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6800A -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및 실드커넥터 세트 - Google Patents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및 실드커넥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6800A
KR20080036800A KR1020060103502A KR20060103502A KR20080036800A KR 20080036800 A KR20080036800 A KR 20080036800A KR 1020060103502 A KR1020060103502 A KR 1020060103502A KR 20060103502 A KR20060103502 A KR 20060103502A KR 20080036800 A KR20080036800 A KR 20080036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onnector
connection
shield shel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2047B1 (ko
Inventor
노용준
연복희
박경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5750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3680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3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047B1/ko
Publication of KR20080036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드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가 용이하고, 실드케이블과의 접속이 용이한 구조의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 및 실드커넥터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드커넥터의 하우징 조립체는 실드케이블의 중심선에 결합되는 접속단자를 수용하고, 상기 중심선 및 접속단자를 외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로부터 보호하는 실드커넥터에 채용되는 하우징 조립체에 있어서, 내부에 중심선과 상기 중심선에 결합되는 접속단자를 수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접촉을 차단하고, 상기 접속단자의 일 부분을 고정하는 내부하우징; 적어도 상기 내부하우징과 실드케이블의 일 부분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실드쉘; 및 양단부에 개구부가 마련된 실린더 형태로서, 그 내부에 상기 실드쉘이 장착고정되고, 일 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접속단자가 고정된 부분의 내부하우징을 노출시키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한다.
실드, 커넥터, 차폐, 접촉자, 하우징

Description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 및 실드커넥터 세트{Easily connectable housing assembly, Shield connector, amd Shield connector set hav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실드커넥터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실드커넥터에 구비되는 실드쉘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드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드커넥터에 실드케이블이 접속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실드케이블 50...접속단자
60...접속링 65...압착링
70...내부하우징 80...실드쉘
90...외부하우징 110...씰링부재
120...스톱퍼 130...레버
160...대응접속단자 170...대응내부하우징
180...대응실드쉘 190...고정부재
100...제1커넥터 200...제2커넥터
본 발명은 실드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가 용이하고, 실드케이블과의 접속이 용이한 구조의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 및 실드커넥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전장화로 다수의 전자부품 또는 센서가 사용된다. 다수의 전자부품 또는 센서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가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된다. 그리고, 이 렇게 발생된 신호들은 다수의 신호선들을 통해 제어장치나 구동장치에 전송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기적 신호에 의한 전자파가 불규칙하게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전자파가 신호선 또는 전자장치에 직/간접적으로 전달될 경우, 전자장치가 이상작동하여 운전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하네스에는 일반적으로 실드케이블을 사용하는데, 상기 실드케이블은 도체로 이루어지는 중심선, 상기 중심선을 감싸는 내피, 상기 내피의 외부를 편조선으로 감싸 형성되는 실드층, 및 상기 실드층 외부에 형성되는 외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실드층이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를 흡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중심선까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실드케이블을 별도의 차폐부재를 구비하지 않은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기기기 또는 종류가 다른 케이블에 접속할 경우,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가 접속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실드케이블을 전기기기 또는 종류가 다른 케이블과 접속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가 접속점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실드커넥터 사용이 필수적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실드커넥터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실드커넥터에 구비되는 실드쉘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실드커넥터는 하우징 조립체(21,22) 및 실드쉘(30)을 구비한다.
하우징 조립체(21,22)는 내부하우징(21)과 외부하우징(22)으로 이루어진다. 내부하우징(21)은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접속단자(미도시)가 결합된 실드케이블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외부하우징(22)도 내부하우징(21)과 마찬가지로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하우징(21) 및 실드쉘(3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한편, 실드쉘(30)은 도전성 물질로서, 양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내부하우징(21)은 외부하우징(22)의 내부에 마련되는 공간에 삽입되며, 연결부(23)를 통해 외부하우징(22)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또한, 내부하우징(21)과 외부하우징(22)이 연결됨에 있어서, 내부하우징(21)과 외부하우징(22) 사이에는 실드쉘(30)이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실드케이블을 실드커넥터에 결합할 때, 접속단자가 결합된 실드케이블을 실드쉘(30)과 결합하고, 상기 실드쉘(30)을 내부하우징(21)과 외부하우징(22)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삽입한다.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조립체(20)는 구조가 복잡하여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드쉘(30)을 하우징 조립체(2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실드쉘(30)에 슬릿부(31)가 필수적으로 마련되어야한다. 그런데, 이러한 슬릿부(31)는 실드커넥터 외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하우징조립체(20)의 내부 공간까지 침투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여 실드케넥터의 차폐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실드케이블과의 접속이 용이하고, 쉽게 제조할 수 있는 구조의 하우징 조립체, 상기 하우징 조립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 및 실드커넥터 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드커넥터의 하우징 조립체는 실드케이블의 중심선에 결합되는 접속단자를 수용하고, 상기 중심선 및 접속단자를 외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로부터 보호하는 실드커넥터에 채용되는 하우징 조립체에 있어서, 내부에 중심선과 상기 중심선에 결합되는 접속단자를 수용하고, 상기 접속단자의 일 부분을 고정하는 내부하우징; 적어도 상기 내부하우징과 실드케이블의 일 부분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실드쉘; 및 양단부에 개구부가 마련된 실린더 형태로서, 그 내부에 상기 실드쉘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드쉘은 상기 내부하우징을 고정하는 내부하우징 고정부; 및 내부에 적어도 외부로 노출되는 차폐층의 일 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차폐층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접속부;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외부하우징은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실드쉘은 상기 고정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고정돌기 안착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실드커넥터는 중심선, 내피, 차폐층, 및 외피를 포함하는 실드케이블을 다른 도전성 물체에 접속하기 위하여 채용되는 실드커넥터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실드케이블의 중심선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연장되어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도전성 물체를 수용하는 단자헤드를 구비하는 접속단자; 외부로 노출된 상기 실드케이블의 차폐층에 설치되는 연결부재; 내부에 상기 접속단자의 접속부를 수용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접속단자 접속부의 전기적 접촉을 차단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헤드를 삽입고정하는 단자 고정부를 구비하는 내부하우징; 적어도 상기 내부하우징과 상기 연결부재가 장착된 실드케이블을 내부에 고정하는 실드쉘; 및 양단부에 개구부가 마련된 실린더 형태로서, 그 내부에 상기 실드쉘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실드쉘은 상기 내부하우징을 고정하는 내부하우징 고정부; 및 내부에 적어도 연결부재의 일 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연결부재와 밀착 접촉되는 연결부재 접속부;를 구비한다.
상기 외부하우징은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실드쉘은 상기 고정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고정돌기 안착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차폐층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내경을 갖고, 일 부분이 상기 실드쉘 내부면 사이의 최단거리에 대응하는 크기의 외경을 갖는 접속링; 및 상기 접속링과 상기 접속링에 말아올려진 차폐층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중공을 구비하는 압착링;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실드커넥터는 상기 실드케이블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중공을 구비하며, 상기 실드쉘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외경을 갖는 씰링(seal ring)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드커넥터는 상기 실드쉘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적어도 상기 실드케이블의 차폐층 및 연결부재가 상기 실드쉘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실드케이블의 일 부분에 장착되는 스톱퍼;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실드커넥터 세트는 외부로 노출된 실드케이블의 중심선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연장되어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도전성 물체를 수용하는 단자헤드를 구비하는 접속단자와, 외부로 노출된 상기 실드케이블의 차폐층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내부에 상기 접속단자의 접속부를 수용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접속단자 접속부의 전기적 접촉을 차단하는 중심선보호부 및 상기 중심선보호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헤드를 삽입고정하는 단자 고정부를 구비하는 내부하우징과, 적어도 상기 내부하우징과 상기 연결부재가 장착된 실드케이블을 내부에 고정하는 실드쉘과, 양단부에 개구부가 마련된 실린더 형태로서, 그 내부에 상기 실드쉘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외부하우징을 구비하는 제1커넥터; 및 일 단부는 케이블의 중심선에 접속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단자헤드 내부로 삽입되는 대응접속단자와, 내부에 상기 대응접속단자 및 상기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을 마련하는 대응내부하우징과, 제1커넥터의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며, 그 내부에 상기 대응내부하우징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을 형성하는 대응실드쉘을 구비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실드쉘의 외부면의 일 부분에 장착되어 그 외부로 탄성 변형되는 탄성편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커넥터는 상기 대응실드쉘의 외부에 장착되어 외주면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탄성접촉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드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드커넥터에 실드케이블이 접속된 상태의 사시도 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100)는 접속단자(50), 연결부재(60,65), 및 내부하우징(70), 실드쉘(80), 및 외부하우징(90)을 포함한다.
접속단자(50)는 절단 가공된 얇은 도전성 판으로서 일 단부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실드케이블의 중심선(11)에 클램핑되어 접속되는 접속부(51)를 구비하고, 그 타 단부에는 외부 전자기기의 단자 또는 타 케이블의 중심선(또는 중심선에 연결되 는 접속단자)이 접속될 수 있는 단자헤드(53)를 구비한다. 여기서, 단자헤드(53)는 외부 전자기기의 단자 또는 타 케이블의 중심선(또는 중심선에 연결되는 접속단자)을 수용하는 단자헤드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단자헤드(53)의 내부에는 접촉보조수단(5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접촉보조수단(55)은 단자헤드(53)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일 부분이 내부 일면으로부터 상기 일면에 대향되는 그 타면 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접속단자(50)는 고정부(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7)는 접속부(51)로부터 연장되며, 접속부(51)를 기준으로 단자헤드(53)가 구비되는 반대방향에 마련되어 실드케이블의 내피(12)에 클램핑된다.
연결부재(60,65)는 도전성 물질로서, 실드케이블의 차폐층(13)에 결합되어 차폐층(13)과 실드쉘(80)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 연결부재(60,65)는 접속링(60) 및 압착링(65)을 구비할 수 있다. 접속링(60)은 차폐층접촉부(61) 및 실드쉘접촉부(62)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차폐층접촉부(61)는 차폐층(13)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실드쉘접촉부(62)는 차폐층접촉부(61)로부터 연장되어 실드쉘(80)의 내경(실드쉘 내부면 사이의 최단거리)에 대응하는 크기의 외경을 갖는 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접속링(60)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의 차폐층(13)에 장착될 경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차폐층접촉부(61)의 내면이 차폐층(13)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실드쉘접촉부(62)의 외면이 실드쉘(80)의 내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차폐층(13)과 실드쉘(8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압착링(65)은 차폐층접촉부(61)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링으로 이루어지며, 차폐층접촉부(61)의 외부에 압착결합된다.
나아가, 접속링(60) 및 압착링(65)을 차폐층(13)에 결합할 때, 상기 차폐층(30)을 접속링(6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말아올린 후, 그 위에 압착링(65)을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착링(65) 내경의 크기는 차폐층접촉부(61) 외경의 크기와 상기 차폐층(13)의 두께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부재가 접속링(60) 및 압착링(6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차폐층(13)과 실드쉘(80)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내부하우징(70)은 절연성 물질로서, 그 내부에 적어도 실드케이블(10)에 결합된 접속단자(50) 및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실드케이블(10)의 중심선(11)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구체적으로, 내부하우징(70)은 중심선보호부(71) 및 접속단자 고정부(72)를 구비한다. 중심선보호부(71)는 실린더 형태로서, 그 내부에 적어도 접속단자(50)가 장착된 실드케이블(10)의 중심선(11)이 관통할 수 있는 중공을 형성한다. 접속단자 고정부(72)는 내부에 중심선보호부(71)에 마련된 중공과 연통하는 공간을 마련하는데, 상기 공간은 단자헤드(53)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로서 적어도 접속단자(50)의 단자헤드(53)를 수납하여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마련된다. 또한, 접속단자 고정부(72)는 그 단부에 단자헤드(53)에 형성되는 삽입구(54)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는 개구부(73)를 구비한다.
실드쉘(80)은 실린더 형태의 도전성 물질로서, 내부에 내부하우징(70)의 일 부분 및 실드케이블(10)의 차폐층(13)에 결합된 연결부재(60,65)를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을 구비한다.
실드쉘(80)은 내부하우징 고정부(81) 및 접속부(82)를 구비한다. 내부하우징 고정부(81)는 내부에 내부하우징(70)의 중심선보호부(71)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와 크기의 수납공간을 구비한다. 접속부(82)는 내부에 내부하우징 고정부(81)에 마련되는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며, 적어도 연결부재(60,65)가 결합된 차폐층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을 구비한다. 이때, 접속부(82) 내경의 크기는 내부하우징 고정부(81) 내경의 크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하우징 고정부(81)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삽입되는 내부하우징(70)은 내경의 크기 차이로 인하여 접속부(82) 내부에 마련되는 상기 중공까지 삽입되지 않고, 내부하우징 고정부(81) 내부에 마련된 상기 수납공간까지만 삽입되어 고정된다. 실드쉘(80)에 내부하우징(70)이 결합될 때, 실드쉘(80)은 내부하우징(70)의 일 부분, 즉 내부하우징 고정부(81)만 수용하게 되므로, 상기 접속단자 고정부(72)는 외부에 노출된다.
바람직하게, 실드쉘(80)은 외향플렌지(8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외향플렌지(84)를 기준으로 내부하우징 고정부(81) 및 접속부(82)를 구분할 수 있다.
외부하우징(90)은 실린더 형태의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양 단부에 개구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중공이 마련된다. 상기 중공은 적어도 내부하우징(70)이 결합된 실드쉘(80)의 일 부분(예컨대, 내부하우징 고정부(81))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실드커넥(100)는 탄성편(8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편(85)은 실드쉘(80)의 외부면에 장착된다.
상기 탄성편(85)은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탄성 변형되는 복수의 탄성핀(86) 및 상기 복수의 탄성핀(86)의 양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결된 날개부(87)를 구비한다. 탄성편(85)은 날개부(87)가 실드쉘(80)의 외부면에 마련된 고정 홈(89)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외부하우징(90)은 상기 중공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9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실드쉘(80)은 실드쉘(80)과 외부하우징(90)의 결합시에 상기 고정돌기(91)를 수용하여 안착시킬 수 있는 고정돌기 안착 홈(83)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100)는 씰링(seal ring)부재(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씰링부재(110)는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탄성력을 지닌 고무재질의 부재로서, 내부에는 실드케이블의 외피(14)가 관통할 수 있는 중공(111)을 구비하고, 외부에는 주름(112)이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씰링부재(110) 외경의 크기는 실드쉘(80)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씰링부재(110)가 장착된 실드케이블(10)이 실드쉘(80) 내부에 삽입될 경우, 실드케이블(10)의 외피(14)와 실드쉘(80) 내부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외부로부터 접속부(82) 내부에 마련되는 상기 중공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커넥터(100)는 실드케이블의 외피(14)에 결합되는 스톱퍼(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톱퍼(120)는 고정링(121), 지지대(123),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더(125)를 구비한다. 고정링(121)에는 실드케이블의 외피(14)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중공이 마련된다. 지지대(123)는 고정링(121)의 일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고정링(121)의 상기 중공과 동일한 크기의 중공을 갖는 도넛츠 형태로 이루어진다. 홀더(125)는 지지대(123) 외곽의 원주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판으로써, 그 내부에 소정의 홀(126)을 마련한다. 한편, 접속부(82)의 외부에는 소정의 돌기(127)가 구비될 수 있는 바, 스톱퍼(120)가 장착된 실드케이블(10)을 실드쉘(80) 내부로 삽입할 경우, 홀더(125)에 마련된 상기 홀(126)이 접속부(82)에 구비된 상기 돌기(127)에 끼워져 실드케이블(10)과 실드쉘(80)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말명의 실시예에서 지지대(123)가 도넛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정링(121)과 홀더(125) 사이에 마련되어 실드쉘(80)의 이동을 막을 수 있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또한, 제1커넥터(100)는 외부하우징(90)에 설치되어 외부하우징(90)의 개구를 크기를 일시적으로 늘일 수 있는 레버(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Ⅶ-Ⅶ'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커넥터(200)는 상기 제1커넥터(100)의 내부에 삽입 및 고정되는 커넥터로써, 대응접속단자(160), 대응내부하우징(170), 대응실드쉘(180), 및 고정부재(190)를 포함한다.
대응접속단자(160)는 절단 가공된 얇은 도전성 판으로서 일 단부에는 케이블(150)의 심선(151)에 클램핑되어 접속되는 심선 접속부(161)를 구비하고, 그 타 단부에는 단자헤드(53)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접촉핀(163)을 구비한다. 또한, 대응접속단자(160)는 상기 심선 접속부(161)와 접촉핀(163)사이에 접속단자 고정부재(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단자 고정부재(162)는 대응내부하우징(170)의 일 부분이 삽입 고정 될 수 있도록, 일 부분에 홀(164)을 형성한다.
대응내부하우징(170)은 케이블(150) 및 대응접속단자(160)를 내부에 수납 및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써, 단자 삽입부(171), 단자 고정부(172), 및 내부하우징 수용부(173)를 포함한다. 단자 삽입부(171)는 대응접속단자(160)가 연결된 상기 케이블(150)을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구와 접촉핀(163) 및 접속단자 고정부재(162)가 지날수 있는 관통공간을 제공한다. 단자 고정부(172)는 대응접속단자(160)의 접속단자 고정부재(162)를 수납 및 고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나아가, 단자 고정부(172)는 상기 홀(164)에 삽입되어 접속단자 고정부재(162)를 고정할수 있는 돌기(17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내부하우징 수용부(173)는 제1커넥터(100)에 구비된 내부하우징(70)에서 적어도 접속단자 고정부(72)를 그 내부에 수납 고정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대응실드쉘(180)은 실드쉘(80)과 마찬가지로 실린더 형태의 도전성 물질로써, 그 내부에 대응내부하우징(17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중공을 구비하고, 그 외부의 형태 및 크기는 실드쉘(8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실드쉘(80)의 내부에 대응하는 형태 및 크기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제2커넥터(200)는 탄성접촉편(18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탄성접촉편(185)은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탄성 변형되는 복수의 탄성핀(186) 및 상기 복수의 탄성핀(186)의 양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결된 날개부(187)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대응실드쉘(180)은 탄성편(185)의 날개부(187)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고정 홈(189)을 더 구비한다.
이로써, 제2커넥터(200)가 제1커넥터(100)에 결합시, 탄성접촉편(185)이 장착된 대응실드쉘(180)이 실드쉘(8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고, 탄성접촉편(185)은 실드쉘(80)과 대응실드쉘(180) 사이에서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전기적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준다.
고정부재(190)는 케이블(150)을 대응내부하우징(170)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로써, 씰링부재(191) 및 스톱퍼(192)를 포함한다. 상기 씰링부재(191) 및 스톱퍼(192)는 제1커넥터(100)에 채택되는 씰링부재(110) 및 스톱퍼(120)와 동일한 구성요소로써,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하게, 제2커넥터(200)는 대응내부하우징(170) 및 대응실드쉘(180)의 외부면을 보호하는 대응외부하우징(미 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대응외부하우징은 그 내부에 대응내부하우징(170) 및 대응실드쉘(180)의 일 부분(제1커넥터(100) 내부로 삽입되지 않는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내부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Ⅸ-Ⅸ'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전술한 구성요소,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드커넥터 세트(100,200)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제1커넥터(100)의 결합과정을 살펴본다.
제1커넥터(100)의 결합 전에, 실드케이블(10)을 가공하여 중심선(11), 외피(12), 및 차폐층(13)의 일 부분이 각각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스톱퍼(120), 씰링부재(110), 및 연결부재(60,65)를 실드케이블(10)의 외부에 순서대로 끼운 후, 실드케이블(10)의 외부에 자유롭게 위치시킨다. 그리고, 중심선(11)을 접속단자(50)의 접속부(51)에 위치시키고 내피(12)를 고정부(57)에 위치시킨 후, 접속부(51) 및 고정부(57)를 각각 중심선(11)과 내피(12)에 클램핑하여 결합한다. 그 후, 접속링(60)의 차폐층접촉부(61)를 실드케이블(10)의 차폐층(13)을 감싸도록 끼운다. 이때, 차폐층접촉부(61)는 차폐층(13)의 단부로부터 소정거리(예컨대, 차폐층접촉부(61)의 길이만큼) 이격시켜 위치시킨다. 그리고, 차폐층(13)을 말아올려 차폐층접촉부(61)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한 후, 그 위에 접속링(65)을 끼우고 압착한다.
한편, 내부하우징(70), 실드쉘(80), 및 외부하우징(90)을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내부하우징(70)의 중심선보호부(71)를 실드쉘(80)의 내부하우징 고정부(81)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끼우고, 외부하우징(90)을 내부하우징(70)이 결합된 상태의 실드쉘(80)에 장착한다. 이때, 외부하우징(90)에 구비되는 고정돌기(91)가 실드쉘(80)에 구비된 고정돌기 안착 홈(83)에 완전하게 안착된다. 또한, 실드쉘(80)에는 탄성편(85)이 장착될 수 있는데, 탄성편(85)은 외부하우징(90)으로 탄성 변형된 다. 고정돌기(91), 고정돌기 안착 홈(83), 및 탄성편(85)을 통해 실드쉘(80)과 외부하우징(90)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접속단자(50), 연결부재(60,65), 씰링부재(110), 및 스톱퍼(120)가 결합된 실드케이블(10)을 내부하우징(70), 실드쉘(80), 및 외부하우징(90)이 결합된 조립체에 결합한다. 우선, 상기 조립체(70,80,90)에 상기 실드케이(10)블을 끼워 넣어, 접속단자 고정부(72)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단자헤드(53)가 위치하고, 실드쉘접촉부(62)의 외부면이 실드쉘(80)의 접속부(82) 내부면과 밀착접속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실드케이블(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실드링(110)을 접속부(82)의 내측으로 밀어 넣는다. 그리고, 스톱퍼(120)를 접속부(82)의 단부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한편, 제2커넥터(200)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케이블(150)의 심선(151)을 노출시키고, 씰링부재(191)와 스톱퍼(192)를 케이블(150)에 끼운다. 그런 다음, 대응접속단자(160)의 심선 접속부(161)를 상기 심선(151)에 클램핑하여 접합한다. 그리고, 대응접속단자(160)가 결합된 케이블(150)을 접촉핀(163)부터 단자 삽입부(171)를 통해 대응내부하우징(170)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돌기(174)가 홀(164)에 삽입되어 고정될 때까지 밀어넣는다. 그 후, 씰링부재(191)를 단자 삽입부(171)의 단부에 위치시키고, 스톱퍼(192) 결합한다. 그리고, 대응내부하우징(170)을 대응실드쉘(180)의 내부에 삽입 고정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과정을 통해 결합된 제2커넥터(200)를 제1커넥터(100)의 외부하우징(90)의 단부로 삽입한다. 이때, 대응실드쉘(180)이 실드쉘(80) 내부로 삽입되고, 대응실드쉘(180) 결합된 탄성접촉편(185)은 실드쉘(80)의 내벽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로써, 탄성접촉편(185)은 실드쉘(80)과 대응실드쉘(180) 사이에서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전기적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준다.
비교적 단순한 구조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실드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실드케이블을 전기기기의 단자나 타 케이블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드케이블이나 실드커넥터의 가공없이 실드커넥터를 실드케이블에 쉽게 접속할 수 있고, 실드커넥터의 접속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고정링과 접속링을 통해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차폐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실드형 커넥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Claims (17)

  1. 실드케이블의 중심선에 결합되는 접속단자를 수용하고, 상기 중심선 및 접속단자를 외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로부터 보호하는 실드커넥터에 채용되는 하우징 조립체에 있어서,
    내부에 중심선과 상기 중심선에 결합되는 접속단자를 수용하고, 상기 접속단자의 일 부분을 고정하는 내부하우징;
    적어도 상기 내부하우징과 실드케이블의 일 부분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실드쉘; 및
    양단부에 개구부가 마련된 실린더 형태로서, 그 내부에 상기 실드쉘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커넥터의 하우징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쉘의 외부면의 일 부분에 장착되어 그 외부로 탄성 변형되는 탄성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커넥터의 하우징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쉘은
    상기 내부하우징을 고정하는 내부하우징 고정부; 및
    내부에 적어도 외부로 노출되는 차폐층의 일 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차폐층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커넥터의 하우징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은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실드쉘은 상기 고정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고정돌기 안착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커넥터의 하우징 조립체.
  5. 중심선, 내피, 차폐층, 및 외피를 포함하는 실드케이블을 다른 도전성 물체에 접속하기 위하여 채용되는 실드커넥터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실드케이블의 중심선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연장되어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도전성 물체를 수용하는 단자헤드를 구비하는 접속단자;
    외부로 노출된 상기 실드케이블의 차폐층에 설치되는 연결부재;
    내부에 상기 접속단자의 접속부를 수용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접속단자 접속부의 전기적 접촉을 차단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헤드를 삽입고정하는 단자 고정부를 구비하는 내부하우징;
    적어도 상기 내부하우징과 상기 연결부재가 장착된 실드케이블을 내부에 고 정하는 실드쉘; 및
    양단부에 개구부가 마련된 실린더 형태로서, 그 내부에 상기 실드쉘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쉘의 외부면의 일 부분에 장착되어 그 외부로 탄성 변형되는 탄성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쉘은
    상기 내부하우징을 고정하는 내부하우징 고정부; 및
    내부에 적어도 연결부재의 일 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연결부재와 밀착 접촉되는 연결부재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은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실드쉘은 상기 고정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고정돌기 안착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커넥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차폐층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내경을 갖고, 일 부분이 상기 실드쉘 내부면 사이의 최단거리에 대응하는 크기의 외경을 갖는 접속링; 및
    상기 접속링과 상기 접속링에 말아올려진 차폐층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중공을 구비하는 압착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실드커넥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케이블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중공을 구비하며, 상기 실드쉘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외경을 갖는 씰링(seal ring)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실드커넥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쉘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적어도 상기 실드케이블의 차폐층 및 연결부재가 상기 실드쉘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실드케이블의 일 부분에 장착되는 스톱퍼;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실드커넥터.
  12. 외부로 노출된 실드케이블의 중심선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연장되어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도전성 물체를 수용하는 단자헤드를 구비하는 접속 단자와, 외부로 노출된 상기 실드케이블의 차폐층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내부에 상기 접속단자의 접속부를 수용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접속단자 접속부의 전기적 접촉을 차단하는 중심선보호부 및 상기 중심선보호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헤드를 삽입고정하는 단자 고정부를 구비하는 내부하우징과, 적어도 상기 내부하우징과 상기 연결부재가 장착된 실드케이블을 내부에 고정하는 실드쉘과, 양단부에 개구부가 마련된 실린더 형태로서, 그 내부에 상기 실드쉘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외부하우징을 구비하는 제1커넥터; 및
    일 단부는 케이블의 중심선에 접속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단자헤드 내부로 삽입되는 대응접속단자와, 내부에 상기 대응접속단자 및 상기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을 마련하는 대응내부하우징과, 제1커넥터의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며, 그 내부에 상기 대응내부하우징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을 형성하는 대응실드쉘을 구비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커넥터 세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실드쉘의 외부면의 일 부분에 장착되어 그 외부로 탄성 변형되는 탄성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커넥터 세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대응실드쉘의 외부에 장착되어 외주면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탄성접촉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커넥터 세트.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차폐층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내경을 갖고, 일 부분이 상기 실드쉘 내부면 사이의 최단거리에 대응하는 크기의 외경을 갖는 접속링; 및
    상기 접속링과 상기 접속링에 말아올려진 차폐층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중공을 구비하는 압착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실드커넥터 세트.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실드케이블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중공을 구비하며, 상기 실드쉘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외경을 갖는 씰링(seal ring)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실드커넥터 세트.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실드쉘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적어도 상기 실드케이블의 차폐층 및 연결부재가 상기 실드쉘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실드케이블의 일 부 분에 장착되는 스톱퍼;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실드커넥터 세트.
KR1020060103502A 2006-10-24 2006-10-24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및 실드커넥터 세트 KR100882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502A KR100882047B1 (ko) 2006-10-24 2006-10-24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및 실드커넥터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502A KR100882047B1 (ko) 2006-10-24 2006-10-24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및 실드커넥터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800A true KR20080036800A (ko) 2008-04-29
KR100882047B1 KR100882047B1 (ko) 2009-02-09

Family

ID=3957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502A KR100882047B1 (ko) 2006-10-24 2006-10-24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및 실드커넥터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04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35111A (zh) * 2010-10-12 2011-04-27 贵州航天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矩形电连接器的屏蔽连接装置
US8011945B2 (en) 2009-11-05 2011-09-06 Hyundai Motor Company Locking device and high voltage shield connector having the same
KR20140107773A (ko) * 2013-02-28 2014-09-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차폐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KR20180045216A (ko) * 2016-10-25 2018-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CN109119789A (zh) * 2018-10-09 2019-01-01 深圳市沃尔核材股份有限公司 快速插接配电线缆连接结构
CN111834825A (zh) * 2019-04-19 2020-10-27 韩国端子工业株式会社 高电压连接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550B1 (ko) * 2014-12-12 2016-03-22 에코캡 주식회사 스토퍼를 구비한 벌브 소켓
KR101993151B1 (ko) 2018-04-10 2019-06-27 넵코어스 주식회사 케이블 입력용 외부신호 차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5541B2 (ja) 1999-08-23 2003-07-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2075552A (ja) * 2000-08-30 2002-03-1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多極シールド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2002270310A (ja) 2001-03-13 2002-09-20 Yazaki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
JP3903122B2 (ja) 2002-05-09 2007-04-11 大宏電機株式会社 ノイズ防止光コネクタ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1945B2 (en) 2009-11-05 2011-09-06 Hyundai Motor Company Locking device and high voltage shield connector having the same
CN102035111A (zh) * 2010-10-12 2011-04-27 贵州航天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矩形电连接器的屏蔽连接装置
KR20140107773A (ko) * 2013-02-28 2014-09-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차폐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KR20180045216A (ko) * 2016-10-25 2018-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CN109119789A (zh) * 2018-10-09 2019-01-01 深圳市沃尔核材股份有限公司 快速插接配电线缆连接结构
CN109119789B (zh) * 2018-10-09 2024-04-02 深圳市沃尔核材股份有限公司 快速插接配电线缆连接结构
CN111834825A (zh) * 2019-04-19 2020-10-27 韩国端子工业株式会社 高电压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2047B1 (ko) 2009-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790B1 (ko)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
KR100882047B1 (ko)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및 실드커넥터 세트
US10355410B2 (en)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JP6510953B2 (ja) 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の製造方法
WO2012141314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0441681Y1 (ko) 실드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실드커넥터 세트
JP2018045883A (ja) パッキンおよびシールドコネクタ
CN107196112B (zh) 汽车高速连接器
KR20180038365A (ko)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 접속 방법
JP6053920B2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US10135175B2 (en) Water stop structure of shield connector
KR100800789B1 (ko) 실드 커넥터
JP2008021646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JP2008021646A6 (ja) ケーブルコネクタ
US7118415B2 (en) Conductive path
KR100803437B1 (ko) 실드 커넥터
US20220416478A1 (en) Shielded connector
CN110504597A (zh) 屏蔽连接器
JPH0864306A (ja) 機器直付用シールドコネクタのシールド構造
US9711888B2 (en) Cable assembly with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20140107773A (ko) 차폐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JP6983109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100800788B1 (ko) 실드쉘 접속수단 및 이를 구비한 실드커넥터
KR100797221B1 (ko) 전기적 접촉 신뢰성이 우수한 실드커넥터
US11476615B2 (en) Connector with improved vibration resil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000119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0425

Effective date: 20120823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0425

Effective date: 2012082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000119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425

Effective date: 20120829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425

Effective date: 201208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