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782B1 - 고전압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전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782B1
KR102481782B1 KR1020210010470A KR20210010470A KR102481782B1 KR 102481782 B1 KR102481782 B1 KR 102481782B1 KR 1020210010470 A KR1020210010470 A KR 1020210010470A KR 20210010470 A KR20210010470 A KR 20210010470A KR 102481782 B1 KR102481782 B1 KR 102481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
bus bar
connection space
modul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7629A (ko
Inventor
방준열
노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to KR102021001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78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고전압 커넥터는 일 방향으로 개방되어 제1연결공간이 형성된 메일하우징; 일 방향으로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제1연결공간과 연통되는 제2연결공간이 형성된 이너하우징이 설치된 피메일하우징; 상기 제1연결공간에 설치되는 버스바 모듈과, 상기 제2연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버스바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링 아세이로 형성되는 통전유닛; 및 상기 제1연결공간에 설치되는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와, 상기 제2연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락버스바 모듈로 형성되는 인터락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인터락유닛은 필요에 따라 상기 통전유닛과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커넥터의 범용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동시에 개발 비용을 절감시킨다.

Description

고전압 커넥터{High voltage connector}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 자동차에 설치되어 전력 및 전기적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전기적인 성질을 가진 부품들의 연결을 견고하게 이어주면서 전기적인 성능을 유지토록 하는 매개체로서, 자동차 등의 여러 기술분야에서 전기 배선인 케이블, 즉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에 구성되는 부품으로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는 터미널과 이를 보호하는 하우징을 결속하여 전류가 손실없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자동차 등의 여러 기술분야에서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장부품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다수의 와이어을 한번에 회로 연결할 수 있도록 고전압 커넥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동일한 용량의 고전압 커넥터도 필요에 따라 그 적용 핀수가 다르게 설계될 수 있으며, 핀수가 다른 경우에는 커넥터 형상 등 신규 제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필요 부품 및 개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우징을 공용화하고, 통전유닛과 인터락유닛을 모듈화하여 필요 부품 및 개발 비용을 절감하는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는 일 방향으로 개방되어 제1연결공간이 형성된 메일하우징; 일 방향으로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제1연결공간과 연통되는 제2연결공간이 형성된 이너하우징이 설치된 피메일하우징; 상기 제1연결공간에 설치되는 버스바 모듈과, 상기 제2연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버스바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링 아세이로 형성되는 통전유닛; 및 상기 제1연결공간에 설치되는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와, 상기 제2연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락버스바 모듈로 형성되는 인터락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인터락유닛은 필요에 따라 상기 통전유닛과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전압 커넥터는 상기 제1,2연결공간이 구획되어 3개로 형성되고, 상기 통전유닛을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하여 3핀 커넥터와 2핀 커넥터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모듈은 상기 제1연결공간에 설치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에 걸림 고정되는 체결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링 아세이는 말단에 형성되는 단자와, 상기 단자에서 연장되는 와이어와, 상기 이너하우징의 일 측에 조립되어 상기 단자를 위치를 고정하는 단자TPA으로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와 상기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은 상기 제1연결공간에 설치되는 인터락커버와, 상기 인터락커버에 안착 고정되는 인터락케이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인더락버스바 모듈은 상기 제2연결공간에 설치되는 버스바하우징과, 상기 버스바하우징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인터락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락버스바로 형성되어 인터락 회로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연결공간은 3개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고전압 커넥터는 3개의 상기 제1연결공간에 상기 버스바 모듈이 설치되고, 3개의 상기 제2연결공간에 상기 와이어링 아세이가 설치되어 교류 전원이 관통하는 3핀 커넥터로 형성되거나, 2개의 상기 제1연결공간에 상기 버스바 모듈이 설치되고, 1개의 상기 제1연결공간에는 상기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이 설치되며, 2개의 상기 제2연결공간에는 상기 와이어링 아세이가 설치되고, 1개의 상기 제2연결공간에는 상기 인터락버스바 모듈이 설치되어 직류 전원이 관통하는 2핀 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은 상기 인터락커버의 일 측에 조립되되, 상기 인터락케이블과 걸림 고정되는 케이블TP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는 설계에 맞춰 3핀 또는 2핀 고전압 커넥터로 사용될 수 있어 제품의 범용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동시에 동일 용량에서 적용 핀수가 다른 커넥터 신규 개발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 및 통전유닛을 고용화를 통해 3핀 고전압 커넥터 또는 2핀 고전압 커넥터로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필요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개발 비용 절감 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2핀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우징의 남는 공간에 인터락유닛을 설치할 수 있어, 인터락 회로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고전압 커넥터의 소형화를 실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가 3핀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가 2핀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a)는 도 2 및 도 4의 버스바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2 및 도 4의 와이어링 아세이의 사시도.
도 6(a)는 도 5(a)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5(b)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 및 도 3의 7-7 방향의 단면도.
도 8(a)는 도 4의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4의 인터락버스사 모듈의 사시도.
도 9(a)는 도 8(a)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8(b)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3의 B-B 방향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세한 설명에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가 다양한 핀수를 가지며 사용될 수 있음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인 고전압 커넥터가 3핀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고전압 커넥터가 2P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설명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일커네터와 피메일하우징가 결합되는 방향을 연장방향으로 정의하고, 메일하우징와 피메일하우징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을 각 구성의 전방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가 3핀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가 2핀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2 및 도 4의 버스바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2 및 도 4의 와이어링 아세이의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5(a)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5(b)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 및 도 3의 7-7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8(a)는 도 4의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4의 인터락버스사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9(a)는 도 8(a)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8(b)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3의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10)는 일 방향으로 개방되어 제1연결공간(110)이 형성된 메일하우징(100), 일 방향으로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제1연결공간(110)과 연통되는 제2연결공간(211)이 형성된 이너하우징(210)이 설치된 피메일하우징(200), 상기 제1연결공간(110)에 설치되는 버스바 모듈(310)과, 상기 제2연결공간(211)에 설치되어 상기 버스바 모듈(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링 아세이(320)로 형성되는 통전유닛(300) 및 상기 제1연결공간(110)에 설치되는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410)과, 상기 제2연결공간(211)에 설치되어 상기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락버스바 모듈(420)로 형성되는 인터락유닛(400)을 포함하되, 상기 인터락유닛(400)은 필요에 따라 상기 통전유닛(300)과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전압 커넥터(10)는 버스바(311)와 와이어링을 통해 전기적인 연결을 중계하는 것으로,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10)는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유닛(300) 및 인터락 회로를 구성하는 인터락유닛(400)이 메일하우징(100) 및 피메일하우징(200)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모듈화한다.
메일하우징(100)는 일 방향으로 개방되어 제1연결공간(110)이 형성되어 통전유닛(300) 또는 인터락유닛(400)이 선택적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공간(110)은 연장방향으로 개방되고, 구획되어 버스바 모듈(310) 또는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410)이 각 제1연결공간(110)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각 제1연결공간(110)의 내측으로 버스바 모듈(310) 및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410)이 걸림 고정되는 제1걸림홈(111)이 형성되고, 제1연결공간(110)과 내부면 사이로 제1차폐부재(113)가 설치되어 통전유닛(300) 및 인터락유닛(400)의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피메일하우징(200)는 일방향으로 개방되고, 제1연결공간(110)과 연통되는 제2연결공간(211)이 형성된 이너하우징(210)이 내부에 설치되어 통전유닛(300) 또는 인터락유닛(400)이 선택적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2연결공간(211)은 연장방향으로 개방되고, 구획되어 와이어링 아세이(320) 또는 인터락버스바 모듈(420)이 각 제2연결공간(211)에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이너하우징(210)의 외측과 피메일하우징(200)의 내부면 사이로 제2차폐부재가 설치되되어 통전유닛(300) 및 인터락유닛(400)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메일하우징(100)와 피메일하우징(200)가 결합되는 경우 제1차폐부재(113)와 접촉되어 통전유닛(300) 및 인터락유닛(400)의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메일하우징(100)와 피메일하우징(200)는 서로 체결되고, 연통되는 제1,2연결공간(110,211)을 형성하여 통전유닛(300) 및 인터락유닛(4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제1,2연결공간(110,211)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유닛(300) 또는 인터락유닛(400)이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일 예인 고전압 커넥터(10)는 제1,2연결공간(110,211)은 3개로 구획되어 각 공간마다 통전유닛(300) 또는 인터락유닛(400)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3개의 제1,2연결공간(110,211)을 관통하여 3개의 통전유닛(300)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3핀 커넥터로 사용되고, 2개의 제1,2연결공간(110,211)을 관통하여 2개의 통전유닛(300)이 설치되고, 1개의 제1,2연결공간(110,211)을 관통하여 인터락유닛(400)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2핀 커넥터로 사용된다.
이때 3핀 커넥터의 경우 AC 교류 전원을 사용하여 인터락 회로가 불필요 하지만, 2핀 커넥터의 경우 DC 직류 전원을 사용하여 안전을 위하여 인터락 회로가 필요하며, 이때 통전유닛(300)이 설치되지 않는 제1,2연결공간(110,211)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락 회로를 구성하는 인터락유닛(400)을 설치하여 메일하우징(100)와 피메일하우징(200)를 그대로 활용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10)는 3핀 커넥터 또는 2핀 커넥터로 사용될 수 있어 메일하우징(100)와 피메일하우징(200)을 공용화하여 부품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고전압 커넥터(10)의 개발 비용을 절감시킨다.
통전유닛(300)은 제1연결공간(110)에 설치되는 버스바 모듈(310)과, 제2연결공간(211)에 설치되어 버스바 모듈(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링 아세이(320)로 형성되어 주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한다.
여기서 버스바 모듈(310)은 제1연결공간(110)에 설치되는 버스바(311)와, 버스바(311)의 외측에 형성되어 메일하우징(100)의 내측에 고정되는 체결부(312)로 형성되고, 이때 버스바(311)와 체결부(312)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며, 체결부(312)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321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체결부(312)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3211)가 메일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제1걸림홈(111)에 걸림 고정되며 버스바 모듈(310)은 제1연결공간(110)에 고정 설치된다.
와이어링 아세이(320)는 제2연결공간(211)에 설치되어 버스바(3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321)와, 단자(321)와 연결되는 와이어(322)와, 단자(321)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자TPA(323)와, 와이어링 아세이(320)를 피메일하우징(200)에 고정하는 와이어링 홀더(324)로 형성되고, 이때 단자(321)와 와이어(322)는 일체로 형성되어 피메일하우징(200)의 후방에서 제2연결공간(211)으로 삽입되되, 단자TPA(323)는 단자(321)와 와이어(322)가 설치된 후 피메일하우징(200)의 전방에서 이너하우징(210)에 걸림 고정된다.
다시 말해 단자TPA(323)는 단자(321)의 전방 말단에 밀착되고,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너하우징(210)에 돌출 형성되는 제2걸림돌기(212)에 걸림 고정되는 제2걸림홈(3231)이 형성되며, 와이어링 홀더(324)는 피메일하우징(200)의 후방으로 삽입되고, 와이어링 홀더(324)의 외측으로 피메일하우징(200)의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제3걸림홈에 걸림 고정되는 제3걸림돌기(4132)가 형성되어 와이어링 아세이(320)는 제2걸림홈(3231)과 제3걸림돌기(4132)에 의해 제2연결공간(211)에 고정 설치된다.
인터락유닛(400)은 제1연결공간(110)에 설치되는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410)과 제2연결공간(211)에 설치되어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락버스바 모듈(420)로 혀성되어 인터락 회로를 형성한다.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410)은
제1연결공간(110)에 배치 고정되는 인터락커버(411)와, 인터락커버(411)의 내측에 설치되는 인터락케이블(412)과, 인터락커버(411)의 조립되어 인터락케이블(41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케이블TPA(413)로 형성된다.
이때 인터락커버(411)는 제1연결공간(110)에서 체결부(312)와 배치되는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체결부(312)와 같이 제1걸림홈(111)에 걸림 고정되는 제1걸림돌기(3211)가 형성되어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410)을 제1연결공간(110)에 고정되며, 이때 제1걸림돌기(3211)가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인터락커버(411)는 제1걸림돌기(3211)가 형성된 부분에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인터락커버(411)의 제1걸림돌기(3211)는 체결부(312)의 제1걸림돌기(3211)와 동일하게 연장방향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되어 인터락커버(411)가 제1연결공간(110)으로 될수록 절개부위가 탄성 변형되되, 제1걸림홈(111)에 제1걸림돌기(3211)가 위치하게 되면 절개부위는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걸림 고정된다.
인터락케이블(412)은 한 쌍으로 형성되고, 전방의 각 말단에는 인터락버스바(4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단자(4121)가 고정되어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고, 인터락커버(411)의 전방에서 삽입되는 케이블TPA(413)에 걸림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인터락버스바(422)와 접촉된다.
케이블TPA(413)는 인터락커버(411)의 전방에서 삽입되어 조립되고, 인터락커버(41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에는 한 쌍의 인터락케이블(412)이 안착되는 단자안착홈(4131)이 형성되고, 단자안착홈(4131)에는 안착된 인터락케이블(412)이 연장방향의 후방으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케이블단자(4121)가 걸림 고정되는 제4걸림돌기가 형성된다.
이때 케이블TPA(413)가 삽입홈(4112)에 조립된 경우에도 케이블단자(4121)가 안착된 위치에 대응하여 인터락커버(411)는 관통되어 인터락버스바(422)가 케이블단자(4121)가 안정적으로 연결된다.
인터락버스바 모듈(420)은 제2연결공간(211)에 설치되는 버스바하우징(412)과, 버스바하우징(412)의 내측에 설치되어 케이블단자(4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락버스바(422)와, 제2연결공간(211)을 수밀시키는 인터락씰(423)로 형성된다.
버스바하우징(412)은 이너하우징(210)의 전방에서 조립되어 제2연결공간(211)의 내측에 설치되며, 이를 위해 버스바하우징(412)의 외측에는 단자TPA(323)와 동일하게 제2걸림홈(3231)이 형성되어, 이너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걸림돌기(212)에 걸림 고정된다.
인터락버스바(422)는 버스바하우징(412)에 고정되고,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인터락버스바(422)는 버스바하우징(41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터락버스바(422)의 말단부는 한 쌍의 케이블단자(4121)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분기 형성된다.
인터락씰(423)은 제2연결공간(211)의 일 측에 삽입되고, 제2연결공간(211)을 형성하는 이너하우징(210)의 내벽에 밀착되어 고전압 커넥터(10)의 수밀성을 확보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10)는 내부에 전기적인 연결 공간을 제공하는 제1,2연결공간(110,211)이 형성되고, 제1,2연결공간(110,211)은 구획되어 필요에 따라 통전유닛(300) 또는 인터락유닛(400)이 설치되어 다양한 형태의 고전압 커넥터(10)를 제공한다.
또한 인터락유닛(400)은 메일하우징(100)과 피메일하우징(200)이 결합되어 인터락유닛(4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인터락 회로가 폐회로를 형성하며 메인 전원의 전류가 인가되고, 메일하우징(100)과 피메일하우징(200)이 분리되어 인터락유닛(400)이 전기적으로 단절되면 인터락 회로가 개방되며 메인 전원이 차단된다.
본 발명의 일 예의 고전압 커넥터(10)는 제1,2연결공간(110,211)이 3개로 형성되어, 3개의 연결공간 모두를 관통하여 통전유닛(300)이 조립되는 경우에는 3핀 커넥터로 사용되고, 3개의 제1,2연결공간(110,211) 중 2개의 제1,2연결공간(110,211)을 관통하여 통전유닛(300)이 조립되고, 1개의 제1,2연결공간(110,211)을 관통하여 인터락유닛(400)이 조립되는 경우에는 2핀 커넥터를 형성하는 통시에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10)는 메일하우징(100) 및 피메일하우징(200)을 공용화하여 필요에 따라 3핀 커넥터 또는 2핀 커넥터로 사용 가능하며, 통전유닛(300) 및 인터락유닛(400)이 동일한 고정 구조를 가지도록 모듈화하여 다양한 커넥터로 사용되기 위한 필요 부품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개발 비용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 고전압 커넥터
100 메일하우징 110 제1연결공간
111 제1걸림홈 112 걸림턱
113 제1차폐부재
200 피메일하우징 210 이너하우징
211 제2연결공간 212 제2걸림돌기
300 통전유닛 310 버스바 모듈
311 버스바 312 체결부
3211 제1걸림돌기
320 와이어링 아세이
321 단자 322 와이어
323 단자TPA 3231 제2걸림홈
324 와이어링 홀더
400 인터락유닛 410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
411 인터락커버 4111 제1걸림돌기
4112 삽입홈
412 인터락케이블 4121 케이블단자
413 케이블TPA 4131 단자안착홈
4132 제3걸림돌기 420 인터락버스바 모듈
421 버스바하우징 4211 제2걸림홈
422 인터락버스바 423 인터락씰

Claims (6)

  1. 일 방향으로 개방되어 제1연결공간이 형성된 메일하우징;
    일 방향으로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제1연결공간과 연통되는 제2연결공간이 형성된 이너하우징이 설치된 피메일하우징;
    상기 제1연결공간에 설치되는 버스바 모듈과, 상기 제2연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버스바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링 아세이로 형성되는 통전유닛; 및
    상기 제1연결공간에 설치되는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와, 상기 제2연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락버스바 모듈로 형성되는 인터락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인터락유닛은
    필요에 따라 상기 통전유닛과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버스바 모듈은
    상기 제1연결공간에 설치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에 걸림 고정되는 체결부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링 아세이는
    말단에 형성되는 단자와, 상기 단자에서 연장되는 와이어와, 상기 이너하우징의 일 측에 조립되어 상기 단자를 위치를 고정하는 단자TPA으로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와 상기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커넥터는
    상기 제1,2연결공간이 구획되어 3개로 형성되고, 상기 통전유닛을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하여 3핀 커넥터와 2핀 커넥터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은
    상기 제1연결공간에 설치되는 인터락커버와, 상기 인터락커버에 안착 고정되는 인터락케이블로 형성되고,
    상기 인터락버스바 모듈은
    상기 제2연결공간에 설치되는 버스바하우징과, 상기 버스바하우징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인터락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락버스바로 형성되어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하는 고전압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공간은
    3개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전압 커넥터는
    3개의 상기 제1연결공간에 상기 버스바 모듈이 설치되고, 3개의 상기 제2연결공간에 상기 와이어링 아세이가 설치되어 교류 전원이 관통하는 3핀 커넥터로 형성되거나,
    2개의 상기 제1연결공간에 상기 버스바 모듈이 설치되고, 1개의 상기 제1연결공간에는 상기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이 설치되며, 2개의 상기 제2연결공간에는 상기 와이어링 아세이가 설치되고, 1개의 상기 제2연결공간에는 상기 인터락버스바 모듈이 설치되어 직류 전원이 관통하는 2핀 커넥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와이어링 모듈은
    상기 인터락커버의 일 측에 조립되되, 상기 인터락케이블과 걸림 고정되는 케이블TPA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KR1020210010470A 2021-01-25 2021-01-25 고전압 커넥터 KR102481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470A KR102481782B1 (ko) 2021-01-25 2021-01-25 고전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470A KR102481782B1 (ko) 2021-01-25 2021-01-25 고전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629A KR20220107629A (ko) 2022-08-02
KR102481782B1 true KR102481782B1 (ko) 2022-12-27

Family

ID=8284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470A KR102481782B1 (ko) 2021-01-25 2021-01-25 고전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7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9220A (ja) 2011-02-16 2012-09-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装置
JP2012238465A (ja) 2011-05-11 2012-12-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4096310A (ja) * 2012-11-12 2014-05-22 Yazaki Corp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2016213048A (ja) 2015-05-08 2016-12-15 住友電装株式会社 機器用コネクタ装置
KR101839619B1 (ko) * 2011-09-26 2018-04-27 엘에스이브이코리아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1596B1 (en) * 2006-01-06 2007-04-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systems, plug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9220A (ja) 2011-02-16 2012-09-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装置
JP2012238465A (ja) 2011-05-11 2012-12-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1839619B1 (ko) * 2011-09-26 2018-04-27 엘에스이브이코리아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JP2014096310A (ja) * 2012-11-12 2014-05-22 Yazaki Corp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2016213048A (ja) 2015-05-08 2016-12-15 住友電装株式会社 機器用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629A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64473B (zh) 电插接连接部的插接连接器以及由其形成的电插接连接部
EP2686919B1 (en)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US5503565A (en) Receptacle assembly
US7104832B2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using
US4272689A (en) Flexible wiring system and components therefor
US7666028B2 (en) Cab power connectors
KR101778918B1 (ko) 전기 커넥터 시스템
CA2506922C (en) Device for securing a connector
US724118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te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and wire cover
KR102003652B1 (ko) 단자 피팅
EP3142194A1 (en) Right angle connector with terminal contact protection
US7090544B2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using
US9281605B2 (en) Plug-and-socket connector arrangement with first and second plugs and mating plug
US7731519B1 (en) Adaptable universa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in repair or replac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relays, solenoids and the like
CN109256642B (zh) 连接器后壳组件
KR102481782B1 (ko) 고전압 커넥터
JP7236034B2 (ja) 分岐用コネクタ
CN111864472A (zh) 电插接装置的插接连接器及由插接连接器和功能元件构成的组件
EP3985803B1 (en) Connector and connector with electric wires including the connector
CN112242626A (zh) 具有拉力释放装置的插接连接件
CN114144944A (zh) 多极的插塞连接器装置
JP2021111996A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2639917B1 (ko) 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어셈블리
CA2471170C (en) Hybrid sealed housing header
DK1515402T3 (en) Electrical mounting device for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