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516A -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516A
KR20130142516A KR1020120065798A KR20120065798A KR20130142516A KR 20130142516 A KR20130142516 A KR 20130142516A KR 1020120065798 A KR1020120065798 A KR 1020120065798A KR 20120065798 A KR20120065798 A KR 20120065798A KR 20130142516 A KR20130142516 A KR 20130142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locking
locking member
connect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6728B1 (ko
Inventor
박건웅
문치명
정수철
백찬호
황인국
김홍민
김정선
손재식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5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728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interlocked with contact members or counterpar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내부에 제1터미널을 구비하는 제1하우징(110); 내부에 상기 제1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터미널을 구비하는 제2하우징(120); 및 상기 제1하우징(1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로킹부재(130) 및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결합하며 상기 제2하우징(12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2로킹부재(140)를 포함하는 로킹부;를 포함하며, 전동 압축기(300)와 외부 전원(7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전동 압축기(300)로의 전력 공급은 인터록회로부(200)의 개방 또는 단락 여부로 결정되며, 상기 인터록회로부(200)는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상기 제2로킹부재(140)의 결합시에 단락되고,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상기 제2로킹부재(140)의 분리시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커넥터의 로킹기능 및 인터록(interlock)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전동압축기용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고전압의 전류가 흐르는 도선에 장착되는 커넥터는 감전 및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2중 안전장치를 가지고 있다. 특히, 전동 압축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측 단자와 압축기측 단자를 연결하는 커넥터에는 고전압의 전류가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안전장치는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고전압 커넥터의 안전장치로서 커넥터 부재를 구성하는 부재들을 기계적으로 체결하여 분리를 방지하는 로킹장치(13)와, 고전압 커넥터보다 낮은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커넥터 분리시에 전원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인터록장치(14, 15, 16, 17, 18)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는 이와 같은 로킹장치(13) 및 인터록장치(14, 15, 16, 17, 18)가 구비된 종래의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터록장치(14, 15, 16, 17, 18)로서 커넥터 조립체(10)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11)의 일측면에는 인터록회로를 구성하는 제1단자(14) 및 제2단자(15)가 구비된 단자지지부재(16)가 배치되며, 커넥터 조립체(10)를 구성하는 제2하우징(12)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단자(14) 및 제2단자(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1단자(14)와 제2단자(15)를 단락시키는 통전단자(18)를 구비한 통전부(17)가 배치된다.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의 결합을 위해서, 특히 수커넥터(male connector)부재가 되는 제1하우징(11)을 암커넥터(female connector)가 되는 제2하우징(12)의 내측 공간으로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시키면, 마찬가지로 암수관계를 갖는 상기 단자지지부재(16)가 상기 통전부(17)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단자(14)부와 제2단자(15)부는 상기 통전단자(18)에 의해서 단락되어 인터록회로로서 단락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인터록회로의 개방 및 단락 여부를 감지하여 전원부의 전력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이 결합되는 경우, 즉 상기 단자지지부재(16)와 통전부(17)의 결합에 의해서 제1단자(14)와 제2단자(15)가 단락되는 경우에만 전원부의 전력공급을 허용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고전압 커넥터의 예상치 못한 분리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10)는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의 분리와 동시에 인터록회로가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로킹장치(13)를 해제하여 커넥터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인터록회로가 개방되어 제어부가 전원부의 전력공급을 차단한다고 하더라도, 전력공급의 차단 직후에는 압축기 내부의 구동회로에 포함된 캐퍼시터에 전류가 잔존하게 되어, 전력 공급 차단 후 잔존 전류가 안전한 수준까지 방전되기 전까지의 시간에는 감전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10)는 커넥터 부재의 분리방지를 위한 로킹장치(13)와 인터록장치(14, 15, 16, 17, 18)를 별개로 구성하여 공간활용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또한 인터록장치(14, 15, 16, 17, 18)의 구성을 위한 다수의 부재들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의 원가가 상승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커넥터 부재의 분리방지를 위한 로킹기능과 인터록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로킹장치를 제공하여, 압축기 내부의 구동회로의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류가 안전한 수준 이하로 방전된 이후에 커넥터 부재가 분리되도록 하여 감전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 부재의 분리방지를 위한 로킹기능과 인터록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로킹장치를 제공하여 인터록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을 보다 높힐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내부에 제1터미널을 구비하는 제1하우징(110); 내부에 상기 제1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터미널을 구비하는 제2하우징(120); 및 상기 제1하우징(1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로킹부재(130) 및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결합하며 상기 제2하우징(12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2로킹부재(140)를 포함하는 로킹부;를 포함하며, 전동 압축기(300)와 외부 전원(7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전동 압축기(300)로의 전력 공급은 인터록회로부(200)의 개방 또는 단락 여부로 결정되며, 상기 인터록회로부(200)는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상기 제2로킹부재(140)의 결합시에 단락되고,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상기 제2로킹부재(140)의 분리시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터미널은 전동 압축기(300)의 내부에 구비된 구동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터미널은 외부 전원(7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암수결합되어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터록회로부(200)는 상기 제1로킹부재(130)에 구비되는 제1단자(211) 및 제2단자(221), 그리고 상기 제2로킹부재(140)에 구비되는 통전단자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상기 제2로킹부재(140)의 결합시에 상기 제1단자(211)와 제2단자(221)는 상기 통전단자부(230)를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터록회로부(200)가 단락되며,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상기 제2로킹부재(140)의 분리시에 상기 제1단자(211)와 제2단자(221)는 상기 통전단자부(230)와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인터록회로부(200)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전원(700)으로부터 상기 제2터미널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는 상기 인터록회로부(200)의 단락 및 개방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인터록회로부(200)의 단락시에 상기 외부 전원(700)의 전력공급을 허용하고, 상기 인터록회로부(200)의 개방시에 상기 외부 전원(700)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로킹부재(130)는 일단이 상기 제1하우징(110)에 연결되는 지지부재(131), 상기 지지부재(131)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걸림돌기(132) 및 상기 지지부재(131)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누름돌기(13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로킹부재(140)는 상기 걸림돌기(132)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크돌기(141)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자(211) 및 제2단자(221)의 단부는 상기 걸림돌기(132)와 함께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132)와 상기 로크돌기(141)가 접촉한 위치에 구비된 통전단자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통전단자부(2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31)의 일단은 제1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132) 및 상기 누름돌기(133)의 회동시에 상기 걸림돌기(132)와 상기 누름돌기(133)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 부재의 분리방지를 위한 로킹기능과 인터록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로킹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압축기 내부의 구동회로의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류가 안전한 수준 이하로 방전된 이후에 커넥터 부재가 분리되도록 하여 감전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며, 인터록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을 보다 높힐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고전압 커넥터에 따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적용된 인터록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럭도.
도 4는 도 2의 커넥터 조립체의 A-A방향 단면도로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커넥터 조립체의 A-A방향 단면도로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결합 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2의 커넥터 조립체의 A-A방향 단면도로서 인터록회로가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이용한 인터록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는 내부에 제1터미널(111)을 구비하는 제1하우징(110), 내부에 상기 제1터미널(1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터미널(미도시)을 구비하는 제2하우징(120) 및 상기 제1하우징(1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로킹부재(130) 및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결합하며 상기 제2하우징(12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2로킹부재(140)를 포함하는 로킹부를 포함하며, 전동 압축기와 외부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100)로서, 상기 전동 압축기로의 전력 공급은 인터록회로부(200)의 개방 또는 단락 여부로 결정되며, 상기 인터록회로부(200)는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상기 제2로킹부재(140)의 결합시에 단락되고,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상기 제2로킹부재(140)의 분리시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는 전동 압축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 전원(미도시)과 전동 압축기 내부의 구동회로(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제1하네스(112)를 통해 압축기 내부의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터미널(111)이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제2하네스(122)를 통해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터미널(미도시)이 구비되어,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결합에 의해서 제1터미널(111)과 제2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누전 및 기타 감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암수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도 3에는 제1하우징(110)이 수커넥터 부재, 제2하우징(120)이 암커넥터 부재가 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커넥터 부재에 해당하는 제1하우징(110)이 암커넥터 부재에 해당하는 제2하우징(1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결합된다.
한편,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절연체 재질을 가지면서,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인터록회로부(200)는 로킹부의 제1로킹부재(130)에 구비되는 버스바 형태의 제1단자(211) 및 제2단자(221), 그리고 로킹부의 제2로킹부재(140)에 구비되는 버스바 형태의 통전단자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상기 제2로킹부재(140)의 결합시에 상기 제1단자(211)와 제2단자(221)는 상기 통전단자부(230)를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터록회로부(200)가 단락되며,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상기 제2로킹부재(140)의 분리시에 상기 제1단자(211)와 제2단자(221)는 상기 통전단자부(230)와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인터록회로부(200)가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제2터미널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인터록회로부(200)의 단락 및 개방 여부를 감지하여, 즉 제1단자(211) 및 제2단자(221)의 단락 및 개방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인터록회로부(200)의 단락시에 상기 외부 전원의 전력공급을 허용하고, 상기 인터록회로부(200)의 개방시에 상기 외부 전원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제1로킹부재(130)와 제2로킹부재(140)에 의한 결합 및 분리 작용과 인터록회로부(200)의 단락 및 개방 작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분리에 시간적으로 선행하여, 바람직하게는 제1터미널(111)과 제2터미널의 분리에 시간적으로 선행하여, 외부 전원의 전력공급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전동 압축기 구동회로의 캐패시터의 잔존 전류가 안전한 수준까지 방전된 후에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안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제1로킹부재(130)와 제2로킹부재(140)를 포함하는 로킹부재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의 인터록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100)는 전동 압축기(300)의 내부 구동회로(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터미널 및 외부 전원(고전압 입력, 7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터미널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거나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2중의 안전장치로서 로킹부와 인터록회로부(20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록회로부(200)는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100)의 결합 및 저전압 커넥터 조립체(400)의 결합에 의해서 전체 회로가 단락되거나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100)의 제1하우징에 구비되는 인터록회로부(200)의 제1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와이어와 제2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와이어는 압축기 내부로 연장되어 각각 저전압 커넥터 조립체(400)에 구비된 단자들에 연결된다.
저전압 커넥터 조립체(400)는 상기 인터록회로부(200)의 단자부외에도 에어컨 제어기(5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하는 통신선 단자부(CAN), 전술한 전동 압축기(300) 구동회로의 구동전력(저전압) 공급단자 연결부(IG2) 및 접지 단자부(GND)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터록회로부(200)는 에어컨 제어기(500)를 거쳐 제어부(ECU, 600)에 최종적으로 접속되며, 제어부(600)에 의해서 인터록회로의 단락 및 개방 여부가 감지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전원(700)으로부터 전동 압축기(300) 구동회로로의 전력 공급, 즉 제2터미널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는 인터록회로부(200)의 단락 및 개방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인터록회로부(200)의 단락시에는 상기 외부 전원(700)의 전력공급을 허용하는 제어신호를 외부 전원(700)에 송신하고, 상기 인터록회로부(200)의 개방시에는 상기 외부 전원(700)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외부 전원(70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도 2의 커넥터 조립체(100)의 단면도로서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커넥터 조립체(100)의 단면도로서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결합 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로킹부재(130)는 일단이 상기 제1하우징(110)에 연결되는 지지부재(131), 상기 지지부재(131)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걸림돌기(132) 및 상기 지지부재(131)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누름돌기(133)를 포함하고, 제2로킹부재(140)는 상기 걸림돌기(132)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크돌기(14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31)는 제1하우징(110)의 상측면에 대해서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바람직하게는 제1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32) 및 상기 누름돌기(133)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재(131)는 일정한 탄성을 갖는 제1하우징(110)과 동일한 재질을 가지면서 제1하우징(110)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걸림돌기(132)와 상기 누름돌기(133)가 일정한 각도로 회동되어 지지부재(131)가 변형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복원력 제공 수단의 구비함이 없이 상기 걸림돌기(132)와 상기 누름돌기(133)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1)의 타단에는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가 지지부재(131)와 일체로 구비되며, 전방으로 연장된 연결부의 단부에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돌기(132)가 연결부와 일체로 구비되고, 후방으로 연장된 연결부의 단부에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누름돌기(133)가 연결부와 일체로 구비된다.
걸림돌기(132)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결합이 완료된 이후에 제2하우징(120)의 상측면에 돌출되어 제2하우징(120)과 일체로 구비된 로크돌기(141)에 걸려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결합방향(도 4의 화살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서로 결합방향(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결합이 개시되어 상기 걸림돌기(132)와 상기 로크돌기(141)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 또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132)가 부드럽게 로크돌기(141)를 넘어 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걸림돌기(132)에 곡면이 형성되고, 로크돌기(141)에는 경사면이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누름돌기(133)는 걸림돌기(132)를 상기 지지부재(131)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역할, 즉 걸림돌기(132)가 로크돌기(141)를 넘어 회동되어 걸림돌기(132)와 로크돌기(141) 사이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일단 결합된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상기 누름돌기(133)를 눌러 걸림돌기(132)와 로크돌기(141) 사이의 걸림 상태를 먼저 해제한 후에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을 분리방향(도 4의 화살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는 걸림돌기(132)와 로크돌기(141)의 걸림 상태를 유지시키고 다른 장치와의 간섭 및 외부 충격에 의한 걸림돌기(132)와 로크돌기(141)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커버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50)는 적어도 상기 지지부재(131)와 걸림부재가 상측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들을 커버하도록 제1하우징(110)의 상측면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하우징(110)과 일체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록회로부(200)의 제1단자(211) 및 제2단자(221)의 단부들은 상기 걸림돌기(132)와 함께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상기 제2로킹부재(140)의 결합이 완료시에 상기 걸림돌기(132)와 상기 로크돌기(141)가 접촉한 위치에 구비된 통전단자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통전단자부(230)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인터록회로부(200)의 제1단자(211) 및 제2단자(221)의 구성을 설명한다.
전술한 인터록회로부(200)의 제1와이어(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211) 및 제2와이어(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221)는 버스바형태로 구비되며 제1하우징(110)의 상측면을 가로질러 상기 제1로크부재의 지지부재(131)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제1하우징(110)의 상측면에는 제1단자(211) 및 제2단자(22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자보호부(213, 223)가 제1하우징(110)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131)를 관통한 제1단자(211) 및 제2단자(221)는 지지부재(131)의 전면에 형성된 홈 및 연결부의 저면에 형성된 홈 그리고 걸림돌기(132)의 후면에 형성된 홈을 따라 연장되고, 제1, 2단자의 단부들(212, 222)는 걸림돌기(132)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걸림돌기(132)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된 제1, 2단자의 단부들(212, 222)은 제2로크부재의 로크돌기(141)에 구비된 통전단자부(2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인터록회로부(200)는 전체적으로 단락상태가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단자의 단부들(212, 222)은 통전단자부(230)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을 보장하기 위해 반구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2단자의 단부들(212, 222)이 접촉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로크돌기(141)의 부분에는 제1, 2단자의 단부들(212, 222)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142)이 형성되고, 상기 홈(142)에 통전단자부(230)가 구비되어, 제1, 2단자의 단부들(212, 222)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보장되며, 동시에 제1로크부재와 제2로크부재 사이에 견고한 체결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커넥터 조립체(100)의 단면도로서 인터록회로가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세히는 도 6은 인터록회로부(200)가 개방된 직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인터록회로부(200)가 개방되어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인터록회로가 단락된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커넥터 조립체(1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기타 다른 원인에 의해서 커넥터 조립체(100)가 분리되는 경우도 포함됨)에 사용자는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누름돌기(133)를 눌러 누름돌기(13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개시된다.
누름돌기(133)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서 걸림돌기(132)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 개시되며, 누름돌기(133)와 함께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2단자의 단부들(212, 222)도 회전이 개시되어, 제1, 2단자의 단부들(212, 222)과 통전단자부(23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즉시 해제된다.
제1, 2단자의 단부들(212, 222)과 통전단자부(23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해제되면 인터록회로부(200)는 즉시 개방상태가 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록회로부(200)의 개방상태를 인식한 제어부는 외부 전원의 전력공급을 즉시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 인터록회로부(200)가 개방된 직후 외부 전원의 전력공급 차단되지만, 아직 제1로크부재와 제2로크부재 사이의 결합은 완전히 해재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즉, 제1로크부재와 제2로크부재 사이의 결합이 완전히 해제된 상태가 아니어서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아직 분리가능한 상태가 아닌 것이다.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누름부재를 하측 방향으로 눌러 누름부재를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고, 걸림돌기(132)도 동일한 방향으로 더욱 회전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을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킬 때 걸림돌기(132)와 로크돌기(141) 사이의 걸림 또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걸림돌기(132)를 회전시킨 상태가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분리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분리가능한 상태에서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을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커넥터 조립체(100)를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을 완전히 분리시킨 후 사용자가 누름부재를 회전시키키 위해 가했던 힘을 해제하면 일전한 탄성을 갖는 지지부재(131)에 의해서 누름돌기(133)와 걸림돌기(132)는 도 4의 초기상태로 자동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록회로부(200)가 개방된 직후에 제어부에 의해서 외부 전원의 전력공급이 중단된 상태 그러나 제1로크부재와 제2로크부재 사이의 결합이 완전히 해재되지 않은 상태로부터, 도 7에 도시된 제1로크부재와 제2로크부재 사이의 결합이 완전히 해재되어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이 분리가능한 상태까지 일정한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
이러한 시간 지연에 의해서, 인터록회로 개방 후 전동 압축기 내부의 구동회로에 포함된 캐퍼시터에 잔존하였던 전류가 안전한 수준까지 방전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의 단면도로서, 통전단자부(230) 및 제1, 2단자의 단부들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인터록회로부(200)의 제1단자(211)와 제2단자(221)는 제1, 2단자자의 단부들(212, 222)을 넘어 연장되는 연장단부(212a, 222a)를 구비한다. 이러한 연장단부(212a, 222a)는 걸림돌기(132)의 하측면 중에서 제2하우징(120)의 상측면에 구비된 통전단자부(230)와 직접할 수 있는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반구형태의 제1, 2단자의 단부들(212, 222)뿐만 아니라 연장단부(212a, 222a)까지 통전단자부(230)와 전기적 접속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동 압축기등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기타 예상치 못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제1단자(211), 제2단자(221)와 통전단자부(230)들 사이의 접속 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서 제1로킹부재(130)와 제2로킹부재(140) 사이의 분리에 의해서 즉시 인터록회로부(200)가 개방되는 구성, 즉 누름부재의 눌림에 의해서 제1단자(211), 제2단자(221)와 통전단자부(23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즉시 해제되는 구성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를 이용한 인터록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일단 결합이 완료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커넥터 조립체(100)의 하잠금장치 즉, 로킹부의 제1로킹부재(130)와 제2로킹부재(140)의 결합상태 해제를 해제시킨다. (S1)
상세히는 사용자는 누름부재를 하측 방향으로 눌러주어 걸림부재를 지지부재(131)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걸림부재와 로크부재를 서로 분리시킨다. 이 경우에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완전히 분리가능한 상태는 아니다.
한편, 걸림부재와 함께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인터록회로의 제1, 2단자의 단부들은 통전단자부(230)와 분리되며, 즉시 인터록회로는 개방상태가 된다. (S2)
인터록회로가 개방되는 즉시 제어부는 인터록회로가 개방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S3)
인터록회로의 개방을 감지한 제어부는 외부 전원의 전동 압축기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 발생하고 이를 외부 전원에 전송한다. (S4)
전력공급 차단 신호를 수신한 외부 전원은 즉시 전동 압축기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한다. (S5)
사용자는 누름부재를 더욱 눌러주어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을 서로 분리시켜 최종적으로 커넥터 조립체(100)를 분리시킬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을 서로 분리시킨다. (S6)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S6 단계에 이르기까지 사용자는 누름부재의 누름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야 하며, 최종적으로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을 서로 분리가능한 상태에 이르기까지 최소한 1초 정도의 시간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최소한의 시간지연에 의해서 인터록회로 개방 후 전동 압축기 내부의 구동회로에 포함된 캐퍼시터에 잔존하였던 전류가 안전한 수준까지 방전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감전등의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커넥터 조립체(10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내부에 제1터미널을 구비하는 제1하우징(110);
    내부에 상기 제1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터미널을 구비하는 제2하우징(120); 및
    상기 제1하우징(1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로킹부재(130) 및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결합하며 상기 제2하우징(12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2로킹부재(140)를 포함하는 로킹부;를 포함하며, 전동 압축기(300)와 외부 전원(7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전동 압축기(300)로의 전력 공급은 인터록회로부(200)의 개방 또는 단락 여부로 결정되며,
    상기 인터록회로부(200)는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상기 제2로킹부재(140)의 결합시에 단락되고,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상기 제2로킹부재(140)의 분리시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미널은 전동 압축기(300)의 내부에 구비된 구동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터미널은 외부 전원(7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암수결합되어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회로부(200)는 상기 제1로킹부재(130)에 구비되는 제1단자(211) 및 제2단자(221), 그리고 상기 제2로킹부재(140)에 구비되는 통전단자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상기 제2로킹부재(140)의 결합시에 상기 제1단자(211)와 제2단자(221)는 상기 통전단자부(230)를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터록회로부(200)가 단락되며, 상기 제1로킹부재(130)와 상기 제2로킹부재(140)의 분리시에 상기 제1단자(211)와 제2단자(221)는 상기 통전단자부(230)와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인터록회로부(200)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700)으로부터 상기 제2터미널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는 상기 인터록회로부(200)의 단락 및 개방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인터록회로부(200)의 단락시에 상기 외부 전원(700)의 전력공급을 허용하고, 상기 인터록회로부(200)의 개방시에 상기 외부 전원(700)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킹부재(130)는 일단이 상기 제1하우징(110)에 연결되는 지지부재(131), 상기 지지부재(131)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걸림돌기(132) 및 상기 지지부재(131)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누름돌기(13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로킹부재(140)는 상기 걸림돌기(132)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크돌기(141)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자(211) 및 제2단자(221)의 단부는 상기 걸림돌기(132)와 함께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132)와 상기 로크돌기(141)가 접촉한 위치에 구비된 통전단자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통전단자부(2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31)의 일단은 제1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132) 및 상기 누름돌기(133)의 회동시에 상기 걸림돌기(132)와 상기 누름돌기(133)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20065798A 2012-06-19 2012-06-19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 KR101886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798A KR101886728B1 (ko) 2012-06-19 2012-06-19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798A KR101886728B1 (ko) 2012-06-19 2012-06-19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516A true KR20130142516A (ko) 2013-12-30
KR101886728B1 KR101886728B1 (ko) 2018-08-09

Family

ID=4998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798A KR101886728B1 (ko) 2012-06-19 2012-06-19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7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714A (ko) * 2015-08-10 2017-0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단락 감지기능을 가지는 커넥터
KR20190095129A (ko) * 2018-02-06 2019-08-14 오르클리 에스.쿱. 가정용 기기에 적합한 가스 안전 밸브
KR20190119280A (ko) * 2018-04-12 2019-10-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KR20220057250A (ko) *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및 정션블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1167A (ko) * 2010-11-12 2012-05-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1167A (ko) * 2010-11-12 2012-05-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714A (ko) * 2015-08-10 2017-0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단락 감지기능을 가지는 커넥터
KR20190095129A (ko) * 2018-02-06 2019-08-14 오르클리 에스.쿱. 가정용 기기에 적합한 가스 안전 밸브
KR20190119280A (ko) * 2018-04-12 2019-10-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KR20220057250A (ko) *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및 정션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728B1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715B1 (ko) 전기결합장치
JP6920164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EP1445839B1 (en) System of preventing electric arcs in connectors that supply power charges
KR101734670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CN103066451B (zh) 一种具有二级分离功能的连接器及插头
EP2980957B1 (en)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KR20130142516A (ko)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
JP5459551B2 (ja) 高電圧部品の保安構造
US20030087542A1 (en) Protecting device and method of shutting off a power supply
EP2538501B1 (en) Connector
CN101944453A (zh) 带有电动操作装置的隔离开关熔断器组
CN203300885U (zh) 一种高压互锁回路系统及其快速连接装置
US20220209469A1 (en) Connector assembly
JP2009231171A (ja) 充電コネクタ及び電源システム
JP2010165619A (ja) 車載充電装置
CN102738866A (zh) 一种带地面应急断电保护功能的卫星蓄电池组控制电路
US10797447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with built-in lockout function
JP2017135794A (ja) 充放電システム
EP1232913B1 (en) Power supply system inside an automobile
CN211844313U (zh) 一种高压连接器、高压连接器装置和电动汽车
JP4732077B2 (ja) 電源の安全プラグ装置
JPH0787691A (ja) 無結線給電システム
KR101550317B1 (ko)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 정션박스 제어장치
CN115742787A (zh) 用于车辆的充电系统的直流充电座和具有其的充电系统
EP3414800B1 (en) Device for realizing an underwater electrical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