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221B1 - 전기적 접촉 신뢰성이 우수한 실드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적 접촉 신뢰성이 우수한 실드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221B1
KR100797221B1 KR1020060098478A KR20060098478A KR100797221B1 KR 100797221 B1 KR100797221 B1 KR 100797221B1 KR 1020060098478 A KR1020060098478 A KR 1020060098478A KR 20060098478 A KR20060098478 A KR 20060098478A KR 100797221 B1 KR100797221 B1 KR 100797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shield shell
cable
shell bod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복희
노용준
남지탁
박경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8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드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드케이블에 구비되는 차폐층과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실드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드커넥터는 실드케이블의 중심선에 결합되는 접속단자와, 외부에 노출된 실드케이블의 차폐층을 감싸도록 밀착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외부에 노출된 차폐층 및 상기 연결부재를 감싸는 실드쉘과, 실드쉘의 일 부분 및 상기 접속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마련하는 하우징 조립체를 포함하는 실드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실드쉘은, 적어도 상기 실드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실드쉘 몸체; 상기 실드쉘 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중공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접속수단; 및 상기 실드쉘 몸체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외주 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상기 실드케이블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연결부재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의 관통 홀을 제공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실드, 커넥터, 차폐, 접촉자

Description

전기적 접촉 신뢰성이 우수한 실드커넥터{Shield connector with excellent electric connection reliability}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실드케이블과 실드커넥터에 구비되는 접속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접속부재가 결합된 실드케이블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드커넥터에 구비되는 실드쉘의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드쉘이 실드케이블에 접속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드커넥터가 실드케이블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60...실드케이블 61...중심선
62...내피 63...차폐층
64...외피 80...실드링
86...접속링 100...실드쉘
101...몸체 102...접속수단
103...스톱퍼 111...접촉링
115...고정링 120...접속단자
130...하우징 조립체
본 발명은 실드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드케이블에 구비되는 차폐층과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실드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전장화로 다수의 전자부품 또는 센서가 사용된다. 다수의 전자부품 또는 센서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가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된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된 신호들은 다수의 신호선들을 통해 제어장치나 구동장치에 전송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기적 신호에 의한 전자파가 불규칙하게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전자파가 신호선 또는 전자장치에 직/간접적으로 전달될 경우, 전자장치가 이상작동하여 운전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하네스에는 일반적으로 실드케이블을 사용하 는데, 상기 실드케이블은 도체로 이루어지는 중심선, 상기 중심선을 감싸는 내피, 상기 내피의 외부를 편조선으로 감싸 형성되는 실드층, 및 상기 실드층 외부에 형성되는 외피로 구성된다.
실드케이블은 전기기기 또는 다른 종류의 케이블과 직접적인 접속이 어렵다. 이로인하여, 실드케이블을 전기기기 또는 다른 종류의 케이블과의 접속시 작업성이나 공간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커넥터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실드케이블과 실드커넥터에 구비되는 접속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접속부재가 결합된 실드케이블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실드케이블(60)은 중심선(61), 내피(62), 차폐층(63), 및 외피(6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접속부재(80, 86)는 실드링(80) 및 접촉링(86)을 포함한다. 실드링(80)은 적어도 실드케이블(60)의 차폐층(63)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의 중공을 지닌 링 형태로 이루어진 접속부(87) 및 상기 접속부(87)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플렌지부(81)를 포함한다. 접촉링(86)은 실드링(80)의 접속부(87) 및 상기 접속부(87)의 외부면을 감싸고 있는 차폐층(63)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중공을 지닌 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속부재(80, 86)는 실드케이블(60)과 실드쉘(90) 사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실드링(80)은 접속부(87)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의 실드케이블(60)의 차폐층(63) 상에 놓여진 후, 차폐층(63)이 접속부(87)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말아올려진다. 그런 다음, 그 위에 다시 접촉링(86)이 끼워져 압착접합 된다. 이렇게, 접 속부재(80, 86)가 실드케이블(60)과 실드쉘(90) 사이에 결합될 경우, 실드링(80)의 플렌지부(81)의 외경과 실드쉘(90)의 내경의 크기가 정확하게 일치해야만 실드링(80)과 실드쉘(90) 사이의 접촉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플렌지부(81)의 외경의 크기보다 실드쉘(90)의 내경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마련될 경우, 실드쉘(90)과 실드링(8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실드쉘(90)과 실드링(80)이 밀착접속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드쉘(90)과 실드링(80)이 밀착접속되지 않으면, 실드쉘(90)과 차폐층(63)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력이 저하되어 외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의 접속이 용이하면서 우수한 차폐성능을 지닌 실드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드커넥터는 실드케이블의 중심선에 결합되는 접속단자와, 외부에 노출된 실드케이블의 차폐층을 감싸도록 밀착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외부에 노출된 차폐층 및 상기 연결부재를 감싸는 실드쉘과, 실드쉘의 일 부분 및 상기 접속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마련하는 하우징 조립체를 포함하는 실드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실드쉘은, 적어도 상기 실드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실드쉘 몸체; 상기 실드쉘 몸체와 연 결되어 상기 중공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접속수단; 및 상기 실드쉘 몸체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외주 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상기 실드케이블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연결부재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의 관통 홀을 제공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실드커넥터의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도 상기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수단은 하우징의 일 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탄성편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드커넥터에 구비되는 실드쉘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드쉘이 실드케이블에 접 속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드커넥터가 실드케이블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드커넥터는 실드쉘(100), 연결부재(111,115), 접속단자(120), 및 하우징 조립체(130)을 포함한다.
실드쉘(100)은 실드쉘 몸체(101), 접속수단(102), 및 스톱퍼(103)로 이루어진다. 실드쉘 몸체(101)는 금속형 박판을 밴딩처리하여 제조한 부재로써,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원 기둥 또는 다각 기둥의 형태이다. 여기서, 실드쉘 몸체(101)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소정의 공간은 양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적어도 실드케이블(60) 및 연결부재(111,115)가 수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마련된다. 접속수단(102)은 실드쉘(100)을 연결부재(111,115)와 밀착 접속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실드쉘 몸체(101)의 끝단에 마련된다. 접속수단(102)은 실드쉘 몸체(10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5와 같이 실드쉘 몸체(101)의 일 부분이 절개되어 실드쉘 몸체(101)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편일 수 있다. 스톱퍼(103)는 실드쉘 몸체(101)의 일 단부에 구비되며, 실드쉘 몸체(101)로 삽입된 실드케이블(60)이 외부로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스톱퍼(10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직경은 실드케이블(60)의 외경보다 크고, 연결부재(111,115)의 외경보다는 작아야한다.
바람직하게, 스톱퍼(103)는 실드쉘 몸체(101)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스톱퍼(103)는 실드쉘 몸체(101)의 일 부분이 소정의 각도 (예컨대, 90o)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11,115)는 실드케이블의 차폐층(63)과 실드쉘(100)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부재로써, 접촉링(111) 및 고정링(115)을 포함한다. 접촉링(11)은 차폐층 접촉부(112) 및 플렌지부(113)로 이루어진다. 차폐층 접촉부(112)는 실드케이블의 차폐층(63)이 관통될 수 있는 크기의 중공을 갖는 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플렌지부(113)는 차폐층 접촉부(112)의 일 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차폐층 접촉부(112)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외경을 갖는 링 형태의 플렌지로 이루어진다. 한편, 고정링(115)은 차폐층 접촉부(112) 및 상기 차폐층 접촉부(112)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말아 올려진 차폐층(63)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을 갖는 링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접속단자(120)는 절단 가공된 얇은 도전성 판으로서 일 단부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실드케이블의 중심선(61)에 클램핑되어 접속되는 단자접속부(121)를 구비하고, 그 타 단부에는 외부 전자기기의 단자 또는 타 케이블의 중심선(또는 중심선에 연결되는 접속단자)이 접속될 수 있는 단자헤드(122)를 구비한다. 여기서, 단자헤드(122)는 외부 전자기기의 단자 또는 타 케이블의 중심선(또는 중심선에 연결되는 접속단자)을 수용하는 단자헤드 일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속단자(120)는 단자헤드(122)가 외부 전자기기의 단자 또는 타 케이블의 중심선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는 암 접속단자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자헤 드(122)가 암 접속단자에 삽입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는 숫 접속단자가 채택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접속단자(120)는 단자고정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자고정부(123)는 단자접속부(121)와 마찬가지로 절단 가공된 얇은 도전성 판으로 이루어지며, 단자접속부(121)를 기준으로 단자헤드(122)가 구비되는 반대방향에 마련된다.
하우징 조립체(130)는 접속단자(120)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단자수납부(131)와, 실드쉘(100)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실드쉘수납부(135)를 구비한다. 단자수납부(131) 및 실드쉘수납부(135)는 그 내부에 각각 소정의 공간을 마련하며, 단자수납부(131) 및 실드쉘수납부(135)에 마련되는 각각의 상기 공간은 서로 연결된다. 단자수납부(131)는 단자해드(122)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로서 적어도 접속단자(120)의 단자헤드(122)를 수납하여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마련된다. 또한, 단자수납부(131)는 그 단부(실드쉘수납부(92)와 연결되는 개구가 형성된 반대방향의 단부)에 외부와 연통될 수 있는 홀(133)을 구비한다.
홀(133)은 상기 단자헤드(122)가 고정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외부 전자기기의 단자 또는 타 케이블의 중심선이 상기 홀(133)을 통과하여 단자헤드(12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외부 전자기기의 단자 또는 타 케이블의 중심선이 충분하게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마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드커넥터를 실드케이블(60)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실드 케이블(60)의 중심선(61), 내피(62), 및 차폐층(63)의 일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그리고, 단자접속부(121)를 실드케이블의 중심선(61)에 위치시키고 단자고정부(123)를 내피(62)에 위치시킨 후, 단자접속부(121) 및 단자고정부(123)를 각각 클램핑한다.
다음으로, 실드쉘(100)을 스톱퍼(103)가 마련되는 부분부터 실드케이블(60)에 끼운다. 그리고, 접촉링(111)을 실드케이블의 차폐층(63)에 장착한 후, 차폐층(63)을 말아올려 차폐층(63)이 접촉링(111)의 차폐층 접촉부(112)를 감싸도록 처리한다. 그 후, 차폐층 접촉부(112)를 감싸는 차폐층(13) 상에 고정링(115)을 위치시키고 압착고정한다.
그런 다음, 실드쉘(100)을 연결부재(111,115)가 결합된 방향으로 잡아당겨 스톱퍼(103)가 접촉링의 플렌지부(113)의 단부에 걸려 지지되도록 한다.
스톱퍼(103)가 플렌지부(113)에 지지되면, 탄성력을 지니는 접속수단(102)은 접촉링(111)을 지나 고정링(115)이 장착된 위치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접속수단(102)은 고정링(115)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고정링(115)에 밀착 접속된다.
마지막으로, 실드쉘(100), 연결부재(111,115), 및 접속단자(120)가 결합된 실드케이블(60)을 하우징 조립체(130)에 장착한다. 이때, 접속단자(120)는 단자수납부(131)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수납되어 고정되고, 실드쉘(100)은 실드쉘수납부(135)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수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실드케이블(60)의 차폐층(63)에 연결부재(111,115), 접속단 자(120), 및 실드쉘(100)을 연결하고, 이를 하우징 조립체(130)에 결합함으로써, 실드케이블(10)을 실드커넥터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드커넥터를 이용하여 실드케이블(60)을 다른 종류의 케이블이나, 전기기기의 단자와 접속하는데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드 케이블이나 실드커넥터의 가공없이 실드쉘을 실드 케이블에 쉽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실드 케이블에 장착되는 연결부재와 실드쉘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더라도, 연결부재와 실드쉘 사이의 접촉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실드케이블의 중심선에 결합되는 접속단자와, 외부에 노출된 실드케이블의 차폐층을 감싸도록 밀착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외부에 노출된 차폐층 및 상기 연결부재를 감싸는 실드쉘과, 실드쉘의 일 부분 및 상기 접속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마련하는 하우징 조립체를 포함하는 실드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실드쉘은,
    적어도 상기 실드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실드쉘 몸체;
    상기 실드쉘 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중공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접속수단; 및
    상기 실드쉘 몸체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외주 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상기 실드케이블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연결부재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의 관통 홀을 제공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실드쉘 몸체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실드쉘 몸체의 일 부분이 상기 실드쉘 몸체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탄성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실드쉘 몸체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커넥터.
KR1020060098478A 2006-10-10 2006-10-10 전기적 접촉 신뢰성이 우수한 실드커넥터 KR100797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478A KR100797221B1 (ko) 2006-10-10 2006-10-10 전기적 접촉 신뢰성이 우수한 실드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478A KR100797221B1 (ko) 2006-10-10 2006-10-10 전기적 접촉 신뢰성이 우수한 실드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221B1 true KR100797221B1 (ko) 2008-01-23

Family

ID=39218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478A KR100797221B1 (ko) 2006-10-10 2006-10-10 전기적 접촉 신뢰성이 우수한 실드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2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74671A (zh) * 2023-12-08 2024-01-09 成都壹为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新能源车用线缆屏蔽连接结构及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9947A (ja) 1996-08-28 1998-03-10 Amp Japan Ltd 同軸コネクタ
JPH1140274A (ja) 1997-07-22 1999-02-12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JPH11354218A (ja) 1998-06-09 1999-12-24 Harness Syst Tech Res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5276630A (ja) 2004-03-25 2005-10-0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9947A (ja) 1996-08-28 1998-03-10 Amp Japan Ltd 同軸コネクタ
JPH1140274A (ja) 1997-07-22 1999-02-12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JPH11354218A (ja) 1998-06-09 1999-12-24 Harness Syst Tech Res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5276630A (ja) 2004-03-25 2005-10-0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74671A (zh) * 2023-12-08 2024-01-09 成都壹为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新能源车用线缆屏蔽连接结构及制作方法
CN117374671B (zh) * 2023-12-08 2024-03-12 成都壹为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新能源车用线缆屏蔽连接结构及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9131B1 (en) Connector
EP2456018B1 (en) Waterproof structure
JP5062863B2 (ja) 小型丸形コネクタ組立体
WO2012141314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0800790B1 (ko)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
JP2009252682A (ja) コネクタ
CN112913090B (zh) 同轴连接器装置
JP3827650B2 (ja) シールド接続構造
JP2008085386A (ja) 車載アンテナの取付構造
KR100882047B1 (ko)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및 실드커넥터 세트
US20220094108A1 (en) Connector
KR200441681Y1 (ko) 실드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실드커넥터 세트
CN107196112B (zh) 汽车高速连接器
KR100800789B1 (ko) 실드 커넥터
KR100803437B1 (ko) 실드 커넥터
KR100797221B1 (ko) 전기적 접촉 신뢰성이 우수한 실드커넥터
JP2007103268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CN104682090B (zh) 具有线保持管的电连接器
KR100800788B1 (ko) 실드쉘 접속수단 및 이를 구비한 실드커넥터
JP5325698B2 (ja) 電線接続ユニット
US11955751B2 (en) Connector
KR100803438B1 (ko) 실드전극 연결수단
KR20090072232A (ko) 자동차용 차폐 커넥터, 차폐 커넥터의 실드 및 차폐 연결장치
JP4228532B2 (ja) 電力用電子回路装置の配線構造
KR101617386B1 (ko)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