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250A -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및 정션블록 - Google Patents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및 정션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250A
KR20220057250A KR1020200142317A KR20200142317A KR20220057250A KR 20220057250 A KR20220057250 A KR 20220057250A KR 1020200142317 A KR1020200142317 A KR 1020200142317A KR 20200142317 A KR20200142317 A KR 20200142317A KR 20220057250 A KR20220057250 A KR 20220057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terlock
joint
installation spac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449B1 (ko
Inventor
사광욱
이예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142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44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interlocked with contact members or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는 개방된 설치공간이 형성된 로워커버; 상기 설치공간에 조립되어 전기적인 연결을 중계하는 조인트 터미널; 상기 조인트 터미널 양측으로 연결되어 회로를 형성하는 탭 터미널; 및 상기 설치공간의 개방된 일 측을 개폐하는 어퍼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터미널은 상기 탭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양 측으로 형성된 중계부와, 상기 중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형성되어 상기 탭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보다 간소환 구조를 개시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불량률를 줄여 일정 이상의 제품 신뢰성을 확보한다.

Description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및 정션블록{Interlock Joint Assembly And Junction Block}
본 발명은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및 정션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는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및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가 적용된 정션블록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대한 연비 향상 수요 및 각 나라의 배출가스 규제 강화에 따라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친환경 자동차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친환경 자동차는 배터리에 저장된 고전압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므로 대략 DC250V ~ 350V의 매무 높은 전압을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인버터 등의 다양한 고전압 디바이스들이 설치되어 여러 가지 전기적 위험성이 잠재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차량에 설치되는 고전압 배터리에는 고전압이 인출되는 부분의 노출을 방지하고, 고전압 부품들의 커넥터 단자의 보호와 작업자의 안전 보장 및 법규에 따라 커넥터의 탈거를 감지하는 인터락 회로가 적용된다.
이때 인터락 회로는 각 고전압 커넥터와 연결되어 회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Receptacle TML 과 Tab TML이 수용된 커넥터를 각각 연결하고, 이에 연결된 어느 하나의 커넥터가 분리되어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면 메인 릴에이를 오프시킴으로써 배터리의 고전압 출력을 차단하여 안정성을 확보한다.
그러나, 다수의 고전압 커넥터를 연결하는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커넥터가 사용이 불가피하여 정션블록의 크기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정션블록 내측에서 커넥터를 연결하는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만으로 인터락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보다 간소화된 구조를 개시하여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동시에 불량률을 낮춰 개선된 제품 신뢰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는 개방된 설치공간이 형성된 로워커버; 상기 설치공간에 조립되어 전기적인 연결을 중계하는 조인트 터미널; 상기 조인트 터미널 양측으로 연결되어 회로를 형성하는 탭 터미널; 및 상기 설치공간의 개방된 일 측을 개폐하는 어퍼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터미널은 상기 탭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양 측으로 형성된 중계부와, 상기 중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형성되어 상기 탭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탭 터미널은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는 연결공간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계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접촉되는 메일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 측에서 연장되어 케이블과 연결되는 압착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계부는 밴딩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메일부와 밀착되는 한 쌍의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바디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일 측을 관통하여 상기 메일부의 삽입여부가 확인가능한 체크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워커버는 상기 조인트 터미널의 조립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되, 상기 조인트 터미널이 조립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바디의 일 측을 지지하는 지지리브와,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조립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워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탭 터미널의 이탈을 방지하는 락킹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로워커버는 상기 설치공간의 양 측으로 연통되어 상기 탭 터미널이 안착되는 구획된 연결공간과, 상기 연결공간의 일 측에서 개방되어 상기 락킹커버가 설치되는 조립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는 상기 로워커버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고, 내측에는 상기 바디의 상측을 지지하는 고정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정션블록은 서로 다른 기기에 연결된 연결 커넥터; 상기 연결 커넥터와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탭 터미널; 및 복수의 상기 탭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는 개방된 설치공간이 형성된 로워커버와, 상기 설치공간에 조립되어 서로 다른 상기 탭 터미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중계하는 조인트 터미널과, 상기 설치공간의 개방된 일 측을 개폐하는 어퍼커버로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탭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탭 터미널과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인터락 회로와 연결되어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터미널은 밴딩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탭 터미널과 밀착되는 한 쌍의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바디와, 상기 접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워커버는 상기 조인트 터미널의 조립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되, 상기 조인트 터미널이 조립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바디의 일 측을 지지하는 지지리브와,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조립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의 체결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슬라이드부와, 상기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의 해제를 방지하는 제1걸림부로 형성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로워커버는 일 측에 상기 제1슬라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슬라이드부와, 상기 제1,2 슬라이드부의 와전 체결 시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림 고정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는 다수의 연결 커넥터와 터미널로 연결되는 것만으로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여 필요한 부품의 수가 감소 됨에 따라 제품의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정션블록의 외부에서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에 터미널을 연결하여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로 미리 조립한 후 정션블록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제작성 및 작업성을 현저히 개선시키는 동시에 불량률을 최소화하여 제품 신뢰성 또한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때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의 일 측에는 정션블록의 일 측에 형성된 체결부와 상보적으로 체결 고정되는 제2슬라이드부와 제2걸림부가 형성되어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가 정션블록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향상 효과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제품의 소형화를 실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어퍼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조인트 터미널의 사시도.
도 6(a)는 도 5의 Ⅵ-Ⅵ 방향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탭 터미널이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Ⅶ-Ⅶ 방향의 단면도.
도 8은 도 1의 Ⅷ-Ⅷ 방향의 단면도.
도 9는 도 1의 Ⅸ-Ⅸ 방향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가 설치된 정션블록의 개략도.
도 11은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가 체결부에 체결된 상태의 일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 방향의 단면도에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와 체결부의 체결 방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세한 설명에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는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에 탭 터미널이 연결되어 인터락 회로가 형성된 상태로 정의하며, 이하에서는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설명한 후 이와 같은 인터락 조인트가 정션블록 내에 설치되기 위한 추가적인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어퍼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조인트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의 Ⅵ-Ⅵ 방향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탭 터미널이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Ⅶ-Ⅶ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Ⅷ-Ⅷ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의 Ⅸ-Ⅸ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10)는 개방된 설치공간(100)이 형성된 로워커버(100), 상기 설치공간(100)에 조립되어 전기적인 연결을 중계하는 조인트 터미널(200), 상기 조인트 터미널(200) 양측으로 연결되어 회로를 형성하는 탭 터미널(300) 및 상기 설치공간(100)의 개방된 일 측을 개폐하는 어퍼커버(400)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터미널(200)은 상기 탭 터미널(300)과 접촉되도록 양 측으로 형성된 중계부(210)와, 상기 중계부(210)를 연결하는 연결부(220)로 형성되어 상기 탭 터미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로워커버(100)에 설치되어 상기 탭 터미널(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락킹커버(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워커버(100)는 개방된 설치공간(100)과, 설치공간(100)에 연통되어 형성되는 연결공간(120)이 형성되어 조인트 터미널(200)과 탭 터미널(3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어퍼커버(400)가 개폐되도록 제1힌지부(113)와, 결합돌기(114)가 형성되며, 체결부(600)에 슬라이딩 체결 고정되는 제2슬라이드부(140)와, 제2걸림부(150)가 형성된다.
설치공간(100)은 조인트 터미널(200)이 쉽게 장착될 수 있도록 로워커버(100)의 중앙부에 상측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조인트 터미널(200)을 고정하기 위해 바디(211)의 일 측을 지지하는 지지리브(111)와, 조인트 터미널(200)의 유동을 방지하고 설치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11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치공간(100)은 지지리브(111)에 의해 구획되어 별도의 구조 없이도 각 조인트 터미널(200)이 설치되는 위치가 구분되며, 조인트 터미널(200)은 각 구획된 설치공간(1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움 결합된다. 이때 지지리브(111)는 조인트 터미널(200)의 조립에 간섭되지 않도록 말단부가 탄성 변형되되, 조인트 터미널(200)이 설치공간(100)에 안착된 후에는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말단부에 형성된 돌기가 바디(211)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조인트 터미널(200)은 설치공간(100)에 설치된 후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유동이 방지되어 탭 단자와 전기적인 연결 안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지지리브(111)는 하나의 조인트 터미널(200)의 양 측으로 형성된 바디(211) 각각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되 일 측으로 형성된 바디(211)의 양 측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말단부의 돌기가 형성된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치공간(100)에는 조인트 터미널(200)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112)가 형성되어 양 측으로 연결되는 탭 단자와 보다 정확한 위치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동시에 조인트 터미널(200)의 수평방향의 유동을 방지하며, 조인트 터미널(200)의 연결부(220)의 저면이 안착되는 안착단(115)이 형성되어 조인트 터미널(200)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 향상 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설치공간(100)의 외측으로는 설치공간(100)의 개방부가 폐쇄되도록 결합되는 어퍼커버(400)가 개폐될 수 있도록 제1힌지부(113)가 형성되며, 설치공간(100)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홀(420)에 걸림 고정되는 결합돌기(114)가 형성된다.
따라서 설치공간(100)은 조인트 터미널(200)이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형성되되, 개폐되는 어퍼커버(400)가 결합되어 인터락 회로 형성 시 주변 부품과 쉽게 전기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제작성을 향상시킨다.
연결공간(120)은 설치공간(100)의 양 측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조인트 터미널(200)의 양 측으로 탭 터미널(3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격벽(121)이 형성되어 각 조인트 터미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탭 터미널(300)을 조립 위치를 가이드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탭 터미널(300)과의 접촉을 방지한다
이때 격벽(121)의 일 측에는 소정 거리 돌출되어 고정단(1211)이 형성되고, 고정단(1211)은 탭 터미널(300)이 연결공간(120)에 삽입되어 조인트 터미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날개(311)의 말단에 접촉되어 삽입된 반대 방향으로 임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로워커버(100)의 일 측에는 연결공간(120)의 일 측에서 개방되어 락킹커버(500)가 설치되는 조립홀(130)이 형성되어 연결공간(120)에 탭 터미널(300)이 설치된 후 조립홀(130)의 내측으로 락킹커버(500)를 결합시켜 탭 터미널(300)의 이탈을 이중으로 방지한다.
다시 말해 로워커버(100)는 일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공간(120), 설치공간(100), 다시 연결공간(12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조인트 터미널(200)의 양 측으로 탭 터미널(3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외부 부품과는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고, 개폐되도록 형성되어 제품의 조립성 및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로워커버(100)의 저면에는 체결부(600)와 슬라이딩 체결되는 제2슬라이드부(140)와 제2걸림부(150)가 형성되어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와 연결 커넥터(20)가 케이블(3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보다 쉽게 정션블록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향상 효과를 극대화한다.
구체적인 체결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조인트 터미널(200)은 탭 터미널(300)과 접촉되도록 양 측으로 형성된 중계부(210)와, 중계부(210)를 연결하는 연결부(220)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탭 터미널(300)의 전기적인 연결을 중계하여 다수의 연결 커넥터(20)와 연결되는 하나의 인터락 회로를 형성한다.
중계부(210)는 밴딩되어 탄성력에 의해 메일부(320)와 밀착되는 한 쌍의 접힘부(212)와 접힘부(212)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바디(211)로 형성되어 설치공간(1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메일부(320)와 밀착되어 보다 개선된 전기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접힘부(212)는 메일부(320)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되, 메일부(320)와 접하는 부분을 변곡점으로 하여 서로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밴딩되어 메일부(320)와 일정 이상의 밀착력을 갖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메일부(320)와 연결된다.
이때 바디(211)는 한 쌍의 접힘부(212)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일 측면은 안착단(115)의 일 측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측면은 지지리브(111)와 접하도록 형성되어 설치공간(100)에 조인트 터미널(2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디(211)에는 일 측면을 관통하여 체크홀(2111)이 형성되어 메일부(320)의 완전 체결여부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가능 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높이는 동시에 불량률을 감소시켜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연결부(220)는 어느 한쪽의 접힘부(212)에서 연장되어 다른 한쪽의 접힘부(212)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접힘부(21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시에 가이드돌기(112)의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홀(221)이 형성되어 양 측에 형성된 중계부(210)와 메일부(320)가 동일한 위치에서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10)는 양 측으로 탭 터미널(300)의 메일부(320)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져 탭 터미널(300)을 통해 다수의 연결 커넥터(20)가 하나의 인터락 회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한 종류의 탭 터미널(300)을 사용하여 회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탭 터미널(300)은 연결공간(120)에 고정되는 고정부(310)와, 고정부(310)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중계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일부(320)와, 고정부(310)의 타 측에서 연장되어 케이블(30)이 압착되는 압착부(330)로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부(310)에는 절개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고정날개(311)가 형성되어 연결공간(120)에 삽입 시 고정날개(311)가 고정부(310)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하는 동시에 연결공간(120)에 완전 삽입된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여 탭 터미널(300)이 임의로 연결공간(120)에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압착부(330)에 압착되어 탭 터미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30)은 서로 다른 연결 커넥터(20)와 연결되어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10)를 통해 하나의 인터락 회로가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연결 커넥터(20)의 해제만으로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10)에 연결된 모든 연결 커넥터(2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어퍼커버(400)는 일 측으로 로워커버(100)의 일 측에 형성된 결합돌기(114)가 걸림 고정되는 결합홀(420)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개방된 설치공간(100)을 폐쇄하여 설치공간(100)에 설치된 조인트 터미널(200)을 보호하되, 제1힌지부(113)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힌지부(410)가 형성되어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10)의 유지 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한다.
또한 어퍼커버(400)의 내측에는 설치공간(100)에 고정된 바디(211)의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리브(430)가 형성되어, 어퍼커버(400)를 닫아 설치공간(100)을 폐쇄하는 경우 고정리브(430)가 바디(211)의 상측을 가압하도록 하여 조인트 터미널(200)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락킹커버(500)는 커버바디(510)와 커버바디(510)에서 연장되어 연결공간(120) 배치되는 연장부(520)와 연장부(520)에서 돌출되어 탭 터미널(300)의 고정부(310)의 타 측에 배치되는 락킹돌기(530)로 형성되어 탭 터미널(300)을 이중으로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연장부(520)는 연결공간(120)의 탭 터미널(300)의 양 측으로 배치되어 고정되고, 이때 락킹돌기(530)는 완전 체결된 상태의 탭 터미널(300)의 고정부(310)의 타 측 즉, 고정부(310)와 압착부(330)가 연결되는 측부에 배치되어 탭 터미널(300)이 삽입 반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는 경우 고정부(310)에 맞닿아 연결공간(120)에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메일부(320)와 접힘부(212)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연결공간(120)에 배치되는 탭 터미널(300)은 이중으로 고정되어 조인트 터미널(200)과의 전기적인 연결 안정성을 개선시켜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10)는 설치공간(100)과 이에 연통되는 구획된 복수의 연결공간(120)을 제공하여 복수의 조인트 터미널(200)과 복수의 탭 터미널(3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보다 단순한 구조를 통해 하나의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고, 차량 운행 등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또는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인터락 회로를 안정적으로 유지가능한 구조를 개시하므로써 제품의 신뢰성 및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10)를 구비한 정션블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탭 터미널(300)을 통해 연결 커넥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술적 특징이 보다 강조될 수 있도록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10)를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와 탭 터미널(300)로 구분한다.
또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10)와 정션블록의 상호 관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가 설치된 정션블록의 개략도이고, 도 11은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가 체결부에 체결된 상태의 일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 방향의 단면도에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와 체결부의 체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정션블록은 서로 다른 기기에 연결된 연결 커넥터(20), 상기 연결 커넥터(20)와 케이블(3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탭 터미널(300) 및 복수의 상기 탭 터미널(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은 개방된 설치공간(100)이 형성된 로워커버(100)와, 상기 설치공간(100)에 조립되어 서로 다른 상기 탭 터미널(300)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중계하는 조인트 터미널(200)과, 상기 설치공간(100)의 개방된 일 측을 개폐하는 어퍼커버(400)로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탭 터미널(3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탭 터미널(300)과 케이블(30)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인터락 회로와 연결되어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하여 인터락 회로가 개방되는 경우 릴레이를 오프시켜 연결 커넥터(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일제히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연결 커넥터(20)는 정션블록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연결 커넥터(20)는 서로 체결되는 한 쌍의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일커넥터 및 피메일커넥터 중 어느 하나는 케이블(30)을 통해 탭 터미널(300)과 연결된다.
다시 말해 복수의 연결 커넥터(20)는 케이블(30)을 통해 탭 터미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탭 터미널(300)이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에 삽입되어 조인트 터미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복수의 연결 커넥터(20)를 구비하는 인터락 회로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일실시 예의 정션블록은 연결 커넥터(20)가 4개의 고전압 커넥터와 제어부(40)와 연결되는 하나의 인터락 커넥터로 형성되고, 각 연결 커넥터(20)는 한 쌍의 케이블(30)을 통해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와 연결되어 하나의 인터락 회로를 형성한다.
이때 어느 하나의 연결 커넥터(20)의 전기적인 차단에 의해 인터락 회로는 개방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40)의 릴레이가 OFF되어 고전압 커넥터로 공급되는 전원이 모두 차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션블록은 케이블(30)을 통해 하나의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로 복수의 연결 커넥터(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락 회로를 형성할 수 있어 제작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정션블록의 일 측에는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10)가 고정되는 체결부(600)가 형성되어 작업성 향상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600)는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의 체결 방향을 가이드하는 제1슬라이드부(610)와, 체결 후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의 해제를 방지하는 제1걸림부(620)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슬라이드부(610)는 로워커버(100)의 저면에 형성된 제2슬라이드부(140)에 양 측면이 맞닿도록 형성되어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의 체결을 가이드하고, 이때 제1걸림부(620)는 로워커버(10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제2걸림부(150)의 외주면 맞닿은 상태로 이동되되,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가 완전 체결된 상태에서는 제2걸림부(150)의 일 측면에 걸림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고정력을 제공한다.
이때 제1,2걸림부의 일 말단은 처음 맞닿는 부분에서 서로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져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와 체결부(600)의 체결방향으로는 자연스럽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제1,2걸림부가 타 말단에서는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1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션블록은 하나의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를 통해 복수의 연결 커넥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락 회로를 형성할 수 있어 제작에 필요한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원가를 절감한다.
또한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와 연결 커넥터(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정션블록의 외측에서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불량률을 줄여 제품 신뢰성 또한 개선하고, 체결부(600)를 형성하여 별도의 체결 부재 없이도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 즉,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10)를 정션블록에 설치 고정하도록 하여 작업성 향상 효과를 극대화하며, 제품의 소형화를 실현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100 로워커버 110 설치공간 111 지지리브
112 가이드돌기 120 연결공간 121 격벽
1211 고정홀 130 조립홀 140 제2슬라이드부
150 제2걸림부 160 제1힌지부 170 결합돌기
200 조인트 터미널 210 중계부 211 바디
2111 체크홀 212 접힘부 220 연결부
221 고정홀
300 탭 터미널 310 고정부 311 고정날개
320 메일부 330 압착부
400 어퍼커버 410 제2힌지부 420 결합홀
430 고정리브
500 락킹커버 510 커버바디 520 락킹돌기
600 체결부 610 제1슬라이드부 620 제1걸림부
20 연결 커넥터 30 케이블 40 제어부

Claims (10)

  1. 개방된 설치공간이 형성된 로워커버;
    상기 설치공간에 조립되어 전기적인 연결을 중계하는 조인트 터미널;
    상기 조인트 터미널 양측으로 연결되어 회로를 형성하는 탭 터미널; 및
    상기 설치공간의 개방된 일 측을 개폐하는 어퍼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터미널은
    상기 탭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양 측으로 형성된 중계부와, 상기 중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형성되어 상기 탭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 터미널은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는 연결공간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계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접촉되는 메일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 측에서 연장되어 케이블과 연결되는 압착부로 형성되고,
    상기 중계부는
    밴딩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메일부와 밀착되는 한 쌍의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바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일 측을 관통하여 상기 메일부의 삽입여부가 확인가능한 체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커버는
    상기 조인트 터미널의 조립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되, 상기 조인트 터미널이 조립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바디의 일 측을 지지하는 지지리브와,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조립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탭 터미널의 이탈을 방지하는 락킹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워커버는
    상기 설치공간의 양 측으로 연통되어 상기 탭 터미널이 안착되는 구획된 연결공간과, 상기 연결공간의 일 측에서 개방되어 상기 락킹커버가 설치되는 조립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커버는
    상기 로워커버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고, 내측에는 상기 바디의 상측을 지지하는 고정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7. 서로 다른 기기에 연결된 연결 커넥터;
    상기 연결 커넥터와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탭 터미널; 및
    복수의 상기 탭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는
    개방된 설치공간이 형성된 로워커버와, 상기 설치공간에 조립되어 서로 다른 상기 탭 터미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중계하는 조인트 터미널과, 상기 설치공간의 개방된 일 측을 개폐하는 어퍼커버로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탭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탭 터미널과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인터락 회로와 연결되어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터미널은
    밴딩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탭 터미널과 밀착되는 한 쌍의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바디와, 상기 접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형성되고,
    상기 로워커버는
    상기 조인트 터미널의 조립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되, 상기 조인트 터미널이 조립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바디의 일 측을 지지하는 지지리브와,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조립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의 체결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슬라이드부와, 상기 인터락 조인트 커넥터의 해제를 방지하는 제1걸림부로 형성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워커버는
    일 측에 상기 제1슬라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슬라이드부와, 상기 제1,2 슬라이드부의 완전 체결 시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림 고정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KR1020200142317A 2020-10-29 2020-10-29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및 정션블록 KR102510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317A KR102510449B1 (ko) 2020-10-29 2020-10-29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및 정션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317A KR102510449B1 (ko) 2020-10-29 2020-10-29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및 정션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250A true KR20220057250A (ko) 2022-05-09
KR102510449B1 KR102510449B1 (ko) 2023-03-16

Family

ID=8158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317A KR102510449B1 (ko) 2020-10-29 2020-10-29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및 정션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44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9844A (ja) * 1994-08-30 1996-03-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H08203636A (ja) * 1995-01-30 1996-08-09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2134199A (ja) * 2000-10-20 2002-05-10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用端子金具及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100122766A (ko) * 2009-05-13 2010-11-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20130142516A (ko) * 2012-06-19 2013-12-3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
JP2018121448A (ja) * 2017-01-25 2018-08-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WO2019235389A1 (ja) * 2018-06-05 2019-12-1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20166947A (ja) * 2019-03-28 2020-10-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ジョイント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9844A (ja) * 1994-08-30 1996-03-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H08203636A (ja) * 1995-01-30 1996-08-09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2134199A (ja) * 2000-10-20 2002-05-10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用端子金具及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100122766A (ko) * 2009-05-13 2010-11-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20130142516A (ko) * 2012-06-19 2013-12-3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
JP2018121448A (ja) * 2017-01-25 2018-08-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WO2019235389A1 (ja) * 2018-06-05 2019-12-1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20166947A (ja) * 2019-03-28 2020-10-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ジョイント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449B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3971B1 (en) Two-part contact element for high-voltage plug-and-socket connector
JP6301365B2 (ja) バッテリシステム用マニュアルサービス接続解除装置
CN109565128B (zh) 电连接器的电力端子
CN109565129A (zh) 电力连接器系统
US792712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able securing device
US3412368A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ssembly
JP5966089B2 (ja) コネクタ接続構造
CN102474054A (zh) 熔断器连接器组件
US10971851B2 (en) Miniaturized connector with a terminal holding member
MX2007015451A (es) Ensamble conector con dispositivo que asegura la posicion de terminal.
WO2018168368A1 (ja) 端子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CN215645120U (zh) 头座连接器及电力连接器系统
JP5139188B2 (ja) 電気接続箱
CN111656633A (zh) 电连接箱
KR20220057250A (ko) 인터락 조인트 어셈블리 및 정션블록
US20170244200A1 (en) Cover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6208673A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07978894A (zh) 成角度的插接连接器及其制造方法
US20230268696A1 (en) Electrical contact position assurance for electrical connector system
JP5692598B2 (ja) 嵌合検知構造
CN113471895B (zh) 保护器以及线束
KR102517859B1 (ko) 조인트유닛이 구비된 정션블록
KR102481782B1 (ko) 고전압 커넥터
JP3867658B2 (ja) 電気接続箱
JP3687468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