된 체결표시부를 덮어서 가리도록 상기 씨 플레이트 장착부에 조립되고, 상기 CPA 부재가 CPA 부재 장착부에 완전 조립되도록 이동될 때 상기 CPA 부재와 일체로 이동되어 상기 체결표시부를 개방하는 씨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메일 하우징은 CPA 부재 장착부에 조립되는 CPA 부재의 삽입을 제한하여 상기 CPA 부재가 CPA 부재 장착부에 가조립되도록 하는 이동잠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일 하우징은 CPA 부재 장착부에 가조립된 CPA 부재의 삽입 제한을 해제하는 프리락 해제돌기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CPA 부재는 메일 하우징과 피메일 하우징의 완전 체결시 상기 프리락 해제돌기에 의해 씨 플레이트를 향해 들리게 되는 프리락 해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CPA 부재는 상기 프리락 해제부가 씨 플레이트쪽으로 들릴 때 상기 이동잠금부에 의한 삽입 제한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PA 부재는, CPA 부재 장착부에 삽입될 때 상기 이동잠금부에 걸리게 되는 프리락과, 상기 프리락 해제부가 프리락 해제돌기에 의해 들릴 때 상기 씨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는 무빙 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씨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프리락 해제부가 프리락 해제돌기에 의해 들릴 때, 상기 무빙 홈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무빙 돌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씨 플레이트 장착부는 씨 플레이트의 자유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돌기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씨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돌기에 걸려서 씨 플레이트의 자유 이동을 차단하는 걸림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CPA 부재와 별도로 구비되는 씨플레이트의 개폐 작동에 의해 작업자가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커넥터 조립체의 체결 상태 검사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이 증대되고 또한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 불량(불완전 체결)이 방지되어 완성차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커넥터에 메일 커넥터가 완전 삽입될 때 프리락 해제부와 프리락 해제돌기가 중첩되는 구간을 보여주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CPA 부재 작동(이동) 전 프리락 해제부가 프리락 해제돌기에 의해 들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PA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씨 플레이트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CPA 부재 작동(이동) 후 상태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종래 커넥터 조립체의 완전 체결 상태 및 불완전 체결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메일 하우징(10)이 구비된 메일 커넥터(1) 및 상기 메일 하우징(10)과 체결되는 피메일 하우징(20)이 구비된 피메일 커넥터(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일 커넥터(1)는 메일 하우징(10)과 상기 메일 하우징(10)에 삽입되어 조립되는 케이블(11,13) 및 케이블(11)을 메일 하우징(10)에 고정하기 위한 TPA 부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11,13)은 전도성 도체가 절압되어 구성된 케이블일 수 있다.
상기 피메일 커넥터(2)는 피메일 하우징(20)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20)에 삽입되어 조립되는 케이블(21) 및 상기 케이블(21)을 피메일 하우징(20)에 고정하기 위한 리어 홀더(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21)은 전도성 도체가 절압되어 구성된 케이블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메일 하우징(20)은 아우터 하우징(201)과 상기 아우터 하우징(201)에 삽입되어 조립되는 이너 하우징(2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하우징(202)의 외측에는 전자파 차폐를 위한 쉴드케이스(23)가 조립되어 배치되며, 상기 이너 하우징(202)의 내측에는 케이블(21)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배치된다.
상기 케이블(21)은 메일 하우징(10)과 피메일 하우징(20)의 완전 체결시 메일 커넥터(1)의 케이블(21)과 접속된다.
상기 아우터 하우징(201)에는 인터락 버스바(24)가 압입되어 고정되고, 아우터 하우징(201)과 메일 하우징(10) 간에 씰링을 위한 이너 씰(25)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 하우징(201)에는 씨 플레이트(4)가 조립되는 씨 플레이트 장착부(203)와 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 부재(3)가 조립되는 CPA 부재 장착부(206)가 구비된다.
상기 CPA 부재 장착부(206)는 CPA 부재(3)가 삽입될 때 CPA 부재(3)를 지지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CPA 부재 장착부(206)는 상기 CPA 부재(3)의 삽입 및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CPA 부재 장착부(206)는 CPA 부재(3)의 삽입 및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이동잠금부(207)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잠금부(207)는 메일 하우징(10)과 피메일 하우징(20)이 완전 체결되기 전에 CPA 부재(3)가 CPA 부재 장착부(206)에 삽입되는 정도(즉, CPA 부재의 삽입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잠금부(207)에 의해 CPA 부재(3)의 삽입 위치가 제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CPA 부재(3)는 CPA 부재 장착부(206)에 조립될 때 상기 이동잠금부(207)에 걸리는 프리락(31)이 구비된다(도 4 참조).
상기 CPA 부재(3)가 CPA 부재 장착부(206)에 삽입될 때 상기 프리락(31)이 이동잠금부(207)에 걸려 CPA 부재(3)의 삽입 이동이 제한됨에 의해, 상기 CPA 부재(3)는 CPA 부재 장착부(206)에 가조립(임시 조립)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이동잠금부(207)는 CPA 부재 장착부(206)에 삽입되는 CPA 부재(3)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여 상기 CPA 부재(3)가 CPA 부재 장착부(206)에 가조립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PA 부재(3)는 메일 하우징(10)과 피메일 하우징(20)이 완전 체결될 때 상기 이동잠금부(207)에 의한 CPA 부재(3)의 삽입 제한(즉, 이동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프리락 해제부(32)가 구비된다.
상기 프리락 해제부(32)는, CPA 부재(3)가 피메일 하우징(20)에 가조립된 상태에서, 메일 하우징(10)과 피메일 하우징(20)의 완전 체결시, 상기 메일 하우징(10)의 프리락 해제돌기(101)에 의해 메일 하우징(10)의 바깥쪽을 향해 들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리락 해제돌기(101)는 메일 하우징(10)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며, 메일 하우징(10)과 피메일 하우징(20)의 완전 체결시 CPA 부재 장착부(206)에 가조립되어 있는 CPA 부재(3)의 삽입 제한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리락 해제돌기(101)는 메일 하우징(10)과 피메일 하우징(20)의 완전 체결시 상기 씨 플레이트(4) 및 프리락 해제부(32)와 일렬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프리락 해제부(32)는, 메일 하우징(10)과 피메일 하우징(20)의 완전 체결시, CPA 부재(3)의 삽입력에 의해 프리락 해제돌기(101)를 타고 넘어가게 되며, 상기 프리락 해제돌기(101)의 곡면형 표면을 따라 메일 하우징(10)의 바깥쪽으로 들리게 될 때 씨 플레이트(4)쪽으로 밀리게 된다.
상기 프리락 해제부(32)는 프리락 해제돌기(101)에 의해 씨 플레이트(4)쪽으로 들리게 될 때 이동잠금부(207)에 대한 프리락(31)의 걸림을 강제 해제시켜 CPA 부재(3)의 삽입 제한이 해제되도록 한다.
즉, 상기 프리락 해제부(32)가 프리락 해제돌기(101)에 의해 씨 플레이트(4)측으로 들리게 될 때, CPA 부재(3)의 프리락(31)이 이동잠금부(207)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CPA 부재(3)는 CPA 부재 장착부(206)에 수동으로 삽입 이동가능한 상태(즉, 완전 조립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5 참조).
또한 상기 CPA 부재(3)는 프리락 해제부(32)가 프리락 해제돌기(101)에 의해 씨 플레이트(4)측으로 들릴 때 상기 씨 플레이트(4)의 저면에 밀착하게 되는 무빙 홈부(33)가 구비된다.
상기 무빙 홈부(33)는, 프리락 해제부(32)의 상방에 배치되어 씨 플레이트(4)의 저면을 마주하게 되며, 프리락 해제부(32)가 씨 플레이트(4)측으로 들릴 때 상기 씨 플레이트(4)의 저면에 구비된 무빙 돌기부(41)와 맞물리게 된다.
즉, 상기 무빙 홈부(33)는, 상기 프리락 해제부(32)가 프리락 해제돌기(101)에 의해 씨 플레이트(4)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무빙 돌기부(41)와 결합되어 CPA 부재(3)가 씨 플레이트(4)와 일체로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프리락 해제부(32)가 프리락 해제돌기(101)를 타고 씨 플레이트(4)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무빙 돌기부(41)는 무빙 홈부(33)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로 결합된다.
한편 도 3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씨 플레이트(4)는 씨 플레이트 장착부(203)에 구비된 체결표시부(204)를 감쌀 수 있는 ㄷ 모양의 단면 구조를 가진다.
상기 씨 플레이트(4)는, 피메일 하우징(20)이 메일 하우징(10)과 체결되기 전부터 메일 하우징(10)과 완전 체결될 때까지 상기 체결표시부(204)를 덮어서 가리게 되고, 메일 하우징(10)과 피메일 하우징(20)의 체결 완료 후 CPA 부재(3)가 CPA 부재 장착부(206)에 추가로 삽입 이동되어 완전 조립될 때 CPA 부재(3)에 의해 체결표시부(204)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위해 씨 플레이트(4)는 상기 무빙 돌기부(41) 외에 걸림돌기(42)가 구비되고, 씨 플레이트 장착부(203)는 상기 걸림돌기(42)와 더불어 씨 플레이트(4)의 자유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돌기(205)가 구비된다.
도 3a에 보듯이, 상기 걸림돌기(42)는 씨 플레이트(4)가 씨 플레이트 장착부(203)에 조립되어 체결표시부(204)를 덮어줄 때 고정돌기(205)에 걸려서 씨 플레이트(4)의 자유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고정돌기(205)는, CPA 부재(3)가 CPA 부재 장착부(206)에 완전 조립되기 전까지, 걸림돌기(42)의 이동을 차단하여 씨 플레이트(4)의 자유 이동을 방지한다. 상기 씨 플레이트 장착부(203)는 고정돌기(205)에 의해 씨 플레이트(4)가 체결표시부(204)를 덮은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에 보듯이, 상기 걸림돌기(42)는 씨 플레이트(4)가 체결표시부(204)를 개방할 때에도 씨 플레이트(4)의 자유 이동을 억제하여 체결표시부(204)가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걸림돌기(42)의 작동을 위해, 상기 씨 플레이트 장착부(203)에는 복수의 고정돌기(205)가 씨 플레이트(4)의 이동방향으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42)는 씨 플레이트(4)의 전후 및 좌우 양측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씨 플레이트(4)는, 프리락(31)에 의한 CPA 부재(3)의 이동 잠금이 해제되고 CPA 부재(3)가 CPA 부재 장착부(206)에 완전 조립될 때, 상기 CPA 부재(3)의 삽입력에 의해 CPA 부재(3)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체결표시부(204)를 개방하여 노출시키게 된다(도 6 참조).
상기 씨 플레이트(4)가 체결표시부(204)를 개방함에 의해 메일 하우징(10)과 피메일 하우징(20)이 완전 체결된 것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표시부(204)는 메일 하우징(10)와 피메일 하우징(20)이 완전 체결된 상태를 보다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소정의 문구가 표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CPA 부재(3)는 CPA 부재(3)를 CPA 부재 장착부(206)에서 조립 해제시킬 때 사용하는 툴 삽입홈(3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프리락(31)과 프리락 해제부(32) 및 이동잠금부(207) 등은 피메일 하우징(20)이 메일 하우징(10)과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경사면 구조 또는 곡면 구조로 형성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씨 플레이트(4)의 개폐 작동에 의한 체결표시부(204)의 노출 여부에 따라 완전 체결 여부를 육안으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커넥터 조립체의 체결 상태 검사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이 증대되고 또한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 불량(불완전 체결)을 방지하여 완성차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씨 플레이트(4)와 CPA 부재(3)가 조립되어 있는 피메일 하우징(20)의 내측에 메일 하우징(10)이 삽입되도록 메일 커넥터(1)와 피메일 커넥터(2)를 조립한다. 이때 CPA 부재(3)는 피메일 하우징(20)에 가조립되어 있는 상태이고 씨 플레이트(4)는 체결표시부(204)를 덮어서 가리도록 조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메일 하우징(10)이 피메일 하우징(20)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어 메일 커넥터(1)와 피메일 커넥터(2)가 완전 체결되면, 프리락(31)의 잠금이 해제되면서 CPA 부재(3)의 이동 잠금이 해제되고, CPA 부재(3)의 무빙 홈부(33)는 씨 플레이트(4)측으로 이동되어 무빙 돌기부(41)에 결합된다(도 3b 참조). 이때 CPA 부재(3)는 CPA 부재 장착부(206)에서 외력(삽입력)에 의해 메일 하우징(10)쪽으로 더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 상기 CPA 부재(3)를 메일 하우징(10)측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면 씨 플레이트(4)가 CPA 부재(3)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어 씨 플레이트 장착부(203)의 개구간을 닫으면서 체결표시부(204)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커넥터 조립체의 해체시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툴 삽입홈(34)에 삽입한 툴을 이용하여 CPA 부재(3)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CPA 부재(3)를 CPA 부재 장착부(206)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씨 플레이트(4)가 CPA 부재(3)에 의해 체결표시부(204)를 닫아서 가리는 방향으로 자동 이동하게 된다.
상기 씨 플레이트(4)가 체결표시부(204)를 덮어서 가리게 될 때, 씨 플레이트 장착부(203)가 부분 개방되어 씨 플레이트 장착부(203)에 개구간이 형성된다.
다음, 메일 하우징(10)에서 피메일 하우징(20)을 탈거시켜 메일 커넥터(1)과 피메일 커넥터(2)를 분리시킨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메일 커넥터 10 : 메일 하우징
101 : 프리락 해제돌기
2 : 피메일 커넥터 20 : 피메일 하우징
201 : 아우터 하우징 202 : 이너 하우징
203 : 씨 플레이트 장착부 204 : 체결표시부
205 : 고정돌기 206 : CPA 부재 장착부
207 : 이동잠금부
3 : CPA 부재 31 : 프리락
32 : 프리락 해제부 33 : 무빙 홈부
34 : 툴 삽입홈
4 : 씨 플레이트 41 : 무빙 돌기부
42 : 걸림돌기

Claims (8)

  1. 메일 하우징이 구비된 메일 커넥터 및 상기 메일 하우징과 체결되는 피메일 하우징이 구비된 피메일 커넥터로 구성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씨 플레이트 장착부와 CPA 부재 장착부가 구비된 피메일 하우징;
    상기 CPA 부재 장착부에 삽입되어 가조립되고, 상기 메일 하우징과 피메일 하우징이 완전 체결될 때 상기 CPA 부재 장착부에 완전 조립가능한 상태가 되는 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 부재;
    상기 씨 플레이트 장착부에 구비된 체결표시부를 덮어서 가리도록 상기 씨 플레이트 장착부에 조립되고, 상기 CPA 부재가 CPA 부재 장착부에 완전 조립되도록 이동될 때 상기 CPA 부재와 일체로 이동되어 상기 체결표시부를 개방하는 씨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하우징은 CPA 부재 장착부에 조립되는 CPA 부재의 삽입을 제한하여 상기 CPA 부재가 CPA 부재 장착부에 가조립되도록 하는 이동잠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일 하우징은 CPA 부재 장착부에 가조립된 CPA 부재의 삽입 제한을 해제하는 프리락 해제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CPA 부재는 메일 하우징과 피메일 하우징의 완전 체결시 상기 프리락 해제돌기에 의해 씨 플레이트를 향해 들리게 되는 프리락 해제부가 구비되며, 상기 CPA 부재는 상기 프리락 해제부가 씨 플레이트쪽으로 들릴 때 상기 이동잠금부에 의한 삽입 제한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CPA 부재는 CPA 부재 장착부에 삽입될 때 상기 이동잠금부에 걸리게 되는 프리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CPA 부재는, 상기 프리락 해제부가 프리락 해제돌기에 의해 들릴 때, 상기 씨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는 무빙 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씨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프리락 해제부가 프리락 해제돌기에 의해 들릴 때, 상기 무빙 홈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무빙 돌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씨 플레이트 장착부는 씨 플레이트의 자유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씨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돌기에 걸려서 씨 플레이트의 자유 이동을 차단하는 걸림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90144670A 2019-11-13 2019-11-13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KR102200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670A KR102200100B1 (ko) 2019-11-13 2019-11-13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670A KR102200100B1 (ko) 2019-11-13 2019-11-13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100B1 true KR102200100B1 (ko) 2021-01-07

Family

ID=7412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670A KR102200100B1 (ko) 2019-11-13 2019-11-13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1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685U (ko) * 1994-10-10 1996-05-17 몰렉스인코포레이티드 전기 커넥터 위치 보증 장치
JP2002260781A (ja) * 2001-02-27 2002-09-13 Yazaki Corp コネクタ嵌合検知構造
KR20140025255A (ko) * 2012-08-22 2014-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미삽입 감지가 용이한 커넥터
KR20140130522A (ko) * 2012-03-28 2014-11-10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커넥터 위치 보증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KR20180045216A (ko) 2016-10-25 2018-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US20190245306A1 (en) * 2018-02-08 2019-08-08 Delphi Technologies, Llc Connector with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685U (ko) * 1994-10-10 1996-05-17 몰렉스인코포레이티드 전기 커넥터 위치 보증 장치
JP2002260781A (ja) * 2001-02-27 2002-09-13 Yazaki Corp コネクタ嵌合検知構造
KR20140130522A (ko) * 2012-03-28 2014-11-10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커넥터 위치 보증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KR20140025255A (ko) * 2012-08-22 2014-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미삽입 감지가 용이한 커넥터
KR20180045216A (ko) 2016-10-25 2018-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US20190245306A1 (en) * 2018-02-08 2019-08-08 Delphi Technologies, Llc Connector with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696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WO2014115363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449703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6655998B1 (en) Connector
CN107465030A (zh) 具有改进的锁定装置的电连接器组装件
JP2006127803A (ja) コネクタ
JP2018120666A (ja) 防水コネクタ
EP2671291A1 (en) Plug-connector with cap-holding mechanism
EP1033788B1 (en)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US6155888A (en) Water-proof connector
JP2002198117A (ja) コネクタ
CN114079180A (zh) 连接器
KR102200100B1 (ko) 완전 체결 표시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JP2007059153A (ja) コネクタ
CN112290279B (zh) 连接器
JP2007026764A (ja) 防水コネクタ
JP2014017085A (ja) コネクタ
WO2021206131A1 (ja) コネクタユニッ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7063848B2 (ja) ハウジング
KR102313403B1 (ko) 차량용 커넥터
CN112688105B (zh) 连接器
JP3159066B2 (ja) コネクタ
JP714595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3991910B2 (ja) コネクタ及び検査装置
JP2017107700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